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07:01:51

배드 가이즈

파일:Dream Works_logo.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Shrek-Series_logo.png 슈렉 · 슈렉 2 · 슈렉 3 · 슈렉 포에버 · 슈렉 5
파일:PussinBoots-Series_logo.png 장화신은 고양이 ·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스피릿 스피릿(2002) · 스피릿(2021)
파일:마다가스카 프랜차이즈 로고.png 마다가스카 · 마다가스카 2 · 마다가스카 3 · 마다가스카의 펭귄
파일:쿵푸팬더 로고.svg 쿵푸팬더 · 쿵푸팬더 2 · 쿵푸팬더 3 · 쿵푸팬더 4
파일:드래곤 길들이기 로고(블랙).png 드래곤 길들이기 · 드래곤 길들이기 2 · 드래곤 길들이기 3
메가마인드 메가마인드 · 메가마인드 vs 둠 신디케이트P
파일:The_Croods_logo.png 크루즈 패밀리 · 크루즈 패밀리: 뉴 에이지
파일:Trolls-Logo.png 트롤 · 트롤: 월드 투어 · 트롤: 밴드 투게더
파일:Boss_baby_logo.png 보스 베이비 · 보스 베이비 2
배드 가이즈 배드 가이즈 · 배드 가이즈 2
단독 영화 <colcolor=#000,#ddd> 1990년대 ~ 2000년대 개미 · 이집트 왕자 · 엘도라도 · 신밧드 : 7대양의 전설 · 샤크 · 헷지 · 꿀벌 대소동 · 몬스터 vs 에일리언
2010년대 가디언즈 · 터보 · 천재강아지 미스터 피바디 · · 캡틴 언더팬츠* · 스노우몬스터*
2020년대 틴에이지 크라켄 루비 · 와일드 로봇 · 도그맨
<colbgcolor=#000> 파일:Aardman_Animations_2022.svg.png
합작
치킨 런 · 월레스와 그로밋: 거대 토끼의 저주 · 플러쉬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합작
트롤헌터: 라이즈 오브 타이탄 · 내 친구 어둠
* 표시는 한국 미개봉
기울기는 개봉 예정
P는 피콕 단독 공개
}}}}}}}}}

<colbgcolor=#f56820><colcolor=#ffffff> 배드 가이즈 (2022)
The Bad Guys
파일:FPfPyNgaUAgoxmF.jpg
드림웍스 장편 애니메이션
보스 베이비 2 배드 가이즈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장르 <colbgcolor=#ffffff,#191919>애니메이션, 코미디, 액션, 범죄, 하이스트
원작 에런 블레이비
감독 피에르 페리펠
출연 샘 록웰, 마크 마론, 아콰피나, 자시 비츠
각본 에단 코헨[1]
힐러리 윈스톤
제작 데이먼 로스
레베카 헌트리
책임 프로듀서 이든 코헨
에런 블레이비
편집 존 벤존
음악 대니얼 펨버턴[2]
의상 코트니 호프만
한국어번역 김근희
제공사 파일:미국 국기.svg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UPI 코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GAGA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유니버설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UPI 코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GAGA
제작 기간 6년
개봉일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2022년 3월 16일
파일:미국 국기.svg 2022년 4월 2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5월 4일[3]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10월 7일
스트리밍 파일:피콕 로고.png |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 파일:TVING 로고.svg | 파일:wavve 로고.svg | 파일:구글 TV 로고.svg
화면비 시네마스코프 (2.39:1)
상영 타입 2D[4]
상영 시간 100분 (1시간 40분)
제작비 6천 9백만 ~ 8천만 달러
북미 박스오피스 $97,233,630 (최종 기준)
월드 박스오피스 $250,162,278 (최종)
대한민국 총 관객수 400,504명 (최종 기준)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PG 로고.svg 전체 관람가[5]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
4.1. 주연
4.1.1. 배드 가이즈
4.2. 조연
5. 줄거리6. 사운드트랙7. 평가8. 흥행9. 기타10. 원작 만화책

[clearfix]

1. 개요

단편 애니메이션 빌비[6]를 연출한 피에르 페리펠의 장편 애니메이션 데뷔작. 호주의 아동 만화가 애런 블레이비(Aaron Blabey)[7]의 아동 만화 <배드 가이즈>을 원작으로 제작한 애니메이션. 해당 영화의 내용은 1권과 4권을 토대로 제작되었다고 하며 원작은 현재 원판 기준 18권까지 정발되어 있으나 #, 디자인, 설정, 스토리 등에서 거의 다른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원작 개조가 큰 편[8]이므로 원작도 따로 보는 것을 추천한다.

2. 예고편

<colbgcolor=#f56820><colcolor=#ffffff>
▲ 1차 예고편[9]
▲ 2차 예고편
▲ 이 몸 등장! 영상

3. 시놉시스

드림웍스 최초의 범죄오락액션 블록버스터!
어디 착한 짓 좀 해볼까?

작전 설계부터 금고 해제, 해킹, 액션, 위장까지
완벽한 팀플레이를 펼치는 자타공인 최고의 나쁜 녀석들이 한순간의 실수로 체포된다.

