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10:09:36

빈센트 오브라이언

파일:british champions series.png QIPCO 브리티시 챔피언스 시리즈 명예의 전당 {{{#!wiki style="margin:0-11px -5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tablewidth=100%> 경주마
프랑켈 브리거디어 제라드 니진스키 밀 리프
데이주르 댄싱 브레이브 갈릴레오 시 더 스타즈
스트라디바리우스 페블스
기수
레스터 피곳 팻 에더리 프랭키 데토리 윌리 카슨
스티브 코우든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조교사
빈센트 오브라이언 헨리 세실 경 마이클 스타우트 경 에이단 오브라이언 }}} 특별 기여자
엘리자베스 2세 할리드 빈 압둘라 왕자 }}}}}}
QIPCO 브리티시 챔피언스 시리즈 명예의 전당 헌액 조교사
파일:빈센트오브라이언.jpg
<colbgcolor=#11AE59><colcolor=#fff> 이름 빈센트 오브라이언
Vincent O'Brien
본명 마이클 빈센트 오브라이언
Michael Vincent O'Brien
출생 1917년 4월 9일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코크 주 처치타운
사망 2009년 6월 1일 (향년 92세)
아일랜드 킬데어 주 스트라판
국적
[[아일랜드|]][[틀:국기|]][[틀:국기|]]
직업 경마 조교사
개업 1944년
은퇴 1994년
성적 G1급[1][2] 100승
주요 수상 브리티시 챔피언스 시리즈 명예의 전당 (2021)

1. 개요2. 생애3. 주요 조교마
3.1. G1 우승마
4. 기록
4.1. 영국4.2. 아일랜드

[clearfix]

1. 개요

파일:Piggott O'Brien.png
20세기 가장 위대한 기수 레스터 피곳 (좌), 20세기 가장 위대한 조교사 빈센트 오브라이언 (우)
아일랜드의 경마 조교사이자 쿨모어 스터드(Coolmore Stud)를 세계에서 손꼽히는 경주마 생산 중심지로 만든 인물.

2. 생애

1944년 아일랜드에서 조교사로 개업했다. 초기에는 주로 내셔널 헌트(장애물, 허들) 경주마를 조교하며 1948년~ 1950년 첼트넘 골드컵을 3연패한 경주마 커티지 레이크(Cottage Rake)가 대표 경주마였다. 빈센트 오브라이언은 아일랜드 티퍼레리 주에 한 목장을 구입하고 1951년 경주마 훈련 시설 밸리도일(Ballydoyle)을 세운 뒤, 평지 경마로 눈을 돌린다.

1962년 락스퍼(Larkspur)로 첫 더비 스테이크스 우승을 차지했고 60년대 중반부터 영국의 명기수 레스터 피곳과 서 아이버, 니진스키, 더 민스트럴, 얼레지드 등의 성공을 함께했다.

1973년 경마 마권업자이자 오너 브리더인 친구 로버트 생스터(Robert Sangster), 명문 경마 사업 가문인 사위 존 매그너(John Magnier)와 연합해 쿨모어 스터드의 지분 50%를 사들였고 1975년에 완전히 합병, 노던 댄서계 종마들을 사들이면서 쿨모어 스터드가 세계적인 종마 목장이 되는데 기여했다.

1980년 기수 레스터 피곳이 조교사 헨리 세실과 계약을 맺으며 둘의 동행은 끝났고 이후 1994년 조교사에서 은퇴했다. 그가 이끌던 밸리도일은 그 못지 않은 명조교사 에이단 오브라이언(Aidan O'Brien)이 이어받았다.

5명의 자식과 19명의 손자들이 있는데 딸 엘리자베스는 007 썬더볼 작전 등의 제작을 맡은 영화 각본가 겸 감독 케빈 맥클로리(Kevin McClory)와 결혼했고, 수잔은 존 매그너와 결혼했다. 쿨모어 스터드 소유마 마주로 등록되는 수 매그너가 그녀이며 경주마들의 이름을 주로 짓는다고 한다. 아들 데이비드 오브라이언은 경주마 조교사로 활동해 1984년 세크레토(Secreto)로 더비 스테이크스를 우승했는데 이때 목 차이로 2착을 한 경주마가 빈센트 오브라이언의 조교마 엘 그란 세뇨르(El Gran Senor)였다. 밸리도일을 이은 에이단 오브라이언 조교사는 성이 같아서 종종 오해받지만 혈연 관계가 아니다. 아니 종종 오해받는 정도가 아닌지 아예 쿨모어 공식 홈페이지의 에이단 오브라이언 조교사 페이지에 혈연이 아니라고 명시되어 있다.

