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2:59:39

비르시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의 경주마에 대한 내용은 비르시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png
{{{#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일반
메인 페이지 | 출시 과정 | 등장인물 | 우마무스메 목록 | 우마무스메 분류 | 트레센 학원 관계자 | 설정 (트레센 학원)
인게임 정보
캐릭터 인게임 정보 | 시스템 | 능력치 | 미션 및 칭호 | 별명
URA | 아오하루배 | 클라이맥스 | 그랜드 라이브 | 그랜드 마스터즈 | 프로젝트 L'Arc | U.A.F. | 대풍식제
이벤트
스토리 이벤트 | 레전드 레이스 | 챔피언스 미팅 (1회차2회차3회차4회차)
애니메이션 (1기우마욘2기우마유루RTTT3기극장판)
만화 (신데렐라 그레이 | 스타 블로섬) | 음반 (STARTING GATE) (애니메이션) (WINNING LIVE)
| 도주 시스터즈 | 열혈 우당탕탕 대감사제!
기타
공식 홈페이지 | 일섭갤 | 한섭갤 | 트레센갤 | 채널 | 사건 사고 | 원화가 트위터 논란 | 2022년 한섭 운영 미숙 파동 (전개 (10월 이후)간담회환불 소송 사건) | 평가 | 경마계 영향 | 2차 창작 | 한자 표기 | 라이브
}}}}}}}}}}}} ||


