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8 08:41:32

검은고딕

<colbgcolor=#000><colcolor=#fff> 검은고딕
Black Han Sans
<nopad> 파일:검은고딕.png
분류 돋움
제작 ZESSTYPE
출시 2018년
지원 범위 한글 2780자, 라틴 문자, 숫자
링크 https://github.com/zesstype/Black-Han-Sans
1. 개요2. 특징3. 문제점

1. 개요

ZESSTYPE이 제작한 한글 글꼴. 라틴 문자는 2020년 9월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초기에는 돌처럼 단단하고 무겁다는 뜻으로 '돌체'라는 이름이 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ZESSTYPE이 처음 제작했던 1ST블랙, 그리고 이를 개선한 지블랙 글꼴 모두 영문 서체의 가장 굵은 스타일을 의미하는 Black에서 따왔기 때문에 여기서 의미를 가져오고, 본명인 현승재의 성씨인 검을 현에서 착안해 현재의 '검은고딕'이라는 이름이 되었다고 한다.[1]

라이선스는 OFL을 사용하여 상업적으로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도 영화 팜플렛이나 연예 프로그램 등은 물론 정부 홍보 영상에도 사용될 만큼 기존의 맑은 고딕에 비하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활용도가 매우 높다.

2. 특징

굵은 느낌의 산세리프 한글 글꼴하면 절대로 빼놓을 수 없는 글꼴 중 하나이며, 한국 정서와 매우 궁합이 잘 맞는다. 그런 면에서 '검은 정서 고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격동고딕과 대략적인 컨셉이 비슷하여 유료 글꼴인 격동고딕을 대신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물론 파고들면 파고들수록 느낌이 또 전혀 다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어떤 한 글꼴이 한 글꼴을 대체하는 것은 힘들다. 즉, 반대로 검은고딕 또한 격동고딕으로 대체할 수는 없다. 실제로 ZESSTYPE이 검은고딕을 디자인할 때, 초특태고딕, 격동고딕 등을 참고하며, 최대한 유사할 수 있는 부분을 배제하며 설계했다고 한다.

3. 문제점

2020년 9월 이전 버전 및 구글 폰트 버전에서 해당 글꼴로 을 쓰면 으로 나오는 오탈자가 발생한다. 발번역 이 오류로 인해 해당 글꼴을 쓰는 많은 사용자들을 오랜 시간동안 곤란하게 만들고 있다. 특히 일부 게임이나 모바일 영상 편집기에서는 아직까지도 고쳐지지가 않고 있다. 해결 방법은 가장 최신 버전의 검은고딕 설치.


[1] https://brunch.co.kr/@zsst/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