하지만 그들도 착해질 수 있다는 ‘마멀레이드 박사’의 주장으로
나쁜 녀석들은 바른 생활 갓생 프로젝트에 투입되고,
이들은 다시 한번 자유의 몸을 위해 태어나 처음으로 바른 생활에 도전하게 되는데…

나쁜 녀석들의 사상 초유 바른 생활 갓생 프로젝트가 시작된다!

4.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4.1. 주연

4.1.1. 배드 가이즈

파일:bad guys wolf.png
파일:bad guys snake.jpg

별명은 닭 사냥꾼(chicken swallower), 종족은 으로, 금고 따기 전문가. 잠입에 특화되어 있으며, 자신의 긴 몸매를 이용해 간이 로프 역할을 맡기도 한다. 과거 전과기록이 참으로 극악무도하다.[11] 자신이 악당인 것에 자부심을 넘어서 긍지가 있으며, 울프와 가장 친한 사이. 그와 동시에 울프를 깊이 신뢰해서 그의 변심에 누구보다 반발이 거셌다. 뱀의 몸이라 생활이 불편해 보일 수 있는 것과는 달리, 꼬리를 이리저리 꼬아서 손처럼 사용하며 온몸으로 기타를 치는 묘기도 선보인다. 당황했을 때마다 선보이는 얼굴개그가 특징으로, 담당 성우가 코미디언이라서 그런지 연기 톤이 전반적으로 가볍고 코믹한 편.

보아뱀이 모티브인 듯 하지만 독니가 있는데, 애니메이션 특유의 만화적인 연출 때문에 이를 앙다무는 표정 등에서는 마치 사람처럼 어금니까지 빽빽한 이빨이 묘사된다. 꼬리를 흔들 때 방울소리가 울리는 걸 보면 방울뱀도 모티브로 한 듯. 단 음식과 기니피그를 좋아하며, 생년월일은 1965년 7월 2일. [12]
  • 샤크(Mr. Shark)
    (CV. 크레이그 로빈슨[13] / 김현수 / 초코프라 나가타)
파일:bad guys shark.jpg

별명은 죠스와 서퍼 사냥꾼(Surfer Snacker).[14]종족은 상어, 정확히는 백상아리다. 변장과 연기의 대가로, 외적으로는 형편없어 보이지만 작중에서는 모나리자로까지 위장이 가능한 수준의 변장술을 자랑한다. 그의 위장을 알아볼 수 있는 건 배드 가이즈 팀원들뿐. 때문에 애드리브와 즉흥 연기를 아주 즐기는데, 다른 팀원들이 과하게는 하지 말라고 당부하는 걸 보면 좀 오버하는 경향이 있는 듯. 공연장면을 보면 드럼과 색소폰 등 악기 연주에도 재능이 있다. 스네이크와 푸쉬팝이라는 아이스바를 갖고 자주 싸운다.[15]
파일:bad guys piranha.jpg

별명은 엉덩이 깨무는 놈(Butt Biter). 아마존 강에 거주 중이며, 피라냐 브라더스 갱의 일원이다.[17] 종족은 이름처럼 육식성 민물고기인 피라냐. 화끈한 무력 및 깽판 담당으로, 작은 덩치와는 다르게 힘은 태산이며 평상시에도 상당한 똘끼를 지니고 있다. 아마존 출신이라 그런지 라틴계 발음과 흥분하면 튀어나오는 스페인어가 특징이다. 태생이 물고기라서 물 속을 드나들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잠입하기도 한다. 의외로 기가 막힌 노래 실력을 보유하고 있어 스네이크에게 생일 축가를 불러주는가 하면, 계획이 탄로날 위기 상황을 즉흥 콘서트로 벗어나기도 한다.[18] 약점은 급한 성질, 눈치가 없다는 것과 긴장했을 때 나오는 독가스에 가까운 방귀. 생년월일은 1996년 12월 13일이다.
파일:bad guys spider.jpg

별명은 하단에 소개한 거미줄(Webs)과 마타 하리. 종족은 이름처럼 독거미인 타란툴라. 해킹 전문가로, 컴퓨터를 이용해 지원하는 포지션. 여덟 개의 다리를 동시에 현란하게 놀리는 해킹 실력을 자랑하며, 신호등부터 경비 시스템에 차량까지 접수 못하는 게 없다. 심지어 디제잉까지 꽤 잘 한다. 원어판에서의 애칭은 웹스(Webs)인데, 자막으로는 그냥 '거미줄'로 나온다. 배드 가이즈 팀의 홍일점.[21] 여담으로 원작에서는 남성인데 아마 영화설정으로 바꾼것 같다. 외모도 가장 대대적으로 리파인되었다.

본편보다 과거의 시점을 다룬 단편 '최악의 크리스마스'에선 로봇 산타를 만들어낸걸로 공순이 기믹이 추가됐다.
파일:bad guys fox.jpg

4.2. 조연

파일:bad guys marmalade.jpg

도시의 마스코트이자 셀럽 교수[24]기니피그로, 테레사 수녀에 비견될 만한 선행으로 민심이 좋다. 울프의 말발에 낚여 연행 중인 배드 가이즈에게 갱생의 기회를 제공해준다. 그러나...

