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면라이더 고스트에 등장하는 가면라이더 & 유사 라이더 | |||
| {{{#!wiki style="margin: 0 -10px; color: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본편 | ||
| 고스트 | 스펙터 | 네크롬 | |
| 그레이트 아이저 | |||
| 영화 (극장판) | |||
| 다크 고스트 | 제로 스펙터 | 다크 네크롬 | 익스트리머 |
| 1호 | |||
| 파이널 스테이지 | 외전 (스핀오프) | |
| 고스트(아유무) | 카논 스펙터 | |
| 소설 | ||
| 제로 고스트 | ||
| ← 드라이브 라이더 목록ㆍ에그제이드 라이더 목록 → | ||
| <colbgcolor=#fff,#fff><colcolor=#000,#000> 가면라이더 다크 고스트 仮面ライダーダークゴースト KAMEN RIDER DARK GHOST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기본 스펙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ff,#fff><colcolor=#000,#000> 장착자 | 아르고스[1] → 이디스[2] | |
| 변신벨트 | 고스트 드라이버 | ||
| 키 | 204cm | ||
| 무게 | 96kg | ||
| 펀치력 | 11t | ||
| 킥력 | 15t | ||
| 도약력 | 49.6m | ||
| 질주력 | 100m 4.7초 | ||
| 주요 아이템 | 고스트 아이콘 | ||
| 주무장 | 간 건 세이버 선글라슬래셔 | ||
| 슈트 액터 | 이마이 야스히코 | ||
| 카지 코타로[3] | }}}}}}}}} | ||
1. 개요
가면라이더 고스트의 서브 라이더 및 다크 라이더[4]로 극장판 가면라이더 고스트 100개의 아이콘과 고스트 운명의 순간의 극장판 라이더이자 중간 보스.[5]2. 다마시 / 소울
2.1. 트랜지언트
トランジェント / Transient (일시적인, 순간적인)
가면라이더 다크 고스트의 소체 형태. 고스트 드라이버에 고스트 아이콘을 장전해 작동시키면 변신하거나 아이콘을 교환하여 고스트 체인지를 할 때, 파카 고스트가 소환되었지만 가면라이더 다크 고스트에 들러붙기 직전의 형태이다.
2.2. 다크 고스트
| | | ||
| 통상 형태 | 후드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신장 | 204cm | ||
| 체중 | 96kg | ||
| 펀치력 | 11t | ||
| 킥력 | 15t | ||
| 도약력 | 한 번에 49.6m | ||
| 주력 | 100m 4.7초 | ||
| 첫 등장 | 극장판 가면라이더 고스트 100개의 아이콘과 고스트 운명의 순간 | ||
고스트 드라이버에 다크 고스트 아이콘을 세트해 변신한 모습.
이름답지 않게 새하얀 색상이 특징이다. 대신 마스크의 배리어스 바이저가 투혼 부스트와 비슷하지만 좀 사악한 느낌으로 변경되었다.
본편에선 이디스가 드라이버와 아이콘을 안마의 세계에서 입수해 변신.[6] 모노리스에 간섭하기 위해 마법소녀스러운 공격을 한다.
- 변신음
개안! 다크 라이더! 어둠의 힘! 나쁜 놈들![7]
- 필살기
오메가 드라이브 다크 고스트: 가면라이더 다크 고스트 다크 고스트 다마시의 킥 필살기. 뒤에 나오는 문장의 에너지를 다리에 휘감아 강력한 날아차기를 날린다.
2.3. 나폴레옹 다마시 / 나폴레옹 소울
|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신장 | 204cm |
| 체중 | 91kg |
| 펀치력 | 14.5t |
| 킥력 | 16.2t |
| 도약력 | 한 번에 46m |
| 주력 | 100m 4초 |
| 첫 등장 | 극장판 가면라이더 고스트 100개의 아이콘과 고스트 운명의 순간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영혼이 담긴 나폴레옹 고스트 아이콘을 통해 고스트 체인지한 폼.
왼쪽 어깨에 장착된 바리언트 코트로 적의 공격을 무시할 수 있다. 후드의 모양도 나폴레옹을 상징하는 비콘을 모방하고 있다.
얼굴 형태는 말 머리와 칼.
- 변신음
개안! 나폴레옹! 일으켜라 혁명! 그것이 숙명!
- 필살기
오메가 드라이브 나폴레옹 : 가면라이더 다크 고스트 나폴레옹 다마시의 필살기. 간 건 세이버에 에너지를 두른다음 적을 가른다.
