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11:22:30

손호영(야구선수)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2024 시즌 내야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7 이학주 · 14 최항 · 16 김민성 · 33 손호영
· 51 나승엽 · 53 박승욱 · 65 고승민
2군
3 신윤후 · 6 오선진 · 9 정훈IL-15 · 25 한동희IL-30
· 52 노진혁 · 63 이주찬 · 67 강성우 · 68 정대선
· 98 이호준
육성선수
101 고경표 · 106 최종은 · 109 안우진 · 114 김동규
최종 편집: 2024년 6월 2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입대선수등록선수육성선수응원단
다른 KBO 리그 팀별 명단 둘러보기 }}}}}}}}}
손호영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LG 트윈스 우승 엠블럼 V3.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23

LG 트윈스 등번호 50번
박재욱
(2019.8.13.~2019)
<colbgcolor=#000><colcolor=#fff> 손호영
(2020~2022)
이지강
(2023~)
LG 트윈스 등번호 24번
김영준
(2022.7.27.~2022)
손호영
(2023)
결번
LG 트윈스 등번호 7번
정주현
(2018~2023)
손호영
(2024~2024.3.29.)
결번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33번
최이준
(2023)
손호영
(2024.3.30.~)
현역
}}} ||
파일:2024_손호영.png
<colbgcolor=#041e42><colcolor=#fff> 롯데 자이언츠 No.33
손호영
孫晧塋 | Son Hoyoung
출생 1994년 8월 23일 ([age(1994-08-23)]세)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의왕부곡초 - 평촌중 - 충훈고 - 홍익대(중퇴)
신체 183cm, 88kg
포지션 내야 유틸리티[1]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14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CHC)
2020년 2차 3라운드 (전체 23번, LG)
소속팀 시카고 컵스 산하 마이너 (2014~2017){{{-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연천 미라클 (2019)
LG 트윈스 (2020~2024)
롯데 자이언츠 (2024~)
병역 현역 (2017~2018)
연봉 2024 / 4,5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세븐틴 - 《손오공》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응원가 구단 자작곡[2]
{{{-2 {{{#!folding [ 이전 응원가 보기 ]
소속사 팀 퓨처스
파일:롯데 자이언츠 심볼.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롯데 자이언츠 소속 내야수.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플레이 스타일

상당히 늦은 나이에 지명되었음에도 공수에서 포텐을 인정받은 전천후 내야수이다.

타격에서는 호쾌한 스윙을 기반으로 컨택에 성공한다면 제법 준수한 타구를 생산할 수 있다. 다만 카운트를 가리지 않고 휘두르는 적극적인 타격 성향 때문에 헛스윙 삼진이 많다는 것이 단점. 주루에서도 1인분 정도는 하지만 무리한 도루시도로 흐름을 끊는 경우가 있다.

수비에서는 넓은 수비범위와 괜찮은 반응속도, 뛰어난 어깨를 기반으로 호수비 하이라이트를 종종 찍어낸다. 그러나 가끔 평범한 타구를 실책하는 경우가 있는데, 호수비와 어이없는 실책이 모두 많은 김성현이나 팀동료 이학주와 비슷한 유형이다.

가장 큰 단점은 유리몸. 고질적인 햄스트링 통증을 안고 살며 팀이 필요로 하는 순간에 부상 결장이 잦다. 차명석 단장이 2021년 3월 엘튜브에서 왜 이리 자주 다치냐며 대놓고 한탄했을 정도. 2022년에도 7월까지 좋은 활약을 보이다가 중수골 골절로 시즌아웃되는 등 불운이 겹치고 말았다.

2023년엔 시즌 시작 직전에 또 햄스트링 부상을 당해 기용이 또다시 무산되었다. 이 유리몸 문제는 엘튜브에서도 동료 선수들이 손호영에게 에둘러 강조하는 등 LG의 코칭스태프들과 동료 선수들도 손호영이 잘 다친다는 걸 아는 모양.

센터 내야수 치고 큰 체격인 183cm, 85kg라 부하가 많이 걸린다는 평도 있지만 골절 & 근육 부상이 너무 잦은 걸 보면 가지고 있는 운동능력에 비해 뼈와 근육이 약한 것으로 추정된다. 예전 LG와 삼성을 거쳤던 김태완이 연상되는 대목이다.

4. 여담

  • 2020년 신인 2차 지명에 참가한 해외파들 중 가장 빨리 지명되었다.[3]
  • 동명이인의 가수 손호영이 있기 때문인지 일반인들은 물론 야구 팬들 사이에서도 인지도는 아직 높지 못하다. 하지만 LG의 2루수가 무주공산인 만큼 1군에 등록돼서 호성적을 기록한다면 인지도도 그만큼 빨리 오를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2022 시즌 기준 2루수 경쟁자인 서건창, 정주현, 이상호와의 경쟁을 통해 주전 2루수 자리를 차지해야만 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신인 송찬의의 등장과 감독의 서건창 편애로 인해 주전으로 나오지 못하는 중이었지만, 서건창이 부상으로 2군에 내려가고, 송찬의가 타격에서의 부진으로 인해 기회를 받고 있다.
  • 동명이인 가수 손호영과 이름이 같기 때문에 쥐오디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2023년 7월에 바꾼 등장곡도 god의 하늘색 풍선이다. 심지어 2022 시즌 그가 역전타를 기록했을 때 LG 구단 공식 유튜브에서 god의 어머님께의 한 가사를 인용한 어머님은 역전이 좋다고 하셨어라는 제목의 썸네일을 한 영상이 올라오기도 했다.
  • 잦은 부상으로 인하여 팀내에서 비눗방울로 불리고 있다.

5. 관련 문서


[1] 내야 전 포지션 소화가 가능하며, LG 시절에는 1루를 제외한 세 포지션에 고르게 출장했지만 롯데 이적 후에는 주로 2루수와 3루수로 출장하고 있다.[2] 롯데의 손호영 안타 쌔리라 롯데의 손호영 오오오오 X4[3] 같이 참가한 문찬종은 2016년 9월에 마이너리그에서 마지막으로 경기를 소화한 뒤 실전 공백이 3년 가까이 되는 등의 핸디캡이 지적되면서 6라운드에 지명되었고, 재일교포인 안권수는 일본 독립리그에서만 뛰었던 데다 트라이아웃 당시 부상을 안고 있었기 때문에 마지막 라운드인 10라운드까지 가서야 지명됐다.[4] 충훈고 출신으로 정식으로 프로 지명을 받은 선수는 2013년도 신인 지명에서 SK에 8라운드 지명을 받은 성양민이 유일했다가 2024년도 신인 드래프트에서 LG가 5라운드에서 김대원을 지명한다. 다만 이 김대원도 홍익대 졸업반 때 지명되었기 때문에, 고교 졸업 예정자 중 지명받은 선수는 아직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