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8:42:34

카를로 안첼로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안첼로티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 인물의 아들에 대한 내용은 다비데 안첼로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라리가 EA SPORTS 로고.svg
2024-25 시즌 구단별 감독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55555,#aaaaaa
호세 라몬
산도발

파일:그라나다 CF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4b44; font-size: 0.8em;"
공석
파일:UD 라스팔마스 로고.svg
이니고
페레스

파일:라요 바예카노 로고.svg
카를로
안첼로티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하비에르
아기레

파일:RCD 마요르카 로고.svg
한지
플릭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루벤
바라하

파일:발렌시아 CF 로고.svg
마누엘
펠레그리니

파일: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로고.svg
마르셀리노
가르시아 토랄

파일:비야레알 CF 로고.svg
가르시아
피미엔타

파일:세비야 FC 로고.svg
클라우디오
히랄데스

파일:RC 셀타 데 비고 로고.svg
이마놀
알과실

파일:레알 소시에다드 로고.svg
디에고
시메오네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2017~2024).svg
에르네스토
발베르데

파일:아틀레틱 클루브 로고.svg
루이스
가르시아

파일:데포르티보 알라베스 로고.svg
페페

파일:UD 알메리아 로고.svg
비센테
모레노

파일:CA 오사수나 로고.svg
미첼
산체스

파일:지로나 FC 로고.svg
파코
로페스

파일:카디스 CF 로고.svg
호세
보르달라스

파일:헤타페 CF 엠블럼.svg
<colbgcolor=#ffffff,#191919>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리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세리에 A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프리메이라 리가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쉬페르리그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
카를로 안첼로티의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클럽
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

39대
파일:AC 밀란 로고.svg

66대
파일:첼시 FC 로고.svg

31대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32대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59대, 66대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54대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79대
파일:에버튼 FC 로고.svg

33대

AS 로마 주장
아고스티노 디바르톨로메이
(1980~1984)
카를로 안첼로티
(1984~1987)
주세페 자니니
(1987~1996)
}}} ||
카를로 안첼로티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AIC_logo.png
2000-01 · 2003-04
파일:월드사커 로고.png
베스트팀

파일:The Best FIFA Football Awards.jpg
올해의 감독 수상자(2010년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10년

주제 무리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위 / 비센테 델 보스케
파일:스페인 국기.svg
3위 / 펩 과르디올라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1년

펩 과르디올라
파일:스페인 국기.svg
2위 / 알렉스 퍼거슨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3위 / 주제 무리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2년

비센테 델 보스케
파일:스페인 국기.svg
2위 / 주제 무리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3위 / 펩 과르디올라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3년

유프 하인케스
파일:독일 국기.svg
2위 / 위르겐 클롭
파일:독일 국기.svg
3위 / 알렉스 퍼거슨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2014년

요아힘 뢰프
파일:독일 국기.svg
2위 / 카를로 안첼로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3위 / 디에고 시메오네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5년

루이스 엔리케
파일:스페인 국기.svg
2위 / 펩 과르디올라
파일:스페인 국기.svg
3위 / 호르헤 삼파올리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6년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위 / 지네딘 지단
파일:프랑스 국기.svg
3위 / 페르난두 산투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7년

지네딘 지단
파일:프랑스 국기.svg
2위 / 안토니오 콘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3위 / 마시밀리아노 알레그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18년

디디에 데샹
파일:프랑스 국기.svg
2위 / 지네딘 지단
파일:프랑스 국기.svg
3위 / 즐라트코 달리치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2019년

위르겐 클롭
파일:독일 국기.svg
2위 / 펩 과르디올라
파일:스페인 국기.svg
3위 / 마우리시오 포체티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FIFA 올해의 감독(2020년대)▶ }}}}}}}}}

파일:The Best FIFA Football Awards.jpg
올해의 감독 수상자(2020년대)
2020년
★★
위르겐 클롭
파일:독일 국기.svg
2위 / 한지 플릭
파일:독일 국기.svg
3위 / 마르셀로 비엘사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21년

토마스 투헬
파일:독일 국기.svg
2위 / 로베르토 만치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3위 / 펩 과르디올라
파일:스페인 국기.svg
2022년

리오넬 스칼로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위 / 카를로 안첼로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3위 / 펩 과르디올라
파일:스페인 국기.svg
2023년
★ ★
펩 과르디올라
파일:스페인 국기.svg
2위 / 루치아노 스팔레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3위 / 시모네 인자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IFA 올해의 감독(2010년대)

}}} ||
카를로 안첼로티의 기타 정보
[ 펼치기 · 접기 ]
----
파일:logo_asr_hall_of_fame.png
AS Roma Hall Of Fam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c1ianztwdtnp0gpu1zep.jpg
추가연도 등록인물
2012 프랑코 탕크레디 (GK), 카푸, 자코모 로시, 아우다이르, 프란체스코 로카 (DF)
풀비오 베르나르디니, 아고스티노 디바르톨로메이, 호베르투 파우캉, 브루노 콘티 (MF)
로베르토 프루초, 아메데오 아마데이 (FW)
2013 아틸리오 페라리스 (MF), 세바스티아노 넬라 (DF), 주세페 잔니니 (MF), 빈첸초 몬텔라 (FW)
2014 알시데스 기지아 (MF), 뱅상 캉델라 (DF), 카를로 안첼로티 (MF), 루디 푈러 (FW)
2015 귀도 마제티 (GK), 세르조 산타리니 (DF), 다미아노 톰마지 (MF),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FW)
2016 조르조 카르피[1] (MF), 토니뉴 세레주 (MF), 잔카를로 데시스티 (MF), 아르카디오 벤투리 (MF)
2017 프란체스코 토티 (FW)
2018 마리오 데미켈리[2] (DF), 줄리아노 타콜라 (FW), 로돌포 폴크 (FW)


[1] 통합 전 클럽인 FBC 로만 출신이다.[2] 통합 전 클럽인 포르티투도 로마 출신이다.

