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23:30:49

경북대학교/학부/공과대학/고분자공학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북대학교/학부/공과대학
<colcolor=#fff>
경북대학교 고분자공학과
慶北大學校 高分子工學科
KNU Department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colbgcolor=#DA2127> 설립 <colbgcolor=#FFFFFF>1968년 3월
학과장 현동춘 교수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경북대학교 공대9호관 119호
링크 경북대학교 고분자공학과 공식 홈페이지

1. 개요2. 연혁3. 전공 및 수업4. 교수진
4.1. 박수영 교수4.2. 윤근병 교수4.3. 조광수 교수4.4. 곽기섭 교수4.5. 박진영 교수4.6. 현동춘 교수4.7. 이동윤 교수4.8. 최재원 교수4.9. 박성준 교수
5. 취업 및 진로6. 주요 동문

[clearfix]

1. 개요

경북대학교고분자공학과.

1968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고분자공학과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바탕으로 많은 졸업생들을 배출하고 고분자 산업 관련 핵심 인력 양성의 최첨단에 있는 학과이다.

고분자는 3대 물질 구성요소 가운데 하나로 다양한 물건에 사용된다. 고분자재료는 금속, 세라믹, 플라스틱, 고무, 비닐 등과 같 같은 일상생활 소재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전자재료, 반도체, 자동차, 에너지, 항공우주, 나노소재, 생의학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핵심소재로 활용된다.

대구의 섬유 및 의류, 구미의 전자, 포항의 철강, 부산과 울산의 석유화학 등 지역의 주력 산업들과 면밀한 관련이 있어 관련 업계 대기업 등으로의 진출이 활발하며, 대학원 진학 비율도 높은 편이다.

2. 연혁

  • 2023년 1월, 2022 학과평가 우수학과 선정
  • 2020년 9월, 4단계 BK21 사업팀 (스마트 고분자 나노복합소재 교육연구팀) 선정
  • 2013년 9월, BK21플러스 사업단 (지능형 나노융합 소재 및 공정사업단) 선정
  • 2009년 3월, BK21사업단 선정
  • 2005년 10월,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NURI 사업) 첨단기술퓨전형 섬유산업 Leading Group 양성사업(대형) 선정
  • 2002년 8월, 지역협력연구센터(RRC) 개소 (경북대학교 첨단디스플레이 제조공정 및 장비연구센터)
  • 2002년 4월, BK사업단(첨단 고분자소재 개발팀) 인가
  • 1999년 12월, BK21사업단 선정
  • 1984년 10월, 고분자공학과 동창회 발족
  • 1968년 3월, 경북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설립

3. 전공 및 수업

고분자의 화학적, 물리적 성질을 배우고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최첨단 응용기술을 폭넓게 공부한다.

스티로폼, 나일론, 렌즈와 같은 다양한 고분자물질을 직접 합성하는 실습수업을 한다.

4. 교수진

4.1. 박수영 교수

  • 고분자구조 전공
  • 서울대학교 섬유고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고분자물리1·2, 공학기초설계, 미래소재: 고분자, 고분자 R&D 창의적 종합 설계
  • 대학원 강의과목: 고급고분자물성1·2·3, 나노재료구조분석1·2
  • LG화학 자문위원, 미 공군연구소 연구조교, 제일합섬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주)새한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등을 역임하였다.
  • 2000년 전미연구평의회(National Research Council Award) 학술상, 2008년 대한화학회 학술진보상을, 2013년 경북대학교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4.2. 윤근병 교수

  • 고분자전자재료 및 물성 전공
  • 경북대학교 고분자공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고분자화학1·2, 고분자융합소재설계, 공학화학실험2, 고분자 R&D 창의적 종합 설계
  • 대학원 강의과목: 고성능고분자, 합성수지특론, 플라스틱공업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삼성종합기술원 책임연구원 등을 역임하였다.

