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6:53:31

레스터 피곳

파일:british champions series.png QIPCO 브리티시 챔피언스 시리즈 명예의 전당 {{{#!wiki style="margin:0-11px -5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tablewidth=100%> 경주마
프랑켈 브리거디어 제라드 니진스키 밀 리프
데이주르 댄싱 브레이브 갈릴레오 시 더 스타즈
스트라디바리우스 페블스
기수
레스터 피곳 팻 에더리 프랭키 데토리 윌리 카슨
스티브 코우든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조교사
빈센트 오브라이언 헨리 세실 경 마이클 스타우트 경 에이단 오브라이언 }}} 특별 기여자
엘리자베스 2세 할리드 빈 압둘라 왕자 }}}}}}
QIPCO 브리티시 챔피언스 시리즈 명예의 전당 헌액 기수
파일:Lester Piggot.jpg
<colbgcolor=#04307D><colcolor=#fff> 이름 레스터 피곳
Lester Piggott
본명 레스터 키스 피곳
Lester Keith Piggott
출생 1935년 11월 5일
영국 잉글랜드 버크셔 주 원티지
사망 2022년 5월 29일 (향년 86세)
스위스 제네바 주 제네바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73cm, 53kg[1]
직업 경마 기수, 조교사
데뷔 1948년
은퇴 1995년
성적 통산 5300승
영국 4493승
G1급[2][3] 195승
주요 수상 브리티시 챔피언스 시리즈 명예의 전당 (2021)[A]프랑켈과 함께 첫 번째로 헌액되었다.]

1. 개요2. 커리어3. 주요 기승마
3.1. G1 우승마
4. 기록
4.1. 영국4.2. 아일랜드4.3. 프랑스

[clearfix]

1. 개요

파일:Lester Piggot 2.jpg
사진 속 기수복은 니진스키 주전 기수로 활동했을 때의 기수복
영국의 전 경마 기수. 20세기 영국 경마 최고의 기수로 불린다.

2003년 레이싱 포스트의 전문가 100인이 뽑은 경마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에 2위로 뽑혔다. 1위는 빈센트 오브라이언 조교사.

2. 커리어

레스터 피곳은 아버지가 조교사여서 4세 때부터 말을 타기 시작했다. 1948년, 어리 나이인 12세에 기수로 데뷔했다.

1950년에 중상 첫 승리를 거두며 영국 경마 최다 승리 신인 기수가 되었다.
1954년, 18살에 네버 세이 다이(Never Say Die)에 기승해 처음으로 더비 스테이크스를 우승했다.
19세 때에는 명조교사 노엘 멀리스(Noel Murless)의 주전 기수가 되어, 1959년 프티트 에투알(Petite Etoile)을 타고 처음으로 오크스 스테이크스를 우승했다.

피곳은 어느 마방 소속이든 좋은 말은 자기가 타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특정 마방에 소속되면 그 바람을 충족할 수 없었다.
그래서 노엘 멀리스 조교사와의 계약을 해지하고 프리 기수로 활동하는 파격적인 행동을 했다.[5]

1960년대 중반부터 아일랜드의 전설적인 조교사 빈센트 오브라이언과 인연을 맺고 서 아이버(Sir Ivor), 니진스키 등을 타며 수많은 우승 경력을 추가했다.
피곳은 1960년 처음으로 영국 평지 경마 챔피언 기수가 되었고, 1964년부터 1971년까지 8년 연속으로 챔피언 기수가 되었다.

피곳은 실력뿐만 아니라 잘생긴 외모 때문에 인기도 많았으며, 특히 여성들에게 인기가 많아서 경마가 상류층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인기가 퍼지는 데 공헌했다.
피곳은 신장 173cm로 기수치고는 키가 컸기 때문에 항상 체중 감량에 시달렸다. "현역 동안 몸무게만은 항상 신경써야 했다. 그 점에서는 고생했다”고 은퇴 후에 말했다.

