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01:27:33

이영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가수에 대한 내용은 이영빈(200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군 입대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30452><colcolor=#fff> 투수 임준형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 김지용 · 송승기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 허준혁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 조원태 · 이민호 · 김주완 · 이정용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 임정균 · 양진혁 · 원상훈
포수
내야수 이영빈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 곽민호 · 엄태경 · 송대현 · 강민균
외야수 이준서 · 권동혁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b146>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4 시즌 로스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ab146><colcolor=#000> 코칭스태프 '''71 김준완 · 72 김응민 · 73 김승준 · 74 박치왕 [[감독#s-1.1|
]]
· 75 이대환 · 83 최정민 · 87 민창호 · 88 지재옥
· 89 강진구'''
투수 1 박주성키움 · 2 구창모NC · 8 전영준SSG · 11 이강준키움
· 15 장지훈SSG · 17 이재희삼성 · 18 허준혁LG · 19 박주혁삼성
· 22 배제성KT · 29 김건우SSG · 31 이정용LG · 37 박동수NC
· 42 조요한SSG · 43 김택형SSG · 47 허윤동삼성 · 48 김윤수삼성
· 51 조민석NC · 55 윤산흠한화 · 59 임준형LG · 60 김태경NC
· 99 송승기LG
포수 0 박성재두산 · 25 박성재NC · 27 김선우KIA · 44 허인서한화
내야수 6 심우준KT · 7 한태양롯데 · 16 이해승삼성 · 21 이영빈LG
· 32 조민성삼성 · 38 권동진KT · 41 정민규한화 · 50 오태양NC
· 56 박정현한화
외야수 9 추재현롯데 · 12 조세진롯데 · 13 박승규삼성 · 30 오장한NC
· 58 이주형키움 · 63 한승연KIA
위첨자 - 해당 선수의 원 소속 구단
}}}}}}}}} ||
이영빈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LG 트윈스 등번호 0번
남호
(2020.8.30.~2020)
이영빈
(2021~2022)
김유영
(2023~)
}}} ||
파일:이영빈 프로필 LG.png
<colbgcolor=#ebad24> 상무 피닉스 야구단 No.21
이영빈
李榮斌 | Lee Young-Bin
출생 2002년 6월 17일 ([age(2002-06-17)]세)
대전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대전동산초(대전중구리틀) - 충남중 - 세광고
신체 181cm, 85kg
포지션 내야 유틸리티(유격수)[1]
투타 우투좌타
프로 입단 2021년 2차 1라운드 (전체 7번, LG)
소속팀 LG 트윈스 (2021~)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3년 1월 16일 ~ 2024년 7월 15일)
연봉 5,500만 원 (83.3%↑, 2022년)
종교 개신교
응원가 구단 자작곡[2]
소속사 어썸스포츠
가족 아버지 이민호, 어머니, 누나, 형 이성열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주요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영빈스윙.jpg
LG 트윈스 소속 내야수.

서서히 30대 중반으로 들어서고 있는 팀의 주축인 주전 유격수 오지환의 후계자로 불린다. 2021년 신인드래프트 2차 1라운드에서 지명되었으며 안정적인 유격수 수비에 고교 선수들 중에서는 출중한 컨택능력을 겸비하고 있고 배드볼 히터의 기질을 보이고 있으며 포스트 오지환이라고 불리는 만큼 지금 당장의 활약이 돋보이지는 않지만 LG의 유망주 팜에서 제일 큰 기대를 받고 있는 유망주들 중에 한 명이다.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이영빈/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1년 2022년 2024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데뷔 초에는 볼넷으로 출루하려 하기보다는 맞춰서 나가려는 성향이 강해서 스윙 빈도가 매우 잦았지만, 점점 볼을 많이 보기 시작하면서 볼넷이나 루킹 삼진도 늘어났다.

변화구 대처능력이 좋아서 슬라이더나 스플리터 계열에 강한 모습을 보였으나 커브에는 전혀 대처를 못 하고 있다. 커브가 정가운데로 들어와도 지켜보거나 헛스윙을 하는 편.

컨택 능력이 신인치고 좋은 편이긴 하나, 아직 다듬을 점이 많아 변화구에 속거나 2 스트라이크 이후에 들어오는 애매한 공을 바라보며 당하는 삼진이 적지 않다. 이 때문에 볼삼비가 매우 좋지 않다. 그래도 컨택 능력은 발전 가능성이 높은 데다가, 선구안도 나쁜 편이 아니기 때문에 기대가 되는 선수다.

샘플이 적기는 하지만 밀어치는 능력도 꽤나 준수하다. 좌중간을 가르는 안타가 꽤나 자주 나오는 것을 보면 스프레이 히터라고도 할 수 있다.

