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21:09:37

트랜센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만의 반도체 회사에 대한 내용은 트랜센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일본의 경주마에 대한 내용은 트랜센드(말)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png
{{{#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일반
메인 페이지 | 출시 과정 | 등장인물 | 우마무스메 목록 | 우마무스메 분류 | 트레센 학원 관계자 | 설정 (트레센 학원)
인게임 정보
캐릭터 인게임 정보 | 시스템 | 능력치 | 미션 및 칭호 | 별명
URA | 아오하루배 | 클라이맥스 | 그랜드 라이브 | 그랜드 마스터즈 | 프로젝트 L'Arc | U.A.F. | 대풍식제
이벤트
스토리 이벤트 | 레전드 레이스 | 챔피언스 미팅 (1회차2회차3회차4회차)
애니메이션 (1기우마욘2기우마유루RTTT3기극장판)
만화 (신데렐라 그레이 | 스타 블로섬) | 음반 (STARTING GATE) (애니메이션) (WINNING LIVE)
| 도주 시스터즈 | 열혈 우당탕탕 대감사제!
기타
공식 홈페이지 | 일섭갤 | 한섭갤 | 트레센갤 | 채널 | 사건 사고 | 원화가 트위터 논란 | 2022년 한섭 운영 미숙 파동 (전개 (10월 이후)간담회환불 소송 사건) | 평가 | 경마계 영향 | 2차 창작 | 한자 표기 | 라이브
}}}}}}}}}}}} ||