2003년 레이싱 포스트의 전문가 100인이 뽑은 경마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에 1위로 뽑혔다. 2위는 레스터 피곳 기수.

3. 주요 조교마

  • G1 경주만 서술

3.1. G1 우승마

  • Chamier - 아이리시 더비[G1급](1953)
  • El Toro - 아이리시 2000 기니[G1급](1959)
  • Barclay - 아이리시 세인트 레저[G1급](1959)
  • Ancasta - 아이리시 오크스[G1급](1964)
  • Aurabella - 아이리시 오크스(1965)
  • Valoris - 아이리시 1000 기니[G1급](1966), 파일:영국 국기.svg 오크스 스테이크스(1966)
  • White Gloves - 아이리시 세인트 레저(1966)
  • Lalibela - 파일:영국 국기.svg 치블리 파크 스테이크스[G1급](1967)
  • 서 아이버(Sir Ivor) - 13전 8승. 파일:프랑스 국기.svg 그랑 크리테리움[19](1967), 파일:영국 국기.svg 2000 기니 스테이크스[G1급](1968), 파일:영국 국기.svg 더비 스테이크스(1968), 파일:영국 국기.svg 챔피언 스테이크스(1968), 파일:미국 국기.svg 워싱턴 DC 인터내셔널[21](1968)
  • Gaia - 아이리시 오크스(1969)
  • Reindeer - 아이리시 세인트 레저(1969)
  • Boucher - 파일:영국 국기.svg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1972)
  • Thatch - 파일:영국 국기.svg 서식스 스테이크스(1973)
  • Apalachee - 파일:영국 국기.svg 옵저버 골드 컵[24](1973)
  • Cellini - 파일:영국 국기.svg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73)
  • Caucasus - 아이리시 세인트 레저(1975)
  • Meneval - 아이리시 세인트 레저(1976)
  • 더 민스트럴(The Minstrel) - 9전 7승. 파일:영국 국기.svg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76), 파일:영국 국기.svg 더비 스테이크스(1977), 아이리시 더비(1977), 파일:영국 국기.svg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1977)
  • 비 마이 게스트(Be My Guest) - 7전 4승. 영국 & 아일랜드 리딩 사이어(1982)
  • Lady Capulet - 아이리시 1000 기니(1977)
  • Godswalk - 파일:영국 국기.svg 킹스 스탠드 스테이크스(1977)
  • Artaius - 파일:영국 국기.svg 이클립스 스테이크스(1977), 파일:영국 국기.svg 서식스 스테이크스(1977)
  • Transworld - 아이리시 세인트 레저(1977)
  • 트라이 마이 베스트(Try My Best)[25] - 5전 4승. 파일:영국 국기.svg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77)
  • 얼레지드(Alleged) - 10전 9승. 파일:프랑스 국기.svg 개선문상(1977, 1978)
  • Jaazeiro - 아이리시 2000 기니(1978), 파일:영국 국기.svg 서식스 스테이크스(1978)
  • Solinus - 파일:영국 국기.svg 킹스 스탠드 스테이크스(1978), 파일:영국 국기.svg 줄라이 컵[26](1978)
  • Junius - 파일:영국 국기.svg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1978)
  • Godetia - 아이리시 1000 기니(1979), 아이리시 오크스(1979)
  • Thatching - 파일:영국 국기.svg 줄라이 컵(1979)
  • Monteverdi - 파일:영국 국기.svg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79)
  • Gonzales - 아이리시 세인트 레저(1980)
  • 스톰 버드(Storm Bird)[27] - 6전 5승. 파일:영국 국기.svg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80)
  • Achieved - 피닉스 스테이크스[28](1981)
  • Woodstream - 파일:영국 국기.svg 치블리 파크 스테이크스(1981)
  • Golden Fleece - 파일:영국 국기.svg 더비 스테이크스(1982)
  • Lomond - 파일:영국 국기.svg 2000 기니 스테이크스(1983)
  • Solford - 파일:영국 국기.svg 이클립스 스테이크스(1983)
  • 엘 그란 세뇨르(El Gran Senor) - 8전 7승. 파일:영국 국기.svg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83), 파일:영국 국기.svg 2000 기니 스테이크스(1984), 아이리시 더비(1984)
  • Law Society - 아이리시 더비(1985)
  • Leading Counsel - 아이리시 세인트 레저(1985)
  • Tate Gallery - 내셔널 스테이크스[30](1985)
  • Bluebird - 파일:영국 국기.svg 킹스 스탠드 스테이크스(1987)
  • Caerwent - 내셔널 스테이크스(1987)
  • Prince of Birds - 아이리시 2000 기니(1988)
  • Dark Lomond - 아이리시 세인트 레저(1988)
  • Classic Fame - 내셔널 스테이크스(1988)
  • Capricciosa - 모이글레어 스터드 스테이크스[31](1990), 파일:영국 국기.svg 치블리 파크 스테이크스(1990)
  • 엘 프라도(El Prado) - 9전 4승. 내셔널 스테이크스(1991). 북미 리딩 사이어(2002)
  • 로열 아카데미(Royal Academy)[32] - 7전 4승. 파일:영국 국기.svg 줄라이 컵(1990),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더스컵 마일(1990)
  • Fatherland - 내셔널 스테이크스(1992)

