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10:26:02

고승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고승민의 2024 시즌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고승민/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2024 시즌 내야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9 정훈 · 14 최항 · 33 손호영 · 51 나승엽
· 53 박승욱 · 65 고승민
2군
3 신윤후 · 6 오선진 · 7 이학주 · 16 김민성
· 52 노진혁 · 63 이주찬 · 67 강성우 · 68 정대선
· 98 이호준
육성선수
101 고경표 · 106 최종은 · 109 안우진 · 114 김동규
최종 편집: 2024년 6월 14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응원단
다른 KBO 리그 팀별 명단 둘러보기 }}}}}}}}}
고승민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164d> 파일:질롱 코리아 엠블럼.svg질롱 코리아
2019-20 시즌 엔트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1164d><colcolor=#FFF> 투수 1 이인복# · 11 장국헌 · 14 정태승 · 17 허민혁
18 김인범 · 21 신효승 · 30 이찬석# · 32 박정배
38 노경은# · 51 박종무 · 55 양기현 · 60 호키#
98 휴즈# · 99 박주홍
포수 12 박재욱 · 22 주성원 · 47 배현호
내야수 2 배지환# · 5 김민수 · 6 김대륙# · 7 백승현
16 김주형 · 36 전병우# · 95 그린할즈# · 98 우드#
외야수 '''1 강로한 · 9 홍창기 · 25 이재원 · 33 허일 [[틀:질롱 코리아 주장|
C
]]
34 임지열 · 52 고승민# · 53 송우현# · 62 추재현'''
''' 파일:호주 국기.svg 그램 로이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경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태완'''
# 중도 이탈 선수 }}}}}}}}}

고승민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17번
이예찬
(2016)
<colbgcolor=#dc0232><colcolor=#fff> 고승민
(2019~2019.3.20.)
박명현
(2024~)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7번
이정담
(2018)
고승민
(2019.3.21.~2020.7.7.)
장두성
(2020.7.~2020)
질롱 코리아 등번호 52번
류기훈
(2018-19)
고승민
(2019-20)
김태연
(2022-23)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번
마차도
(2020~2021)
고승민
(2022~2022.3.10.)
이학주
(2022.3.11.~2022)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5번
엄장윤
(2022~2022.3.10.)
고승민
(2022.3.11.~)
현역
}}} ||
}}} ||
파일:2024 고승민 프로필.png
<colbgcolor=#041e42><colcolor=#fff> 롯데 자이언츠 No.65
고승민
高承慜|Go Seung-Min
출생 2000년 8월 11일 ([age(2000-08-11)]세)
전라북도 군산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군산신풍초 - 배명중[1] - 북일고
신체 189cm|92kg|295mm | A형
포지션 2루수[2], 1루수[3], 우익수[4], 좌익수[5]
투타 우투좌타
프로 입단 2019년 2차 1라운드 (전체 8번, 롯데)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2019~)
질롱 코리아 (2019/20)
병역 대한민국 육군 제15보병사단 병장 만기전역[6]
(2020년 7월 6일 ~ 2022년 1월 5일)
연봉 2024 / 8,0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The Script & will.i.am - 《Hall Of Fame》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응원가 예수전도단 - 《주의 자비가 내려와[가사][8] (2022~)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41e42><colcolor=#fff> MBTI ISFP }}}}}}}}}
파일:롯데 자이언츠 심볼.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3.2. 수비3.3. 주루3.4. 총평
4. 논란 및 사건 사고
4.1. 사생활 논란
5. 여담
5.1. 별명
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너의 성공에 한치의 의심도 없다. 노력하자.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소속 내야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고승민/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9년 2020년 2022년 2023년 2024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

빠른 타구 속도를 바탕으로 라인드라이브성 타구를 양산해내는 중장거리형 타자. 잠재력이 터지기 전부터 한동희와 함께 리그에서도 손꼽히는 타구 속도를 가져 롯데 야수진 리빌딩의 핵심 중 한 명으로 항상 지목되었다.

