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224638><colcolor=#fff> Журнал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й Теоретисеской Физики ЖЭТФ | ||
명칭 | <colbgcolor=#224638><colcolor=#fff> ''' 로마자 ''' | Zhurnal Eksperimental noi i Teoreticheskoi Fiziki | ZhETF |
영문 | Journal of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Physics | JETP | |
''' 한국어 ''' | 실험이론물리학술지 | |
창간 | ''' ЖЭТФ ''' | 1931년 1월 1일 |
''' JETP ''' | 1955년 7월 1일 | |
''' ЖЭТФ {{{#!wiki style="margin: 0px -10px;"''' | 1965년 1월 10일 | |
''' JETP {{{#!wiki style="margin: 0px -10px;"''' | ||
간행 | 월간지 | |
분야 | 입자이론 입자실험 | |
출판사 | 러시아 학술원 슈프링거 | |
편집장 | A. F. Andreev | |
ISO-4 | ''' ЖЭТФ ''' | Zh. Eksp. Teor. Fiz. |
''' JETP ''' | J. Exp. Theor. Phys. | |
''' ЖЭТФ {{{#!wiki style="margin: 0px -10px;"''' | Pisma Zh. Eksp. Teor. Fiz. | |
''' JETP {{{#!wiki style="margin: 0px -10px;"''' | JETP Lett. | |
지표 | h-i | 138[I] |
IF | 1.2[Ж] | |
SJR | Q3[S] | |
링크 | JETP JETP Letters |
1. 개요
журнал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й теоретисеской физики은 러시아 학술원과 슈프링거가 출판하는 물리학 분야의 학술지이다.한국어로는 “주르날 익스페리멘탈리노이 테오레티세스코이 피지키“라고 발음하고, 직역하면 실험이론물리저널이다.
2. 창간
1931년에 소련 학술원의 학술 출판 위원회와 카피차 물리문제 연구원에 의해 창간되었다. 소련 학술원이 1873년부터 1930년까지 출판했었던 물리화학회저널(Журнала Русского физико-химического общества)의 물리 부문을 대체하는 목적이 있었다.1955년 미국물리협회(AIP)가 영문 번역판을 출판하기 시작했다. 번역판의 학술지 명칭은 로마자를 따라서 Journal of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Physics(JETP)로 명명되었다.
1965년에 레터 논문을 담당하는 Письма в ЖЭТФ(Pisma ZhETF)가 분리되어 발간되었고, 영문 번역본도 동시에 JETP Letters라는 학술지로 발간되기 시작했다.
3. 특징
러시아의 물리분야 종합 학술지로 길이가 긴 article과 letters가 나뉘어 출판되는 학술지이다. 서방권에서는 길이가 짧고 디스커션의 핵심만 추린 레터 저널의 인지도가 알려져 있는 편이다.이 레터 학술지에서는 레터의 특징이 잘 드러나있는 논문이 많이 게재된다는 것이다. 특히 수식을 다루는 논문일 경우에 두드러지는 편이다. 서방권의 레터 논문에는 수식이 아닌 문단에서도 핵심 디스커션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수 있지만 이 학술지의 레터 논문에서는 수식에 집중되어 있는 핵심 디스커션의 비중이 서방권 레터 학술지들에 비해 상당히 높다.
실험이론물리학술지라는 명칭처럼 물리학 분야 전반의 논문들이 올라오는 것이 연상되지만, 주로 입자물리학 분야의 이론물리, 실험물리 분야 논문들이 많이 게재된다. 입자물리분야의 학술 데이터베이스인 Inspire HEP에서는 ЖЭТФ의 학술지 지표를 이미 개별 지표로 나와있는 Письма в ЖЭТФ의 지표와 통합해서 산출한다.
4. 위상
소련과 러시아내에서 물리학 분야의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저널이다. 소련 시절에는 이 학술지의 권위가 가장 높은 시기였는데,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던 소련의 물리학자들이 대체적으로 이 학술지에 투고했다.기본적으로 러시아어로 작성되는 논문이 게재되는 저널이고, 길이가 짧고 디스커션의 핵심만 추린 레터 저널이 크게 알려진 탓에 article 성향의 논문들이 출판되는 ЖЭТФ가 서방권 물리학계의 이목을 끌기 쉽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1955년부터 적성국이었던 미국물리협회(AIP)에 의해 JETP가 출판되었던 것은 이 학술지 체계가 서방권의 물리학계에 영향력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실린 이론물리학 레터 논문들 몇몇은 서방권의 메이저 물리저널의 레터 논문들처럼 파급력이 상당했다.
