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22:38:33

서울의 찬가

서울의 찬가
Hymn of Seoul
파일:패티김_하얀집.jpg
출시 1969년 3월 23일
작사 길옥윤
작곡 길옥윤
노래 패티김
앨범 패티김의 하얀집
발매 신세기레코드

1. 개요2. 가사3. 인지도4. 기타5. 외부 링크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불도저 시장'으로 유명했던 김현옥 당시 서울특별시장이 1966년[1]서울시에서 후원할 테니 서울에 대한 희망적 메시지를 담은 노래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해 길옥윤이 작사, 작곡하고 당시 아내였던 패티김이 부른 노래.

1966년 서울시의 지원을 받은 동아방송에서 녹음/발표되어 전파를 타기 시작했으며 음반으로 발매된 것은 1969년의 일이다.

2. 가사

각 구단마다 개사가 개사된 경우 볼드체 처리.
패티김 원본 서울 LG 트윈스 응원가 가사
FC 서울 응원가 가사
1절[2]
종이 울리네 꽃이 피네
새들의 노래 웃는 그 얼굴
그리워라 내 사랑아
내 곁을 떠나지 마오
처음 만나고 사랑을 맺은
정다운 거리 마음의 거리
아름다운 서울에서
서울에서 살으렵니다
종이 울리네 꽃이 피네 종이 울리네 (FC!) 꽃이 피네 (서울!)
2절
봄이 또 오고 여름이 가고
낙엽은 지고 눈보라쳐도
변함없는 내 사랑아
내곁을 떠나지 마오
헤어져 멀리 있다 하여도
내품에 돌아오라 그대여
아름다운 서울에서
서울에서 살으렵니다
봄이 또 오고 여름이 가고 봄이 또 오고 (FC!) 꽃이 피네 (서울!)

3. 인지도

서울 LG 트윈스 응원가
FC 서울 응원가

서울특별시를 연고로 한 프로야구팀 LG 트윈스는 창단 원년인 1990년부터[3] 이 노래를 공식 응원가로 사용하고 있다. 아울러 프로축구팀 FC 서울도 가사 일부를 개사해서 응원가로 쓰고 있다. 때문에 1960년대 나온 노래치고는 세대를 초월해 인지도가 꽤 있고 지금도 서울을 대표하고 상징하는 노래로 손꼽힌다.

한편 난수방송의 오프닝곡으로 가끔 쓰이기도 한다.

4. 기타

  • 이 노래를 처음 발표했을 때 서울시청에서 매일 새벽마다 확성기로 틀어대는 바람에 근처 조선호텔에 투숙한 외국인들이 새벽잠을 설칠 정도였다고 한다.
  • 1995년 3월 길옥윤이 사망하자 패티김은 그의 장례식에서 빠른 템포의 이 노래를 불렀다. 당시 주변 사람들이 <이별>을 부르라고 권유했지만 패티김은 <서울의 찬가>를 선택했다.
  • 패티김이 노래한 다른 지역을 대표하는 곡은, 대구찬가도 있는데 흔히 '능금꽃 피는 고향'으로도 알려져 있다.
  • 같은 해 7월에는 민선 1기 조순 서울시장의 취임식에서 패티김이 마지막 순서로 이 노래를 불렀다.
  • 10월에는 서울 종로구 세종로공원에서 패티김과 길옥윤 사망 직전 아내 전연란, 딸 안리가 지켜보는 가운데 <서울의 찬가> 노래비를 제막했다. 이는 서울 사대문 안에 건립된 최초의 대중가요 노래비였다.[4]
  • 2009년 3월 12일 해피투게더 3 '쫄쫄이 암기송'의 마지막 회에서 이 노래를 개사해서 음주문화를 바꿔보자는 취지로 불렀다.
  • 2010년 1월 12일 1대 100에서 이 노래에 1절이 아닌 2절2단계(...)에서 출제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봄이 또 오고 여름이 가고 낙엽은 지고 ( )>에서 괄호에 들어갈 단어를 맞추는 문제인데, 이 노래를 모르는 사람이 많은지 98명 중 51명이나 대거탈락하고 말았다. 여기에서 서울 LG 트윈스나 FC 서울의 팬일 경우 금방 맞출 수 있는 문제이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묵념...
  •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개회식 때 마지막 합창곡으로 연주되었다.
  • 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까지 서울로 향하는 상행 새마을호 열차가 서울역, 청량리역에 도착하기 직전, 종착역을 알리는 안내방송과 함께 이 노래가 방송되었다. 부산역에서는 부산찬가[5]가 나왔다.
  • 재벌집 막내아들 2회에서 재벌 회장인 진양철의 회갑 잔치 중 패티 김이 서울찬가를 부르는 장면이 나온다. 2회의 시간적 배경이 서울 올림픽 직전인 1987년이라, 당시 정부에서 올림픽 분위기를 띄우려고 서울을 소재로 하는 노래가 많이 불리도록 했던 분위기를 반영한 장면이다.[6]
  • 2023년 11월 8일에는 하남시위례신도시, 하남감일공공주택지구 주민 200여명이 위례동 행정복지센터에 모여 서울 편입 추진 위원회 발대식을 가지면서 이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5. 외부 링크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기본 정보 LG그룹 | LG스포츠 | MBC 청룡 | LG 트윈스 | LG 트윈스 2군
주요 인물 구단주 구광모 | 대표이사 김인석 | 단장 차명석 | 감독 염경엽 | 주장 김현수
경기장 1군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2군 LG 챔피언스 파크
이전 동대문야구장 · 구리 LG 챔피언스 파크
우승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1990 | 1994 | 2023
역사 정보 구단 역사 | 트레이드 | 1990년 한국시리즈 | 1994년 한국시리즈 | 1997년 한국시리즈 | 1998년 한국시리즈 | 2002년 한국시리즈 | 2023년 한국시리즈 | 역대 감독 | 사건·사고 | 암흑기(453566, 6668587667)
주요 정보 팀 특징 | 선수단 | 등번호 | 유니폼 | 팀 응원가 (서울의 찬가 · 서울의 모정) | 응원단장 | 엘튜브 | 치어리더 | 제휴카드
지역 연고 경기고등학교 | 경동고등학교 | 덕수고등학교 | 배명고등학교 | 배재고등학교 | 서울고등학교 |
서울디자인고등학교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성남고등학교 | 신일고등학교 | 장충고등학교 |
중앙고등학교 | 청원고등학교 | 충암고등학교 | 휘문고등학교 | 제주고등학교
역대 시즌 역대 시즌
현재 시즌 LG 트윈스/2024년
영구 결번 9 이병규 33 박용택 41 김용수
팬덤 정보 LG 트윈스 갤러리 | I love Twins | 유광잠바
라이벌전 잠실시리즈 | 엘꼴라시코 | 엘키라시코
기타 방화신기 | 간채골 | 보루갈 | 빅5 | 사랑해요 LG | 엘롯기 | 엘넥한 | 엘롯한 | 헬로키티 | 탈쥐효과 | 추격쥐 | 쥐평 | 엘나쌩 · 엘상바 클럽 | 아워게임 : LG트윈스 | 이 팀은 솔직히 | 메가트윈스포 | 용택아 나는 무서운 진실을 깨닫고 말았다
파일:LG 트윈스 워드마크.svg파일:LG 트윈스 원정 워드마크.svg
무적 LG! 끝까지 TWINS! }}}}}}}}}


