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8 00:52:53

홈(애니메이션)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프랑스 영화에 대한 내용은 홈(2009)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한국 영화에 대한 내용은 홈(2018)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Dream Works_logo.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Shrek-Series_logo.png 슈렉 · 슈렉 2 · 슈렉 3 · 슈렉 포에버 · 슈렉 5
파일:PussinBoots-Series_logo.png 장화신은 고양이 ·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스피릿 스피릿(2002) · 스피릿(2021)
파일:마다가스카 프랜차이즈 로고.png 마다가스카 · 마다가스카 2 · 마다가스카 3 · 마다가스카의 펭귄
파일:쿵푸팬더 로고.svg 쿵푸팬더 · 쿵푸팬더 2 · 쿵푸팬더 3 · 쿵푸팬더 4
파일:드래곤 길들이기 로고(블랙).png 드래곤 길들이기 · 드래곤 길들이기 2 · 드래곤 길들이기 3
메가마인드 메가마인드 · 메가마인드 vs 둠 신디케이트P
파일:The_Croods_logo.png 크루즈 패밀리 · 크루즈 패밀리: 뉴 에이지
파일:Trolls-Logo.png 트롤 · 트롤: 월드 투어 · 트롤: 밴드 투게더
파일:Boss_baby_logo.png 보스 베이비 · 보스 베이비 2
배드 가이즈 배드 가이즈 · 배드 가이즈 2
단독 영화 <colcolor=#000,#ddd> 1990년대 ~ 2000년대 개미 · 이집트 왕자 · 엘도라도 · 신밧드 : 7대양의 전설 · 샤크 · 헷지 · 꿀벌 대소동 · 몬스터 vs 에일리언
2010년대 가디언즈 · 터보 · 천재강아지 미스터 피바디 · · 캡틴 언더팬츠* · 스노우몬스터*
2020년대 틴에이지 크라켄 루비 · 와일드 로봇 · 도그맨
<colbgcolor=#000> 파일:Aardman_Animations_2022.svg.png
합작
치킨 런 · 월레스와 그로밋: 거대 토끼의 저주 · 플러쉬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합작
트롤헌터: 라이즈 오브 타이탄 · 내 친구 어둠
* 표시는 한국 미개봉
기울기는 개봉 예정
P는 피콕 단독 공개
}}}}}}}}}

(2015)
Home
파일:external/6f62030c1bb26aefbf0c18f2fb3594d9419887bd485873d795dfee191adcfa19.jpg
드림웍스 장편 애니메이션
마다가스카의 펭귄 쿵푸팬더 3
<colbgcolor=#5f0084> 감독 팀 존슨
제작 크리스 젠킨스 외
각본 맷 엠버 외
음악 론 발프
스타게이트[1]
출연 리애나, 짐 파슨스, 스티브 마틴
상영 시간 94분 (1시간 33분 41초)
제작사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20세기 폭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J ENM MOVIE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15년 3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년 5월 21일
제작비 $130,000,000
북미 박스오피스 $177,397,510
월드와이드 $386,041,607
대한민국 관객수 360,556명
국내등급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PG 로고.svg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줄거리6. 평가
6.1. 평론가 평
7. 흥행8. 기타
8.1. 단편 애니메이션 'Almost Home'

[clearfix]

1. 개요

2015년에 드림웍스 애니메이션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영화. Adam Rex의 어린이 소설인 The True Meaning of Smekday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무서운 적들로부터 도망친 겁쟁이 외계인들이 새로운 보금자리를 하필이면 지구에서 찾으면서 집을 잃고 어머니와 헤어지게 된 미국 이민자 소녀와 지구에 이민 온 외계인 '오(Oh)'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

사실 지구정복을 몇초만에 성공했다. 이렇게 간단한 걸

2. 예고편



3. 시놉시스

* 출처: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떴다 하면 대형사건인 우주 최강의 사고뭉치 ‘오’.
부브 종족이 지구로 이사 온 첫 날, 사소한 실수로 모두를 위험에 빠트린 오는 쫓기는 신세가 되고 만다.
도망치던 오는 잃어버린 엄마를 찾아 나선 당찬 소녀 ‘팁'을 만나게 되고 팁은 엄마 찾기를 도와준다는 오의 말에 어쩔 수 없이 함께 길을 나선다.
맞는 구석이라곤 찾아볼 수 없는 오와 팁. 하지만 이들을 쫓는 포위망은 쉬지 않고 좁혀 오는데…!

