최근 수정 시각 : 2025-10-03 15:19:22

경북대학교/학부/사범대학/윤리교육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북대학교/학부/사범대학
<colcolor=#fff>
경북대학교 윤리교육과
慶北大學校 倫理敎育科
KNU Department of Ethics Education
<colbgcolor=#DA2127> 설립 <colbgcolor=#FFFFFF>1979년 5월 31일
학과장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712호
<nopad>
링크 경북대학교 윤리교육과 공식 홈페이지

1. 개요2. 전공 및 수업3. 교수진
3.1. 이영경 교수3.2. 손철성 교수3.3. 김용수 교수3.4. 김영하 교수3.5. 이정렬 교수3.6. 임경헌 교수3.7. 명예교수
4. 졸업 후 진로

1. 개요

경북대학교윤리교육과.

대한민국 최초로 학부과정에 설치된 윤리교육과다.[1] 1979년 5월 31일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에 독립학과로 국민윤리교육과가 설치된 것에서 시작한다.

1995년 고등학교 『국민윤리』 과목이 『윤리』로 변경됨에 따라서 1995년 10월 윤리교육과로 학과명이 개칭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학과 표어는 혁신 윤리이다.

2. 전공 및 수업

주로 동양과 서양의 철학 및 과거와 현대의 철학 등을 배우며, 정치학, 윤리학, 윤리교육에 대해서도 공부한다.

3. 교수진

3.1. 이영경 교수

  • 한국윤리사상, 한국유학사상 전공
  • 경북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한국사상과 윤리, 한국사상개론, 한국윤리사상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한국윤리연습, 한국윤리문헌연구, 한국사상특강, 한국유학연습
  • 교육대학원 강의과목: 한국사상연구, 한국윤리연구, 한국윤리교재연구특강

3.2. 손철성 교수

  • 사회철학, 역사철학, 윤리학 전공
  •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현대사회와 윤리, 윤리학개론, 서양윤리사상, 사회윤리, 응용윤리학, 가치론과윤리교육, 사회윤리교재연구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현대윤리사상연구, 응용윤리학연습, 가치론연습, 사회윤리연구
  • 교육대학원 강의과목: 응용윤리학연구, 가치론연구, 현대사회철학교재연구특강

3.3. 김용수 교수

  • 도가철학 전공
  •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베이징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중국의 사상과 윤리, 동양윤리사상, 중국철학과 윤리교육, 동양윤리교재연구, 송명성리학연구, 동양 종교와 윤리교육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동양윤리연습, 중국유학연습, 중국철학연습
  • 교육대학원 강의과목: 중국신유학특강, 동양윤리연구, 동양윤리교재분석및지도법

3.4. 김영하 교수

  • 민주주의론, 비교정치, 북한학, 통일교육론 전공
  • 경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통일과 남북한 관계의 이해, 민주주의론, 통일교육론, 현대정치사상연구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민주주의론연구, 현대민주주의론연습, 통일문제특강, 정치사상사연습
  • 교육대학원 강의과목: 민주주의론연구, 통일문제연구

3.5. 이정렬 교수

  • 도덕·윤리교육론 전공
  •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도덕·윤리교육론, 도덕·윤리 논리 및 논술지도, 도덕·윤리교재연구및지도법, 시민교육론, 인문과 예술로 만나는 삶과 인성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인성교육연구, 도덕윤리교육방법론연습, 민주시민교육론연습
  • 교육대학원 강의과목: 도덕·윤리교육론, 도덕·윤리 논리 및 논술지도, 도덕·윤리교재연구및지도법, 민주시민교육론연구, 서양윤리연구

3.6. 임경헌 교수

  • 서양고·중세철학(아리스토텔레스, 토마스 아퀴나스) 전공
  • 가톨릭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쾰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현대사회와 윤리, 윤리학개론, 서양윤리사상, 서양윤리교재연구

3.7. 명예교수

  • 배한동 교수: 북한정치·통일교육론 전공. 경북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를 졸업하고, 영남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문성학 교수: 근세서양철학(칸트), 윤리 전공. 경북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4. 졸업 후 진로

학과생들 대부분 중등교사 임용시험에 응시하며 많은 졸업생들이 중·고등학교 교사가 된다. 그만큼 중등교사 임용시험에 관한 정보도 많이 획득할 수 있고, 학과 분위기도 임용시험 공부하기에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교육계로 나아간 동문들이 많다.


[1] 1981년 2월 28일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 1982년 3월 부산대학교 국민윤리교육과가 생겨났다. 서울대는 1977년 대학원 과정에 국민윤리교육전공을 개설하였으며, 경북대가 처음으로 학부과정에 윤리교육과를 개설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