파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우마무스메 목록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 color=#373a3c,#dddddd> [[스페셜 위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스페셜 위크.png
]]
[[사일런스 스즈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일런스 스즈카.png
]]
[[토카이 테이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토카이 테이오.png
]]
[[마루젠스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마루젠스키.png
]]
[[후지 키세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후지 키세키.png
]]
[[오구리 캡(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오구리 캡.png
]]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골드 쉽.png
]]
스페셜 위크 [[사일런스 스즈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토카이 테이오 마루젠스키 후지 키세키 오구리 캡 골드 쉽
[[보드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보드카.png
]]
[[다이와 스칼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다이와 스칼렛.png
]]
[[타이키 셔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타이키 셔틀.png
]]
[[그래스 원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그래스 원더.png
]]
[[히시 아마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히시 아마존.png
]]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맥퀸.png
]]
[[엘 콘도르 파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엘 콘도르 파사.png
]]
보드카 다이와 스칼렛 타이키 셔틀 그래스 원더 히시 아마존 메지로 맥퀸 엘 콘도르 파사
[[티엠 오페라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티엠 오페라 오.png
]]
[[나리타 브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나리타 브라이언.png
]]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심볼리 루돌프.png
]]
[[에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에어 그루브.png
]]
[[아그네스 디지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아그네스 디지털.png
]]
[[세이운 스카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세이운 스카이.png
]]
[[타마모 크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타마모 크로스.png
]]
티엠 오페라 오 [[나리타 브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심볼리 루돌프 에어 그루브 [[아그네스 디지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세이운 스카이 타마모 크로스
[[파인 모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파인 모션.png
]]
[[비와 하야히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비와 하야히데.png
]]
[[마야노 탑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마야노 탑건.png
]]
[[맨하탄 카페|
파일:프로필 이미지 맨하탄 카페.png
]]
[[미호노 부르봉(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미호노 부르봉.png
]]
[[메지로 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라이언.png
]]
[[히시 아케보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히시 아케보노.png
]]
파인 모션 비와 하야히데 마야노 탑건 맨하탄 카페 미호노 부르봉 메지로 라이언 히시 아케보노
[[유키노 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유키노 비진.png
]]
[[라이스 샤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라이스 샤워.png
]]
[[아이네스 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아이네스 후진.png
]]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아그네스 타키온.png
]]
[[어드마이어 베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어드마이어 베가.png
]]
[[이나리 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이나리 원.png
]]
[[위닝 티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위닝 티켓.png
]]
유키노 비진 라이스 샤워 아이네스 후진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어드마이어 베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이나리 원 위닝 티켓
[[에어 샤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에어 샤커.png
]]
[[에이신 플래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에이신 플래시.png
]]
[[카렌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카렌짱.png
]]
[[카와카미 프린세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카와카미 프린세스.png
]]
[[골드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골드 시티.png
]]
[[사쿠라 바쿠신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쿠라 바쿠신 오.png
]]
[[시킹 더 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시킹 더 펄.png
]]
에어 샤커 에이신 플래시 카렌짱 [[카와카미 프린세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골드 시티 [[사쿠라 바쿠신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px"]] 시킹 더 펄
[[신코 윈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신코 윈디.png
]]
[[스윕 토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스윕 토쇼.png
]]
[[슈퍼 크릭(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슈퍼 크릭.png
]]
[[스마트 팔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스마트 팔콘.png
]]
[[젠노 롭 로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젠노 롭 로이.png
]]
[[토센 조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토센 조던.png
]]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나카야마 페스타.png
]]
신코 윈디 스윕 토쇼 슈퍼 크릭 스마트 팔콘 젠노 롭 로이 토센 조던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나리타 타이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나리타 타이신.png
]]
[[니시노 플라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니시노 플라워.png
]]
[[하루 우라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하루 우라라.png
]]
[[뱀부 메모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뱀부 메모리.png
]]
[[비코 페가수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비코 페가수스.png
]]
[[마블러스 선데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마블러스 선데이.png
]]
[[마치카네 후쿠키타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마치카네 후쿠키타루.png
]]
나리타 타이신 니시노 플라워 하루 우라라 뱀부 메모리 비코 페가수스 [[마블러스 선데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마치카네 후쿠키타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미스터 시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미스터 시비.png
]]
[[메이쇼 도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이쇼 도토.png
]]
[[메지로 도베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도베르.png
]]
[[나이스 네이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나이스 네이처.png
]]
[[킹 헤일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킹 헤일로.png
]]
[[마치카네 탄호이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마치카네 탄호이저.png
]]
[[이쿠노 딕터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이쿠노 딕터스.png
]]
미스터 시비 메이쇼 도토 메지로 도베르 나이스 네이처 킹 헤일로 [[마치카네 탄호이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이쿠노 딕터스
[[메지로 파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파머.png
]]
[[다이타쿠 헬리오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다이타쿠 헬리오스.png
]]
[[트윈 터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트윈 터보.png
]]
[[사토노 다이아몬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토노 다이아몬드.png
]]
[[키타산 블랙(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키타산 블랙.png
]]
[[사쿠라 치요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쿠라 치요노 오.png
]]
[[시리우스 심볼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시리우스 심볼리.png
]]
메지로 파머 [[다이타쿠 헬리오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트윈 터보 [[사토노 다이아몬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키타산 블랙 [[사쿠라 치요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px"]] [[시리우스 심볼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메지로 아르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아르당.png
]]
[[야에노 무테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야에노 무테키.png
]]
[[츠루마루 츠요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츠루마루 츠요시.png
]]
[[메지로 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브라이트.png
]]
[[데어링 택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데어링 택트.png
]]
[[사쿠라 로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쿠라 로렐.png
]]
[[나리타 탑 로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나리타 탑 로드.png
]]
메지로 아르당 야에노 무테키 [[츠루마루 츠요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메지로 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데어링 택트 사쿠라 로렐 나리타 탑 로드
[[야마닌 제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야마닌 제퍼.png
]]
[[푸리오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푸리오소.png
]]
[[트랜센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트랜센드.png
]]
[[에스포와르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에스포와르 시티.png
]]
[[노스 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노스 플라이트.png
]]
[[심볼리 크리스 에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심볼리 크리스 에스.png
]]
[[타니노 김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타니노 김렛.png
]]
야마닌 제퍼 푸리오소 트랜센드 [[에스포와르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노스 플라이트 [[심볼리 크리스 에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타니노 김렛
[[다이이치 루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다이이치 루비.png
]]
[[메지로 라모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메지로 라모누.png
]]
[[애스턴 마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애스턴 마짱.png
]]
[[사토노 크라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토노 크라운.png
]]
[[슈발 그랑(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슈발 그랑.png
]]
[[비르시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비르시나.png
]]
[[비블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비블로스.png
]]
다이이치 루비 메지로 라모누 애스턴 마짱 사토노 크라운 슈발 그랑 비르시나 비블로스
[[단츠 플레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단츠 플레임.png
]]
[[케이에스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케이에스 미라클.png
]]
[[정글 포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정글 포켓.png
]]
[[노 리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노 리즌.png
]]
[[스틸 인 러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스틸 인 러브.png
]]
[[코파노 리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코파노 리키.png
]]
[[홋코 타루마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홋코 타루마에.png
]]
단츠 플레임 [[케이에스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정글 포켓 노 리즌 스틸 인 러브 코파노 리키 홋코 타루마에
[[원더 어큐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원더 어큐트.png
]]
[[삼손 빅(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삼손 빅.png
]]
[[사운즈 오브 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사운즈 오브 어스.png
]]
[[로이스 앤드 로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로이스 앤드 로이스.png
]]
[[카츠라기 에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카츠라기 에이스.png
]]
[[네오 유니버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네오 유니버스.png
]]
[[히시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히시 미라클.png
]]
원더 어큐트 삼손 빅 [[사운즈 오브 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1px"]] [[로이스 앤드 로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2px"]] [[카츠라기 에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fff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네오 유니버스 히시 미라클
[[탭 댄스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탭 댄스 시티.png
]]
[[두라멘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두라멘테.png
]]
[[라인 크라프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라인 크라프트.png
]]
[[세자리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세자리오.png
]]
[[에어 메사이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에어 메사이어.png
]]
[[데어링 하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데어링 하트.png
]]
[[오르페브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오르페브르.png
]]
탭 댄스 시티 두라멘테 라인 크라프트 세자리오 에어 메사이어 데어링 하트 오르페브르
[[젠틸돈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젠틸돈나.png
]]
[[윈 바리아시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프로필 이미지 윈 바리아시옹.png
]]
젠틸돈나 윈 바리아시옹
[ 삭제된 우마무스메 ]
{{{#!wiki style="margin:-16px -11px -16px" 부에나 비스타 딥 임팩트 킹 카메하메하
}}}||}}}}}}}}}