2.4. 잇큐 다마시 / 소울
|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신장 | 204cm |
| 체중 | 95.5kg |
| 펀치력 | 9.6t |
| 킥력 | 14t |
| 도약력 | 한 번에 50.8m |
| 주력 | 100m 4.5초 |
| 첫 등장 | 극장판 가면라이더 고스트 100개의 아이콘과 고스트 운명의 순간 |
잇큐 쇼준의 영혼이 담긴 잇큐 고스트 아이콘으로 고스트 체인지한 폼.
가부좌를 한 상태에서 공중 부양할 수 있다.
얼굴 형태는 물음표.
- 변신음
개안! 잇큐! 다가오는 핀치! 또렷한 재치!
2.5. 피타고라스 다마시 / 피타고라스 소울
|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신장 | 202.5cm |
| 체중 | 97.5kg |
| 펀치력 | 9.5t |
| 킥력 | 13.7t |
| 도약력 | 한 번에 45m |
| 주력 | 100m 5.4초 |
| 첫 등장 | 극장판 가면라이더 고스트 100개의 아이콘과 고스트 운명의 순간 |
피타고라스의 영혼이 담긴 피타고라스 아이콘으로 고스트 체인지한 형태.
가면라이더 고스트 투혼 후디니 다마시와 마찬가지로 뿔이 두개다.
얼굴 모티브는 교차된 삼각형.
- 변신음
개안! 피타고라스! 삼각의 정리! 내 말 대로!
- 필살기
- 오메가 드라이브 피타고라스: 가면라이더 다크 고스트 피타고라스 다마시의 필살기. 삼각형의 에너지 탄을 대량으로 발사한다.
3. 각 신체 부위
3.1. 다크 고스트[8]
3.1.1. 페르소나 보이드
- 01. 위스프 혼 : 두부에 장착된 안테나 블레이드. 반경 5km이내에 출현한 안마 등의 기미를 감지하고 경보 신호를 보내어 경계를 촉구한다. 무기로 이용할 수 있는 강도를 갖추고 있어 박치기로 적의 장갑을 관통할 수도 있다.
- 02. 소울 오너먼트 : 에너지 조정장치. 온몸의 상태나 손상 부분을 확인하고 에너지의 흐름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 위스프 혼이 발하는 경보 신호에 반응하며 신속하게 각 시스템을 전투 태세로 이행시킨다.
- 03. 배리어스 바이저 : 시각 센서 겸 페이스 실드. 안면을 덮는 두꺼운 클리어 파츠는 충격에 잘 견디며, 모든 물리 공격을 막을 수 있다. 또 바이저 안에는 유체 시각 센서가 충전돼 있어 안면 전체를 눈으로 한 넓은 시야로 주위 상황을 파악한다.
- 04. 페이스 보이드 : 다크 고스트 아이콘을 사용했을 때 배리어스 바이저에 나타난 모양. 배리어스 바이저 내부에 충전된 유체 시각 센서가 드라이버에 장전된 다크 아이콘의 영향으로 변색·이동해 흑백의 마스크 모양이 나타난다.
- 05. 아트모스 덕터 : 두부에 설치된 흡기장치. 기류와 바람의 힘을 이용해서 내부 장치의 냉각 등을 실시한다. 또 주위의 열을 흡수해 에너지로 재이용할 수도 있다.
- 06. 보이드 리플렉터 : 두부를 보호하는 장갑. 유선형 아머에 의해 물리공격을 튕겨낸다. 또, 표면에는 특수 입자가 코팅돼 있어 에너지 공격을 반사할 수 있다.
- 07. 플랜지 크리스탈 : 측두부에 설치된 실드 발생장치. 에너지 실드로 전신을 덮어 방어력을 크게 올린다. 또 약한 소리조차 정확히 포착하는 청각 센서가 내장돼 있어 소리만으로 색적을 행할 수 있다.
3.1.2. 각 부위 설명
- 01. 페르소나 보이드 : 가면라이더 다크 고스트의 두부.
- 02. 이펙터 후드 : 파카의 후드. 특수한 필드로 전신을 덮고, 잔상 등을 발생시켜 적을 교란시킨다.
- 03. 브레스트 크레스트 : 흉부에 새겨진 문장. 강한 의지를 신비한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이 있다.
- 04. 아머 인비지블 : 전신 각부를 덮고 있는 투명한 프로텍터. 온몸을 투명화해 반(反)실체화시키는 기능이 있어 물체 통과나 공중 부양 등 물리 질량의 법칙을 무시한 행동도 가능케 한다.
- 05. 리바이버 암 : 팔 부분. 방어력을 높이는 다중장갑과 완력을 강화하는 내부 기능을 갖추고 있다. 금속체 「퀀텀 솔리드」로 형성돼 있으며 드라이버에 장전된 아이콘에 반응해 완력과 방어력이 변화한다.
