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4:38:48

조제 알타피니

조제 알타피니의 수상 이력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logo_main_coppaitalia_frecciarossa.png
파일:세리에 A 로고.svg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심볼.svg
베스트팀

FIFA 월드컵 우승 멤버
}}} ||
조제 알타피니의 기타 정보
파일:세리에 A 로고.svg
세리에 A 역대 득점 순위 Top 3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555555,#aaaaaa
<colcolor=#000,#fff> 순위 선수 국적 득점
1 실비오 피올라파일:UEFA ITA.png 274
2 프란체스코 토티파일:UEFA ITA.png 250
3 군나르 노르달파일:UEFA SWE.png 225
4 주세페 메아차파일:UEFA ITA.png 216
4 조제 알타피니파일:UEFA ITA.png파일:UEFA BRA.png 216
6 안토니오 디 나탈레파일:UEFA ITA.png 209
7 로베르토 바조파일:UEFA ITA.png 205
8 치로 임모빌레파일:UEFA ITA.png 196
9 쿠르트 함린파일:UEFA SWE.png 190
10 주세페 시뇨리파일:UEFA ITA.png 188
10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파일:UEFA ITA.png 188
10 알베르토 질라르디노파일:UEFA ITA.png 188
13 가브리엘 바티스투타파일:UEFA ARG.png 183
14 파비오 콸리아렐라파일:UEFA ITA.png 182
15 잠피에로 보니페르티파일:UEFA ITA.png 178
16 아메데오 아마데이파일:UEFA ITA.png 174
17 주세페 사볼디파일:UEFA ITA.png 168
18 루이지 리바파일:UEFA ITA.png 166
19 굴리엘모 가베토파일:UEFA ITA.png 164
20 로베르토 보닌세냐파일:UEFA ITA.png 162
21 루카 토니파일:UEFA ITA.png 157
22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파일:UEFA SWE.png 156
22 필리포 인자기파일:UEFA ITA.png 156
22 로베르토 만치니파일:UEFA ITA.png 156
25 루이스 비니시오파일:UEFA BRA.png 155
25 카를로 레구초니파일:UEFA ITA.png 155
27 이스트반 나이에르스파일:UEFA HUN.png 153
27 에르난 크레스포파일:UEFA ARG.png 153
29 아드리아노 바세토파일:UEFA ITA.png 149
30 오마르 시보리파일:UEFA ITA.png파일:UEFA ARG.png 147 }}}}}}}}}}}}