파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우마무스메 목록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 color=#373a3c,#dddddd> [[스페셜 위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스페셜 위크.png
]]
[[사일런스 스즈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일런스 스즈카.png
]]
[[토카이 테이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토카이 테이오.png
]]
[[마루젠스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마루젠스키.png
]]
[[후지 키세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후지 키세키.png
]]
[[오구리 캡(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오구리 캡.png
]]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골드 쉽.png
]]
스페셜 위크 [[사일런스 스즈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토카이 테이오 마루젠스키 후지 키세키 오구리 캡 골드 쉽
[[보드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보드카.png
]]
[[다이와 스칼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다이와 스칼렛.png
]]
[[타이키 셔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타이키 셔틀.png
]]
[[그래스 원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그래스 원더.png
]]
[[히시 아마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히시 아마존.png
]]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맥퀸.png
]]
[[엘 콘도르 파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엘 콘도르 파사.png
]]
보드카 다이와 스칼렛 타이키 셔틀 그래스 원더 히시 아마존 메지로 맥퀸 엘 콘도르 파사
[[티엠 오페라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티엠 오페라 오.png
]]
[[나리타 브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나리타 브라이언.png
]]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심볼리 루돌프.png
]]
[[에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에어 그루브.png
]]
[[아그네스 디지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아그네스 디지털.png
]]
[[세이운 스카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세이운 스카이.png
]]
[[타마모 크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타마모 크로스.png
]]
티엠 오페라 오 [[나리타 브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심볼리 루돌프 에어 그루브 [[아그네스 디지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세이운 스카이 타마모 크로스
[[파인 모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파인 모션.png
]]
[[비와 하야히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비와 하야히데.png
]]
[[마야노 탑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마야노 탑건.png
]]
[[맨하탄 카페|
파일:프로필 이미지 맨하탄 카페.png
]]
[[미호노 부르봉(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미호노 부르봉.png
]]
[[메지로 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라이언.png
]]
[[히시 아케보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히시 아케보노.png
]]
파인 모션 비와 하야히데 마야노 탑건 맨하탄 카페 미호노 부르봉 메지로 라이언 히시 아케보노
[[유키노 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유키노 비진.png
]]
[[라이스 샤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라이스 샤워.png
]]
[[아이네스 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아이네스 후진.png
]]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아그네스 타키온.png
]]
[[어드마이어 베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어드마이어 베가.png
]]
[[이나리 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이나리 원.png
]]
[[위닝 티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위닝 티켓.png
]]
유키노 비진 라이스 샤워 아이네스 후진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어드마이어 베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이나리 원 위닝 티켓
[[에어 샤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에어 샤커.png
]]
[[에이신 플래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에이신 플래시.png
]]
[[카렌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카렌짱.png
]]
[[카와카미 프린세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카와카미 프린세스.png
]]
[[골드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골드 시티.png
]]
[[사쿠라 바쿠신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쿠라 바쿠신 오.png
]]
[[시킹 더 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시킹 더 펄.png
]]
에어 샤커 에이신 플래시 카렌짱 [[카와카미 프린세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골드 시티 [[사쿠라 바쿠신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px"]] 시킹 더 펄
[[신코 윈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신코 윈디.png
]]
[[스윕 토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스윕 토쇼.png
]]
[[슈퍼 크릭(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슈퍼 크릭.png
]]
[[스마트 팔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스마트 팔콘.png
]]
[[젠노 롭 로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젠노 롭 로이.png
]]
[[토센 조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토센 조던.png
]]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나카야마 페스타.png
]]
신코 윈디 스윕 토쇼 슈퍼 크릭 스마트 팔콘 젠노 롭 로이 토센 조던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나리타 타이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나리타 타이신.png
]]
[[니시노 플라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니시노 플라워.png
]]
[[하루 우라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하루 우라라.png
]]
[[뱀부 메모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뱀부 메모리.png
]]
[[비코 페가수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비코 페가수스.png
]]
[[마블러스 선데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마블러스 선데이.png
]]
[[마치카네 후쿠키타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마치카네 후쿠키타루.png
]]
나리타 타이신 니시노 플라워 하루 우라라 뱀부 메모리 비코 페가수스 [[마블러스 선데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마치카네 후쿠키타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미스터 시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미스터 시비.png
]]
[[메이쇼 도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이쇼 도토.png
]]
[[메지로 도베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도베르.png
]]
[[나이스 네이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나이스 네이처.png
]]
[[킹 헤일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킹 헤일로.png
]]
[[마치카네 탄호이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마치카네 탄호이저.png
]]
[[이쿠노 딕터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이쿠노 딕터스.png
]]
미스터 시비 메이쇼 도토 메지로 도베르 나이스 네이처 킹 헤일로 [[마치카네 탄호이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이쿠노 딕터스
[[메지로 파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파머.png
]]
[[다이타쿠 헬리오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다이타쿠 헬리오스.png
]]
[[트윈 터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트윈 터보.png
]]
[[사토노 다이아몬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토노 다이아몬드.png
]]
[[키타산 블랙(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키타산 블랙.png
]]
[[사쿠라 치요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쿠라 치요노 오.png
]]
[[시리우스 심볼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시리우스 심볼리.png
]]
메지로 파머 [[다이타쿠 헬리오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트윈 터보 [[사토노 다이아몬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키타산 블랙 [[사쿠라 치요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px"]] [[시리우스 심볼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메지로 아르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아르당.png
]]
[[야에노 무테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야에노 무테키.png
]]
[[츠루마루 츠요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츠루마루 츠요시.png
]]
[[메지로 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브라이트.png
]]
[[데어링 택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데어링 택트.png
]]
[[사쿠라 로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쿠라 로렐.png
]]
[[나리타 탑 로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나리타 탑 로드.png
]]
메지로 아르당 야에노 무테키 [[츠루마루 츠요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메지로 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데어링 택트 사쿠라 로렐 나리타 탑 로드
[[야마닌 제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야마닌 제퍼.png
]]
[[푸리오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푸리오소.png
]]
[[트랜센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트랜센드.png
]]
[[에스포와르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에스포와르 시티.png
]]
[[노스 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노스 플라이트.png
]]
[[심볼리 크리스 에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심볼리 크리스 에스.png
]]
[[타니노 김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타니노 김렛.png
]]
야마닌 제퍼 푸리오소 트랜센드 [[에스포와르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노스 플라이트 [[심볼리 크리스 에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타니노 김렛
[[다이이치 루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다이이치 루비.png
]]
[[메지로 라모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라모누.png
]]
[[애스턴 마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애스턴 마짱.png
]]
[[사토노 크라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토노 크라운.png
]]
[[슈발 그랑(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슈발 그랑.png
]]
[[비르시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비르시나.png
]]
[[비블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비블로스.png
]]
다이이치 루비 메지로 라모누 애스턴 마짱 사토노 크라운 슈발 그랑 비르시나 비블로스
[[단츠 플레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단츠 플레임.png
]]
[[케이에스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케이에스 미라클.png
]]
[[정글 포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정글 포켓.png
]]
[[노 리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노 리즌.png
]]
[[스틸 인 러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스틸 인 러브.png
]]
[[코파노 리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코파노 리키.png
]]
[[홋코 타루마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홋코 타루마에.png
]]
단츠 플레임 [[케이에스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정글 포켓 노 리즌 스틸 인 러브 코파노 리키 홋코 타루마에
[[원더 어큐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원더 어큐트.png
]]
[[삼손 빅(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삼손 빅.png
]]
[[사운즈 오브 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운즈 오브 어스.png
]]
[[로이스 앤드 로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로이스 앤드 로이스.png
]]
[[카츠라기 에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카츠라기 에이스.png
]]
[[네오 유니버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네오 유니버스.png
]]
[[히시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히시 미라클.png
]]
원더 어큐트 삼손 빅 [[사운즈 오브 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px"]] [[로이스 앤드 로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2px"]] [[카츠라기 에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네오 유니버스 히시 미라클
[[탭 댄스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탭 댄스 시티.png
]]
[[두라멘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두라멘테.png
]]
[[라인 크라프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라인 크라프트.png
]]
[[세자리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세자리오.png
]]
[[에어 메사이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에어 메사이어.png
]]
[[데어링 하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데어링 하트.png
]]
[[오르페브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오르페브르.png
]]
탭 댄스 시티 두라멘테 라인 크라프트 세자리오 에어 메사이어 데어링 하트 오르페브르
[[젠틸돈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젠틸돈나.png
]]
[[윈 바리아시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윈 바리아시옹.png
]]
젠틸돈나 윈 바리아시옹
[ 삭제된 우마무스메 ]
{{{#!wiki style="margin:-16px -11px -16px" 부에나 비스타 딥 임팩트 킹 카메하메하
}}}||}}}}}}}}}