파일:우마무스메_비르시나(교복).png
어떤 강자에게라도 이겨보이겠어.
여왕에 부합한 건, 바로 이 나야!
Verxina
ヴィルシーナ
비르시나
오쿠노 카야
3월 5일
158cm
정밀
B83 · W53 · H78
정점의 여왕의 자리야말로 스스로에게 적합하다고 자부하는, 지기 싫어하는 아가씨.
세 자매의 맏언니로 여동생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부유한 가정에서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았으며, 재능도 있고 우수.
다만 "2" 라는 숫자의 저주를 받아 이겨내지 못하는 고생꾼이기도 하다.

1. 개요2. 캐릭터 소개3. 애플리케이션
3.1. 프로필3.2. 인게임 정보3.3. 작중 행적3.4. 기타 정보
3.4.1. 비밀3.4.2. 1컷 만화
4. 애니메이션5. 기타

[clearfix]

1. 개요

정점 이외, 있을 수 없어.
샘플 보이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우마무스메. 모티브는 동명의 경주마 비르시나.

2. 캐릭터 소개

공식 이미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승부복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우마무스메_비르시나(승부복).png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원안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c1d1f>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무대의상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c1d1f> 파일:우마무스메_비르시나(무대의상).png }}}}}}}}}}}}

트리플 티아라 노선에서 여왕의 자리를 노리는 우마무스메. 그리고 슈발 그랑비블로스를 여동생으로 두고 있는, 세 자매의 든든한 맏언니 우마무스메이기도 하다. 하지만 프로필 소개문에서도 나오듯, "2"라는 숫자에 저주라도 받은 것인지 레이스만 나갔다 하면 우승과의 인연이 없는 편이다. 이는 원본마가 달성했던 위업(?)인 JRA 사상 최초 "트리플 아라"를 고증한 것으로, 2의 저주를 선사한 장본인인 젠틸돈나는 그녀에게 있어 최대의 라이벌이자 숙적이다. 원본마와 마주 모두 숫자 2와 인연이 깊은데[1] 비르시나의 담당 성우인 오쿠노 카야 또한 2와의 인연을 보여주면서,[2] 작품 안팎으로 비르시나는 "2"와는 뗄레야 뗄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