}}}}}}}}} ||

파일:AC 밀란 로고.svg[br]AC MILAN HALL OF FAM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3001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HAMPIONS
8 [ruby(에바니, ruby=알베리고)] 5 [ruby(코스타쿠르타, ruby=알렉산드로)] 13 [ruby(네스타, ruby=알렉산드로)] 21 [ruby(피를로, ruby=안드레아)]
5 [ruby(안퀼레티, ruby=안젤로)] 11 [ruby(모라, ruby=브루노)] 4 [ruby(안첼로티, ruby=카를로)] 11 [ruby(갈리, ruby=카를로)]
6 [ruby(말디니, ruby=체사레)] 32 [ruby(아비아티, ruby=크리스티안)] 10 [ruby(세도르프, ruby=클라렌스)] 9 [ruby(마사로, ruby=다니엘레)]
32 [ruby(베컴, ruby=데이비드)] 10 [ruby(사비체비치, ruby=데얀)] 4 [ruby(알베르티니, ruby=데메트리오)] 1 [ruby(쿠디치니, ruby=파비오)]
5 [ruby(갈리, ruby=필리포)] 9 [ruby(인자기, ruby=필리포)] 6 [ruby(바레시, ruby=프랑코)] 8 [ruby(가투소, ruby=젠나로)]
1 [ruby(게치, ruby=조르조)] 1 [ruby(갈리, ruby=조반니)] 7 [ruby(로데티, ruby=조반니)] 4 [ruby(트라파토니, ruby=조반니)]
9 [ruby(알타피니, ruby=조제)] 4 [ruby(칼라제, ruby=카카베르)] 5 [ruby(슈넬링거, ruby=칼 하인츠)] 10 [ruby(후이 코스타, ruby=마누엘)]
8 [ruby(드사이, ruby=마르셀)] 2 [ruby(카푸, ruby=마르쿠스)] 23 [ruby(암브로시니, ruby=마시모)] 12 [ruby(지다, ruby=네우송)]
3 [ruby(말디니, ruby=파올로)] 5 [ruby(데 베키, ruby=렌초)] 22 [ruby(카카, ruby=히카르두)] 7 [ruby(도나도니, ruby=로베르토)]
10 [ruby(굴리트, ruby=루드)] 10 [ruby(보반, ruby=즈보니미르)]
GOLEADOR
9 [ruby(보피, ruby=알도)] 7 [ruby(파투, ruby=알레샨드리)] 7 [ruby(세브첸코, ruby=안드리)] 9 [ruby(인자기, ruby=필리포)]
10 [ruby(리베라, ruby=잔니)] 11 [ruby(산타고스티노, ruby=주세페)] 11 [ruby(그렌, ruby=군나르)] 9 [ruby(노르달, ruby=군나르)]
9 [ruby(조던, ruby=조)] 9 [ruby(알타피니, ruby=조제)] 10 [ruby(스키아피노, ruby=후안 알베르토)] 99 [ruby(호나우두, ruby=루이스 나자리우 지 리마)]
11 [ruby(시모네, ruby=마르코)] 9 [ruby(반 바스텐, ruby=마르코)] 9 [ruby(헤이틀리, ruby=마크)] 9 [ruby(콤빈, ruby=네스토)]
9 [ruby(비어호프, ruby=올리버)] 7 [ruby(프라티, ruby=피에리노)] 11 [ruby(비르디스, ruby=피에트로)] 8 [ruby(윌킨스, ruby=레이)]
22 [ruby(카카, ruby=히카르두)] 10 [ruby(바조, ruby=로베르토)] 80 [ruby(호나우지뉴, ruby=호나우두 지 아시스 모레이라)] 11 [ruby(이브라히모비치, ruby=즐라탄)]
BALLON D'OR
7 [ruby(세브첸코, ruby=안드리)] 9 [ruby(웨아, ruby=조지)] 10 [ruby(리베라, ruby=잔니)] 9 [ruby(반 바스텐, ruby=마르코)]
22 [ruby(카카, ruby=히카르두)] 10 [ruby(굴리트, ruby=루드)]
CAPTAINS
4 [ruby(비곤, ruby=알베르토)] 5 [ruby(벳, ruby=알도)] 9 [ruby(세베니니, ruby=알도)] 3 [ruby(말데라, ruby=알도)]
7 [ruby(스카리오니, ruby=알레산드로)] 4 [ruby(보노미, ruby=안드레아)] 7 [ruby(소르마니, ruby=안젤로)] 5 [ruby(트레레, ruby=아틸리오)]
4 [ruby(안노비치, ruby=카를로)] 8 [ruby(로바티, ruby=체사레)] 6 [ruby(말디니, ruby=체사레)] 8 [ruby(사니, ruby=디노)]
8 [ruby(모란디, ruby=에르네스토)] 3 [ruby(솔데라, ruby=프란체스코)] 3 [ruby(차가티, ruby=프란체스코)] 6 [ruby(바레시, ruby=프랑코)]
8 [ruby(레이카르트, ruby=프랑크)] 10 [ruby(리베라, ruby=잔니)] 11 [ruby(모레티, ruby=조반니)] 6 [ruby(안토니니, ruby=주세페)]
9 [ruby(노르달, ruby=군나르)] 9 [ruby(푸리첼리, ruby=에토레)] 5 [ruby(킬핀, ruby=허버트)] 1 [ruby(부폰, ruby=로렌초)]
9 [ruby(반 헤게, ruby=루이스)] 11 [ruby(키아루지, ruby=루차노)] 5 [ruby(페르베르시, ruby=루이지)] 5 [ruby(로사토, ruby=로베르토)]
2 [ruby(살라, ruby=마르코)] 23 [ruby(암브로시니, ruby=마시모)] 2 [ruby(타소티, ruby=마우로)] 10 [ruby(리드홀름, ruby=닐스)]
8 [ruby(토뇬, ruby=오메로)] 3 [ruby(말디니, ruby=파올로)] 9 [ruby(부리니, ruby=렌초)] 9 [ruby(안토넬리, ruby=로베르토)]
4 [ruby(베네티, ruby=로메오)] 6 [ruby(부리아니, ruby=루벤)] 9 [ruby(아르카리, ruby=피에트로)] 1 [ruby(로시, ruby=세바스티아노)]
27 [ruby(세르지뉴, ruby=세르지우 클라우지우 두스 산투스)] 5 [ruby(바티스티니, ruby=세르지오)] 33 [ruby(실바, ruby=티아고)] 11 [ruby(노벨리노, ruby=발테르)]
}}}}}}}}}}}} ||
레알 마드리드 CF
Real Madrid Club de Fútbol
파일:gettyimages-2154134436-2048x2048.jpg
<colbgcolor=#ffffff> 이름 카를로 안첼로티
Carlo Ancelotti
출생 1959년 6월 10일 ([age(1959-06-10)]세)
에밀리아로마냐주 레졸로
국적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신체 179cm
직업 축구 선수 (미드필더[1]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ffffff> 선수 AC 파르마 (1976~1979)
AS 로마 (1979~1987)
AC 밀란 (1987~1992)
감독 이탈리아 대표팀 (1992~1995 / 수석 코치)
AC 레지아나 1919 (1995~1996)
AC 파르마 (1996~1998)
유벤투스 FC (1999~2001)
AC 밀란 (2001~2009)
첼시 FC (2009~2011)
파리 생제르맹 FC (2011~2013)
레알 마드리드 CF (2013~2015)
FC 바이에른 뮌헨 (2016~2017)[2]
SSC 나폴리 (2018~2019)[3]
에버튼 FC (2019~2021)
레알 마드리드 CF (2021~ )
국가대표 26경기 1골 (이탈리아 / 1981~1991)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 가족 아들 다비데 안첼로티
사위 베니아미노 풀코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

