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08:07:27

AFC 챔피언스 리그 2/2024-25 시즌

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로고(완전가로형).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24-25 2025-26 2026-27 2027-28 2028-29
2029-30 2030-31 2031-32 2032-33 2033-34
2034-35 2035-36 2036-37 2037-38 2038-39
}}}}}}}}} ||


1. 변경점2. 대회별 구단 수/대회 포맷 구성 및 협회별 구단 할당
2.1. 협회별 구단 할당표
3. 진출 구단4. 경기 일정5. 예선6. 그룹 스테이지7. 결선 토너먼트8. 결승9. 기록
9.1. 구단9.2. 개인
10. 관련 문서

[clearfix]

1. 변경점

이번 대회부터 아시아 대륙 클럽 대회를 3개 대회로 재편하여 1부, 2부, 3부 대륙 클럽 대회로 편성해 진행한다.[1]

또한 이번 시즌부터 외국인 선수 출전 제한을 완전히 폐지시키면서 동시에 4강전까지 적용되던 동/서 권역 분리를 스위스 라운드와 16강전에서만 적용시키고, 8강전부터 다시 동아시아 권역과 서아시아 권역 구단이 혼합하여 맞붙을 수 있게 되었다. 서아시아 권역에서 주로 주장하던 외국인 선수 수 제한을 풀자 귀신 같이 동/서 분리 원칙을 변경했다.

2. 대회별 구단 수/대회 포맷 구성 및 협회별 구단 할당

1부 대륙 대회의 경우 동아시아 및 서아시아 권역에서 각각 12개 구단씩 진출하여 총 24개 구단으로 대회가 진행된다.

2부 대륙 대회의 경우 동아시아 및 서아시아 권역에서 각각 16개 구단씩 진출하여 총 32개 구단으로 대회가 진행된다.

3부 대륙 대회의 경우 동아시아 권역에서 8개 구단, 서아시아 권역에서 12개 구단이 진출하여 총 20개 구단으로 대회가 진행된다.

진출 구단 수는 미정이나 협회 간 리그 순위로 1부 대륙 대회 플레이오프를 진행하여 승리 구단은 1부 대륙 대회에 패배 구단은 2부 대륙 대회에 진출한다.

또한 같은 방식으로 2부 대륙 대회 플레이오프를 진행하여 승리 구단은 2부 대륙 대회, 패배 구단은 3부 대륙 대회에 진출한다.

AFC 설명서에는 최소 274개에서 최대 287경기라고 경기 수를 정해두었다.

1부 대륙 대회는 조 편성은 따로 이뤄지지 않으며, 권역별 12개 구단이 랜덤으로 8개 구단(홈 경기 4경기, 원정 경기 4경기) 총 8경기를 치른다. 추첨을 통하여 홈-원정-홈-원정... 순으로 경기를 진행하게 되며, 매 라운드 다음 상대 추첨을 하기에 참가 구단은 다음 라운드 상대를 미리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후 토너먼트 라운드는 각 권역의 2개 조에서 1위부터 8위까지 동, 서 8개씩 16개 구단을 진출시켜 이전과 같이 16강부터 시작한다.
16강전은 홈 앤드 어웨이로 진행하나 8강부터는 중립 지역에서 단판으로 승부를 가린다.

2부 대륙 대회는 조 편성은 4개 구단씩 8개 조로 편성한다. 이후 홈 앤드 어웨이로 구단당 6경기씩 진행한다.

이후 토너먼트 라운드는 각 조에서 2위까지 동, 서 8개씩 16개 구단을 진출시켜, 이전과 같이 16강부터 시작한다.
16강전부터 4강전까지는 홈 앤드 어웨이로 진행하나 결승전은 중립 지역에서 단판으로 승부를 가린다.

3부 대륙 대회는 조 편성은 4개씩 5개 조(서부 3개 조, 동부 2개 조)로 편성된다. 이후 싱글 라운드로 구단당 3경기씩 진행한다.

2.1. 협회별 구단 할당표

AFC 2부 대륙 대회 2024-25에 참가하는 협회는 8년간의 대회 성적을 가중치를 달리하여 본선 직행 티켓 및 플레이오프 티켓을 배분 받게 된다. 아울러 AFC 챌린지 리그 우승 구단은 다음해 대회 본선 진출권을 자동으로 획득한다. 챌린지 리그는 이번에 다시 출시된 대회이므로 우승 티켓을 거머쥔 팀은 없다.
서아시아 동아시아
국가 점수 출전권 국가 점수 출전권
GS PO GS PO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플레이오프 패자
- 2 0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플레이오프 패자
- 1 0
사우디아라비아 93.795 1 0 일본 91.821 1 0
카타르 75.950 1 0 대한민국 88.925 1 0
이란 72.018 1 0 중국 57.630 1 0
아랍에미리트 64.129 1 0 태국 49.470 1 0
우즈베키스탄 45.006 1 0 호주 33.380 1 0
이라크 36.901 1 0 말레이시아 29.251 1 0
요르단 30.161 1 1 베트남 29.469 1 1
타지키스탄 23.976 1 1 홍콩 27.450 1 1
인도 23.639 1 1 필리핀 18.428 1 1
바레인 20.681 1 1 싱가포르 16.824 1 1
쿠웨이트 20.069 0 1 북한 16.117 0 1
투르크메니스탄 19.464 0 1 인도네시아 15.083 0 1
합계 12 6 합계 11 6