22시즌 리그 내 전체 타구 속도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빠른 타구 속도를 보유하고 있고 벌크업 이후 어느정도의 장타력 또한 겸비하게 되었으나, 발사각이 12도로 매우 낮은 편에 속해 땅볼이 자주 나온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장타력을 늘리기 위해 23시즌에는 박흥식의 지도 아래 발사각을 올리는 시도를 했으나 실패로 돌아갔고, 이후 24시즌에는 장타력을 의식한 레그 킥을 포기하자 본인의 장점인 컨택과 타구 속도가 정상으로 돌아오며 좋은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대표적인 단점은 좌상바 기질. 본격적으로 1군에 자리잡은 22시즌부터 본인의 저조한 좌완 상대 성적과 래리 서튼의 좌우놀이 성향이 겹쳐 상대 선발이 좌완이면 거의 무조건 선발 라인업에서 제외되었고, 24시즌에도 우완을 상대로는 OPS가 1에 육박하는 성적을 기록하고 있지만 좌완을 상대로는 0.6에 수렴하는 저조한 타격 성적을 보이고 있다.

3.2. 수비

내야의 1,2루와 코너 외야 수비를 모두 맡을 수 있는 내·외야 유틸리티 플레이어. 주로 2루수로 출장하지만 라인업에 따라 외야수로도 자주 출전한다.

포지션 변경이 잦은 유망주의 대다수는 본인의 수비 포지션을 확실히 정하지 못해 이를 찾는 과정에서 포지션을 옮겨 다니는 케이스가 대부분이나, 고승민은 팀의 포지션 공백에 따라 매년 포지션을 옮겨다니면서 자연스럽게 유틸리티 툴을 장착하게 된 케이스.

신인 드래프트 당시 내야수로 지명되었고 프로 1년차까지는 2루수를 담당했으나, 현역 복무 후 첫 시즌인 22시즌에 성민규 전 단장의 외야 컨버전 선호와 손아섭의 이적으로 인한 우익수 공백이 겹치면서 주로 우익수로 출장했다. 23시즌에는 기존 1루수 정훈의 부상과 팀 내 외야 자원 포화로 인해 1루수로 출전했고, 24시즌이 되어서야 안치홍의 이적으로 2루수에 공백이 생기면서 2루수로 돌아왔다.

2루수의 경우 특별히 모난 데 없는 수비를 보여주지만 수비 범위가 넓지 않으며, 병살성 타구를 포구하고 넘겨주는 과정이 매끄럽지 못하고 버벅임이 생겨 병살을 만들지 못하는 장면이 종종 연출된다. 햇수로는 약 5년만에 2루수로 돌아온 만큼 2루 수비가 완전하다고 보기는 어려운 편.

외야의 경우 포지션 변경 첫 해였던 22시즌에는 타구 판단이 좋지 못해 본 헤드 플레이를 연출하기도 했으나 현재에 와서는 어느정도 개선되었다. 또한 내·외야를 병행하는 유틸리티임에도 어깨가 좋아 보살까지 기대할 수 있다.

3.3. 주루

거포형 체격은 아니지만 실제 주력은 유강남과 비슷하다는 언급이 있을 정도로 느린 편.[9] 벌크업 이전이었던 19시즌엔 도루 시도 자체가 없었고, 벌크업을 진행한 현역 복무 이후에도 도루 시도가 많은 편은 아니다.

대신 주루 센스가 좋아서 대주자로 기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고 도루 성공률도 리그 평균보다 근소하게 높으며, 2루에서 단타가 나왔을때 홈으로 쇄도하는 등의 플레이는 무리없이 잘 소화한다.

3.4. 총평

조세진, 윤동희, 나승엽, 추재현 등 다양한 야수 유망주를 보유한 롯데 팜 내에서도 한동희와 함께 롯데의 야수 리빌딩의 핵심이자 코어 유망주로 손꼽히며, 팀이 완전히 박살났던 2019년부터 꾸준히 가능성이 보이는 타격을 선보이며 내야 코어 유망주로 낙점 받은 선수다. 팀 내부 사정으로 인해 자주 바뀌는 포지션[10]과 좌상바 기질로 인해 제한되는 기회를 장점을 극대화하며 점차 알을 깨고 있는 선수.