파일:우마무스메_트랜센드(교복).png
자, 정보교환 해볼까.
신작 과자라도 먹으면서 말야
Transcend
トランセンド
트랜센드
츠카다 유이
3월 9일
164cm
기밀 사항
B86 · W57 · H84
서브컬처를 좋아하는 정보통 우마무스메.
새로운 것은 못 참고, 특히 최신 가제트를 좋아한다.
호기심 왕성하여, 오싹거리는 것이나 행동을 매일 추구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높아서, 어떤 모임에도 슬그머니 얼굴을 내밀어서 회화를 즐기며 정보를 모으고 있다.

1. 개요2. 캐릭터 소개3. 애플리케이션
3.1. 프로필3.2. 인게임 정보3.3. 작중 행적
4. 기타
4.1. 도호쿠 대지진과의 관계

[clearfix]

1. 개요

이미지의 너머, 가보자고!
샘플 보이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우마무스메. 모티브는 동명의 경주마 트랜센드.

2. 캐릭터 소개

공식 이미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승부복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우마무스메_트랜센드(승부복).png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원안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c1d1f> 파일:우마무스메_트랜센드(원안).png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무대의상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c1d1f>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

서브컬쳐와 최신 가제트(전자장비)를 좋아하며 정보 수집에도 능한 우마무스메. 서브컬쳐를 좋아한다는 설정은 마명(馬名)과 같은 이름의 미디어 생산업체트랜센드란 업체가 존재한다는 것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원본마가 당시 신설된 중상 레이스인 레퍼드 스테이크스(2009년)와 미야코 스테이크스(2010년)에서 초대 우승을 차지했다는 점, 2011년에 도쿄 경마장에서 열린 2개의 더트 G1 레이스를 모두 우승했다는 점[1] 등, 여러모로 특이한 최초 타이틀을 기록했다는 부분은 최신 가제트를 좋아하거나 정보 수집에 능하다는 설정으로 반영됐다.