1. 개요2. 선수 경력
2.1. 플레이 스타일
3. 지도자 경력4. 평가5. 기록
5.1. 선수
5.1.1. 대회 기록
5.2. 감독
5.2.1. 대회 기록5.2.2. 개인 수상
5.3. 수훈
6. 카를로 안첼로티에 대한 언사7. 여담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이탈리아축구 선수 출신 감독. 현 레알 마드리드 CF 감독을 맡고 있다.

1992년 지도자로 데뷔한 후 1999년에 유벤투스의 감독을 맡은 것을 시작으로, AC 밀란, 첼시, 파리 생제르맹, 레알 마드리드, 바이에른 뮌헨 등 다양한 클럽을 지도하며 UCL 5회 우승[4]과 유럽 5대 리그[5] 우승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2. 선수 경력

현역 시절 포지션은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 공격형 미드필더 등 미드필더 모든 위치에서 뛸 수 있었고 왼쪽 윙어도 소화할 수 있었다. 현역 시절에는 스타 플레이어로서 상당히 화려한 경력을 자랑했다. 지금은 성격 좋은 덕장의 이미지가 강하지만 선수 시절엔 꽤 터프한 스타일이었다고 한다. 레졸로와 파르마 유스 팀을 거쳐 1976년 당시 세리에 C에 머물렀던 AC 파르마에서 선수 데뷔를 한 카를로 안첼로티는 비록 하부 리그에서였지만 뛰어난 활약을 선보였고, 3년 뒤인 1979년부터 AS 로마로 이적한다.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a9a4e7a85cf604fbb08aca8c0e87efe8.jpg
안첼로티는 이적 첫 시즌부터 하부 리그 유망주였음에도 주전을 보장받으며 맹활약을 펼치게 된다. 특히 코파 이탈리아 결승전에서 토리노를 상대로 역전 결승골을 터뜨리면서 팀은 3-2로 승리하고 안첼로티는 감격스러운 첫 우승컵을 들어올리게 된다. 특히 이 시절의 안첼로티는 말 그대로 토리노 킬러였다. 로마에게 유난히 취약했던 토리노는 물론이고 그 당시 전성기를 구가하던 유벤투스에도 안첼로티의 로마는 매우 위협적이었다. 안첼로티의 등장 이후 로마는 유벤투스의 난적으로 급부상하게 된다. 유벤투스에게 플라티니가 있다면 로마에겐 안첼로티가 있을 정도로 매우 큰 전력을 차지하였다. 다만 1982년에 안첼로티가 부상으로 시즌을 날리게 되고 로마는 3위에 그치고 만다. 그러나 안첼로티는 1년 만에 돌아왔고 로마는 다시금 살아나 마침내 41년 만의 스쿠데토를 얻어낸다. 그렇게 처음으로 유러피언 컵도 출전하여 1라운드와 16강 경기를 뛰며 팀의 승리에 공헌하였지만 유벤투스와의 리그 경기에서 부상을 당해 또 시즌을 쉬게 된다. 결국 안첼로티를 또 잃은 로마는 유러피언 컵과 세리에 A에서 준우승에 그치고 코파 이탈리아 우승만 건지고 만다. 그 후, 로마의 주장 아고스티노 디바르톨로메이가 은퇴를 하였고 안첼로티는 그의 후임으로 주장에 임명된다. 그러나 그가 주장으로 있던 3년 동안 로마가 얻은 우승컵은 코파 이탈리아 하나에 그치고 만다.
파일:external/www.tifomilan.it/n_ac_milan_carlo_ancelotti-5140906.jpg
안첼로티는 1987년 실비오 베를루스코니의 타겟이 되어 AC 밀란에 입단하며 밀란 제너레이션의 일원이 된다. 그리고 밀란에서 처음 보내게 되는 1987/88 시즌에 안첼로티는 5년 만의 스쿠데토를 획득한다. 1988/89 시즌에는 결승전에서 풀 타임을 뛰었고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를 4-0으로 꺾으며 처음으로 빅 이어도 만져보게 된다. 바로 다음 해에는 벤피카를 상대로 1-0 승리를 거두며 다시 타이틀을 따냈고, 밀란을 유러피언 컵에서 2년 연속으로 우승하게 한다. 그렇게 황금기를 보내던중에 1992년, 또 부상을 당해 더 이상 선수 생명을 이어갈 수 없었고 안첼로티는 그대로 밀란에서 현역 은퇴를 선언한다.