스포일러 [ 펼치기 · 접기 ]
드림웍스 메인 빌런
열람 시 스포일러 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개미
(1998)
치킨 런
(2000)
슈렉
(2001)
슈렉 2
(2004)
샤크
(2004)
맨더블 장군미세스 트위디파콰드 영주요정 대모돈 리노
마다가스카
(2005)
월레스와 그로밋: 거대 토끼의 저주
(2005)
헷지
(2006)
슈렉 3
(2007)
꿀벌 대소동
(2007)
포사들로드 빅터 쿼터메인드웨인 라 폰톤트챠밍 왕자몽고메리 변호사
쿵푸팬더
(2008)
마다가스카 2
(2008)
몬스터 vs 에일리언
(2009)
드래곤 길들이기
(2010)
슈렉 포에버
(2010)
타이렁마쿵가갤럭사레드 데스럼플
메가마인드
(2010)
쿵푸팬더 2
(2011)
장화신은 고양이
(2011)
마다가스카 3
(2012)
가디언즈
(2012)
타잇탄험티 "알렉산더" 덤티캡틴 듀브아피치 블랙
터보
(2013)
천재강아지 미스터 피바디
(2014)
드래곤 길들이기 2
(2014)
마다가스카의 펭귄
(2014)

(2015)
기 가니에 그루니온드라고 블러드비스트 Dr.옥타비우스 브라인 캡틴 스메크
쿵푸팬더 3
(2016)
트롤
(2016)
보스 베이비
(2017)
드래곤 길들이기 3
(2019)
보스 베이비 2
(2021)
카이체프 & 크릭프란시스 E. 프란시스그림멜닥터 암스트롱
배드 가이즈
(2022)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2022)
틴에이지 크라켄 루비
(2023)
쿵푸팬더 4
(2024)
마멀레이드 교수 빅 잭 호너첼시 밴더지/네리사카멜레온}}}}}}}}}

사실 운석을 이용해 기니피그들을 조종해서 자신의 이름으로 기부된 10억 달러를 훔치려는 목적을 가진 진 최종 보스이자 흑막. 외모하고는 다르게 울프를 가지고 노는 강적이기도 하다. 그의 마음속의 있는 갈망을 이용해 간접적으로 농락하기도 하며 뻔한 함정으로 그를 도발해 위기로 몰아넣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변장도 샤크와는 상위호환이다.[25] 원작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이 녀석의 정체는 기니피그 수인이 아니라 외계 생명체였다. 하지만 본편은 1~4권을 토대로 제작되어서 그런지 잡혀가는 순간까지 이 사실이 밝혀지지 않는데, 영화판에서는 평범한 기니피그 수인으로 각색되었거나 속편에서 정체가 밝혀질 가능성이 있다. 원작에서 마멀레이드의 정체가 밝혀지는 편은 6권이기 때문에 후자일 가능성이 더 높다.

파일:bad guys police.png

배드 가이즈를 잡는 걸 일생의 목표로 둔 경찰서장.[28] 배드 가이즈의 아치 네메시스이자 악당이 아닌 반동인물로, 탄탄히 단련된 거대한 몸과 화끈하게 밀어붙이는 불같은 성격, 서장까지 단 경찰 간부임에도 현장에서 직접 발로 뛰는 투철한 직업의식으로 무장한 만만찮은 캐릭터지만 배드 가이즈의 능수능란함에 허구한 날 털리는 개그 캐릭터. 말투도 그렇고, 행동거지를 보면 경찰보다 군인 교관이 연상될 만큼 각이 잡힌 캐릭터. 자선 행사에서 배드 가이즈가 즉흥 공연을 펼칠 때 처음에는 불만 가득한 표정으로 각 잡고 서 있으면서 배드 가이즈를 감시하고 있다가 나중에는 다 집어치우고 신나게 춤을 추는 개그를 선보이기도 한다. 달리는 경찰차에 발만 걸친 상태로 배드 가이즈의 차를 두 손으로 끌어당기는 수준의 엄청난 괴력을 가졌다. 배드 가이즈만 보면 눈이 뒤집혀서 오히려 더 악당같이 폭주하는 막가파처럼 보이지만, 상대가 악당만 아니라면 기본적으로 한없이 친절하게 변모하는 좋은 사람이다.[29][30] 루팡 3세의 라이벌 캐릭터 조대포 같은 포지션이라고 보면 된다.
강한 동양 억양이 특징인 기자. TMZ 소속이다.