트레센 학원 내에서도 트레이너와의 연애 농도가 상당히 짙은 것으로 유명한 우마무스메로, 서브컬쳐에 종종 나오는 '취미가 맞아서 교우를 가지게 되었다가 정신 차려 보니 연인 관계까지 이어진 커플' 같은 분위기라는 평가가 꽤 많다. 애초에 스토리 시작부터 거리감이 엄청나게 가깝기도 하고, 육성 시 대사 중엔 자기 가방에서 물건을 찾아 달라는 내용도 있는지라,[2] 거의 소꿉친구 출신 커플 분위기를 풍긴다. 이러다 보니 유저들 사이에선 트랜센드와 트레이너가 사실 소꿉 친구란 설정인 것 아니냐는 루머도 돌 정도인데, 육성 이벤트 중에 트랜센드가 따라 한 영화의 대사가 이런 루머를 부추기기도 했다. 공식이 괴문서 소재를 제공 중... 참고로 트랜센드가 트레이너를 부르는 호칭은 '트레짱', 일인칭은 '우치(ウチ)'다.

3. 애플리케이션

트레센 학원 학생 소개 Vol.94 「트렌센드」

3.1. 프로필

초기 해방
두근두근하고 싶어! 미지를 찾는 정보원 씨
그런고로, 잘 부탁해~ 트레짱♪ 두근두근 콩닥콩닥한 거, 같이 찾으러 가자~.
고등부
릿토 생활관
친밀도 랭크 1
164cm
기밀 사항
3월 9일
친밀도 랭크 2
영상 편집, 젓가락질, 실뜨기
예정조화,[3] 풍선껌
친밀도 랭크 3
한 번 들으면 절대 안 잊음!
신작 꼬리 케어 용품의 실험 대상으로 만들기 십상.
친밀도 랭크 4
좌우 모두 25.5cm
친밀도 랭크 5
부모님의 SNS는 굳이 팔로우하지 않는다.

3.2. 인게임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트랜센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작중 행적

개인 스토리는 벌써부터 죽마고우처럼 지내는 트랜센드와 주인공 트레이너의 대화에서 시작된다. 알고 보니 트랜센드와 트레이너는 과거에 몇번 취미생활을 하면서 우연찮게 만났고 트레센 학원의 학생과 트레이너라는 만나기 쉬운 위치인지라 금방 친해지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자신의 전속 우마무스메를 못 찾고 있던 트레이너에게 트랜센드가 정보를 제공해주면서 그 보답으로 새로 발매되는 과자를 나눠먹으면서 사이좋게 지내는 관계가 된다. 그러나 트랜센드가 계속 주는 정보에서도 이거다 하는 느낌이 오는 우마무스메가 없어서 고민하고 있었는데, 어느날 연습하는 트랜센드의 달리기를 보고 그녀에게 끌리면서 스카우트 하기로 맘 먹지만 너무 친해져서 스카우트 이야기를 꺼내기 미묘한 상황이 된다. 여기에 그 동안 트레이너가 스카우트 할 아이를 찾아 다닐때 트랜센드가 자기를 어필한 적이 한번도 없다보니 그녀에게 거부당하면 어쩔까 고민하기도 한다.

트랜센드 역시 자질 자체는 뛰어나서 여기저기 스카우트 제의를 받는 상태였으나 그녀의 목적은 이기는게 아니고 레이스의 더 먼 앞으로 가는 것. 어릴때부터 그 앞에 무엇이 있을까라면서 궁금해하던 그녀는 레이스에서도 마찬가지 였던 것. 그냥 이기는 것에 주안점을 준 다른 트레이너들은 그녀의 맘에 들지 않았다. 그러나 마침 알고 지내던 주인공 트레이너가 자신의 트레이너로서 맞는게 아닐까 고민하게 된다. 실지로 조금 생각해보니 마냥 나쁘지만 않은 상태.