승부의 신이라는 책에서 AC 밀란에서 선수로 뛸 당시 파비오 카펠로 감독이 팀에서 제외시킨다고 반감을 가진 적이 있어서 이유를 들을 생각도 없었고, 훈련에도 참가하지 않은 적이 있다고 인터뷰한다. 안첼로티가 감독이 되면 이해가 될 거라는 카펠로 감독의 말에 지금은 누구보다도 그 말을 잘 이해한다고 한다.

2.1. 플레이 스타일

패스가 뛰어난 미드필더로 이름을 떨친 선수였다. 이탈리아 축구가 세계를 평정하던 시절에도, 안첼로티는 같은 이탈리아 국적 선수 중에서도 발군으로 꼽혔던 선수였다. 안드레아 피를로같이 넓은 시야, 기민한 볼 컨트롤, 정확한 패스능력으로 정평이 난 선수였지만 피를로와는 달리 굉장히 적극적으로 필드 전체를 뛰어다녔기 때문에 수비와 공격 모두 곧잘 했다. 어쩌면 본인 스스로가 이렇게 미드필더로서의 덕목을 고루 가진 월드클래스였기 때문에 먼 훗날 자신의 장점 절반씩을 극대화해놓은 피를로와 젠나로 가투소 조합의 가능성을 꿰뚫어보고, 완성시킬 수 있었을 것이다.

엄청난 활동량을 가진 패스 마스터로 유명했던 선수로, 패스 공급자로서 뛰어난 개인기, 볼 컨트롤과 창의력을 갖고 있었지만 꽤나 조심스러운 면모를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그 창의성을 시도 때도 없이 남발하지 않고 적재적소에, 꼭 필요한 순간에만 활용하는 선수였다. 우월한 축구 지능을 사용해 필드 전역에 패스를 찔러주는 한편 수비력도 좋고 결정적인 한방을 근거리와 중거리에서 모두 넣어줄 수 있는 득점력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아리고 사키의 AC밀란 드림팀에서 척추와 같은 역할을 담당했다. 사키의 밀란에서는 주로 중앙 공격형 미드필더, AS 로마에서는 우월한 활동량을 앞세워 윙어로 주로 출전했다. 다만 그 외에도 유스시절에는 세컨드 스트라이커, 커리어 한창 도중에는 공수 전역을 뛰어다니는 박스-투-박스 미드필더, AC 밀란에서 공격형 미드필더로 나오지 않을 때에는 포백을 보호하는 수비형 미드필더로 나올 정도니 바로 옆의 루드 굴리트까지 불세출의 올라운드 플레이어를 2명이나 보유한 AC 밀란은 그야말로 행복한 비명을 지르지 않을수가 없었다. 특히 수비형 미드필더 시절에는 특유의 창의력을 이용해서 단순한 포백보호에 치중하지 않고 전방 볼 배급을 하며 딥라잉 플레이메이커로서의 플레이를 정립했는데, 레알 마드리드 시절의 사비 알론소를 생각하면 어떤 플레이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훗날 AC 밀란에서 맹위를 떨친 레지스타인 데메트리오 알베르티니안드레아 피를로의 교범이 되어 현대 축구에 후방 플레이메이커 개념을 정착시키게 되었다.

다만 일반적인 운동선수로서 운동 신경이 뛰어난 편은 아니었다. 우선 속력이 느렸고, 체격적으로 완성된 선수는 아니었다. 커리어 후반에는 잦은 부상으로 신음하여 33살이라는 비교적 이른 나이에 은퇴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만 안첼로티는 피지컬적으로 재능이 없는 편이라는 사실을 그 스스로가 잘 알았기에 노력파가 되었고, 풍부한 활동량으로 부지런하고 투쟁적으로 미드필드 전역을 뛰어다닌 팀 플레이어 그 자체가 되어 항상 팀의 성공에 크게 기여하였다.

3. 지도자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를로 안첼로티/지도자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감독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를로 안첼로티/감독 스타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평가

선수 시절부터 AS 로마AC 밀란을 거쳐 수많은 우승컵을 들어올려 뚜렷한 족적을 남겼던 스타 플레이어였으나, 감독으로서는 유럽 5대 리그를 오가며 수많은 우승컵을 쌓아 올린 이견의 여지가 없는 역대급 명장 반열에 오른 인물이다.

특히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의 모습은 가히 압도적인데, 결승에 팀을 올린 것만 총 6회로 역대 감독들 중 최다이며, 그 중 AC 밀란레알 마드리드의 사령탑으로서 통산 챔피언스 리그 5회 우승을 이끈 챔피언스 리그 역대 최다 우승 감독이다.[6][7] 유럽 5대 축구 리그(세리에 A, 프리미어 리그, 리그 1, 분데스리가, 라리가)에서 모두 우승을 경험한 최초의 감독이기도 하다.[8] 2022년 6월, 축구 전문 통계 매체 '트랜스퍼마크트'의 통계 조사에 따르면, 안첼로티는 21세기 들어 올린 승수만 611승으로 21세기 들어 가장 많은 승리를 거둔 감독[9]이다.# 단순한 승수뿐만 아니라 같은 기간 동안 앞서 언급한 5대 리그 우승 및 UCL 최다 결승 진출, 최다 우승, 최다 승리의 금자탑을 쌓아 올린 만큼, 21세기를 통틀어 최고의 감독 중 한 명으로 보기에 무리가 없는 셈이다.

비록 경기가 안 풀릴 때의 답답한 정도가 심하고, 가끔 공격 전개에서 에이스들에게 모든 것을 맡기고 의존하는, 일명 "해줘 축구"로 비판받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탁월한 리더십과 보기에 어떻든 결국은 성과를 가져오는 기이한 전술적 역량을 갖고 있다.[10] 안첼로티만의 이러한 능력은 그가 어느 시대에도 뚜렷하게 '현 시대' 최고의 감독이라 불린 적은 없으면서도, 누적된 경력을 돌아보면 '역대' 최고를 논할 수 있는 감독이 되게 만들었다.