그는 새로운 기승 스타일을 개발하는 데 적극적이었고, 그의 기승 스타일은 영국 내외의 많은 기수들이 흉내내게 되었다.
그는 승부에 대한 집착이 매우 강했다. 자신에게 첫 더비를 안겼던 네버 세이 다이를 (당시 기준에선) 무모한 기승 때문에 무려 6개월 기승 금지를 당해 더 이상 탈 수 없었고, 1972년과 1977년 더비에서 로베르토와 더 민스트럴에게 규정치 이상의 채찍을 갈겨 비난을 받았다. 하지만 이런 승부욕과 자기 발전이 챔피언 기수를 차지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1972년부터 기승 수가 줄어들었고, 챔피언 기수에서 멀어졌다. 1980년대가 되면 빈센트 오브라이언의 주전 기수 자리를 떠나 헨리 세실 조교사의 주전 기수가 되었다. 1981년과 1982년에는 다시 챔피언 기수가 되었다.
그러나 1983년 개선문상에서 올 알롱(All Along)[6]에 기승하겠다는 약속을 어겨 올 알롱의 마주였던 다니엘 와일덴슈타인(Daniel Wildenstein)[7]은 피곳이 자기 소유마를 타는 것을 거부했다.
와일덴슈타인은 헨리 세실의 마구간에 많은 소유마를 맡기고 있었기 때문에, 결국 1984년 피곳은 헨리 세실의 주전 기수를 그만두었다.

1985년 기수를 은퇴하고 조교사로 전직했다. 그러나 은퇴 전부터 국세청이 피곳을 계속 수사하고 있었고, 1987년 탈세 혐의로 체포되어 3년의 실형 판결을 받았다. 기수 시절에 수여된 대영제국 훈장(OBE)은 박탈당하고, 기사 서임까지 무산되고 말았다.

1년 동안 복역한 후 1990년에 출소해 기수로 복귀하고, 불과 10일 후에 로열 아카데미(Royal Academy)를 타고 브리더스 컵 마일을 우승했다. 1992년에는 로드리고 데 트리아노(Rodrigo de Triano)를 타고 2000 기니 스테이크스와 아이리시 2000 기니를 우승하며 다시 활약했다. 그리고 1995년에 다시 은퇴했다.

1990년 프로 기수 협회가 기수에게 수여하는 'The Lesters' 상을 만들며 그의 업적을 기렸고, 2021년 브리티시 챔피언스 시리즈 명예의 전당에 첫 번째로 헌액된 기수가 되었다.

그는 2022년 5월 29일,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병원에서 조용히 숨을 거두었다.