그러던 어느날 트레이너가 거부당하더라도 트랜센드를 스카우트 하려고 각오했을 때 트랜센드가 어느 우마무스메에 대한 비장의 정보를 알려준다면서 트레이너를 데리고 다니며 카페와 유원지를 시작으로 데이트를 하게 된다. 그제서야 이 데이트의 내용이 트랜센드가 자신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고 있다는 걸 알게 된 트레이너는 트랜센드에게 '스카우트 하고 싶은 우마무스메가 있다'고 고백하고 그 순간 트레이너가 자신을 스카우트하려는 걸 알게 된 트랜센드는 그대로 평소처럼 회화하면서 둘은 함께 걸어가게 된다. 그냥 둘이 결혼해라

그래서 전속 계약을 하게 되었는데, 육성 스토리를 보면 데뷔 직전까지도 전속 계약 신청서를 안 냈었던 모양(...). 물론 척하면 착하는 관계가 된 둘인지라, 트랜센드가 "계약서 써야 하지 않나?"했던 시점엔 트레이너가 예전에 받아 둔 신청서로 이미 전속 계약을 신청해뒀다고 한다.

육성 스토리는 전반적으로 트랜센드와 트레이너가 레이스 앞의 경지를 찾아가면서, 지진으로 인해 모두가 절망할 때 희망을 주기 위해 달리는 이야기가 전개된다.

4. 기타

  • 원본마는 노스 힐즈 소속으로, 같은 노스 힐즈 소속인 스틸 인 러브, 노 리즌과 같은 날짜에 공개되었다. 우마무스메로의 공개 직후엔 노스 힐즈 공식 X 계정에서 관련 트윗을 게시하며 반응해주기도 했다. #
  • 트랜센드에 대한 첫 떡밥은 원더 어큐트의 굿 엔딩에서 먼저 나오긴 했었다. 원더 어큐트와 비슷한 시대에 활약했던 더트계 우마무스메들이 인터뷰를 하는 장면에서 '우마무스메 F', '우마무스메 T', '우마무스메 E'가 등장하는데, 이중 '우마무스메 T'의 정체가 바로 트랜센드였던 것. #
  • 원본마는 반도체 업체인 트랜센드와 우연찮게 이름이 동일하단 점에서 인연이 있었는데, 현역 당시에 트랜센드가 승리하면 트랜센드 재팬에서 트위터를 통해 축하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이 인연은 우마무스메 트랜센드에게도 이어져서, 우마무스메 트랜센드가 공개되자 트랜센드 재팬에서 가제트를 좋아한다는 점이 친숙하게 느껴진다는 트윗을 남기기도 했다. #1 #2 이후에 트랜센드의 육성 우마무스메 출시가 예고된 날에도 해당 트윗을 리트윗했으며, #3 출시일인 다음날에는 한 직원이 천장을 쳤다는 트윗이 올라오기도 했다. #4
  • 3주년 파카 라이브 방송에서 공개됐던 신규 우마무스메들 중에선 가장 주목을 못 받았지만, 그 중에서 육성 우마무스메 출시는 제일 빨리 된데다, 잘 뽑인 디자인과 캐릭터캐릭터성 및 스토리에 힘입어 인기가 수직상승했다. 첫 공개 이후 육성 우마무스메 출시 전까지 픽시브에 등록된 팬아트는 30개 정도에 불과했으나, 육성 우마무스메 출시 직후부터 12일 동안 등록된 팬아트는 592개로 엄청나게 늘어났다. # 이는 '편안하게 취미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절친한 관계를 가지다 어찌어찌 끝까지 가버린 오타쿠계 올드커플 느낌'이란 이미지가 남녀 불문하고 우마무스메 팬덤에 직격타를 날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2024년 모 업체에서 매긴 '골든 위크 동안 팔린 동인지 집계 TOP5'에선 1-3-4등이 트랜센드 동인지로 도배되는 등, # 공식의 별다른 푸시 없이도 선풍적인 인기몰이를 계속해서 이어가고 있다.
  • 비와 하야히데, 젠노 롭 로이 등과 같이 안경을 착용한 우마무스메지만, 트랜센드의 안경을 자세히 보면 일반적인 경우와는 달리 반사광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알이 없는 패션 안경을 착용한다는 소리. # 다만 승부복을 입을 때만은 안경을 벗는데, 승부복을 입을 때는 진심으로 뛸 때니까 안경을 벗는 것이라는 언급을 직접 한다. # 한편 알이 없는 안경을 착용하니 파워 트레이닝 실패 시엔 진흙이 눈에 튀어 나뒹구는 연출이 나올 것 같지만, 의외로 알이 큰 안경을 쓴 우마무스메와 동일한 연출(안경알에 진흙이 튀면서 시야가 가려 그 자리에 멈춰서는 연출)이 사용된다. #
파일:사복_트랜센드.png* 사복과 승부복을 펑퍼짐하게 입어서 작아 보이지만, 미호노 부르봉과 같은 사이즈의 몸매를 자랑한다. 교복 등의 공용 복장을 입혀보면 좀 더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 부모님은 영화 감독이라고 한다. 원본마의 모마(母馬) 이름인 '시네마 스코프'의 '시네마'에서 모티브를 따온 설정인 것으로 보인다.
  • 카키고오리[4]에는 단연 블루 하와이(푸른색의 소다맛 시럽)파라고 한다. 어렸을 때부터 다른 시럽을 고르면 할머니가 슬퍼해서 쭉 이것만 먹어 왔다고 하는데, 원본마의 외할머니가 '블루 하와이'란 이름이라는 점에서 따온 네타라고.
  • 고유 스킬 연출을 보면 모니터 화면에서 열리는 폴더에 데포르메된 트렌센드의 얼굴이 다수 등장하는데, 이는 일본의 인터넷 밈 캐릭터인 윳쿠리를 패러디한 것이다. 트렌센드가 서브컬쳐를 좋아한다는 설정에 더해, 원본마의 자마 중엔 해당 윳쿠리 캐릭터의 대표격인 하쿠레이 레이무와 같은 이름인 레이무란 말이 있기 때문에 나온 네타다.
  • 룸메이트는 원더 어큐트로, 09세대 동기이다. 전자기기나 최신 문화에 빠삭한 트랜센드와 반대로 전자기기엔 서투른 어큐트가 같은 방을 쓰는 사이라는 점이 알려지면서, 평소엔 다른 우마무스메를 챙겨주는 어큐트를 되려 트랜센드가 챙겨주는 식의 2차 창작이 나오기도 했다. # 그리고 공교롭게도 트랜센드의 일본 서버 픽업 기간과 원더 어큐트의 한국 서버 픽업 기간이 서로 겹치기도 했다.[5] #