파일:AC 밀란 로고.svg[br]AC MILAN HALL OF FAM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3001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HAMPIONS
8 [ruby(에바니, ruby=알베리고)] 5 [ruby(코스타쿠르타, ruby=알렉산드로)] 13 [ruby(네스타, ruby=알렉산드로)] 21 [ruby(피를로, ruby=안드레아)]
5 [ruby(안퀼레티, ruby=안젤로)] 11 [ruby(모라, ruby=브루노)] 4 [ruby(안첼로티, ruby=카를로)] 11 [ruby(갈리, ruby=카를로)]
6 [ruby(말디니, ruby=체사레)] 32 [ruby(아비아티, ruby=크리스티안)] 10 [ruby(세도르프, ruby=클라렌스)] 9 [ruby(마사로, ruby=다니엘레)]
32 [ruby(베컴, ruby=데이비드)] 10 [ruby(사비체비치, ruby=데얀)] 4 [ruby(알베르티니, ruby=데메트리오)] 1 [ruby(쿠디치니, ruby=파비오)]
5 [ruby(갈리, ruby=필리포)] 9 [ruby(인자기, ruby=필리포)] 6 [ruby(바레시, ruby=프랑코)] 8 [ruby(가투소, ruby=젠나로)]
1 [ruby(게치, ruby=조르조)] 1 [ruby(갈리, ruby=조반니)] 7 [ruby(로데티, ruby=조반니)] 4 [ruby(트라파토니, ruby=조반니)]
9 [ruby(알타피니, ruby=조제)] 4 [ruby(칼라제, ruby=카카베르)] 5 [ruby(슈넬링거, ruby=칼 하인츠)] 10 [ruby(후이 코스타, ruby=마누엘)]
8 [ruby(드사이, ruby=마르셀)] 2 [ruby(카푸, ruby=마르쿠스)] 23 [ruby(암브로시니, ruby=마시모)] 12 [ruby(지다, ruby=네우송)]
3 [ruby(말디니, ruby=파올로)] 5 [ruby(데 베키, ruby=렌초)] 22 [ruby(카카, ruby=히카르두)] 7 [ruby(도나도니, ruby=로베르토)]
10 [ruby(굴리트, ruby=루드)] 10 [ruby(보반, ruby=즈보니미르)]
GOLEADOR
9 [ruby(보피, ruby=알도)] 7 [ruby(파투, ruby=알레샨드리)] 7 [ruby(세브첸코, ruby=안드리)] 9 [ruby(인자기, ruby=필리포)]
10 [ruby(리베라, ruby=잔니)] 11 [ruby(산타고스티노, ruby=주세페)] 11 [ruby(그렌, ruby=군나르)] 9 [ruby(노르달, ruby=군나르)]
9 [ruby(조던, ruby=조)] 9 [ruby(알타피니, ruby=조제)] 10 [ruby(스키아피노, ruby=후안 알베르토)] 99 [ruby(호나우두, ruby=루이스 나자리우 지 리마)]
11 [ruby(시모네, ruby=마르코)] 9 [ruby(반 바스텐, ruby=마르코)] 9 [ruby(헤이틀리, ruby=마크)] 9 [ruby(콤빈, ruby=네스토)]
9 [ruby(비어호프, ruby=올리버)] 7 [ruby(프라티, ruby=피에리노)] 11 [ruby(비르디스, ruby=피에트로)] 8 [ruby(윌킨스, ruby=레이)]
22 [ruby(카카, ruby=히카르두)] 10 [ruby(바조, ruby=로베르토)] 80 [ruby(호나우지뉴, ruby=호나우두 지 아시스 모레이라)] 11 [ruby(이브라히모비치, ruby=즐라탄)]
BALLON D'OR
7 [ruby(세브첸코, ruby=안드리)] 9 [ruby(웨아, ruby=조지)] 10 [ruby(리베라, ruby=잔니)] 9 [ruby(반 바스텐, ruby=마르코)]
22 [ruby(카카, ruby=히카르두)] 10 [ruby(굴리트, ruby=루드)]
CAPTAINS
4 [ruby(비곤, ruby=알베르토)] 5 [ruby(벳, ruby=알도)] 9 [ruby(세베니니, ruby=알도)] 3 [ruby(말데라, ruby=알도)]
7 [ruby(스카리오니, ruby=알레산드로)] 4 [ruby(보노미, ruby=안드레아)] 7 [ruby(소르마니, ruby=안젤로)] 5 [ruby(트레레, ruby=아틸리오)]
4 [ruby(안노비치, ruby=카를로)] 8 [ruby(로바티, ruby=체사레)] 6 [ruby(말디니, ruby=체사레)] 8 [ruby(사니, ruby=디노)]
8 [ruby(모란디, ruby=에르네스토)] 3 [ruby(솔데라, ruby=프란체스코)] 3 [ruby(차가티, ruby=프란체스코)] 6 [ruby(바레시, ruby=프랑코)]
8 [ruby(레이카르트, ruby=프랑크)] 10 [ruby(리베라, ruby=잔니)] 11 [ruby(모레티, ruby=조반니)] 6 [ruby(안토니니, ruby=주세페)]
9 [ruby(노르달, ruby=군나르)] 9 [ruby(푸리첼리, ruby=에토레)] 5 [ruby(킬핀, ruby=허버트)] 1 [ruby(부폰, ruby=로렌초)]
9 [ruby(반 헤게, ruby=루이스)] 11 [ruby(키아루지, ruby=루차노)] 5 [ruby(페르베르시, ruby=루이지)] 5 [ruby(로사토, ruby=로베르토)]
2 [ruby(살라, ruby=마르코)] 23 [ruby(암브로시니, ruby=마시모)] 2 [ruby(타소티, ruby=마우로)] 10 [ruby(리드홀름, ruby=닐스)]
8 [ruby(토뇬, ruby=오메로)] 3 [ruby(말디니, ruby=파올로)] 9 [ruby(부리니, ruby=렌초)] 9 [ruby(안토넬리, ruby=로베르토)]
4 [ruby(베네티, ruby=로메오)] 6 [ruby(부리아니, ruby=루벤)] 9 [ruby(아르카리, ruby=피에트로)] 1 [ruby(로시, ruby=세바스티아노)]
27 [ruby(세르지뉴, ruby=세르지우 클라우지우 두스 산투스)] 5 [ruby(바티스티니, ruby=세르지오)] 33 [ruby(실바, ruby=티아고)] 11 [ruby(노벨리노, ruby=발테르)]
}}}}}}}}}}}} ||
브라질의 前 축구선수
파일:old altafini.jpg
이름 조제 알타피니
José Altafini
본명 조제 주앙 알타피니
José João Altafini
출생 1938년 7월 24일 ([age(1938-07-24)]세) /
브라질 상파울루 피라시카바
국적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신체 176cm
직업 축구선수 (스트라이커 / 은퇴)
축구해설자
작가
소속팀 SE 파우메이라스 (1956~1958)
AC 밀란 (1958~1965)
SSC 나폴리 (1965~1972)
유벤투스 FC (1972~1976)
토론토 이탈리아 (1976)
FC 치아소 (1976~1979)
FC 멘드리시오스타 (1979~1980)[1]
국가대표 8경기 4골 (브라질 / 1957~1958)
6경기 5골 (이탈리아 / 1961~1962)
정보 더 보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eeeeee,#191919> 별명 마촐라(MAZOLA)[2]