5. 줄거리

줄거리를 읽기 전 위의 등장인물 소개를 읽고 오는 것을 추천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배드 가이즈/줄거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사운드트랙

<colcolor=#ffffff> The Bad Guys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파일:thebadguys_soundtrack.jpg
발매일 2022년 3월 31일
© DreamWorks Animation LLC
℗ 2022 Back Lot Music, a division of Universal Studios Music LLLP
<colbgcolor=#f56820><rowcolor=#fff> 트랙 제목 작사 & 작곡 가수 길이 듣기 비고
1 <colbgcolor=#ffffff,#191919> The Big Bad Wolf <colbgcolor=#ffffff,#191919> 대니얼 펨버턴 <colbgcolor=#ffffff,#191919> 1:05 <colbgcolor=#ffffff,#19191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colbgcolor=#ffffff,#191919>
2 Meet The Bad Guys <colbgcolor=#ffffff,#191919> 3:3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Let's Bounce 3:0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Push Pop 3:2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Step 3 3:1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Security Surprise 1:3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The Dolphin Heist 4:3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Going to Go Good 4:0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Turn on the Charm 1:2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Marmalade Prelude 1:3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A Heist for Good 2:2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The Sharing Laboratory 1:5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 Save the Cat 1:4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 Good Tonight[32] Pemberton, Gary Go, Anthony Ramos
and Will Wells
앤서니 라모스 3:4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3]
15 So Long Suckers 대니얼 펨버턴 1:0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 The Lair of Loot 2:2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 Loot Loops 1:0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 Bedtime Story 2:0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 Double Crossed 4:0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 Tricky Fox 1:0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 The Crimson Paw 1:5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 Secret Hideout 2:1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3 Evil Masterplan 1:1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4 The Sad Guys 1:3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5 One Last Push Pop 1:4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6 Finish Them 1:4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7 Huff + Puff 2:0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8 Just Robbing This Place 1:5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9 Freeway Escape 2:2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0 Who Said It Was the End? 2:0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1 Redemption 2:0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2 The Old Switcheroo 1:4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3 Feelin' Alright Dave Mason Elle King 4:0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4 Brand New Day Pemberton, Daniel Taylor
and Kelvin Swaby
The Heavy 3:4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평가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
메타스코어 64 / 100 점수 7.3 / 10 상세 내용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88% 관객 점수 93%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c0><bgcolor=#fc0> 파일:알로시네 화이트 로고.svg ||
전문가 별점 3.6 / 5.0 관람객 별점 3.8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5><bgcolor=#005>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
별점 7.4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
별점 4.0 / 5.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FFFFFF><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Filmarks 로고.svg ||
별점 3.9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333><bgcolor=#333> 파일:Mtime Logo_Transparent.png ||
평점 7.9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7.5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px><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5F00D2><#fff,#bbb> 파일:야후 키모.png ||
별점 4.3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1 / 5.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100% 별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196047#"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196047#;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96047#|{{{#!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7 / 10
관람객
8.53 / 10
네티즌
8.91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7 / 10
관람객
8.53 / 10
네티즌
8.91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393f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8.1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84C4D><tablebordercolor=#F84C4D><tablebgcolor=#fff,#191919>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
지수 96%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da291c><tablebordercolor=#da29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롯데시네마 로고 영문 백색.svg ||
평점 8.6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3c2a78><tablebordercolor=#3c2a78><tablebgcolor=#fff,#191919><:> 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 ||
평점 8.6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5e2a><tablebordercolor=#ff5e2a><tablebgcolor=#fff,#191919><:> [[MRQE|
MRQE
]] ||
평점 67 / 10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0><bgcolor=#000> 파일:cinemascore-logo.png ||
등급 A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32541><tablebordercolor=#032541><tablebgcolor=#fff,#191919><:> 파일:TMDB 로고.svg ||
점수 73%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bbb><tablebordercolor=#2d2338><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무비파일럿 로고.svg ||
평점 7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fff><tablebordercolor=#ba9200><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로저 이버트 닷컴 로고.svg ||
별점 2.5 / 4

배드 가이즈의 우정을 건 갱생 테스트
- 오진우 (씨네21) (★★★☆)

3D 그래픽을 바탕으로 2D작화스러운 효과를 섞은 독보적인 애니메이팅 스타일과 시각 디자인, 드림웍스다운 전반적인 완성도, 역동적인 애니메이션, 우수한 액션씬과 매력적인 캐릭터들이 장점으로 주로 꼽힌다. 단점으로는 너무 가볍게 겉만 핥은 느낌이라 잘 와닿지 않는 주제의식과 그 전달 방식, 반전들이 있음에도 다소 뻔한 감이 있는 전개와, 아쉬운 캐릭터 비중 분배, 여운이 남을 만큼의 저력은 보여주지 못한 연출 정도. 그러나 킬링타임용으론 손색없으며 머리를 복잡하게 하지 않는, 무난히 재미있는 영화가 나왔다고 호평받고 있다.