종합하자면 본인만의 확고한 전술적 색채나, 센세이션함은 가지고 있지 않지만 적재적소에 선수를 배치하고 선수단의 교통 정리와 선수의 특성과 잠재력을 잘 파악하고 이를 극대화하는 감독이다. 펩 과르디올라포지션 플레이, 위르겐 클롭게겐프레싱, 디에고 시메오네두 줄 수비와 같이 안첼로티를 상징할 만한 전술적인 혁신은 없지만 때로는 역습 축구, 때로는 공격 축구, 때로는 수비 축구를 보여주며 상황과 상대에 맞게 이기는 방법을 아는 감독이다. 전술 개발 및 발전을 통해 타 팀에게 영향을 끼치기보단 이미 존재하는 전술들과 용병술을 적재적소에 활용해 당장의 팀의 승리를 우선시하는 감독 유형이며 그들 중에서도 알렉스 퍼거슨, 주제 무리뉴와 함께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사례 중 하나이다.

5. 기록

5.1. 선수

5.1.1. 대회 기록

5.2. 감독

5.2.1. 대회 기록

5.2.2. 개인 수상

5.3. 수훈

  •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장 5등급: 1991
  •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장 4등급: 2014

6. 카를로 안첼로티에 대한 언사

"라커룸과 팀 미팅에서 봤던 감독 안첼로티는 늘 한결같은 모습이었다. 심지어 챔피언스 리그 결승에서도 농담을 생각하곤 했다. 그리고 우리는 경기에 나서서 승리를 거뒀다."
파올로 말디니
"감독으로서 그를 만난 적은 없지만, 내가 그를 최고라 하는 이유는 간단해. 그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사키와 카펠로의 장점을 모두 가진 감독이야."
프랑코 바레시
"내 커리어 중 최고의 감독이다."
알레산드로 네스타
"안첼로티는 내가 지금까지 겪은 감독 중 최고다. 그는 유럽 최고의 클럽만을 이끌어 온 명장이다. 안첼로티 감독은 선수가 가진 힘을 최대한 끄집어 낼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
세르히오 라모스
"친애하는 안첼로티 감독님. 나는 승리를 원합니다. 모든 대회에서 우승하고 싶습니다. 그러기 위해선 안첼로티, 당신이 필요합니다."
로만 아브라모비치
"카를로, 감독님은 제 아버지입니다."
세르지뉴
"이미 동료들과 안첼로티 감독의 뛰어남에 관해 대화를 나눴다. 그는 최고의 감독이다. AC 밀란과 레알 마드리드를 지휘하며 챔피언스 리그에 큰 족적을 남겼다."
사비 알론소
"과르디올라 감독은 분명 세계 최고의 감독 중 한 명이지만, '''단연 최고는 따로 있다. 내가 생각하는 최고는 바로 카를로 안첼로티다."
마르첼로 리피
"안첼로티 감독은 많은 걸 가르쳐주셨다. 그는 매우 따뜻한 사람이다. 나를 비롯해 PSG 선수들은 그에 대한 좋은 기억이 있다. 언젠가 다시 안첼로티 감독의 밑에서 축구를 하고 싶다."
마르코 베라티
"아르센 벵거 감독과 안첼로티 감독은 비슷하다. 선수들에게 최선을 끌어내려고 하며, 각각의 모든 선수들에게 기회를 주려 한다. 컵 대회에서는 어린 선수들을 내보내고, 스쿼드의 모든 선수들을 활용한다. 두 감독을 만난 것은 나에게 행운이다."
알렉스 이워비
"안첼로티는 세계 최고의 감독이다."
파비오 카펠로
"안첼로티 감독은 정말 똑똑한 분입니다. 선수들의 이야기와 스태프들의 이야기에 진정으로 귀기울이는 분이죠. 그의 훌륭한 인격이 팀으로 하여금 우승을 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7. 여담

  • 잊혀진 사실이나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선수로서 만난 적이 있다.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본선 조별 리그에서 같은 조에 속했던 탓인데 당시 안첼로티는 주전은 아니었으며 교체 멤버로도 출전하지는 못했다. 참고로 이 경기는 3:2로 이탈리아가 승리.