파일:FC서울 엠블럼(검빨배경).svg
FC 서울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21230; margin:-6px -1px -11px"
구단 기본 문서 모기업 GS스포츠
연고지 서울특별시
구단 FC 서울
유소년 오산고등학교 | 오산중학교
주요 인물 현재 김기동 감독 (김기동호) | 선수단
역대 감독 | 주장 | 등번호별 주요 선수 | 프랜차이즈 선수
시설 관련 문서 홈구장 서울월드컵경기장
클럽 하우스 GS챔피언스파크
팬 존 FC 서울 팬파크
역사 시기별 럭키금성과 LG 시절 | ACL 기록 | 기록 | 슈퍼매치 역대 전적
시즌별 역대 시즌 | 역대 유니폼
K리그1
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
1985 | 1990 | 2000 | 2010 | 2012 | 2016
FA컵
파일:대한민국 FA컵 트로피.svg파일:대한민국 FA컵 트로피.svg
1998 | 2015
현재 시즌 2024
팬덤 관련 문서 팬덤 규모와 인기 | 서포터즈 수호신 | 네임드팬
응원 응원가 (서울의 찬가 · 서울의 모정) | 응원가(간략) | 서현숙 | 박기량
팬 사이트 FCSEOULITE | FC 서울 갤러리
직관 팁 경기장 관련 | 티켓 관련 | 좌석 관련 | 응원 관련
라이벌전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슈퍼매치 | 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경인 더비 |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설매치 |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엠블럼 (1998~2007).svg 지지대 더비
논란 및 사건 사고 사건 사고 |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 | 북패 | Here is another Old Trafford | 물병 투척 피해 사건
마스코트 씨드
기타 히칼도의 저주 | 세 골 차를 뒤집는 서울 | 데몰리션 듀오
}}}}}}}}}}}} ||



[1] 김현옥 시장이 서울시장에 취임한 연도다.[2] FC 서울 응원가 한정으로 2절이 끝나면 간주를 거쳐 1절을 두 번 반복 후, 마지막 절 한정으로 처음 만나고 ~ 살으렵니다 부분을 2회 반복한다.[3] MBC 청룡 시절에는 이용의 노래 '서울'을 응원가로 썼다. 이 노래는 LG 트윈스로 바뀐 현 시점에도 '서울 메들리'라는 레퍼토리로 사용되고 있다.[4] 출처[5] 현재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열차시청역에 접근할 때 안내방송과 함께 흘러나온다.[6] 조용필의 <서울 서울 서울>, 박혜령의 <코리아>, 김연자의 <아침의 나라에서> 등 이전부터 있었던 노래와 새로 나오 온 노래를 불문하고 서울이란 단어가 가사에 나오는 노래가 성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