- 06. 페이탈 글러브 : 양손을 감싼 강화 글러브. 안마 등의 보통 사람에게 보이지 않는 존재에 닿을 수 있다. 또 글러브 표면에 전개된 에너지를 펀치와 함께 꽂아넣어 적을 내부로부터 파괴할 수 있다.
- 07. 셰이드 스매셔 : 무릎 아머. 낙하나 충돌로 인한 충격 손상을 완전히 흡수하는 구조다. 또한 다리의 운동을 고속화하는 기능이 있다.
- 08. 리바이버 레그 : 다리 부분. 방어력을 높이는 다중장갑과 각력을 강화하는 내부 기능을 갖추고 있다. 금속체 「퀀텀 솔리드」로 형성돼 있으며 드라이버에 장전된 아이콘에 반응하여 각력과 방어력이 변화한다.
- 09. 보이드 숄더 : 파카의 어깨. 주위를 둘러싼 에너지의 흐름을 읽고 소맷부리에서 흡수해 재이용할 수 있다.
- 10. 보이드 코트 : 파카의 옷감. 튼튼하고 유연한 형상에 의해 물리 공격을 받아내며 표면에 코팅된 특수 입자가 에너지 공격을 받아넘긴다.
- 11. 인비지블 슈트 : 몸 표면을 덮고 있는 방호 슈트. 통상시에는 유연하게 움직이기 쉬우며, 방어 시에는 슈트를 딱딱하게 해 피해를 줄인다. 전신 각부는 「퀀텀 솔리드」라고 불리는 미세 금속체로 형성돼 있어, 에너지를 줌으로써 그 상태나 성질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 12. 고스트 드라이버 : 가면라이더 다크 고스트의 변신벨트. 초기형 출력증폭장치가 내장돼 있어 체력적・정신적 부담이 크지만 변신자의 역량에 반응해 기본성능 이상의 힘을 발휘할 수 있다.
- 13. 포스 섀클 : 손목과 발목에 장착된 파워 증폭 링. 링 내에 저장된 대량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각부의 파워 밸런스를 조정한다. 또, 필살기 발동시는 주먹과 발을 에너지 오라로 감싸 기술의 파괴력을 끌어올린다.
- 14. 모탈 부츠 : 장갑 부츠. 고속 풋워크를 발생시키며, 부유 시에는 자세를 컨트롤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표면에 전개된 에너지를 킥과 동시에 꽂아넣어 적을 내부로부터 파괴할 수 있다.
3.2. 나폴레옹 다마시
3.2.1. 페르소나 엠페러
- 01. 페이스 엠페러: 나폴레옹 고스트 아이콘을 사용할 때 배리어스 바이저에 나타나는 모양. 배리어스 바이저 내부에 충전된 유체 시각 센서가 드라이버에 장전된 다크 아이콘의 영향으로 변색·이동해 군마와 사벨 모양이 나타난다.
- 02. 배리어스 바이저 : 시각 센서 겸 페이스 실드. 안면을 덮는 두꺼운 클리어 파츠는 충격에 잘 견디며, 모든 물리 공격을 막을 수 있다. 또 바이저 안에는 유체 시각 센서가 충전돼 있어 안면 전체를 눈으로 한 넓은 시야로 주위 상황을 파악한다.
- 03. 소울 오너먼트 : 에너지 조정장치. 온몸의 상태나 손상 부분을 확인하고 에너지의 흐름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 위스프 혼이 발하는 경보 신호에 반응하며 신속하게 각 시스템을 전투 태세로 이행시킨다.
- 04. 위스프 혼 : 두부에 장착된 안테나 블레이드. 반경 5km이내에 출현한 안마 등의 기미를 감지하고 경보 신호를 보내어 경계를 촉구한다. 무기로 이용할 수 있는 강도를 갖추고 있어 박치기로 적의 장갑을 관통할 수도 있다.
- 05. 택티컬 비코르느: 두부를 보호하는 이각모. 역사상의 싸움에 관한 막대한 데이터가 보존돼 있어 전국에 맞춰 새로운 전술을 짜낼 수 있다. 지금은 없는 전우들의 고스트를 불러내 실체화시켜 함께 싸울 수도 있다.
- 06. 엠파이어 후드: 파카의 후드. 변신자의 피로를 회복시키는 특수 펄스를 계속해서 발해 장시간 전투를 버틸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이 있다.
- 07. 아트모스 덕터 : 두부에 설치된 흡기장치. 기류와 바람의 힘을 이용해서 내부 장치의 냉각 등을 실시한다. 또 주위의 열을 흡수해 에너지로 재이용할 수도 있다.
3.2.2. 각 부위 설명
- 01. 페르소나 엠페러: 가면라이더 다크 고스트 나폴레옹 다마시의 두부.
