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8 01:00:26

에서 넘어옴
이 자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5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0획
고등학교[1]
일본어 음독
シ, ジ
일본어 훈독
ここ, ここ-に, しげ-る,
とし, ま-す, ますます
표준 중국어
cí, zī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玆는 '이 자'라는 한자로, 근칭 지시대명사 '이'를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738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戈卜女戈(YIYVI)로 입력한다.

한문 문장이라면 몰라도, 현대 단어에서는 쓰이는 바가 거의 없다. 그래도 유명한 용례가 있다면 기미독립선언서의 첫 문장 "오등(吾等)은 자(玆)에 아(我) 조선(朝鮮)의 독립국(獨立國)임과 조선인(朝鮮人)의 자주민(自主民)임을 선언(宣言)하노라" 정도가 있다.

이 글자는 원래 (검을 현)을 겹쳐 쓴 것으로 '검을 현'이 본래의 훈음이다. 그리고 (실 사)의 아랫부분을 생략한 것(幺幺)에 풀초머리(艹)를 얹은 (무성할 자)가 가차되어 '이(것)'이라는 지시대명사로 쓰였다. 하지만 玆와 茲의 모양이 비슷하다 보니 구분하지 않고 '무성할 자', '이 자', '검을 현'이라는 훈음이 혼재하게 되었다. '자산어보현산어보냐'가 논란이 된 원인이 바로 이것이다.

아래는 강희자전의 설명이다. 설문해자를 따라 玄 부수의 玆 자 와 艸 부수의 茲 자 양쪽에 모두 '자'라는 한자음을 배당했다.

〔古文〕𢆶【廣韻】子之切【集韻】【韻會】津之切【正韻】津私切,𠀤音孜。【說文】黑也。【玉篇】濁也,黑也。或作𪑿滋。【左傳·哀八年】何故使吾水滋。【註】滋,本又作玆。子絲反。字林云:黑也。
又姓。【左傳·定十年】孔子使玆無還揖對。
又【說文徐鍇註】借爲玆此字。【爾雅·釋詁】此也。【書·大禹謨】念玆,在玆。◎按《爾雅》《尚書》本作玆。《正字通》仍《韻會》之譌,改入茲字註,反駁从玄之非,誤。
又引孫氏說,今年亦曰今玆,从艸木玆生紀也,尤鑿。
又神名。【山海經】西海陼中有神,人面鳥身,珥兩靑蛇,踐兩赤蛇,名曰弇玆。
又【廣韻】【集韻】𠀤瑚涓切,音懸。黑也。【左傳·哀八年釋文】玆,音玄。〇按茲、玆二字,音同義別。从玄者,子之、瑚涓二切,訓黑也,此也,姓也。从艸者,子之、牆之二切,訓艸木多益也,蓐也,國名。今各韻書互相蒙混,如《廣韻》《韻會》玆字訓國名,《集韻》玆字訓蓐也,《韻會》《字彙》《正字通》玆字訓此也,非當時編輯之譌,卽後人刊刻之誤。《正韻》有玆無茲,合玆、茲二字訓義爲一,尤爲疎漏。今从《說文》幷各書,重爲訂正。

〔古文〕𦱳茊【唐韻】子之切【集韻】津之切,𠀤音孜。【說文】草木多益也。
又【爾雅·釋詁】此也。【書·大禹謨】念茲在茲。
又蓐席也。【爾雅·釋器】蓐謂之茲。【公羊傳·桓十六年】屬負茲舍不卽罪爾。【註】諸侯有疾稱負茲。
又【史記·周本紀】康叔封布茲。【徐廣曰】茲,藉草之名。
又【通志·氏族略】宋茲成,墊江人。
又通滋。【前漢·五行志】賦歛茲重。【揚子·太玄經】天不之茲。
又【荀子·正論篇】琅玕龍茲。【註】與髭同。
又【篇海】音慈。龜茲,國名。

아래는 단옥재(段玉裁)의 설문해자주(說文解字注)의 설명이다. 玄 부수의 玆 자는 '자'가 아닌 '현'으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黑也。从二玄。
胡涓切。十二部。今本子之切。非也。按左傳。何故使吾水玆。釋文曰。玆音玄。此相傳古音。在十二部也。又曰。本亦作滋。子絲反。此俗加水作滋。因誤認爲滋。益字而入之之韵也。艸部茲從絲省聲。凡水部之滋、子部之孳、鳥部之鷀皆以茲爲聲。而玆滋字衹當音懸。不當音孜。廣韵七之作滋。一先作滋。音義各不同爲是也。且訓此之茲本假借從艸之茲。而不當用二玄之玆。蔡邕石經見於𥻳釋、漢𥻳字原者、尙書茲字五見。皆从艸。則唐石經皆作玆者非矣。今本說文滋孳鷀篆體皆誤從玆。
春秋傳曰。何故使吾水玆。
見左傳哀八年。釋文曰。玆音玄。本亦作滋。子絲反。濁也。字林云。黑也。按宋本如是。今本玆滋互易。非也。且本亦作滋。則仍胡㳙切。不同水部滋水字子絲反也。陸氏誤合二字爲一。

艸木多益。
詩小雅。兄也永歎。毛曰。兄、茲也。戴先生毛鄭詩考正曰。茲今通用滋。說文茲字說云。艸木多益。滋字說云。益也。韋注國語云。兄、益也。詩之辭意言不能如兄弟相救、空滋之長歎而已。按大雅職兄斯引傳亦云兄、茲也。
从艸。絲省聲。
絲宋本作茲。非也。玆從二玄。音玄。字或作滋。茲從絲省聲。韵㑹作𢆶聲。𢆶者、古文絲字。滋孶鷀皆茲聲。子之切。一部。經典茲、此也。唐石經皆誤作茲。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茲의 형태로 등재되어 있다.[2] (큰물고기 곤)의 동자[3] (지신 기)의 동자[4] (항아리 담)의 동자[5] (씹는소리 립)의 와자[6] (숫양 저)의 동자[7] (멋대로할 천)의 동자[8] (구덩이 현)의 동자[9] (멍에끈 현)의 동자[10] (자랑할 현)의 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