주력은 꽤 빠른 편으로 잘 뛰고 잘 달리는 스타일이다. 또한 주루 플레이 자체가 과감한 편이라서, 짧은 타구임에도 열심히 뛰어 2루타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아버지인 이민호와 같이 공격형 내야수라는 공통점이 있고 타격 실력을 인정받는 공통점이 있으나 아버지는 발이 빠르진 않고 장타력이 뛰어난 거포형인데 반해 이영빈은 기본 컨택이 뛰어난 교타자에 아버지처럼 거포 타입은 아니지만 빠른 발을 가지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LG에서는 이재원, 김범석과 함께 많은 기대를 받고 있고, 세대교체의 중심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포스트 오지환 1순위로 꼽히고 있다.

4. 연도별 주요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이영빈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WAR*
2021 LG 72 169 36 9 0 2 21 16 6 15 51 .243 .323 .345 .668 86.6 0.27
2022 60 83 14 3 0 1 16 5 0 7 25 .184 .253 .263 .516 48.0 -0.08
2023 군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rowcolor=#373a3c> KBO 통산
(2시즌)
132 252 50 12 0 3 37 21 6 22 76 .223 .300 .317 .617 75.0 0.19

5. 여담

  • 아버지가 이민호 전 빙그레-한화, 쌍방울, SK에서 뛰었던 야구선수이다. 지금은 대전 중구 리틀야구단 감독이다. 한국리틀 최초로 '대전 충청권 팀'으로 한국예선전, 아시아-퍼시픽&중동 월드시리즈 예선을 거쳐 2019년 리틀 월드시리즈 본선에 한국대표팀 감독을 맡기도 하였다. 여담으로 팀 동료 중 아버지와 동명이인인 선수가 있다.
  • 학교 폭력 논란이 있었으나, 실제 폭행 당사자가 아닌 오히려 말리는 쪽인 선배였다고 세광고 감독이 직접 10개 구단에 사실 확인서를 돌렸다고 한다.[3] 다만 그 현장에 같이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연대책임 형식으로 학교폭력위원회로부터[4][5] 징계를 받았으며 그나마도 가장 낮은 수준의 징계를 받았다. #
  • 차명석 LG 트윈스 단장이 드래프트 전 "우리의 지명 전략은 이영빈, 김진수(중앙대 투수, LG 2라운드 지명), 이용준(서울디자인고 투수, NC 2라운드 지명) 중 2명 잡는 것"이라고 하였는데, 전략대로 이영빈과 김진수를 지명하면서 성공적인 드래프트가 되었다.
  • 별명으로 빵빈, 감자, 호빵빈이 있다.
  • 작은 얼굴에 똘망똘망한 눈을 가진 귀여운 외모에 근육질로 다져진 피지컬이라 데뷔 첫 해부터 많은 여심을 자극하고 있다.[6]
  • 카페 최애 음료는 아이스티에 샷을 추가한 것이고#, 베스킨라빈스31 최애 아이스크림은 엄마는 외계인이라고 한다. #
  • 다른 팀에서는 김강민이 대표적인 등번호 0번을 달고 뛰었던 선수인데, 실제로 김강민이 이영빈에게 배트를 선물해줬다는 미담도 전해지고 있다.

6. 관련 문서


[1] 유격수, 2루수, 1루수. 어느 하나로 고정하기 보다는 내야 전 포지션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살려 이것저것 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일단은 키스톤 백업으로 주로 나서며 오지환의 후계자로 주목받고 있는데, 손호영, 신민재 등이 2루수로 자리를 잡으면서 1루수로 종종 나서고 있다.[2] 달려라 LG의 이영빈~ 날려라 LG의 이영빈 LG의 승리를 위하여~ 오! 이영빈~ x2[3] 실제로 피해자가 이영빈이 가해자가 아니라고 직접 언급을 했다. # 기사 속 '내야수 형'이 이영빈이다.[4] 여기서 한국의 학폭에 대한 이중성이 보이고 있다. 말린 사람까지 징계 대상이 된다면 답은 도망가는 것 뿐인데 도망가면 방관자로 또 처벌 받는다. 도대체 대응을 어떻게 해야 징계를 안 받는 건지... 그냥 개 처맞듯 맞고 깽값 받는 게 징계 안 받는 방법이라는 말도 있다.[5] 한국은 학교폭력에는 강한 반응을 보이지만 냉정히 봤을 때 정의와 선례를 빙자한 부당 및 과잉 징계와 무고한 사람까지 연대책임식으로 징계하는 등 징계 절차가 매우 엉망인 편이다.어찌 보면 이영빈의 이 징계도 놀랄 일이 아닌 것, 그나마 유명인이고 공인이라 사실이 알려져 괜찮지만, 학교폭력 가해자라고 낙인찍힌 학생들 중 이런 경우가 한 둘이 아니며 이들 또한 억울하게 불이익을 받는다.[6] 목소리는 생김새와 갭이 좀 있는, 굵은 중저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