- 02. 엠파이어 후드: 파카의 후드. 변신자의 피로를 회복시키는 특수 펄스를 계속해서 발해 장시간 전투를 버틸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이 있다.
- 03. 브레스트 크레스트 : 흉부에 새겨진 문장. 강한 의지를 신비한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이 있다.
- 04. 아머 인비지블 : 전신 각부를 덮고 있는 투명한 프로텍터. 온몸을 투명화해 반(反)실체화시키는 기능이 있어 물체 통과나 공중 부양 등 물리 질량의 법칙을 무시한 행동도 가능케 한다.
- 05. 리바이버 암: 팔 부분. 방어력을 높이는 다중장갑과 완력을 강화하는 내부 기능을 갖추고 있다. 금속체 「퀀텀 솔리드」로 형성돼 있으며 드라이버에 장전된 아이콘에 반응해 완력과 방어력이 변화한다.
- 06. 페이탈 글러브: 양손을 감싼 강화 글러브. 안마 등의 보통 사람에게 보이지 않는 존재에 닿을 수 있다. 또 글러브 표면에 전개된 에너지를 펀치와 함께 꽂아넣어 적을 내부로부터 파괴할 수 있다.
- 07. 셰이드 스매셔 : 무릎 아머. 낙하나 충돌로 인한 충격 손상을 완전히 흡수하는 구조다. 또한 다리의 운동을 고속화하는 기능이 있다.
- 08. 리바이버 레그 : 다리 부분. 방어력을 높이는 다중장갑과 각력을 강화하는 내부 기능을 갖추고 있다. 금속체 「퀀텀 솔리드」로 형성돼 있으며 드라이버에 장전된 아이콘에 반응하여 각력과 방어력이 변화한다.
- 09. 모탈 부츠 : 장갑 부츠. 고속 풋워크를 발생시키며, 부유 시에는 자세를 컨트롤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표면에 전개된 에너지를 킥과 동시에 꽂아넣어 적을 내부로부터 파괴할 수 있다.
- 10. 밸리언트 코트: 파카의 옷감. 표면이 방인성이 뛰어난 형상으로 돼 있어 적의 참격을 거의 무효화할 수 있다. 또한 장비된 무기의 상태를 최적화해 위력을 배로 높일 수 있다.
- 11. 인비지블 슈트: 몸 표면을 덮고 있는 방호 슈트. 통상시에는 유연하게 움직이기 쉬우며, 방어 시에는 슈트를 딱딱하게 해 피해를 줄인다. 전신 각부는 「퀀텀 솔리드」라고 불리는 미세 금속체로 형성돼 있어, 에너지를 줌으로써 그 상태나 성질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흰색의 에너지 공급 라인 '에너지 베셀'은 필살기 발동 등으로 에너지 흐름이 활발해지면 발광한다.
- 12. 고스트 드라이버: 가면라이더 다크 고스트의 변신벨트. 초기형 출력증폭장치가 내장돼 있어 체력적・정신적 부담이 크지만 변신자의 역량에 반응해 기본성능 이상의 힘을 발휘할 수 있다.
- 13. 제너럴 빌로드: 감촉 좋고 부드러운 망토. 표면이 특수 입자로 코팅되어 에너지 공격을 반사할 수 있다. 또한 특수한 빛을 뿜어서 적을 흥분 상태로 만들어 판단력을 빼앗을 수 있다.
- 14. 포스 섀클 : 손목과 발목에 장착된 파워 증폭 링. 링 내에 저장된 대량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각부의 파워 밸런스를 조정한다. 또, 필살기 발동시는 주먹과 발을 에너지 오라로 감싸 기술의 파괴력을 끌어올린다.
4. 기타
- 이후 드라이브 사가 가면라이더 브렌에서 '무'의 다크 라이더 중 하나로 등장. 가면라이더 브렌에 맞서지만, 끝내 패배하면서 브렌 메가네 블레이드를 보고 "그거 색만 바꾼 거 뿐이지 네 무기가 아니야...!"라고 말한 다음 폭발한다.
[1] 극장판 가면라이더 고스트 100개의 아이콘과 고스트 운명의 순간.[2] 47화.[3] 가면라이더 지오에서.[4] 이디스 Ver.은 선의 라이더, 아르고스 Ver.은 다크 라이더에 해당된다.[5] 변신체 기준. 장착자는 최종 보스.[6] 이것 때문에 극장판 라이더임에도 기본 폼인 다크 고스트만은 상세 신체 설정이 공식 사이트에 올라와 있다. 독립된 라이더인데도 고스트의 폼 체인지로 취급하지만.[7] 이디스가 변신 했을때는 개안 까지만 음성이 나왔다.[8] 또 하나의 고스트여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판테온이 보이드로 바뀐 것 빼곤 고스트 오레 다마시와 차이가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