3. 진출 구단

리그 스테이지
서아시아 동아시아
파일:국기.svg (ACLE) 파일:국기.svg (ACLE) 파일:국기.svg (ACLE) 파일:일본 국기.svg 산프레체 히로시마 (3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타아원 (4위)[KSA] 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와크라 (4위)[QA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북 현대 모터스 (4위)[KOR] 파일:중국 국기.svg 저장 FC (3위)
파일:이란 국기.svg 세파한 SC (3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위)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유나이티드 (2위) 파일:호주 국기.svg 시드니 FC (CW)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나사프 카르시 (CW) 파일:이라크 국기.svg (CW)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슬랑오르 FC (2위)[MAS] 파일:베트남 국기.svg (1위)
파일:요르단 국기.svg 알 후세인 (1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FC 이스티클롤 (1위) 파일:필리핀 국기.svg (1위)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리만 FC (1위)
파일:인도 국기.svg 모훈 바간 (1위) 파일:바레인 국기.svg 알 칼디야 (1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 (2위)[SIN]
플레이오프
서아시아 동아시아
파일:요르단 국기.svg (CW)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라브샨 쿨로브 (2위)[TJK] 파일:베트남 국기.svg (CW)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CW)
파일:인도 국기.svg SC 이스트 벵골 (CW) 파일:바레인 국기.svg 마나마 (CW) 파일:필리핀 국기.svg 카야 일로일로 (CW)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탬피니스 로버스 (3위)[SIN]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알 쿠웨이트 (1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FK 아르카다그 (1위) 파일:북한 국기.svg (1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페르십 반둥 (1위)

4. 경기 일정

단계 라운드 추첨일 일정
1차전 2차전
플레이오프 1경기 TBD 2024년 7월 31일
2경기 2024년 8월 7일
3경기 2024년 8월 14일
그룹 스테이지 1경기 TBD 2024년 9월 17~19일
2경기 2024년 10월 1~3일
3경기 2024년 10월 22~24일
4경기 2024년 11월 5~7일
5경기 2024년 11월 26~28일
6경기 2024년 12월 3~5일
녹아웃 스테이지 16강 TBD 2025년 2월 11~13일 2025년 2월 18~20일
8강 2025년 3월 4~6일 2025년 3월 11~13일
준결승 2025년 4월 8~9일 2025년 4월 15~16일
결승 2025년 5월 17일

5. 예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FC 챔피언스 리그 2/2024-25 시즌/예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그룹 스테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FC 챔피언스 리그 2/2024-25 시즌/그룹 스테이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결선 토너먼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FC 챔피언스 리그 2/2024-25 시즌/결선 토너먼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결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FC 챔피언스 리그 2/2024-25 시즌/결승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기록

9.1. 구단

순위 구단 득점 리그
1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2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3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4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5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순위 클럽 클린시트 리그
1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2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3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4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5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9.2. 개인

순위 선수 득점 출장 클럽 국적
1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2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3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4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5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순위 선수 도움 출장 클럽 국적
1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2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3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4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5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10. 관련 문서



[1]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ACLE), AFC 챔피언스 리그 2(ACL2), AFC 챌린지 리그(ACGL)로 명명되었다. #[KSA] 알 힐랄이 리그와 사우디 킹 컵을 모두 우승하면서 ACL2 진출권을 승계받았다.[QAT] 알 사드가 리그와 에미르컵을 모두 우승하면서 2위 알 라이얀이 ACLE 조별리그 직행, 3위 알 가라파가 ACLE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면서 4위 알 와크라가 ACL2 조별리그에 직행하였다.[KOR] FA컵을 우승한 포항이 리그 준우승을 차지하면서 ACL2 진출권을 승계받았다.[MAS] 조호르 다룰 탁짐이 리그와 피알라 FA 말레이시아를 모두 우승하면서 리그 준우승팀 슬랑오르가 ACL2 진출권을 승계받았다.[SIN] 리그 우승팀인 알비렉스 니가타 싱가포르는 J리그 위성 구단이므로 출전 금지되어 FA컵 우승팀이자 리그 준우승 라이언 시티가 본선 진출권을 승계받았고, 플레이오프 진출권은 리그 3위 탬피니스가 승계받았다.[TJK] FC 이스티클롤이 리그와 타지키스탄컵을 모두 우승하면서 ACL2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승계받았다.[S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