주제와 스타일이 조금 겹치는 디즈니 애니메이션 주토피아와 비교되기도 하는데, 이야기 전개에 치중해 주제에 보다 깊고 진지하게 파고들며 캐릭터들의 입장과 성장 배경, 행동 동기가 확고해 캐릭터들에게 감정이입이 쉬운 주토피아와 다르게, 배드 가이즈는 러닝타임 때문인지 캐릭터들의 동기에 공감하도록 하는 연출이 비교적 적은 대신 더 가볍게 감상할 수 있다. 또 연출이 다소 현실적이고 그에 따라 주인공들이 딱히 빼어난 액션씬을 보여주지는 않는 주토피아와 달리, 캐릭터가 얻어맞아 공중으로 붕붕 뜨거나 허공에서 헤엄을 쳐서 앞으로 나아가는 등 코믹하게 과장된 연출과 역동적인 캐릭터의 움직임, 눈을 즐겁게 하는 아크로바틱한 액션씬을 선보인다. 특히 등장인물 중 액션을 담당하는 울프, 피라냐, 특히 다이앤이 괄목할 만큼 현란하고 화려한 액션을 뽐낸다.

기예르모 델 토로도 "2D와 3D를 훌륭하게 합친 작품이다"라는 극찬을 남겼다.

다만, 원작을 아는 사람들은 상술한 원작 파괴작이라는 비판과 함께 원작의 개성을 날려먹고 너무 무난한 영화로 만들었다는 혹평이 많다.

8. 흥행

8.1. 북미

북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2년 15주차 2022년 16주차 2022년 17주차
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배드 가이즈 배드 가이즈
2022년 16주차 2022년 17주차 2022년 18주차
배드 가이즈 배드 가이즈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8.2. 중국

중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2년 19주차 2022년 20주차 2022년 21주차
我是真的讨厌异地恋 배드 가이즈 배드 가이즈
2022년 20주차 2022년 21주차 2022년 22주차
배드 가이즈 배드 가이즈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우주소전쟁 2021
중국 박스오피스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중국 주말 흥행 집계 기준

8.3. 대한민국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rowcolor=#ffffff,#fff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전체 15,292명 15,292명 미집계 159,137,420원 159,137,420원
1주차 2022-05-04. 1일차(수) 15,288명 249,488명 2위 130,769,530원 2,365,608,670원
2022-05-05. 2일차(목) 115,500명 2위 1,113,020,120원
2022-05-06. 3일차(금) 49,696명 2위 456,907,470원
2022-05-07. 4일차(토) 32,661명 2위 316,372,930원
2022-05-08. 5일차(일) 27,980명 2위 271,732,840원
2022-05-09. 6일차(월) 4,529명 3위 41,369,580원
2022-05-10. 7일차(화) 3,834명 3위 35,436,200원
2주차 2022-05-11. 8일차(수) 4,412명 71,779명 5위 37,706,100원 687,137,710원
2022-05-12. 9일차(목) 2,832명 5위 25,641,200원
2022-05-13. 10일차(금) 4,465명 3위 43,332,200원
2022-05-14. 11일차(토) 26,804명 3위 261,410,890원
2022-05-15. 12일차(일) 27,566명 3위 266,273,380원
2022-05-16. 13일차(월) 2,700명 3위 25,833,300원
2022-05-17. 14일차(화) 3,000명 3위 26,940,640원
3주차 2022-05-18. 15일차(수) 1,633명 40,916명 5위 13,595,300원 384,326,850원
2022-05-19. 16일차(목) 1,274명 5위 11,041,900원
2022-05-20. 17일차(금) 2,396명 3위 20,389,300원
2022-05-21. 18일차(토) 15,983명 3위 153,670,060원
2022-05-22. 19일차(일) 17,567명 3위 166,911,790원
2022-05-23. 20일차(월) 1,161명 5위 10,975,300원
2022-05-24. 21일차(화) 902명 5위 7,743,200원
4주차 2022-05-25. 22일차(수) 1,073명 16,128명 6위 7,275,000원 145,875,020원
2022-05-26. 23일차(목) 695명 12위 5,014,500원
2022-05-27. 24일차(금) 1,279명 7위 9,649,100원
2022-05-28. 25일차(토) 5,763명 4위 55,281,130원
2022-05-29. 26일차(일) 6,489명 4위 61,906,820원
2022-05-30. 27일차(월) 449명 9위 3,485,900원
2022-05-31. 28일차(화) 380명 13위 3,262,570원
5주차 2022-06-01. 29일차(수) 276명 1,717명 17위 2,554,200원 12,467,280원
2022-06-02. 30일차(목) 236명 18위 1,292,000원
2022-06-03. 31일차(금) 763명 11위 4,365,600원
2022-06-04. 32일차(토) 119명 23위 1,167,200원
2022-06-05. 33일차(일) 147명 19위 1,444,600원
2022-06-06. 34일차(월) 169명 18위 1,643,680원
2022-06-07. 35일차(화) 7명 53위 64,000원
6주차 2022-06-08. 36일차(수) 5명 926명 58위 43,000원 5,376,220원
2022-06-09. 37일차(목) 56명 39위 304,000원
2022-06-10. 38일차(금) 108명 24위 651,000원
2022-06-11. 39일차(토) 55명 29위 556,020원
2022-06-12. 40일차(일) 55명 22위 528,200원
2022-06-13. 41일차(월) 586명 8위 2,959,000원
2022-06-14. 42일차(화) 61명 22위 335,000원
7주차 2022-06-15. 43일차(수) 1,055명 2,293명 6위 5,289,000원 11,715,000원
2022-06-16. 44일차(목) 556명 13위 2,783,000원
2022-06-17. 45일차(금) 602명 13위 3,215,000원
2022-06-18. 46일차(토) 7명 77위 54,000원
2022-06-19. 47일차(일) 1명 93위 8,000원
2022-06-20. 48일차(월) 0명 -위 0원
2022-06-21. 49일차(화) 72명 36위 366,000원
8주차 2022-06-22. 50일차(수) 582명 1,534명 12위 3,074,000원 7,836,000원
2022-06-23. 51일차(목) 500명 17위 2,500,000원
2022-06-24. 52일차(금) 452명 17위 2,262,000원
합계 누적관객수 400,061명 / 누적매출액 3,779,436,170원[34]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에 이어 2위로 출발했다.
개봉 10일차인 5월 13일에 30만 관객을 돌파했다.
개봉 52일차인 6월 24일에 40만 관객의 돌파로 마무리되었다.