3. 애플리케이션

3.1. 프로필

초기 해방
자신에게 걸맞는 『여왕』의 자리에. 지고 싶어하지 않는 셀러브리티 우마무스메.
나는 비르시나. 모든 걸 타파하고 여왕이 되는 그날까지, 기죽는다거나 하진 않을 거야.
중등부
릿토 생활관
친밀도 랭크 1
158cm
정밀
3월 5일

3.2. 인게임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비르시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작중 행적

3.4. 기타 정보

3.4.1. 비밀

비르시나
비르시나의 비밀 ①
사실은 벌레 퇴치 마스터.

3.4.2. 1컷 만화

1컷 만화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비르시나 ①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규격 외의 정상 결전
파일:1컷 만화 비르시나.jpg
비르시나 : …아직 끝나지 않았어… 손을 놓기 전까지는…
아직… 지지 않았… 으니까아~…!!
}}}}}}}}} ||

4. 애니메이션

4.1. TVA 3기

2화에서 오프닝이 처음 공개되었는데, 여기서 스쳐 지나가는 장면으로 비블로스와 함께 최초 등장했다. 당시엔 이름표나 프로필이 공개되지 않은 상태였으나, 특유의 유성 무늬, 마주인 사사키 가즈히로의 승부복 색상이기도 한 파란색 & 민트색 조합의 머리 리본, 슈발 그랑과 동일한 디자인의 귀 덮개 등을 힌트로 많은 팬들이 비르시나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5화에선 슈발 그랑이 레이스를 관전 중이던 비르시나/비블로스에게 각각 "언니"와 "비블로스"라고 부르는 장면이 등장했는데, 이름 없이 "언니"라고만 불렀다는 점에서[3] 비르시나라는 예측은 거의 확실시되었다.

파일:uma_비블로스와비르시나.png

7화 초반부의 재팬컵에서 비블로스와 함께 레이스를 관전하는데 슈발 그랑이 우승하지 못해 안타까워하는 표정을 지은 모습으로 등장했는데, 이 시점에 이름표가 공개되며 비르시나임이 확정되었다. 재팬컵 직후 세 자매가 모여 식사를 하며 담소를 나누는데, 해당 연도(2016년)엔 이미 은퇴한 시점임을 반영해서인지 여동생인 비블로스가 트리플 콩아라(...)를 언급하면서 친언니를 디스하기도 한다. 이후 동생인 슈발 그랑이 아리마 기념에 출전하여 비블로스와 함께 슈발 그랑을 지켜보고는 이기기를 기도하나 결국 6착에 그쳐서 좌절한 슈발 그랑과 그 결과를 망연히 보고 있었을 뿐.[4]

8화에서는 투구 연습을 하며 마음을 다잡는 슈발 그랑을 찾아가 격려를 해 주는데, 이 때 공을 던지는 투구폼이 아버지의 현역시절 투구자세를 그대로 재현했으며, 던진 공 역시 사사키의 특기였던 포크볼이다.

9화, 슈발 그랑이 텐노상(봄)에 출전하여 7화의 아리마 기념에서도 달렸던 다이아와 키타산과 다시 한 번 경쟁하게 되었는데 7화에서 그랬듯이 중위권 정도에서 출발하고 후반부에는 다이아처럼 치고 올라오는데 선두에서 버티고 있는 키타산을 추월하기 위해 전력을 쥐어짜나 결국 근소한 차이로 키타산을 추월하지 못고 2착을 한다.[5] 이렇게 또다시 1착을 놓쳐 한탄하기도 했는데 비르시나는 작년보다 순위를 올려서 잘 성장했음을 느끼며 자랑스럽게 여기기는 한다.[6]