성민규 단장 시절에는 일단 코어 유망주를 외야로 돌려서 당장 1군에서 뛸 수 있게 하는 코칭 방법이 주가 되어 외야수로 전향했음에도 2022년, 딱 반년뿐이었지만 아름다운 시기를 보냈고, 비록 2023년 박흥식 타격코치의 잘못된 코칭과 느닷없이 이루어진 1루 전향에 1년을 그대로 날려먹고도 바로 다음해인 2024년 레그킥을 버리는 타격폼으로 다시 바꿔서 폼을 되찾아오는 등, 타격 재능 하나는 확실하다고 여겨지는 선수다.

4. 논란 및 사건 사고

4.1. 사생활 논란

2020년 3월 24일, 전 여자친구 A씨가 고승민과 사귀면서 두 번 임신했는데, 두 번 유산했다고 주장했다.[11] 그리고 바로 다른 여자를 소개받아서 만났다고 한다.기사

폭로글에 의하면, A씨는 2017년 8월, 고승민이 고등학교 2학년 때 고승민과 사귀었으며, 그 해 11월 임신했다고 한다. 당시 시기가 시기인 만큼 부모님들과 상의해 낙태를 결정했는데, 고승민은 몰래 다른 여자를 만나다가 A씨에게 들켰다고 한다. A씨는 너무 당황스러운 나머지 다른 커플 친구들에게 자문했고, 그걸 안 고승민이 이 사실을 아는 야구부 부원들에게 A씨의 잘못으로 뒤집어씌웠다는 것.

그렇게 야구부 부원들에게 욕을 엄청 듣고 헤어졌는데, 고승민에 대한 미련을 못 버린 A씨는 결국 다시 고승민과 계속해서 연락했는데, 그때 또 임신했다고 한다. 그러나 고승민은 임신한 아이가 자기 아이가 맞느냐는 둥 불신했고, 결국 A씨는 유산했다고 한다. 이후 프로에 간다고 고승민은 A씨를 없는 사람 취급했고, 이에 본인은 지금 병원에서 (계속된 유산으로) 임신이 더 이상 힘들 것 같다는 진단을 받았고, 아직도 주변 사람들에게 욕 먹으면서 지내는데, 그 아이는 너무 승승장구하는 모습을 보기 너무 힘들어 폭로한다고 밝혔다.

이후 이 사실이 모든 커뮤니티에 알려지고 기사화되며 일부 네티즌들이 A씨가 여자친구가 맞냐는 의혹을 제기하자, 고승민과 나눈 DM을 공개하면서 확실한 증거를 내놓았다.

이 사건이 터진 이후 고승민은 1군은 물론이고 2군에서도 사라졌다...가 개막전 2군 라인업에 선발로 모습을 드러냈다. 다만 해당 경기는 우천취소되었고, 그 후 현역 육군으로 군대에 갔다.

이후 A씨가 대화로 원만하게 해결하였고, 더 이상의 이슈화는 원치 않는다고 밝히면서 별 다른 징계 없이 논란이 끝났지만, 이 사건 때문에 여초 커뮤니티에선 지시완, 서준원과 함께 금지어로 취급하고 있다. 대부분의 커뮤니티에서 간간히 언급이 되는 수준이지만, 당사자간 합의를 봤기에, 더 이상 심하게 건드리지는 않는 여론이다.