4.3. 조광수 교수

  • 유변학, 비가역열역학, 조성방정식이론 전공
  • 서울대학교 섬유공학과에서 학사, 석사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재료공학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재료물리화학1·2, 고분자공정해석, 유변학, 이동현상특론1·2
  • 대학원 강의과목: 응용통계역학, 이론유변학, 고급물리화학1·2, 고급고분자가공
  • 제일모직 주임연구원을 역임했으며, 2011년 한국유변학회 신진연구상을 수상하였다.

4.4. 곽기섭 교수

  • 고분자합성, 기능성고분자 전공
  • 경북대학교 고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교토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유기재료화학1·2, 공학화학실험1, 고분자기기분석, 합성섬유
  • 고급분석화학1, 유기고분자화학, 나노 고분자소재 공정, 섬유화학
  • NAIST(Nara Insitute of Science & Tec) 조교수, 캐나다 사이몬프레이저대학교(Simon Fraser University) 연구원 등을 역임하였다.

4.5. 박진영 교수

  • 전기화학공학, 화학·바이오·가스센서, 물리화학 전공
  • 동아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휴스턴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화공양론, 공학수학1·2, 고분자재료설계, 고분자 R&D 창의적 종합 설계
  • 대학원 강의과목: 고급분석화학2, 표면화학특론2, 전자재료화학1, 고분자 기술혁신 세미나, 고분바분석화학
  • 중원대학교 조교수, 메사추세츠대학교 박사후연구원 등을 역임했다.

4.6. 현동춘 교수

  • 기능성고분자 및 물성, 나노과학 전공
  • 연세대학교 재료공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1·2, 고분자물리1·2, 화공양론, 물리화학실험, 고분자재료설계, 나노재료설계, 기능성고분자, 생체고분자, 고분자 R&D 창의적 종합 설계
  • 대학원 강의과목: 고분자재료물리, 생의료고분자, 고분자 기술혁신 세미나

4.7. 이동윤 교수

  • 고분자하이브리드소재(고분자재료, 복합재료, 친환경소재) 전공
  • 경북대학교 고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포항공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고분자개론, 화학1·2, 분석화학, 공학화학실험1, 공학기초설계, 고분자가공, 나노재료설계, 합성수지, 계면접착, 신소재의 미래활용: 플라스틱
  • 대학원 강의과목: 접착제, 기능성소재화학1·2
  •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 메사추세츠대학교 박사후연구원 등을 역임하였다.

4.8. 최재원 교수

  • 고분자자기조립, 나노구조제어고분자재료, 에너지저장재료 전공
  • 인하대학교 생명화학공학부를 졸업하고, 미국 메사추세츠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공학기초설계, 고분자개론, 고분자화학1·2, 고분자화학실험2, 고분자합성실험, 분석화학, 합성수지, 기능성고분자, 고분자융합소재설계
  • 대학원 강의과목: 나노소재공학1, 고분자제조
  • 미국 터프츠대학교UC 버클리에서 각각 박사후연구원을 역임하였다.

4.9. 박성준 교수

  • 지속가능형환경소재 전공
  • 고려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화공생명생명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유변학

5. 취업 및 진로

학과 이름만 들어보면 생소한 학과인 것 같지만 취업이 잘되는 학과이다. 졸업 후에는 삼성, LG, SK 등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의 화학계열 대기업에 많이 취업한다. 다양한 전자기기와 기계의 제조과정과 부품에 고분자재료가 사용되기 때문에 그만큼 수요가 많은 학과이다.

한국석유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등과 같은 석유 및 에너지 관련 기업에도 취업하며,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화장품연구소에도 취업을 많이 한다.

6. 주요 동문

  • 권미경: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연구원
  • 곽기섭: 경북대학교 고분자공학과 교수
  • 김태한: 전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 김홍배: 제8대 상주문화원장, 예비역 육군소장(육군본부 동원참모부장, 감찰실장, 37보병사단장)
  • 류두열: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 윤근병: 경북대학교 고분자공학과 교수
  • 이동윤: 경북대학교 고분자공학과 교수
  • 이동찬: 네바다대학교 라스베이거스캠퍼스 교수
  • 장성연: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 장우동: 연세대학교 화학과 교수
  • 차효정: 경북대학교 수소 및 신재생에너지학과 교수
  • 최명석: 건국대학교 화학공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