5. 주요 연구
나무위키내 물리학 관련 문서 및 노벨물리학상/수상자, 물리학자/목록에 있는 연구중 ЖЭТФ(ZhETF, JETP)와 Письма в ЖЭТФ(Pisma ZhETF, JETP Lett.)에 게재된 연구는 다음과 같다.5.1. ЖЭТФ
- 20권 - 1950년 출판
- 32권 6호 - 1957년 12월 출판
- 아브리코소프 소용돌이 - 알렉세이 아브리코소프[5]
- 33권 2호 - 1958년 2월 출판
- 태양 중성미자 검출 문제 - 브루노 폰테코르보[6]
- 53권 5호 - 1968년 5월 출판
- 태양 중성미자 검출 문제 해결 - 브루노 폰테코르보[7]
- 72권 2호 - 1977년 2월 출판
- BKLF 방정식 - 에두아르드 쿠라예프, 레프 리파토프, 빅토르 파딘[8]
- 73권 4호 - 1977년 11월 출판
- DGLAP 방정식 - 유리 독쉬체르[9]
5.2. ЖЭТФ 레터스
- 5권 1호 - 1967년 출판
- 20권 6호 - 1974년 9월 출판
- 폴랴코프 자기홀극 - 알렉산드르 폴랴코프[11]
- 30권 11호 - 1979년 12월 출판
- 스타로빈스키 모델 - 알렉세이 스타로빈스키[12]
- 33권 10호 - 1981년 5월 출판
- 비특이적 우주의 양자요동 - 뱌체슬라프 무카노프, 게네디 치비소프[13]
- 43권 12호 - 1986년 6월 출판
- c 정리 - 알렉산드르 자몰롯치코프[14]
- 77권 5호 - 2003년 2월 출판
- 스테이트파인더 - 바런 사흐니, 타런 사이니, 알렉세이 스타로빈스키, 우자이니 알람[15]
[I] Inspire HEP 기준.[Ж] ЖЭТФ 기준. 2017년 집계[S] Scimago 기준.[4] Л. Д. Ландау и Б. Л. Гинзбург, К теории сверхлроводимости, ЖЭТФ, 20, 1064 (1950)[5] А. Абрико́сов, О магнитных свойствах сверхпроводников второй группы, ЖЭТФ, 32, 1442 (1957)[6] Б. М. Понтекорво, Мезоний и Антимезоний, ЖЭТФ, 33, 549 (1958)[7] Б. М. Понтекорво, Нейтринные эксперименты и проблема сохранения лептонного заряда, ЖЭТФ, 53, 1717 (1968)[8] Ε. Кнраев, Л. Липатов, В. С. Фадин, Сингулярность Померанчука в неабелевых калибровочных теориях, ЖЭТФ, 72, 377 (1977)[9] Докшицер Ю.Л. Вычисление структурных функций для глубоконеупругого рассеяния и [math(e^+ e^−)] анигиляции в теории возмущений кван- товой хромодинамики, ЖЭТФ, 73, 1216 (1977)[10] А.Д. Сахаров, Нарушение CP-инвариантности. C-асимметрия и барионная асимметрия Вселенной, Письма в ЖЭТФ, 5, 32 (1967)[11] А. M. Поляков, Спектр частиц в квантовой теории поля, Письма в ЖЭТФ, 20, 430 (1974)[12] А. Старобинский, Спектр реликтового гравитационного излучения и начальное состояние Вселенной, Письма в ЖЭТФ, 30, 719 (1979)[13] Г. Чибисов, В. Ф. Муханов, Квантовые флуктуации и несингулярная Вселенная, Письма в ЖЭТФ, 33, 549 (1981)[14] А. Б. Замолодчиков, О Необратимости потока ренормализационной нруппы в двумерной теории пола, Письма в ЖЭТФ, 43, 565 (1986)[15] V. Sahni, T. D. Saini, A. Starobinsky, U. Alam, Statefinder: A New geometrical diagnostic of dark energy, JETP Lett. 77, 201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