4.1. 도호쿠 대지진과의 관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이 발생했던 2011년도는, 트랜센드의 원본마가 여러 더트 G1/Jpn1 레이스에서 우승 또는 2착이란 준수한 성적을 거두며 선전했던 해이기도 하다. 특히 캐릭터 소개 항목에서도 언급했듯 마일 챔피언십 남부배 우승이란 위업은 도호쿠 대지진의 영향으로 다른 경마장에서 개최됐을 때 우승했던 것이기 때문에, 우마무스메 트랜센드의 육성 스토리에서도 이에 대한 언급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일본 사회에 엄청난 충격을 가져왔던데다 비교적 최근에 일어났던 재해였기에 본작에서도 이에 대한 언급을 피할 것이라 보았으나, 육성 우마무스메 출시 당일 올라온 트윗에선 "재해에 대한 언급이 나오므로 이에 대한 유저분들의 양해를 바란다"라고 언급하며 정면 돌파를 했다.

트윗에서 안내한대로 트랜센드의 육성 스토리에선 도호쿠 대지진 당시 장면이 직접적으로 묘사되는데, 시니어급 3월 전반에 고정 발생하는 '그 날, 세계는 색을 잃었다(その日、世界は色を失くした)' 이벤트에선 지진 관련 내용을 비중 있게 다룬다. 사실 원본마는 도호쿠 대지진 직전에 두바이 원정을 위해 일본을 떠나있었지만, 해외 레이스가 구현되지 않은 본작에선 트레센 학원에 머무르고 있다가 대지진을 직접 경험하는 것으로 묘사됐다.[6] 그리고 이때를 기점으로 트랜센드는 재해 복구와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것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후의 육성 스토리 내내 관련된 내용들이 꾸준히 언급되며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한편 모리오카 경마장은 상술했듯이 도호쿠 대지진의 영향으로 큰 경기를 개최할 여건이 되지 않았고, 그래서 2011년도 마일 CS 남부배는 도쿄 경마장에서 대신 개최했었다. 인게임에서도 이를 고증하여, 트랜센드의 육성 목표인 시니어급 마일 CS 남부배(목표8)는 도쿄에서 개최된다.