10화, 트레센 학원에서 지역 합동 이벤트가 열린 와중 한 교실에서 배꼽에 맞추면 경품을 증정하는 표적 맞히기 부스에서 한 아이가 공을 던져 맞추려고 하지만 계속된 실패로 울상을 짓자 슈발이 그 옆에서 나타난다. 공을 잡고 포즈를 잡은 뒤 던지자 포크볼로 목표에 명중, 상품을 받는데 성공한다. 그리고 그 상품을 얻기 위해 고군분투하던 아이에게 웃으면서 건네준 것을 본 비르시나는 슈발의 앞에 나타나 실력이 늘었다며 칭찬하지만 슈발은 이대로 예전의 자신으로 있을 수는 없다며 말하는 비장한 듯 말한다.

트레센 학원의 축제가 끝나고 슈발, 키타산, 크라운이 출전하는 그랑프리 경주 타카라즈카 기념 레이스에서 여느 레이스 때 처럼 슈발이 이기기를 원한다는 마음에 진지한 표정으로 관전한다. 경주가 시작되자마자 평소에는 키타산보다 후방에서 출발하던 슈발이 설마했던 도주 각질을 시도해서 대담하게 선두를 달려나가는 것을 보고 해설, 팀 스피카, 누이 비르시나 모두 경악한다.[7] 최대한 담담한 페이스로 1착을 달리던 슈발 그랑은 마지막 코너를 지나갈 때 스발란케를 비롯한 우마무스메들에게 하나 둘씩 역전을 허용하게 된다. 이에 슈발은 분을 삼키며 달려가 보지만, 사토노 크라운이 바깥에서 강력하게 치고 올라갈 때 어느새 슈발은 8착이라는 절망적인 상황에 놓이게 되었고 결국 사토노 크라운이 1착으로 골인을 하면서 상황을 역전시키는 데 실패하고 말았다. 무모하게 도주 각질을 시도하여 경주가 끝난 후 호흡이 흐트러지면서 또다시 1착은 커녕 8착으로 이전보다도 늦게 도착해 참패한 것으로 인해 슈발은 분에 찬 표정이었고, 비블로스와 비르시나는 귀가 접힌 채 너무나 안타까워하는 듯한 표정으로 그러한 슈발과 그 결과를 망연히 바라보고 있을 뿐이었다. 심지어 비르시나와 비블로스는 슈발의 라이벌이자 9화의 텐노상(봄)에서 1착을 했다가도 10화의 타카라즈카에서 9착으로 참패한 키타산을 봐서도 안타까워하는 듯한 눈치였다.

