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20:22:16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로고.jpg
2024-25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color: #C5AF84;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rowcolor=#C5AF84> 서아시아 동아시아
파일:알 아인 로고.svg
파일:알 힐랄 SFC 엠블럼.svg
파일:비셀 고베 엠블럼.svg
파일:가와사키 프론탈레 로고.svg
파일:알 나스르 FC 엠블럼.svg
파일:알 아흘리 SFC 로고.svg
파일:요코하마 F. 마리노스 로고.svg
파일:울산 HD FC 엠블럼.svg
파일:알 사드 SC 로고.svg
파일:알 라이얀 SC 로고.svg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파일:상하이 하이강 로고.svg
파일:에스테그랄 테헤란 FC 로고.svg
파일:페르세폴리스 FC 엠블럼.svg
파일:상하이 선화 엠블럼.svg
파일:부리람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알 와슬 FC 로고.svg
파일: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로고.svg
파일: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엠블럼.svg
파일:조호르 다룰 탁짐 로고.svg
파일:광주 FC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32px -1px -11px; color:#181818"
◀ 2023-24 시즌 참가 구단 2025-26 시즌 참가 구단 ▶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2 참가 구단 ▶
}}}}}}}}} ||
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로고.jpg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시즌
2023-24 2024-25 2025-26
<colbgcolor=#28024F>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2024-25 AFC Champions League Elite
<nopad> 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로고.jpg
<colcolor=#fff> 개막 2024년 7월 30일[예선]
2024년 9월 16일[본선]
종료 2025년 5월 4일
국내 중계 <colbgcolor=#28024F><colcolor=#fff> TV tvN SPORTS
뉴미디어 TVING
전 시즌 우승 구단
[[아랍에미리트|]][[틀:국기|]][[틀:국기|]]알 아인 FC
결승전 개최지
득점왕
도움왕
우승 구단
공인구 Kelme VORTEXAC23
1. 변경점2. 대회 구성
2.1. 협회별 구단 할당표
3. 진출 구단4. 경기 일정5. 플레이오프6. 리그 스테이지7. 16강8. 파이널 스테이지9. 결승10. 기록
10.1. 구단10.2. 개인
11. 관련 문서

[clearfix]

1. 변경점

이번 대회부터 아시아 대륙 클럽 대회를 3개 대회로 재편하여 1부, 2부, 3부 대륙 클럽 대회로 편성해 진행한다.[3]

또한 이번 시즌부터 외국인 선수 출전 제한을 완전히 폐지시킨다. 즉 할 수만 있다면 선발부터 벤치까지 전부 외국인 선수로 구성해도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동시에 준결승까지 적용되던 동/서 권역 분리를 스위스 라운드와 16강에서만 적용시키고, 8강부터 다시 동아시아 권역과 서아시아 권역 구단이 혼합하여 맞붙을 수 있게 되었다. 서아시아 권역에서 주로 주장하던 외국인 선수 수 제한을 풀자 귀신 같이 동/서 분리 원칙을 변경했다.

2. 대회 구성

1부 대륙 대회의 경우 동아시아 및 서아시아 권역에서 각각 12개 구단씩 진출하여 총 24개 구단으로 대회가 진행된다.

2부 대륙 대회의 경우 동아시아 및 서아시아 권역에서 각각 16개 구단씩 진출하여 총 32개 구단으로 대회가 진행된다.

3부 대륙 대회의 경우 동아시아 권역에서 8개 구단, 서아시아 권역에서 12개 구단이 진출하여 총 20개 구단으로 대회가 진행된다.

진출 구단 수는 미정이나 협회 간 리그 순위로 1부 대륙 대회 플레이오프를 진행하여 승리 구단은 1부 대륙 대회에 패배 구단은 2부 대륙 대회에 진출한다.

또한 같은 방식으로 2부 대륙 대회 플레이오프를 진행하여 승리 구단은 2부 대륙 대회, 패배 구단은 3부 대륙 대회에 진출한다.

AFC 설명서에는 최소 274개에서 최대 287경기라고 경기 수를 정해두었다.

1부 대륙 대회는 조 편성은 따로 이뤄지지 않으며, 권역별 12개 구단이 랜덤으로 8개 구단(홈 경기 4경기, 원정 경기 4경기) 총 8경기를 치른다. 추첨을 통하여 홈-원정-홈-원정... 순으로 경기를 진행하게 되며, 매 라운드 다음 상대 추첨을 하기에 참가 구단은 다음 라운드 상대를 미리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후 토너먼트 라운드는 각 권역의 2개 조에서 1위부터 8위까지 동, 서 8개씩 16개 구단을 진출시켜 이전과 같이 16강부터 시작한다.[4]
16강은 홈 앤드 어웨이로 진행하나 8강부터는 중립 지역에서 단판으로 승부를 가린다.

2부 대륙 대회는 조 편성은 4개 구단씩 8개 조로 편성한다. 이후 홈 앤드 어웨이로 구단당 6경기씩 진행한다.

이후 토너먼트 라운드는 각 조에서 2위까지 동, 서 8개씩 16개 구단을 진출시켜, 이전과 같이 16강부터 시작한다.
결승 이전까지는 홈 앤드 어웨이로 진행하나 결승은 중립 지역에서 단판으로 승부를 가린다.