    밀란 시절엔 겨우 40대의 젊은 감독이었는데도 '안 선생님'이라고 불리며 할아버지 감독의 대명사처럼 통했다. 대부분 라이트 축구 팬들은 파비오 카펠로, 마르첼로 리피, 아리고 사키, 지오반니 트라파토니 등 30~40년대 출생자들과 같은 세대인 줄 안다. 젊은 감독의 대명사였던 주제 무리뉴보다 달랑 4살 많은데 말이다. 심지어 젊은 시절 선수로 활약할 때부터 이미 노안이었다. 사실 요아힘 뢰브보다 한 살 형이다. 그리고 언행이 둥글둥글한 덕장이란 것도 닮았다.
  • 조세 무리뉴가 스스로 스페셜 원이라고 거만하게 칭할 때, 자신을 어떻게 묘사하겠냐는 질문에 "만두처럼 생긴 뚱보"라고 말할 만큼 성격이 부드럽고 낙천적이다. 그가 덕장으로 불리는 이유이다. 다만 그도 선수시절 명성을 날린 스타 플레이어다운 에고와 기질을 가지고 있는데, 지시에 어긋나는 선수나 팀 화합을 저해하는 선수에 한해서는 꽤 강경한 모습을 보이고, 팀이나 그를 저격하는 인터뷰에도 능글스럽게 맞받아치는 등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파일:attachment/카를로 안첼로티/안첼로티3.png}}} ||
안첼로티의 선수 시절 외모 변천사인데, 로마 시절까지는 나름 준수한 외모를 유지하고 있었지만 AC 밀란 입단 후에 급노화가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사진의 얼굴을 세로로 나누어 보면 왼쪽과 오른쪽의 표정이 다르게 찍힌 게 많다.
파일:external/i.dailymail.co.uk/2DB9F57C00000578-3287536-A_mock_up_images-a-39_1445691821255.jpg}}} ||
2016년에 개봉하는 스타트렉 비욘드에서 카메오 출연이 확정되었다! 다만 대사나 단독 출연 장면은 없고 배경에 살짝 걸치는 엑스트라였다고.
파일:external/static.goal.com/38652_heroa.jpg}}} ||
다른 축구 감독들에 비해 유독 흡연 장면이 많이 찍힐 정도로 상당한 골초인데, 감독이 선수들과 맞담배를 했단 카더라도 있을 정도다. 선수들의 흡연에 대해 크게 신경을 안 쓰고, 오히려 자기가 경기장 필드 위에서 대놓고 피고 다닌다.
  • 음식을 즐기는 식도락이다. 은퇴하고 나서 좋았던 점 중 하나가 토르텔리니를 많이 먹는다고 뭐라 할 사람이 없었다는 것이라고.
  • 안첼로티의 진짜 트레이드마크는 바로 눈썹. 웃거나 의미심장한 표정을 지을 때마다 왼쪽 눈썹만 유난히 올라간다. 오죽하면 나폴리가 눈썹 그림을 오피셜로 띄우고, 영어로 "Ancelotti e"까지만 쳐도 "eyebrow"가 맨 상단에 있을 정도였다.
  • 밀란에서 선수 생활과 감독 생활을 했지만 어렸을 때는 인테르 팬이었다고 한다. 계기는 밀라노에서 일하는 사촌이 사다 준 인테르 유니폼. 그로부터 몇 년 후 인테르가 자신의 동네에 원정 경기를 와 아버지와 함께 보러갔지만 표가 매진되었다. 그렇지만 이미 여기 왔으니 갈 수 없다고 울며불며 난리를 쳤고, 결국 경기장 관리인의 재량으로 후반전부터 들어가서 봤다고 한다. 결과는 인테르의 6:1 대승이었는데, 모든 득점이 후반전에 나온 점수였다.
  • 모국 이탈리아에서 코로나19에 사람들이 많이 감염되자 마음 아프다는 말을 하였다. #
  • 트랜스퍼마크트의 자료에 의하면 21세기 리그에서 가장 많은 승점을 얻은 감독 순위에서 706경기 1,434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702경기 1,381점의 아르센 벵거 감독, 561경기의 1,194점의 주제 무리뉴 감독 등이 순위권을 이루고 있다.
  • 2007년도에 대한민국 어느 기자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직에 관심있다고 했었다. 립 서비스였을 가능성이 높지만 당시 한국 축구에 대해서 흥미롭다고 했었으며 어느 국가든간에 국가대표팀 감독직을 맡을 수도 있다고 했다. 참고로 이때 대한민국 레플리카를 선물받았다.
  • 2022년 라리가 우승으로 유럽 5대 리그 우승컵을 모두 들어본 직후에는 레알 마드리드에서 있어달라는 대로 있고 나서 감독직 은퇴를 선언하겠다는 말도 했다. 그러나 대표팀 감독도 해보고 싶다고 말했는데 캐나다 대표팀 감독직에 관심을 드러냈다.
  • 2022년 레알 마드리드에서의 더블로 감독으로써 전성기가 훌쩍 지났음에도 우승을 쉽게한다고 이스타TV를 중심으로 안첼로티가 운장이라는 이야기가 농담조로 많이 돌았었다. 하지만 위의 지도자 경력과 전술 스타일만 읽어봐도 이 사람이 운으로만 감독 생활을 이어간 사람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그저 우승하는 법을 알 뿐. '운도 실력이다.' 하는 말이 괜히 있는 것이 아니다.
  • 안첼로티의 운장이라는 이미지가 단순 농담은 아닌게,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이탈리아 출신 방송인 알베르토 몬디에 의하면 본국인 이탈리아에서조차 안첼로티는 '운이 좋은 사람' 이미지가 있다고 한다.#[14] 단순히 감독 커리어만 운이 좋다 보는 것이 아닌, 선수 시절부터 시쳇말로 '날로 먹는' 경우가 많아서 운이 좋은 것으로 유명하다고 한다.
  • 위르겐 클롭 감독에게 상당히 강한 모습을 보이는데, 첫 대결이었던 2013-14 시즌 챔피언스 리그 8강에서 합산 스코어 3 대 2로 승리해[15] 4강에 진출했다. 나폴리 감독 시절에는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서 클롭의 리버풀을 만나 18-19 시즌 1승 1패를 기록했으며[16] 2019-20 시즌에는 나폴리에서 다시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서 만나 나폴리의 홈에서 2:0 승리를 거뒀으며 원정에서는 1:1 무승부를 기록한 뒤 얼마 뒤 리그에서의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었다. 상대적으로 약체였던 에버튼 감독 시절에도 2019-20 시즌 리버풀을 상대로 홈에서 0:0, 그 다음 시즌 2:2로 무승부를 거둔 뒤[17], 안필드 원정에서 2 대 0으로 승리하는 이변을 보였다. 2021-22 시즌에서는 챔피언스 리그 결승에서도 만나 1:0으로 승리해 우승을 차지했고 다음 시즌 2022-23 챔피언스 리그 16강에서도 만난 리버풀을 안필드 원정에서 5:2, 베르나베우 홈에서 1:0의 스코어로 잡아내며 클롭 상대로 강한 그의 기록을 이어 나갔다.
  • 그 밖에도 리버풀과는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에서 3번을 만나고 토너먼트 스테이지에서는 서로 지겨울 정도로 만나서 대결을 하는 등 악연이 매우 깊다. 심지어 안첼로티는 리버풀의 라이벌팀 에버튼의 감독직을 맡기도 했다. [18]
  • 이탈리아에서 군 복무를 했던 경험이 있다.
  • 축구 경력 동안 전설적인 역전패를 당한 경험 때문인지, 팀이 역전해도 좋아하는 리액션 하나 안 보여 주는 걸로 유명하다. 맨체스터 시티와의 4강전에서 호드리구가 경기 종료 직전 두 골이나 넣어서 다 질 뻔한 경기를 무승부로 만들어 줬는데도 묵묵하게 그 모습을 바라보았고 바이에른 뮌헨전에서 호셀루가 두 골이나 몰아쳐서 대역전극을 만들었는데도 표정 변화 하나 없었다. 리버풀과의 챔스 결승전, 도르트문트와의 챔스 결승전에서 살얼음판 같은 경기 속에서 간신히 득점이 터졌는데도 좋아하지 않았다.[19]