굿 엔딩에서는 두바이 국제 G1에 원정을 떠나는 것으로 나오는데, 여기서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우마무스메 2명과 함께 일본 대표로서 힘을 모아 이기자며 결의를 다진다. 그리고 일본 우마무스메가 1, 2착을 해내는데 이 중 2착이 트랜센드였고, 트랜센드는 재해 복구로 힘들어하는 일본을 위한 메시지라면서 'HOPE'를 외친다. 이 경기는 2011년 두바이 월드컵을 모티브로 하고 있으며, 이름이 드러나지 않은 일본 우마무스메 둘은 당시 트랜센드와 같이 일본 대표로 두바이 월드컵에 출전했던 빅투아르 피사부에나 비스타이다. 이때 두바이 월드컵을 위해 떠난 트랜센드 측 스텝들이 입고 다니던 티셔츠에 'HOPE' 문구를 새겼던 점, 당시 우승마인 빅투아르 피사에 기승했던 미르코 데무로 또한 "이 승리를 전 일본인에게 바친다"라며 지진으로 힘겨워하던 사람들에게 큰 용기를 주었던 점, 대지진이 일어난지 2주일 뒤에 치러진 국제 G1 레이스에서 일본 경주마들이 좋은 성적을 거뒀던 점 등, 지진 피해로 고통받던 일본에 큰 희망을 안겨줬던 것이 굿 엔딩 스토리에 여럿 반영되었다.

여담으로 트랜센드는 3주년 파카 라이브 방송에서 처음 공개된 지 단 19일만에 육성 우마무스메로 출시됐었는데,[7] 이는 도호쿠 대지진이 육성 스토리에서 차지하는 비중 때문이라는 해석이 있다. 상술했듯이 스토리 내에서 재해 관련 언급이 나오고 꽤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데, 이 때문에 대지진 13주년(3월 11일) 다음날인 2024년 3월 12일의 픽업에 맞추려다보니 서둘러 출시하면서 19일만의 출시라는 대기록(?)이 나오게 됐다는 것.


[1] 마일 챔피언십 남부배는 원래 모리오카 경마장에서 개최되는 레이스였으나, 원본마가 활동할 당시엔 도호쿠 대지진으로 인해 도쿄 경마장에서 임시 개최됐다. 도쿄 경마장에서 2개의 더트 G1 레이스가 개최된 것도 이례적인 일이었지만, 거기서 둘 다 우승하며 최초의 위업을 달성한 것 역시 이례적이라 할 수 있다.[2] 여성이 가방 내용물을 남성에게 보여주는 데 거부감이 없다는 이야기로, 일본에서는 '볼 장 다 본 올드커플'을 은유하는 표현 중 하나이기도 하다.[3] 예정조화에 서투르단 것은 '일이 예상한 대로 흘러가는 것을 싫어한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이는 타니노 김렛의 프로필에서 먼저 등장한 것으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4] 일본식 빙수로, 얼음 위에 다양한 시럽을 끼얹어 먹는 빙과류다.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지만, 얼음 위에 한가지 시럽만 뿌리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5] 트랜센드의 픽업 기간은 2024년 3월 12일 ~ 3월 21일이었고, 원더 어큐트의 픽업 기간은 2024년 3월 7일 ~ 3월 18일이었다. 12일부터 18일까지 총 7일간 픽업 기간이 겹쳤던 셈.[6] 이 이벤트에선 마야노 탑건도 등장하는데, 이쪽도 원본마가 95년 효고현 남부 지진과 큰 연관점이 있기 때문. 자세한 내용은 원본마 문서의 기타 항목을 참조할 것.[7] 이는 역대 우마무스메들 중 가장 빠른 기록으로, 네오 유니버스가 갖고 있던 이전 기록(57일)을 순식간에 갈아치웠다. 게다가 하필 전전 픽업이었던 비코 페가수스가 공개 후 육성 우마무스메 출시까지 7년이나 걸렸던 탓에 많은 비교가 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