8.4. 일본

[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2022년 10월 2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첫주 박스오피스 5위로 출발했다.
[  개봉 2주차 순위  ]
파일:2022년 10월 3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2주차에 8위로 내려갔다.
[  개봉 3주차 순위  ]
파일:2022년 10월 4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3주차에 9위로 내려가면서 개봉 4주차에 10위 밖으로 나갔다.

8.5. 스페인

스페인 흥행 1위 영화
2022년 10주차 2022년 11주차 2022년 12주차
더 배트맨 배드 가이즈 배드 가이즈
2022년 11주차 2022년 12주차 2022년 13주차
배드 가이즈 배드 가이즈 수퍼 소닉 2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스페인 주말 흥행 집계 기준

8.6.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2년 10주차 2022년 11주차 2022년 12주차
씽2게더 배드 가이즈 배드 가이즈
2022년 11주차 2022년 12주차 2022년 13주차
배드 가이즈 배드 가이즈 배드 가이즈
2022년 12주차 2022년 13주차 2022년 14주차
배드 가이즈 배드 가이즈 배드 가이즈
2022년 13주차 2022년 14주차 2022년 15주차
배드 가이즈 배드 가이즈 배드 가이즈
2022년 14주차 2022년 15주차 2022년 16주차
배드 가이즈 배드 가이즈 노스맨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아르헨티나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8.7. 브라질

브라질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2년 13주차 2022년 14주차 2022년 15주차
모비우스 배드 가이즈 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2022년 16주차 2022년 17주차 2022년 18주차
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배드 가이즈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브라질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8.8. 뉴질랜드

뉴질랜드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2년 15주차 2022년 16주차 2022년 17주차
K.G.F: Chapter 2 배드 가이즈 다운튼 애비: 새로운 시대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뉴질랜드 주말 흥행 집계 기준

9. 기타

  • 배경이 꽤 독특한데, 주연+중요인물 2인 단 7인만이 동물이고 나머지는 모두 인간이며, 두 발로 서서 다니며 말을 할 줄 아는 수인과 평범한 일반 동물이 공존하는 세상이다. 이 점은 Talking Tom and Friends와 비슷하다.
  • 캐릭터 디자인도 일관성이 없어서 물고기인 샤크와 피라냐가 물 밖에서 멀쩡히 활동하는 것도 모자라 사람 사지처럼 생긴 팔다리를 달고 있는가 하면, 뱀인 스네이크는 또 팔다리가 없이 뱀다운 모습이다.
  • 주토피아, 씽2게더 때와 마찬가지로, 매력적인 동물 캐릭터 디자인으로 트레일러가 공개되자마자 퍼리 팬덤의 눈길을 사로잡아 수 많은 팬아트들이 쏟아져 나왔다. 보통 인상적이었던 주연급 인물들의 팬아트 생산속도를 생각하면, 퍼리 팬덤이 아닌 타 팬덤에서도 임펙트가 있었는지 주토피아보다도 훨씬 빨랐다. 동시에 주조연 암컷 여우인 '다이앤 폭싱턴'이, 가장 큰 주목을 받아 주연급 인물들을 재치고 인기와 팬아트 생산속도가 바이러스마냥 불어났다.(...)
  • 세상의 선입견 탓에 자의 반 타의 반 악역의 삶을 살던 능글맞은 성격의 남자 주인공이 갱생하는 데 성실한 성격의 여자 주인공이 기여한다는 내용은 마치 주토피아의 두 주연 관계와 플롯을 연상시킨다.[35][36]
  • 더빙판에서는 생략되었지만 원판에서는 배드 가이즈 멤버들 이름 앞에 미스터/미스가 있다.
  • 전체적인 분위기는 진지한 느낌이 덜하고 크게 어둡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익살스러운 파티같은 분위기를 보여준다. 캐릭터의 그림체는 "Wonder Boy: The Dragon's Trap" 등 2010년 이후 유행한 그림체에 가까우며 카툰렌더링의 평면느낌에 종이 질감을 주고 의도적으로 프레임을 낮추기도 하여서 3D임에도 2D 애니메이션 비주얼로 완성되어 눈을 즐겁게 한다.[39][40]
  • 원작과 비교하면 전체적으로 큰 틀의 플롯만 비슷할뿐 완전히 다른 작품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특히 캐릭터 디자인 면에서는 주연들의 종족만 빼고 아주 싹 갈아엎어, 원작의 우스꽝스런 모습을 찾기 힘들다.
  • 울프와 다이앤의 커플댄스는 펄프 픽션의 댄스장면과 닮았고 비스타즈의 오프닝 Wild Side에 맞춰 추는 팬영상도 유명하다.
  • 홀리데이 스페셜 에피소드 '배드 가이즈: 최악의 크리스마스'가 2023년 11월 30일에 넷플릭스로 공개됐다.
}}} ||
본편의 과거를 다룬 프리퀄로, 원판 성우들은 물갈이가 됐고, 그래픽이나 애니메이션, 그리고 약간의 개연성 부족[41] 등 전체적인 퀄리티가 낮아진 만큼 평은 좋지 않다. 낮은 예산으로 본편의 작화를 어떻게해서든 구현하려다 대실패한 듯 보인다.
  • 속편 제작이 확정되었다. 크리스마스 단편과 달리 다시 기존의 배우들과 제작진들이 맡아 2025년 8월 1일 개봉 예정.#