4. 등장인물

  • 부브 (Boov)
    우주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는 보라색 혹은 옅은 파란색의 외계인 종족. 자신의 적인 고그를 피해 여러 행성에 숨어다니던 중, 마침내 지구를 발견하여 그곳을 평화롭게 침략한 뒤 인간들을 다른 곳으로 옮기고 자신들이 살게 된다.
    기분에 따라 피부색이 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노란색은 놀람 혹은 무서움, 파란색은 슬픔, 빨간색은 화남, 초록색은 거짓말, 살몬색은 행복, 장미색은 사랑스러움, 흰색은 충격받음 또는 지침, 짙은 노란색은 역겨움, 시안색은 질투.
    또한 인간 문화에 익숙하지가 않아서인지 인간은 못 먹는 물건들을 음식으로 먹고, 농담이나 춤 또는 격언 같은 요소를 이해하지 못하고, 망가진 영어 문법으로 인간과 대화하는 등[2]의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 오 (Oh)
      성우는 짐 파슨스 / 남도형
      다른 부브와 다르게 너무 활발하고 밝은 성격이라 무리에 끼지 못하고 항상 왕따 취급을 받는다. 이름인 '오' 역시 자기가 다가갈 때마다 다른 부브들이 "오!" 하면서 탄성을 내뱉는 것에서 유래했다.
      영화 내에서는 지구 이주 기념으로 파티를 하려다 한순간의 실수로 인해 도망자가 되어버리고, 도망치던 중 우연히 만난 인간 소녀 '팁'과 함께 협업해 자신의 실수를 고치면서 팁의 엄마를 찾아주기로 한다.
    • 캡틴 스멕 (Captain Smek)
      성우는 스티브 마틴 / 이인성
      부브들의 대장이자 리더로, 허세가 많다. 자신의 통치 기구 겸 무기(?)로 '시끌이(Shusher)'라는 막대기를 갖고 다니며, 자기 맘에 들지 않는 말이나 행동을 한 부브에게 "시끌(Shush)"이라 말하면서 막대기로 머리나 얼굴을 때린다.
      리더답게 영화 내내 오가 저지른 실수를 수습하기 위해 직접 발로 뛰고 돌아다니면서 엄청 애를 쓴다.
    • 카일 (Kyle)
      성우는 맷 L. 존스 / 이호산
      교통 경찰 부브. 오는 카일을 자신의 절친이라고 여기며 친한 척 하지만, 카일은 거의 항상 거리를 두며 네 절친 아니라고 딱 잘라 말한다. 사실 오가 절친이라 여긴 이유는 카일이 교통 경찰 부브라 일할 땐 못 움직이기에 오의 말을 다 받아줘야 해서 그런 것이다.
      이런 이유에서 오는 막무가내로 카일에게 자기 파티 초대장을 보내려다 실수로 고그를 포함한 은하계 모두에게 보내버리고, 이로 인해 고그가 자기들을 찾을 수 있게 되자 즉시 오를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또한 이 이후로도 캡틴 스멕의 명령을 받고 오를 현상수배하며 그를 계속 찾아다닌다.
  • 인간
    • 팁 (Tip)
      성우는 리아나 / 김나율
      본명은 그라튜이디 투치(Gratuity Tucci)[3]로, 자신의 친구들은 팁이라 부른다. 엄마와 함께 바베이도스에서 미국으로 이민을 온 뒤 힘들게 적응했으나, 부브들의 지구 침략으로 인해 엄마가 납치당하면서 모든 게 물거품이 된 채 홀로 남겨졌다. 이 때문에 자신의 고양이와 함께 홀로 엄마를 찾으러 나서던 중 우연히 오를 만나 원치 않은 협업을 하게 된다.
      영화 초반에는 지구뿐만 아니라 자신의 보금자리를 빼앗고 엄마를 납치했기 때문에 오를 포함한 모든 부브들에 대해 적대적이지만, 오와 같이 다니게 되면서 점차 마음을 열게 된다.
    • 피그 (Pig)
      팁이 키우는 고양이로, 영화 내내 같이 다니면서 팁의 마음의 안식처 역할을 담당한다. 사회성이 좋은지 오를 처음 만나고서 금세 몸을 부비부비하며 친해지고 머리 위에 올라가 자기까지 한다.
    • 루시 투치 (Lucy Tucci)
      성우는 제니퍼 로페즈 / 윤성혜
      팁의 엄마. 부브의 침략으로 납치당하여 팁과 홀로 떨어지게 되었고, 팁은 홀로 엄마를 찾아다니던 중 우연하게 오를 만나 같이 엄마를 찾게 된다.
  • 고그 (Gorg)
    부브 종족의 적. 고그의 화력은 압도적으로 강력하여 부브에게 상대가 되지 않았으며, 이 때문에 부브들은 고그를 피해 이리저리 우주를 떠돌아다니던 중 결국 마침내 지구를 발견하고 숨어들게 되었다. 하지만 오의 실수로 인해 고그가 지구의 위치를 알 위기에 처하고, 이 때문에 부브들은 고그가 알기 전에 오가 저지른 실수를 최대한 빨리 수습하러 다닌다.

5. 줄거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홈(애니메이션)/줄거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평가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
메타스코어 55 / 100 점수 7.1 / 10 상세 내용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52% 관객 점수 64%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5><bgcolor=#005>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
별점 7.301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
별점 3.55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333><bgcolor=#333> 파일:Mtime Logo_Transparent.png ||
평점 7.5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7.4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3 / 5.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66.67% 별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122197"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122197;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22197|{{{#!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6.56 / 10
관람객
8.46 / 10
네티즌
8.36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6.56 / 10
관람객
8.46 / 10
네티즌
8.36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393f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7.7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0><bgcolor=#000> 파일:cinemascore-logo.png ||
등급 A




내용면에서도 우수하다고 하기는 어려웠던 작품이다(실제로 개봉 전부터 평론가들의 평이 안 좋았다). 다만 주인공 외계인 '오(Oh)' 를 맡은 짐 파슨스의 연기, 그리고 그와 리아나와의 캐미는 꽤 호평.