5. 여담

  • 야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형이 먼저 시작해 본인 또한 따라 갔다고 한다.
  • 실제 롤모델은 오재원이라 한다.[12] 공교롭게 오재원도 두산 입단 전까지 LG팬이었다.
  • 군복무 중 근력운동을 많이 해서 몸무게를 95kg까지 불렸다.[13]
  • 군복무 시절 주특기는 81mm 박격포였다고 한다. 팀 내 정훈김도규 역시 현역 시절 같은 보직이었다. 중대는 달랐지만 황영묵과 같은 대대였다고 한다.
  • 군입대 시절 후임이 그에 대한 미담을 밝혔는데 군대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들어주고 잘 챙겨주었다고 한다. 정말 착한 선임이었다고 한다.
  • 2022년 현재 등번호는 65번이지만 별다른 의미는 없고 만약 바꾸고 싶다면 야구를 처음할 때 달았던 17번을 달고 싶다고 밝혔다.[14]
    • 하지만 2023 시즌을 앞두고 17번의 원 주인인 강리호의 계약이 순탄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17번 사용이 불투명해지고, 낮은 번호대인 17번으로 바꿀 기회가 생겼으나 2022 시즌의 번호 그대로 65번을 달았다.
  • 왼쪽 팔뚝에 문신이 있다.
  • 팀에서 이학주, 고승민, 나승엽, 김민석 이 셋이 사형제라 불리고 있다.[15] 이 넷은 공통점이 많은데 넷 다 우투좌타이고 키가 185cm가 넘으며 모두 내야수 출신이다.[16]
  • 몸이 굉장히 좋은데, 야구선수들 중에서도 굉장히 좋은편에 속한다

    • 파일:몸짱고승민.jpg

5.1. 별명

6. 관련 문서


[1] 군산중에서 전학.[2] 2019년 데뷔부터 군 입대 전까지 2루수로 출장했으며, 안치홍한화 이글스로 이적한 2024년 다시 2루수로 다시 나오기 시작했다.[3] 2023년 주포지션.[4] 2022년 주포지션.[5] 2024년부터는 2루수를 메인으로, 가끔씩 좌익수/우익수를 서브 포지션으로 맡고 있다.[6] 보직은 81mm 박격포병.[가사] 롯~데의 고승민 안타 안타~ 롯~데의 고승민 안타 안타~ 워어어 워어어 워어어어~ 워어어 워어어 워어어어~ 롯~데의 고승민 안타 안타~[8]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KBO 리그에서 몇 안되게 CCM을 응원가로 편곡한 사례다.[9] 고승민의 체구가 날씬한 편이고 다리 길이가 길어 실제 속도보다 빨라 보이는 반면, 유강남은 고승민과 비교하면 키가 작고 특유의 덩치로 인해 더 느려보이는 것으로 추정된다.[10] 첫 프로 시작은 2루로 시작했으나 성민규의 외야 컨버젼 선호로 인해 2022년에는 우익수로 이동, 2023년에는 황성빈, 김민석, 윤동희가 외야수로 자리잡은 와중에 기존 1루수였던 정훈이 부상과 부진에 빠지면서 1루수로 포지션을 옮겼고 2024년이 되어서야 안치홍의 한화 이적으로 공백이 된 2루수로 돌아왔다.[11] 첫 임신에는 낙태를, 두 번째 임신에는 유산을 하였다고 기사 내용에 적혀있다. 다만, 기사 제목은 유산을 2번 하였다고 적혀있어 혼동을 주고 있다.[12] LG팬이었는데 희한하게 롤모델은 두산 선수다.[13] 중량을 3대 480~90까지 쳤다고 한다.[14] 만약 고승민이 65번에서 17번으로 바꾼다면 강리호와 등번호 사용 구간이 같은 곳이 생긴다. 참고로 롯데에서 17번은 과거 강타자들이 달았던 등번호다. 1980년대 초대 프랜차이즈 스타였던 김용희와 1990년대 롯데 공격의 핵심이었던 김응국이 17번의 주인공이었다.[15] 원래는 나승엽까지 삼형제였는데, 삼형제가 된 배경은 2022 시즌 전, 고승민과 나승엽이 먼저 이학주를 따라다녔고 이학주가 따라다니지 말라고 하자 저 둘이 이제부터는 우리가 삼형제다 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리고 나서 김민석이 프로입단 후 막내로 합류했다.[16] 김민석은 아마추어 시절 내야수였으나 프로 입단 후 외야수로 포지션을 옮겼다.[17] 고승민의.등번호 65+구승민의 등번호 22+마승민의 등번호 30=117. 사족으로 고승민이 2019년 달았던 번호가 117번이다.[18] 구승민이랑 첫글자 모음만 서로 반대되는 이름이기 때문에 별명도 똑같이 투같새를 첫글자 모음만 반대로 바꾼 것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