10. 원작 만화책

책이 먼저 나왔다. 작가는 영화의 책임 프로듀서를 맡았던 애런 블레이비이며, 현재 원판 기준 18권까지 나왔다.

이 원작 만화책에서는 9권과 10권에서 배드 가이즈의 진짜 이름이 나왔다. 울프는 모리스, 툴라는 스티비, 샤크는 루, 피라냐는 페페.[42]


[1] 트로픽 썬더, 마다가스카 2, 맨 인 블랙 3의 각본가.[2]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의 음악을 맡았다.[3] 2022년 4월 30일~5월 1일까지 유료 시사회를 진행했다.[4] 3D 기반 2D라고 보면 된다. 그래서 3D느낌에 2D적인 연출이 묻어나는 것.[5] 어린이의 경우 보호자 지도 권고/7세 이상[6] '래리킨스'라는 이름의 장편 애니메이션으로 구상되었다가 무산된 후 단편으로 만들어졌다.[7] 몇몇 영화에서 단역 배우로 활동한 적이 있었으나 그만두고 작가가 되었다.[8] 어느 정도냐면 대충 작중 타이밍이 일치하는 1-4권까지만 따져도 디자인에서는 단순한 묘사를 좀 더 귀엽게 한 정도가 아니라 원작에서 순수 물고기 형태이던 피라냐가 팔다리가 달린 형태가 됐고 설정 면에서는 원래의 배드 가이즈는 검은색 양복을 세트로 차려입는데 영화에서는 울프가 흰색 양복을 입는 걸 빼면 아무도 안 입으며 영화에서 폭싱턴의 정체였던 크림슨 포는 아예 없던 캐릭터(...)고 원래 영화에는 안 나오는 슈퍼 스쿼드 G 라는 비밀 국가단체의 스파이 요원이였던 데다가 정치도 안 했고 안경캐도 아니었으며 애초 원작에서는 개과천선하기로 한 것도 배드 가이즈 측에서 자발적으로 한 짓이었으며 타란툴라는 성전환을 당했고(...) 심지어 고양이였던 뉴스 기자 티파니 플러피트는 그냥 종이 인간으로 전환되는(...) 수난을 겪어야 했으며(...)[43] 원래 우주 초고대문명의 왕자였던 외계인이 기니피그로 위장한 모습이던 마멀레이드는 그냥 기니피그로 강등당했고 원래 순수 동물이 지배하던 원작과 달리 인간에게도 터전을 빼앗겼고 원래는 우주에서 우주 초 거대 공격 본부를 파괴하는 활약을 펼쳤어야 할 배드 가이즈는 그냥 지구에서 노는 등(...) 진짜 다르다. 하물며 캐릭터들의 인상도 다 미세하게 바뀌었다.[9] 배경음악은 빌리 아일리시bad guy[10] 1963년 9월 27일생. 미국의 유명 코미디언. 조커DC 리그 오브 슈퍼-펫에도 출연했다.[11] 어떤 펫샵에 침투해서 그 안에 있는 모든 쥐와 카나리아, 기니피그를 잡아먹고는, 가게 주인과 그를 도우려던 의사와 또 그를 도우려던 경찰을 잡아먹으려 했고, 경찰을 도우려던 경찰견까지(...) 잡아먹었다.[12] 베프인 울프와는 무려 26살 차이가 난다. 배경이 나이에 관해 별 신경쓰지 않는 서구권임을 감안해도 허물없이 지내는 것이 신기한 정도.[13] 1971년 10월 25일생. D-WAR의 브루스 역으로 알려진 배우. 여기서나 저기서나 뱀이랑 엮인다[14] 전과기록에선 말 그대로 무엇이든, 누구든 먹을 수 있다고 나온다. 심지어 유명 휴양지마다 상주한다고 한다..[15] 평소엔 의외로 온순하지만, 이게 걸리면 정말 목숨걸고 달려들어서 싸운다. 정말 좋아하는 듯.[16]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에서 노아 디아즈목소리를 맡았다.[17] The Piranha brothers Gang. 무려 900,543명의 멤버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무력이 발달한 것으로 보이며, 과거 죄목에는 여행객들을 잡아먹음이라고 되어 있다![18] 담당 배우 앤서니 라모스는 원래 가수 출신인 데다가, 뮤지컬 영화 인 더 하이츠에서 주인공 우스나비 데 라 베가 역을 맡기도 했다.[19] 더빙판에서는 툴라.[20] 원수동네 애니메이션에서 시수목소리를, 이후엔 쿵푸팬더 4을 맡았다.[21] 영미권 시청자들은 기타 멤버들이 그녀를 부르는 지칭 등으로 여자인 걸 알 수 있었지만, 자막으로 보는 사람들은 그런 거 모르니까 단순 저연령이라 착각할 만한 중성적인 목소리와 외양 탓에 남자로 착각하는 사람이 많다.