6.1. 평론가 평

캐릭터 묘사에 웃고 스펙터클에 놀라고
- 김보연 (★★★☆)
지구를 침공한 외계인이 때로는 귀여울 수 있다
- 이용철 (★★★)

7. 흥행

제작비는 1억 3500만 달러. 북미에서 1억 7739만 7510달러, 북미를 제외한 전 세계에서 2억 864만 4097달러, 합해서 3억 8604만 1607달러를 벌었다. 보통 영화는 제작비의 2배 이상 벌어야 손해가 없으니 이 영화는 흥행에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국내 흥행 결과(한국,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집계 기준)
개봉일 스크린수 누적 매출액(단위: 원) 누적 관객수
2015-05-21 532 2,692,225,691 360,556

하지만 한국의 흥행은 망했어요. 다른 스튜디오라면 몰라도 하필이면 한국에서 강세인 드림웍스의 애니메이션이 이런 성적을 냈으니 완전히 망했다. 이게 얼마나 망한거냐면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중 한국 박스오피스에서 최악의 실패작인 천재강아지 미스터 피바디보다 더 망했다. 또한 같은 해에 개봉했던 픽사의 인사이드 아웃[4], 디즈니의 빅 히어로는 물론, 한국에서 약세였던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의 신작인 미니언즈, 몬스터 호텔 2에게도 밀린데다, 심지어 한국에서 팬이 그렇게 없다던 도라에몽의 신작 도라에몽: 스탠바이미에게도 밀렸다.

여담으로 이 영화의 OST 'Feel the Light' 의 국내 뮤직비디오 작업에 참여한 EXID솔지하니이 영화가 전국 200만 관객을 돌파하면 외계인 ‘오(Oh)’ 로 분장한 채 라이브로 OST를 부르는 영상을 공개하겠다는 공약을 걸기도 했다. 하지만 이 영화의 최종 관객수가 그에 미치지 못했다. 라이벌 쪽에서도 비슷한 공약을 걸긴 했었다. 근데 처참함은 홈이 더 처참하다.

이렇게 드림웍스는 한국에서 곤욕을 치렀으나 다행히 다음해에 개봉한 쿵푸팬더 3가 체면을 세워줬다. 디즈니에게 밀린 것은 똑같지만

8. 기타

전투씬 중 BGM이 상당히 어린이 영화같지 않다. (영상, 원곡)

8.1. 단편 애니메이션 'Almost Home'


본 영화 이전, 부브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단편 애니메이션. 천재강아지 미스터 피바디리오 2의 본편 상영 전에 상영되었다. 다만 한국은 피바디 상영 때에만 나왔고, 리오 2는 배급사가 달라서[5] 나오지 않았다.

내용은 아주 단순하다. 캡틴 스멕이 우주선을 타고 자신들의 새로운 집으로 삼을 여러 행성에 도착하지만, 죄다 괴물이 살거나, 공룡이 잡아먹거나, 표면이 너무 뜨거워서 불이 붙거나, 로봇한테 쫓기는 등등 도저히 살 만한 행성이 아니었다. 결국 완전히 포기해버린 그때 한 부하가 정말 아름답고 예쁜 행성을 발견하여 모두 환호한다. 하지만 바로 직후에 운석이 충돌해서 처참히 부서지고(...) 또 다시 절망한다. 그러나 아까 그 부하가 또 다른 행성을 찾아 보여주더니 캡틴 스멕은 정말 좋다고 딱 잘라 말한다. 그 행성이란 바로 지구로, 부브 우주선이 지구로 향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애니메이션 끝.

이 이후의 스토리는 본편과 이어진다.


[1] 음반 제작 및 작곡 팀[2] 더빙판 역시 이를 충실히 따라서 부브들의 대화 중 몇몇 문법을 틀리게 쓰고("밖으로 들어가도 돼", "좋게 그만 전쟁하자" 등), 말버릇으로 말끝마다 "~다요"를 붙이도록("오늘은 최고의 날이다요", "그게 아니다요", "당연히 가능하다요" 등) 번역했다.[3] 발음하기가 꽤나 어려웠는지 더빙에선 본명이 '티피투치'로 개명당했다.[4] 여담으로 4년 전 픽사는 카 2의 국내 성적이 드림웍스의 쿵푸팬더 2보다 압도적으로 낮아 비교당하는 굴욕을 겪은 적 있다. 근데 2015년에는 역전되어 오히려 드림웍스의 홈이 인사이드 아웃의 전국 490만 관객을 모은 것과 비교당하는 굴욕을 겪게되었다.[5] 미국은 셋 다 20세기 폭스가 배급했지만 한국은 CJ ENM MOVIE가 피바디와 홈을, 20세기 폭스 코리아가 리오 2의 배급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