8. 둘러보기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레알 마드리드 CF 2024-25 시즌 코치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 직책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rowcolor=#000,#e5e5e5> 감독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카를로 안첼로티 Carlo Ancelotti
<rowcolor=#000,#e5e5e5> 수석 코치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다비데 안첼로티 Davide Ancelotti
<rowcolor=#000,#e5e5e5> 체력 코치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안토니오 핀투스 Antonio Pintus
<rowcolor=#000,#e5e5e5> 골키퍼 코치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
루이스 요피스 Luis Llopis
<rowcolor=#000,#e5e5e5> 기술 보조 코치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프란체스코 마우리 Francesco Mauri
<rowcolor=#000,#e5e5e5> 영양사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베니아미노 풀코 Beniamino Fulco
<rowcolor=#000,#e5e5e5> 기술 분석가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시모네 몬타나로 Simone Montanaro
<rowcolor=#000,#e5e5e5> 재활 전문가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
호세 카를로스 가르시아 파랄레스 José Carlos García Parrales
<rowcolor=#000,#e5e5e5> 경기 고문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
첸도 Miguel Porlán Noguera "Chendo"
}}}}}}}}}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UEFA 챔피언스 리그
역대 우승 감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08B 20%, #00008B 80%, #9400D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000,#e5e5e5
1955-56
비야롱아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56-57
비야롱아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57-58
카르니글리아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58-59
카르니글리아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59-60
무뇨스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60-61
구트만
파일:1684286862237.png
1961-62
구트만
파일:1684286862237.png
1962-63
로코
파일:AC 밀란 로고.svg
1963-64
에레라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엠블럼(2014~2021).svg
1964-65
에레라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엠블럼(2014~2021).svg
1965-66
무뇨스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66-67
스타인
파일:셀틱 FC 유니폼 엠블럼(1888~1977).svg
1967-68
버스비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1968-69
로코
파일:AC 밀란 로고.svg
1969-70
하펠
파일: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로고.svg
1970-71
미헬스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1971-72
코바치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1972-73
코바치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1973-74
라테크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70~1979).svg
1974-75
크라머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70~1979).svg
1975-76
크라머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70~1979).svg
1976-77
페이즐리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1977-78
페이즐리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1978-79
클러프
파일:노팅엄 포레스트 FC 로고.svg
1979-80
클러프
파일:노팅엄 포레스트 FC 로고.svg
1980-81
페이즐리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1981-82
바턴
파일:아스톤 빌라 FC 로고.svg
1982-83
하펠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1983-84
페이건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1984-85
트라파토니
파일:1024px-Stemma_della_Juventus_1970-1990.svg.png
1985-86
제네이
파일: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로고.svg
1986-87
조르즈
파일:FC 포르투 로고.svg
1987-88
히딩크
파일:PSV 에인트호번 로고.svg
1988-89
사키
파일:AC 밀란 로고.svg
1989-90
사키
파일:AC 밀란 로고.svg
1990-91
페트로비치
파일: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로고.svg
1991-92
크루이프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1975~2002).svg
1992-93
후탈스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1993-94
카펠로
파일:AC 밀란 로고.svg
1994-95
반 할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1995-96
리피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
1996-97
히츠펠트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1997-98
하인케스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97~2001).svg
1998-99
퍼거슨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1999-00
델 보스케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97~2001).svg
2000-01
히츠펠트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96~2002).svg
2001-02
델 보스케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02-03
안첼로티
파일:AC 밀란 로고.svg
2003-04
무리뉴
파일:FC 포르투 로고.svg
2004-05
베니테스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2005-06
레이카르트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2006-07
안첼로티
파일:AC 밀란 로고.svg
2007-08
퍼거슨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2008-09
과르디올라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2009-10
무리뉴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엠블럼(2014~2021).svg
2010-11
과르디올라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2011-12
디 마테오
파일:첼시 FC 로고.svg
2012-13
하인케스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2002~2017).svg
2013-14
안첼로티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14-15
엔리케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2015-16
지단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16-17
지단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17-18
지단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18-19
클롭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2019-20
플릭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2020-21
투헬
파일:첼시 FC 로고.svg
2021-22
안첼로티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22-23
과르디올라
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
2023-24
안첼로티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24-25
}}}}}}}}}}}}}}}}}}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UEFA 챔피언스 리그
역대 준우승 감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08B 20%, #00008B 80%, #9400D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000,#e5e5e5
1955-56
바토
파일:스타드 드 랭스 로고(1999~2020).svg
1956-57
베르나르디니
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2003~2022).svg
1957-58
비아니
파일:AC 밀란 로고.svg
1958-59
바토
파일:스타드 드 랭스 로고(1999~2020).svg
1959-60
오스발트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1957~1965).svg
1960-61
오리사올라
파일:CFB_LOGO.png
1961-62
무뇨스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62-63
리에라
파일:1684286862237.png
1963-64
무뇨스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64-65
슈워츠
파일:1684286862237.png
1965-66
게기치
파일:FK 파르티잔 로고.svg
1966-67
에레라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2007~2014).svg
1967-68
글로리아
파일:1684286862237.png
1968-69
미헬스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1969-70
스타인
파일:셀틱 FC 유니폼 엠블럼(1888~1977).svg
1970-71
푸스카스
파일:파나티나이코스 FC 로고.svg
1971-72
인베르니치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2007~2014).svg
1972-73
비츠팔레크
파일:1971-1979 Juventus_Logo.jpg
1973-74
로렌소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1970~2016).svg
1974-75
암필드
파일:리즈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1975-76
허빈
파일:AS 생테티엔 엠블럼.svg
1976-77
라테크
파일: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로고(1970~1999).svg
1977-78
하펠
파일:클뤼프 브뤼허 KV 로고.svg
1978-79
휴튼
파일:말뫼 FF 로고.svg
1979-80
제베치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1980-81
보슈코브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81-82
체르너이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79~1996).svg
1982-83
트라파토니
파일:1024px-Stemma_della_Juventus_1970-1990.svg.png
1983-84
리드홀름
파일:AS 로마 로고(1977~1997).svg
1984-85
페이건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1985-86
베너블스
파일:83-830746_fc-barcelona-old-logo-hd-png-download.png
1986-87
라테크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79~1996).svg
1987-88
토니
파일:SL 벤피카 로고.svg
1988-89
요르더네스쿠
파일: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로고.svg
1989-90
에릭손
파일:SL 벤피카 로고.svg
1990-91
후탈스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1991-92
보슈코브
파일:UC 삼프도리아 엠블럼.svg
1992-93
카펠로
파일:AC 밀란 로고.svg
1993-94
크루이프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1975~2002).svg
1994-95
카펠로
파일:AC 밀란 로고.svg
1995-96
판할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1996-97
리피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
1997-98
리피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
1998-99
히츠펠트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96~2002).svg
1999-00
쿠페르
파일:발렌시아 CF 로고.svg
2000-01
쿠페르
파일:발렌시아 CF 로고.svg
2001-02
토프묄러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2002-03
리피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
2003-04
데샹
파일:AS 모나코 FC 로고.svg
2004-05
안첼로티
파일:AC 밀란 로고.svg
2005-06
벵거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2006-07
베니테스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2007-08
그랜트
파일:첼시 FC 로고.svg
2008-09
퍼거슨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2009-10
판할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2002~2017).svg
2010-11
퍼거슨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2011-12
하인케스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2002~2017).svg
2012-13
클롭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2013-14
시메오네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1970~2016).svg
2014-15
알레그리
파일:유벤투스 FC 로고(2004~2017).svg
2015-16
시메오네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1970~2016).svg
2016-17
알레그리
파일:유벤투스 FC 로고(2004~2017).svg
2017-18
클롭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2018-19
포체티노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2019-20
투헬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2020-21
과르디올라
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
2021-22
클롭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2022-23
인자기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2023-24
테르지치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2024-25
}}}}}}}}}}}}}}}}}} ||