4. 기록

  • 영국 평지 경마 챔피언 조교사 2회 수상 (1966, 1977)

4.1. 영국

  • 줄라이 컵 최다승[34] (5승) - Thatch(1973), Saritamer(1974), Solinus(1978), Thatching(1979), Royal Academy(1990)

4.2. 아일랜드

  • 아일랜드 클래식 경주[36] 통산 27승
    • 아이리시 세인트 레저 최다승[37][38] (9승) - Barclay(1959), White Gloves(1966), Reindeer(1969), Caucasus(1975), Meneval(1976), Transworld(1977), Gonzales(1980), Leading Counsel(1985), Dark Lomond(1988)
    • 아이리시 2000 기니 (5승) - El Toro(1959), Jaazeiro(1978), King's Lake(1981), Sadler's Wells(1984), Prince of Birds(1988)
    • 아이리시 더비 (6승) - Chamier(1953), Ballymoss(1957), Nijinsky(1970), The Minstrel(1977), El Gran Senor(1984), Law Society(1985)
    • 아이리시 1000 기니 (3승) - Valoris(1966), Lady Capulet(1977), Godetia(1979)
    • 아이리시 오크스 (4승) - Ancasta(1964), Aurabella(1965), Gaia(1969), Godetia(1979)
  • 프리티 폴리 스테이크스 최다승 (7승) - Little Mo(1959), Ancasta(1964), Iskereen(1967), Rimark(1968), Godetia(1979), Calandra(1980), Dark Lomond(1988)
  • 빈센트 오브라이언 내셔널 스테이크스 최다승 (15승) - Sir Ivor(1967), Roberto(1971), Chamozzle(1972), Cellini(1973), Sir Wimborne(1975), Monteverdi(1979), Storm Bird(1980), Glenstal(1982), El Gran Senor(1983), Law Society(1984), Tate Gallery(1985), Caerwent(1987), Classic Fame(1988), El Prado(1991), Fatherland(1992)

[1] 유럽의 그룹 제도는 1971년부터, 북미의 그레이드 제도는 1973년부터 도입되었다.[2] 그룹 제도/그레이드 제도 도입 때 G1/GI 등급으로 시작한 경주들은 G1/GI급 경주로 분류한다.[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19]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 현재 장뤼크 라가르데르상(Prix Jean-Luc Lagardère)[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21] 그레이드제 도입 때 GI으로 시작. 1994년을 마지막으로 폐지[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23] 현재 킹 찰스 3세 스테이크스. 1973~1987년 G1, 1988~2007년 G2, 2008년 G1으로 재승격[24]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 현재 퓨처리티 트로피[25] 라스트 타이쿤(Last Tycoon)을 배출했다. 직계 자손으로 사토노 크라운이 있다.[26] 1978년 G1으로 승격[27] 북미 리딩사이어 스톰 캣(Storm Cat)을 배출했다.[28] 1979년 G1으로 승격[29] 후사이치 콩코르드, 신코 러블리, 젠노 엘 시드, 엘웨이 윈(1992년 아사히배 3세 스테이크스 우승), 비와 하이디를 배출했다. 타이키 셔틀, 부에나 비스타의 외조부로 알려져있다.[30] 1985년 G1으로 승격. 현재 빈센트 오브라이언 내셔널 스테이크스[31] 1983년 G1으로 승격[32] 불리시 럭의 부마이며, 블랙 캐비어의 조부다.[33] 2000 기니 스테이크스, 더비 스테이크스, 1000 기니 스테이크스, 오크스 스테이크스,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34] 공동 1위 (찰스 모턴, 에이단 오브라이언)[35] 공동 1위 (월터 나이팅걸)[36] 아이리시 2000 기니, 아이리시 더비, 아이리시 1000 기니, 아이리시 오크스, 아이리시 세인트 레저[37] 공동 1위 (더멋 웰드)[38] 1983년 '3세 이상'으로 출주 조건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