5. 기타

  • 소위 '최광(最狂) 세대'로 불리는 2012년 세대의 멤버로, 작중에서 동기 우마무스메들과의 여러 관계가 묘사됨은 물론 2차 창작의 소재로 쓰이기도 한다.
    • 젠틸돈나 : 비르시나 입장에서 젠틸돈나는 라이벌이자 숙적인 모습으로 비춰지지만, 반대로 젠틸돈나 입장에서 비르시나는 그저 자신의 전용 콩라인으로 낮춰 취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래서인지 공식과 2차 창작을 가리지 않고 서로 이런저런 신경전을 벌이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 편.[8] 한편 젠틸돈나는 본작에서도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무지막지한 피지컬을 자랑하는 우마무스메로 등장하는데, 비록 그녀에게 매번 밀리는 콩라인이긴 해도 어쨌든 그녀를 따라갈 수 있는 비르시나의 피지컬 또한 보통은 아닌 것으로 묘사된다. 참고로 흰색 바탕에 제복 스타일의 승부복을 입는 여동생들과는 달리 비르시나는 혼자 파란색 바탕의 드레스 승부복을 입고 있는데, 이 또한 붉은색 바탕의 드레스 승부복을 입는 젠틸돈나와의 대비점을 의식하여 디자인한 것이다.
    • 골드 쉽 : 젠틸돈나만큼은 아니지만 골드 쉽과도 원본마끼리 우치다 히로유키 기수를 주전으로 클래식 전선을 도전하기도 했고 이후에도 수 차례 서로 대결한 전적이 있기에 게임에서도 어느 정도 엮이기도 한다. 2024년 6월에 등장한 비르시나 서포트 카드를 통해 공개된 작중 묘사에 따르면 골드 쉽과 자주 대결하고 연구하다보니 골드 쉽의 특이한 언행을 알아듣는 것이 가능(!)하다고. # 이는 원본마가 외할아버지-외손자 관계인 메지로 맥퀸조차도 골드쉽의 언행을 제대로 이해를 못하는 걸 보면 상상 이상의 능력이다.
    • 홋코 타루마에 : 비르시나의 기숙사 룸메이트가 동기이기도 한 홋코 타루마에로 나온다. 서포트 카드 이벤트에서 비르시나는 골드 쉽과의 수영 대결을 이기기 위해 통금 시간이 다 되어가도록 수영장 트레이닝을 하고 있었는데, 이를 걱정하여 찾아온 룸메이트가 바로 타루마에였던 것. 다만 둘의 주력은 잔디/더트로 서로 달라서 원본마끼리 같이 뛴 적은 없었고, 단지 같은 세대 동기였다는 이유로 룸메이트로 묶인 것으로 보인다.
  • 동생인 비블로스와 함께, 모마(母馬)와 부마(父馬)가 모두 동일한 최초의 전형제 우마무스메이다.[9] 전형제란 캐릭터성을 강조하기 위해서인지 서로 꽃모양의 머리장식과 눈물점이 달려있고 자매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인지 장식문양이 셋 다 같다.
  • 처음 묘사된 세 자매 우마무스메라 그런지, 일본 팬덤에선 이들을 가리켜 "대마신의 딸들"이라고 지칭한다. 또한 세 명 모두 특정 글자가 들어간다는 이유에서, "부 자매",[10] "V 자매"[11] 등으로도 부르기도 한다. 기존에도 자매나 부자/부녀 관계인 우마무스메들이 있긴 했지만 '한 가족'이라는 부분이 특히나 강조되는 것은 이들 자매가 최초인데, 같은 모마(母馬)에게서 G1 이상의 성적을 거둔 형제가 3구 이상, 심지어 마주까지 모두 동일한 경우는 드문 일이기 때문.[12]
  • 토모미치 조교사가[13] 여동생 비블로스를 '세레브한 갸루'라고 표현한 게 그대로 우마무스메의 캐릭터 외형이나 성격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준 것과 달리 비르시나는 그 영향이 적은데, 그 이유는 토모미치 조교사가 비르시나에 대해 '카구라자카의 음식점 여사장'(...)이라고 표현했기 때문이다. 다만 애니메이션이나 인게임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후의 묘사를 보면 '동생들에 대한 애정이 가득한 맏언니'같은 느낌을 구현하고 있어, 토모미치 조교사의 발언을 어느 정도는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1] 트리플 콩아라에 이어 2착을 2번 더 해서 5연속 2착이라는 기괴한 기록을 세우는가 하면, 빅토리아 마일에선 2연패를 달성하며 다른 의미로 2와의 인연을 이어나갔다. 