[22] 더빙판에서는 다이앤 폭스.[23] 1977년 5월 23일생. 소울의 제리와 IT 크라우드의 모리스 모스 역으로 알려진 배우.[24] 그래서 사람들에게 '마멀레이드 교수(Professor Marmalade)'라고 불리지만, 자막과 더빙판에서는 '마멀레이드 박사'라고 불리는 것으로 나온다.[25] 울프가 지나가면서 파티에 참석한 할머니들의 목걸이들을 몰래 소매치기 하는 모습을 보면 유독 한 할머니가 지나치게 작은데 알고보니 그가 변장한 것임이 밝혀진다.[26] 1971년 2월 15일생. 패밀리 가이로이스 그리핀 역으로 알려진 배우. 본작에서는 로이스 특유의 째지는 소리 대신 호탕하고 거친 중년의 목소리를 낸다.[27] 더빙판 성우는 메가마인드에서 록산 리치를 맡았고, 다이앤 폭싱턴의 일본판 성우가 록산 리치의 일본판 목소리를 맡았다.[28] 그래서 작중에서는 '서장님(Chief)'으로 불리며, 본명으로 불리는 장면은 없고 울프가 미술관에서 황금 돌고래 훔치기 작전을 실행하던 중 그녀에게서 훔친 카드키에 이름이 적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29] 변장한 울프가 카드키를 소매치기하려는 목적으로 뒤에 부딪쳤을 때 거의 앞으로 고꾸라질 뻔 했지만 웃으면서 괜찮다며 아무렇지 않게 넘어가거나, 변장한 샤크가 시간을 끌려고 주위를 끌 때 놀라울 정도로 나긋나긋한 목소리로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 등, 기본적으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행동할 때는 다른 사람 수준으로 친절해진다.[30] 오히려 배드가이즈의 악행 전과들을 생각해 보면 그들을 잡아야 하는 경찰 입장에서 화내지 않는 게 더 이상하긴 하다.[31] 더빙판에서는 보송보송 티파니.[32] 피라냐의 테마곡.[33] 스네이크의 몸이 끼어있는 상태에서 피라니아가 주변 시선을 돌리기 위해 무대로 올라가서 부르는 곡이다.[34] ~ 2022/06/24 기준[35] 주토피아의 남자 주인공 닉 와일드는 육식 동물에 대한 사회의 두려움과, 교활한 여우라는 선입견에 의해 상처를 입고 사회가 자신을 바라보는 대로 사기꾼의 길을 걸었고, 본작의 울프는 세상이 자신과 친구들을 괴물로 보지 말았으면 하는 마음을 갖고 있었지만 수많은 동화를 포함한 온갖 매체에서 늑대를 악역으로 표현하는 등 태어나기 전부터 악당으로 낙인찍히자 그저 그런 처지를 받아들여 살고 있었다.[36] 주토피아의 주디 홉스는 닉 와일드와 완전히 반대의 위치에 선 삶을 살아왔다보니 의도치 않게 닉에게 상처를 준 전적이 있어 갈등 구조가 생기는 데 반해, 본작의 다이앤 폭싱턴은 미스터 울프와 같은 처지였던지라 그에게 상처를 주는 일 없이 너그러이 그를 감화시켰다.[37] 주인공들의 이름에 미스터가 들어가는것부터 저수지의 개들의 오마주.[38] 다만 기니피그를 먹는 이유에 '상징성'을 논하는 스네이크의 말을 들어보면 본작의 주제와 마냥 상관이 없지는 않다.[39] 그렇다보니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가 연상된다는 반응도 많다.[40] 이후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에서도 이러한 스타일으로 나간 거 보면 드림웍스의 차세대 액션 스타일으로 나갈것으로 보인다.[41] 분명 배드 가이즈는 뭐든 도둑질을 하는 걸 즐기는데, 여기서는 오하려 산타 풍선이 실수로 배드 가이즈의 차에 매달리니까 훔치려 안 하고 오히려 떼어내려 하는 등...[42] 스네이크의 진짜 이름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스네이크의 진짜 이름은 그냥 스네이크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