}}} ||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2.2. 국가대표 경력
3. 플레이 스타일4. 은퇴 이후5. 여담6. 기록
6.1. 대회 기록6.2. 개인 수상6.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브라질[3]의 前 축구선수.

당대 최고의 공격수 중 한 명으로 세리에 AAC 밀란의 레전드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파일:ACM altafini.jpg
알타피니는 1956년 브라질의 명문 SE 파우메이라스에서 데뷔했다. 17세의 나이에 구단 역대 최연소 득점자가 되었으며 두 시즌 동안 114경기에 출전하여 89골을 넣는 10대 신인답지 않은 괴물 같은 퍼포먼스를 보여줬다. 리우 상파울루 결승전에서 펠레, 지투, 주제 마시아 페페가 버티고 있는 산투스 FC를 상대로 멀티골을 뽑아낸 경기는 아직도 브라질 올드 팬들 사이에서 전설의 명승부로 회자되고 있다.[4]
이러한 활약들로 자연스럽게 브라질 최고의 신성 자리를두고 펠레와 라이벌 구도가 형성되었다.

이후 이탈리아로 떠나 세리에 A의 명문 AC 밀란에 입단한 알타피니는 첫 시즌인 1958-59시즌 32경기에 출전하여 28골을 넣는 활약으로 팀이 스쿠데토를 차지하는데 일등공신이 되었다.

1962-63시즌까지 5시즌 연속 20골을 넘기는 활약으로 1960-61시즌 두 번째 스쿠데토와 코파 이탈리아 우승을 이끌었고, 1961-62시즌에는 세리에 A에서 득점왕을 차지하며 세리에 A와 AC 밀란의 전설이 되었다.

