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6-23 15:31:01

눈곱 치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6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1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chī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6. 여담

1. 개요

眵는 '눈곱 치'라는 한자로, '눈곱'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773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BUNIN(月山弓戈弓)으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눈 목)과 음을 나타내는 (많을 다)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3.6.1. 훈독

3.6.2. 음독

3.7. 중국어

3.8. 기타

4. 유의자

  • 𧡸[⿰𠁁見]/𥆖[⿰目豆](눈곱 두)
  • 𥋚[⿱⿱艹罒⿱戈目](눈곱 멸)
  • 𦞲[⿰⺼蚩](눈곱 치)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거리낄 계)
  • (많을 과/화)
  • (모을 구)[1]
  • (곳간 나)
  • 𪐀[⿰黍多](달라붙을 나)
  • (어린아이걸음 다)
  • 𥹠[⿰米多](차질 담)
  • 𥿫[⿰糸多](고삐 미, 포갤 이, 드리워질 위)
  • (포식할 사)
  • (곤충이름 설)
  • 𤖻[⿰片多](책상 시/조)
  • (검을 이)
  • 𧳁[⿰豸多](머리흰들개 이)
  • 𠗄[⿰冫多](문이름 이)
  • 𩶰[⿰魚多](복어 이)
  • 𪀓[⿰鳥多](새의총칭 이)
  • /𡖰[⿰⿱彡止多](옮길 이)
  • 𤝻[⿰犭多](짐승이름 이)
  • (예쁠 제, 미녀 치)
  • (산앵두나무 체, 산이스랏나무 이)
  • 𩊥[⿰革多](주름질 추)[2]
  • (달릴 치)[3]
  • (땅믿을 치)
  • (믿을 치/지)
  • (버릴 치, 더할 이)
  • (불성할 치)
  • 𡖳[⿰夾多](뺨 치)
  • (사치할 치)
  • (사태날 치, 떨어질 타)
  • (살찔 치/다, 성길 나)
  • (시루 치/이)
  • (입벌릴 치)
  • (치렁거릴 치)
  • (헤어질 치, 협문 이, 속일 타)
  • (많을 침)
  • 𧣣[⿰角多](꼬부라진모양 파)
  • (귀신이름 해)
  • 𡗍[⿰養多](당)
  • 𧯨[⿰豆多](두)
  • 𪌫[⿰麥多](척/추/고/곡)
  • 𢏜[⿰弓多](타)
  • 𡗏[⿰嚴多](험)
  • 𠀲[⿰丁多]
  • 𠫾[⿰去多]
  • 𭁰[⿰同多]
  • 𡥥[⿰子多]
  • 𡖡[⿰占多]
  • 𭈨[⿰叩多]
  • 𱘧[⿰余多]
  • 𡖼[⿰並多]
  • 𪤽[⿰夌多]
  • 𫯓[⿰來多]
  • 𫯔[⿰其多]
  • 𱘨[⿰宜多]
  • 𡗀[⿰者多]
  • 𭊶[⿰哆多]
  • 𰎃[⿰屋多]
  • 𰐂[⿰度多]
  • 𡗂[⿰差多]
  • 𡗄[⿰兼多]
  • 𡗆[⿰婁多]
  • 𭑥[⿰奢多]
  • 𰋘[⿰密多]
  • 𱘪[⿰覓多]
  • 𡗋[⿰稟多]
  • 𪥀[⿰廩多]
  • 𣴙[⿰氵多]
  • 𤥀
  • 𤿦[⿰皮多]
  • 𥒥[⿰石多]
  • 𰧺[⿰示多]
  • 𥠨[⿰委多]
  • 𥶂[⿰箕多]
  • 𮠨[⿰酉多]
  • 𰷂[⿰貝多]
  • 𨇵[⿰蹺多]

6. 여담


[1] (모을 구)의 간체자[2] (주름질 추)의 동자[3] (달릴 치)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