3부 대륙 대회는 조 편성은 4개씩 5개 조(서부 3개 조, 동부 2개 조)로 편성된다. 이후 싱글 라운드로 구단당 3경기씩 진행한다.

2.1. 협회별 구단 할당표

AFC 1부 대륙 대회 2024-25 시즌에 참가하는 협회는 8년 간의 대회 성적을 가중치를 달리하여 본선 직행 티켓 및 플레이오프 티켓을 배분 받게 된다. 아울러 대회 우승 구단은 다음해 대회 본선 진출권을 자동으로 획득한다. 또한, 1개 협회에서 최대 3개 구단만 출전할 수 있다.
서아시아 동아시아
국가 점수 출전권 국가 점수 출전권
LS PO LS PO
사우디아라비아 93.795 3 0 일본 91.821 3 0
카타르 75.950 2 1 대한민국 88.925 3[5] 0
이란 72.018 2 1 중국 57.630 2 1
아랍에미리트 64.129 2[6] 1 태국 49.470 1 1
우즈베키스탄 45.006 1 0 호주 33.380 1 0
이라크 36.901 1 0 말레이시아 29.251 1 0
합계 11 3 합계 11 2

3. 진출 구단

리그 스테이지
서아시아 동아시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아인 (ACL W)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1위) 파일:일본 국기.svg 비셀 고베 (1위) 파일:일본 국기.svg 가와사키 프론탈레 (CW)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2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아흘리 (3위) 파일:일본 국기.svg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HD FC (1위)
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사드 (1위) 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라이얀 (2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 스틸러스 (CW)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광주 FC (3위)[KOR]
파일:이란 국기.svg 에스테그랄 (1위) 파일:이란 국기.svg 페르세폴리스 (2위) 파일:중국 국기.svg 상하이 하이강 (1위) 파일:중국 국기.svg 상하이 선화 (CW)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와슬 (1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흐타코르 (1위) 파일:태국 국기.svg 부리람 유나이티드 (1위) 파일:호주 국기.svg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1위)[AUS]
파일:이라크 국기.svg (1위)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조호르 다룰 탁짐 (1위) -
플레이오프
서아시아 동아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가라파 (3위)[QAT] 파일:이란 국기.svg 6/20 (CW) 파일:중국 국기.svg 산둥 타이산 (2위) 파일:태국 국기.svg 6/15 (CW)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샤바브 알 아흘리 (2위)[UAE] -

4. 경기 일정

단계 라운드 추첨일 일정
플레이오프 1경기 미추첨 2024년 7월 30일
2경기 2024년 8월 6일
3경기 2024년 8월 13일
리그 스테이지 1경기 2024년 8월 16일 2024년 9월 16일~18일
2경기 2024년 9월 30일~10월 2일
3경기 2024년 10월 21일~23일
4경기 2024년 11월 4일~6일
5경기 2024년 11월 25일~27일
6경기 2024년 12월 2일~4일
7경기 2025년 2월 3일~4일 / 11일~12일
8경기 2025년 2월 17일~19일
16강 TBD 1차전: 2025년 3월 3일~5일
2차전: 2025년 3월 10일~12일
파이널 스테이지 8강 TBD 2025년 4월 25일~26일
준결승 2025년 4월 29일~30일
결승 2025년 5월 4일

5. 플레이오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플레이오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리그 스테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리그 스테이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16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16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파이널 스테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파이널 스테이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결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결승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기록

10.1. 구단

순위 구단 득점 리그
1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2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3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4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5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순위 클럽 클린시트 리그
1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2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3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4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5 파일:로고.svg 클럽명 0 파일:로고.svg 리그

10.2. 개인

순위 선수 득점 출장 클럽 국적
1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2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3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4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5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순위 선수 도움 출장 클럽 국적
1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2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3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4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5 이름 0 0 파일:로고.svg미정 파일:국기.svg국가

11. 관련 문서



[예선] [본선] [3]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ACLE), AFC 챔피언스 리그 2(ACL2), AFC 챌린지 리그(ACGL)로 명명되었다. #[4] 각 권역별 1-8, 2-7, 3-6, 4-5 순위로 매치 업이 될 확률이 크다.[5] 원래 출전권은 2+1이였으나 광주가 본선에 직행하면서 3장으로 변경[6] 원래 출전권은 1+1이였으나 알 아인의 ACL 우승으로 2+1로 변경[KOR] FA컵을 우승한 포항이 리그 준우승을 차지하면서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승계받았다가 AFC컵 성적으로 플레이오프행이 유력했던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가 2023-24 A리그 멘 우승팀 자격으로 본선에 직행하면서 남은 플레이오프 팀 중 리그 순위가 높은 광주가 부전승으로 본선에 직행하는 행운을 누렸다.[AUS] 2023-24시즌 AFC컵 우승팀인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는 이미 리그 우승 자격으로 본선 직행을 확정한 상태이므로 해당 자격으로 참가한다.[QAT] 알 사드가 리그와 에미르컵을 모두 우승하면서 리그 준우승 알 라이얀이 직행하고 리그 3위 알 가라파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UAE] 알 와슬이 리그와 UAE 프레지던트컵을 모두 우승하면서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승계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