자세한 내용은 원본마 또는 마주 문서를 참조할 것.[2] 처음 봤던 오디션에선 떨어졌으나, 이후에 다시 오디션을 신청해서 합격한 캐릭터가 바로 이 비르시나였다.[3] 연상의 타인이라면 "(이름) + 언니"라고 부르는 게 보통이다. 반대로 그냥 단순하게 "언니"라고만 부른다면 친족인 경우가 대부분이다.[4] 아리마에서는 1착인 사토노 다이아몬드와 2착인 키타산 블랙이 워낙 강해서 침몰한 것도 있지만 슈발 그랑이 아리마에 출전하기 전의 레이스인 9착으로 참패했던 타카라즈카 때만큼은 아니어도 일단 입상권에 들지 못했기에 슈발 그랑의 좌절감이 크게 느껴지는 편이다.[5] 그런데 아리마 기념보다도 700m 씩이나 긴 텐노상(봄)은 아리마에서보다 월등히 뛰어난 능력이 필요할 것이고 아리마 기념에서 6착으로 더 늦었던 것을 감안하면 훌륭하긴 하다. 그런데 키타산과 다이아는 막판에 접점을 벌일 때 7화에서 그랬듯이 막판 스퍼트를 내기 시작한 순간 오라가 나오는데 7화에서는 거의 키타산과 다이아 사이만의 접점이었던 데다 슈발 그랑은 이 둘보다 뒤쳐져 있던 상황이었어서 오라가 없었던 건 그렇다 칠 수 있지만 9화에서는 막판에 스퍼트를 낼 때 적어도 다이아에게는 뒤쳐지지 않았던 상황인데다 결과적으로 텐노상(봄)에서 2착을 이뤄낼 정도로 기세가 좋았음에도 오라는커녕 아무런 이펙트도 없어 본인보다 늦어서 3착을 한 다이아보다도 초라해보인다.(...) 결론적으로 슈발 그랑은 최소한 주연 포지션임에도 불구하고 너무 더블 주인공만 챙겨주는 느낌이다. 사실 이런 연출은 5화에서 1착을 이뤄낸 우마무스메는 키타산 블랙도 두라멘테도 아닌 리버 라이트가 1착을 했을 때 아무런 이펙트도 없이 승리를 거둔 것도 마찬가지긴 하다. 물론 리버 라이트야 거의 엑스트라 급이니 그렇다 치겠지만...[6] 7화에서는 9착, 6착에 그쳤다는 결과를 망연히 보고만 있었던 것에 비하면 그나마의 위안이라고 할 수 있다.[7] 원본 경주마 슈발 그랑의 주 각질은 선행 쪽에 가장 가까워서 그동안 선행이나 선입 위주로 달렸고 주 각질이 도주인 키타산 블랙보다 후방에서 출발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해당 레이스 당시 슈발 그랑의 기수인 후쿠나가 유이치가 갑자기 조교사와 의논한 적도 없이 무작정 도주를 선택해서 달리기 시작하자 중계가 놀랐다는 것의 고증이다. 이때 이런 선택을 해서 슈발 그랑을 지게 만든 후쿠나가 기수는 경기 이후 슈발 그랑의 기수에서 강판당했다. 때문에 슈발 그랑이 도주 각질을 시도한 것은 이 레이스가 처음이자 마지막이 되었다.[8] 예컨데 레이스나 트레이닝에서 패배한 비르시나가 다른 것(트레이너와의 연애라든가...)에서 젠틸돈나를 도발한다거나, 역으로 괴력 관련 말로 도발을 했는데 젠틸돈나가 패배한다거나 하는 2차 창작이 있다.[9] 이들이 출시되기 전까지 유이하게 형제자매 사이로 출시된 비와 하야히데-나리타 브라이언 형제와 메지로 라모누-메지로 아르당 남매는 모두 모마는 동일하나 부마가 다른 반형제였다. 마찬가지로 두 자매의 가족인 슈발 그랑도 반형제 사이다.[10] 각각 비르시나(ィルシナ), 슈발 그랑(シュァルグラン), 비블로스(ィブロス)로 모두 일본어 부(ヴ)가 들어간다.[11] 위의 부 자가 알파벳으로 바꾸면 모두 V자가 된다. 사실 원래 사사키는 마진이라는 관명이 있었는데 재혼한 부인이 할와 스위트의 자마를 구매하기로 결정한 다음 사사키에게 기존 관명 대신 이름에 부가 들어가도록 권유받아 그 이후부터 자신의 소유마에 부가 들어가는 이름을 붙이기 시작했다.[12] 굳이 G1 이상의 성적을 거둔 자마를 셋 이상을 둔 모마를 찾아본다하면 비와 하이디의 자마들, 세자리오의 자마들, 댄싱 키의 자마들 정도가 있는데 이들 중 전형제 GI마에 마주까지 같은 경우는 댄싱 키와 선데이 사일런스의 자마들인 댄스 3남매(댄스 파트너, 댄스 인 더 다크, 댄스 인 더 무드) 정도 뿐이다.[13] 토모미치 조교사는 비르시나, 슈발 그랑, 비블로스를 담당했고, 비르시나 및 비블로스의 자마들을 조교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