특히 개인 커리어 하이라고 할 수 있는 1962-63시즌 유러피언컵에서는 8강 갈라타사라이 SK전까지 12골을 넣었고, 결승전에서 디펜딩 챔피언이자 유러피언컵 3연패에 도전하는 당시 유럽 최강의 팀 중 하나로 평가 받던 에우제비우가 이끄는 SL 벤피카를 상대로 멀티골을 터뜨리는 맹활약으로 AC 밀란의 우승을 이끌었다.

이 대회에서 총 14골을 기록하며 유러피언컵 단일 시즌 역대 최다 득점 득점왕에 오르는 영예까지 얻었다.
이 기록은 2013-14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17골을 기록하기 전까지 50년이 넘도록 챔피언스 리그 단일 시즌 역대 최다 득점 기록이었다.

1965년 알타피니는 AC 밀란을 떠나 SSC 나폴리유벤투스 FC에서 활약을 이어갔으며 유벤투스에서 두 차례 스쿠데토를 들어올렸고, 리그에서만 약 100여 골을 더 득점하며 세리에 A 통산 216골을 기록하였다.[5]

2.2. 국가대표 경력

조국인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에 참가했다. 주로 바바의 교체 자원으로 출전하여 웨일스펠레의 결승골을 도왔고, 오스트리아전에서 2골을 기록하는 등의 활약으로 브라질의 월드컵 첫 우승에 기여했다. 그러나 주전으로 뛰지 못하는 자신의 입지에 불만을 가졌던 알타피니는 AC 밀란 시절 이탈리아 국적을 취득해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1962 FIFA 월드컵 칠레에 참가했다. 하지만 브라질이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한 것과 대조적으로 이탈리아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그래도 브라질, 이탈리아 두 축구강국의 대표팀으로 모두 월드컵 본선을 경험한 흔치않은 기록을 남겼다.

3. 플레이 스타일


브라질리언다운 훌륭한 볼 컨트롤 능력과 상대 수비를 따돌리는 폭발적인 순간 속도, 지능적인 오프 더 볼 능력과 원샷 원킬의 골 결정력까지 갖췄다.

4. 은퇴 이후

이탈리아 방송에서 축구 해설을 하고 있으며 솔직하고 호쾌한 입담으로 인기를 끌었다.

또한 두 권의 책을 집필하며 작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5. 여담

여담으로 펠레의 전기 영화에서 어렸을 때 펠레를 괴롭히는 것으로 나온다.[6]

6. 기록

6.1. 대회 기록

6.2. 개인 수상

6.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e30013><tablebgcolor=#e30013> 파일:AC 밀란 로고.svgAC 밀란
최다 득점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순위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국적
1 군나르 노르달 Gunnar Nordahl 파일:스웨덴 국기.svg 221
2 안드리 셰브첸코 Andriy Shevchenko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175
3 잔니 리베라 Gianni River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64
4 조제 알타피니 José Altafin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61
5 알도 보피 Aldo Boff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36
6 필리포 인자기 Filippo Inzagh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26
7 마르코 반 바스텐 Marco van Basten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25
8 주세페 산타고스티노 Giuseppe Santagostin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06
9 카카 Kaká 파일:브라질 국기.svg 104
10 피에리노 프라티 Pierino Prat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02
}}}}}}}}}}}} ||



[1] 2006년 FC 스타비오와 합병하면서 멘드리오소-스타비오로 바뀌었다.[2] 세리에 A의 전설 발렌티노 마촐라(Valentino Mazzola)로부터 따온 별명으로 Z가 하나 빠진 MAZOLA로 불렸다.[3] 이탈리아 이중국적.[4] 팀은 6:7로 석패하였다.[5] 2020년 기준, 세리에 A 역대 최다 득점 4위 기록이자 SSC 나폴리 역대 최다 득점 8위 기록이자 AC 밀란 역대 최다 득점 2위 기록이다.[6] 실제로는 친했다.[7] 1987년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