[1] 중앙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 공격형 미드필더. 왼쪽 윙어로도 뛰었다.[2] 2017년 9월 28일 경질[3] 2019년 12월 11일 경질[4] 감독 통산 최다 우승 기록[5] 세리에 A, 프리미어 리그, 리그 1, 분데스리가, 라리가[6] 2002-03, 2006-07 시즌 AC 밀란, 2013-14, 2021-22, 2023-24 시즌 레알 마드리드. 유일한 1패가 그 유명한 이스탄불의 기적이다.[7] 밥 페이즐리, 지네딘 지단, 펩 과르디올라보다 2회 앞선다.[8] 2003-04 시즌 AC 밀란, 2009-10 시즌 첼시, 2012-13 시즌 파리 생제르맹, 2016-17 시즌 바이에른 뮌헨, 2021-22 시즌 레알 마드리드. 재밌는 것은 각자 딱 한 번씩만 우승했다. 두 번 이상 같은 리그에서 우승한 적은 없다. 보통 리그보다는 유럽 전체의 빅클럽이 경쟁 대상인 챔피언스 리그 우승이 훨씬 어려운데, 리그 우승 횟수와 챔피언스 리그 우승 횟수가 크게 차이나지 않는 특이한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것. 하지만 2023-24 시즌 레알 마드리드에서 두 번째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9] 2위는 588승의 아르센 벵거, 3위는 563승의 펩 과르디올라.[10] 이 인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선수빨 축구도 감독의 전술적 역량이 있어야 가능하다. 당장 한국 국가대표팀을 이끌면서도 온갖 잡음을 낸 클린스만과 달리 안첼로티는 에고가 강한 레알 마드리드 선수들에게 수비 위주의 역습 전술을 시키거나 포지션 땜빵을 시켰음에도 선수들이 군말없이 지시를 따랐을 정도로 카리스마와 리더십에서 격이 다른 수준을 보여주었다.[11] 주제 무리뉴와 공동 수상.[12] 알프 램지 어워드[13] 사실 2021-22 챔스는 결승을 제외한 토너먼트 전 경기가 기적일 정도로 극적인 승부가 많았다.[14] 해당 영상 3분 8초부터.[15] 당시 안첼로티는 레알 마드리드, 클롭은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감독이었으며 1차전 홈에서 3:0으로 승리했고 2차전 원정에서 2:0으로 패배했다.[16] 이때 승점과 승자승, 원정다득점, 골 득실까지 모두 동률이었으나 리버풀에 총 득점수가 2골 모자랐던 나폴리는 리버풀에 밀려 조 3위로 유로파 리그로 갔다. 반면 기사회생한 리버풀은 승승장구하며 우승했다.[17] 다만 이 경기는 VAR 오심의 이득을 봐서 겨우 비겼으며 애초에 전반전에 조던 픽포드가 퇴장 당해야 되는 장면 역시 VAR 오심으로 묻혔다.[18] 에버튼 팬덤 쪽에서는 매 시즌 챔피언스 리그 토너먼트에서 리버풀을 박살내 주는 모습 때문에 그의 행적에도 호평하는 반응을 볼 수 있다.[19] 그래도 2013-14 시즌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의 결승전 연장전에서 마르셀루의 쐐기골이 터지고 스코어가 3-1로 벌어졌을 때는 승리를 직감했는 지 두 손을 번쩍 들며 세리모니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