3. 주요 기승마

  • G1 경주만 서술

3.1. G1 우승마

  • Zucchero - 코로네이션 컵[G1급](1953)
  • Darius - 이클립스 스테이크스(1955)
  • Orsini - 파일:독일 국기.svg 도이체스 더비[G1급](1957)
  • Arctic Explorer - 이클립스 스테이크스(1957)
  • Gladness - 골드 컵(1958)
  • Nagami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자키 클럽 대상[18](1958), 코로네이션 컵(1959)
  • Pandofell - 골드 컵(1961)
  • Aurelius -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1961)
  • Follow Suit -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62)
  • Fanfar - 파일:독일 국기.svg 도이체스 더비(1963)
  • Twilight Alley - 골드 컵(1963)
  • Rajput Princess - 파일:프랑스 국기.svg 풀 데세 드 풀리슈[G1급](1964)
  • Roan Rocket - 서식스 스테이크스(1964)
  • Fighting Charlie - 골드 컵(1965)
  • Aunt Edith - 파일:프랑스 국기.svg 베르메유상[G1급](1965),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1966)
  • Valoris - 오크스 스테이크스(1966)
  • Pieces of Eight - 이클립스 스테이크스(1966), 챔피언 스테이크스(1966)
  • Parthian Glance - 요크셔 오크스(1966)
  • Marco Visconti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자키 클럽 대상(1966)
  • Fleet - 치블리 파크 스테이크스[G1급](1966)
  • Ribocco - 옵저버 골드 컵[28](1966),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더비(1967),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1967)
  • Luciano - 파일:독일 국기.svg 도이체스 더비(1967)
  • Dan Kano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세인트 레저[G1급](1967)
  • Petingo -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G1급](1967)
  • Lalibela - 치블리 파크 스테이크스(1967)
  • Sir Ivor - 파일:프랑스 국기.svg 그랑 크리테리움[31](1967), 2000 기니 스테이크스(1968), 더비 스테이크스(1968), 챔피언 스테이크스(1968), 파일:미국 국기.svg 워싱턴 DC 인터내셔널[32](1968)
  • Ribero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더비(1968),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1968)
  • Petingo - 서식스 스테이크스(1968)
  • Ribofilio -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68)
  • Park Top - 코로네이션 컵(1969),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1969)
  • Bonconte di Montefeltro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데르비 이탈리아노[33](1969)
  • Wolver Hollow - 이클립스 스테이크스(1969)
  • Habitat - 파일:프랑스 국기.svg 물랭 드 롱샹상[G1급](1969)
  • Vela - 파일:프랑스 국기.svg 크리테리움 데세 풀리슈[35](1969)
  • Breton - 파일:프랑스 국기.svg 그랑 크리테리움(1969)
  • Karabas - 파일:미국 국기.svg 워싱턴 DC 인터내셔널(1969)
  • Humble Duty - 1000 기니 스테이크스[G1급](1970)
  • Decies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2000 기니[G1급](1970)
  • Santa Tina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오크스[G1급](1970)
  • Roll of Honour -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대상[G1급](1970)
  • Gold Rod - 파일:프랑스 국기.svg 물랭 드 롱샹상(1970)
  • My Swallow - 파일:프랑스 국기.svg 모르니상[G1급](1970), 파일:프랑스 국기.svg 살라망드르상[41](1970), 파일:프랑스 국기.svg 그랑 크리테리움(1970)
  • Favoletta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1000 기니(1971)
  • Athens Wood -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1971)
  • Crowned Prince -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71)
  • Hard to Beat - 파일:프랑스 국기.svg 뤼팽상[42](1972), 파일:프랑스 국기.svg 조케 클뤼브상(1972)
  • Boucher -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1972)
  • Irvine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마상[43](1972)
  • Noble Decree - 옵저버 골드 컵(1972)
  • 로베르토(Roberto) - 더비 스테이크스(1972), 코로네이션 컵(1973)
  • Cerreto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데르비 이탈리아노(1973)
  • Thatch - 서식스 스테이크스(1973)
  • Sparkler - 파일:프랑스 국기.svg 물랭 드 롱샹상(1973)
  • Moulton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공화국 대통령상[45](1973)
  • Cellini -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73)
  • Apalachee - 옵저버 골드 컵(1973)
  • Steel Heart -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1974)
  • Giacometti - 챔피언 스테이크스(1974)
  • Sagaro -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대상(1974), 골드 컵(1975, 1976, 1977)
  • Nobiliary - 파일:프랑스 국기.svg 생탈라리상[46](1975)
  • Juliette Marny - 오크스 스테이크스(1975),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오크스(1975)
  • Caucasus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세인트 레저(1975)
  • Quiet Fling - 코로네이션 컵(1976)
  • Empery - 더비 스테이크스(1976)
  • Meneval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세인트 레저(1976)
  • Durtal - 치블리 파크 스테이크스(1976)
  • The Minstrel -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76), 더비 스테이크스(1977),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더비(1977),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1977)
  • Godswalk - 킹스 스탠드 스테이크스(1977)
  • Artaius - 이클립스 스테이크스(1977), 서식스 스테이크스(1977)
  • Try My Best -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77)
  • Alleged - 파일:프랑스 국기.svg 개선문상(1977, 1978)
  • Trillion -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네상(1978)
  • Jaazeiro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2000 기니(1978), 서식스 스테이크스(1978)
  • Solinus - 킹스 스탠드 스테이크스(1978), 줄라이 컵[47](1978)
  • Junius -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1978)
  • Godetia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1000 기니(197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오크스(1979)
  • Le Moss - 골드 컵(1979)
  • Thatching - 줄라이 컵(1979)
  • Noble Saint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마상(1979)
  • Monteverdi -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79)
  • Sea Chimes - 코로네이션 컵(1980)
  • Mrs Penny - 파일:프랑스 국기.svg 디안상(1980)
  • Shoot A Line - 요크셔 오크스(1980)
  • Mattaboy -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1980)
  • Marwell - 치블리 파크 스테이크스(1980)
  • Argument - 파일:미국 국기.svg 워싱턴 DC 인터내셔널(1980)
  • Moorestyle - 줄라이 컵(1980),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베이 드 롱샹상[48](1980), 파일:프랑스 국기.svg 포레상(1980, 1981)
  • Fairy Footsteps - 1000 기니 스테이크스(1981)
  • Blue Wind - 오크스 스테이크스(1981)
  • Madam Gay - 파일:프랑스 국기.svg 디안상(1981)
  • 셔가(Shergar)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더비(1981)
  • Play It Safe -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르셀 부사크상(1981)
  • Cajun -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1981)
  • Ardross - 골드 컵(1981, 1982),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열오크상(1981)
  • River Lady - 파일:프랑스 국기.svg 풀 데세 드 풀리슈(1982)
  • Persépolis - 파일:프랑스 국기.svg 뤼팽상(1982)
  • Awaasif - 요크셔 오크스(1982)
  • Diesis -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1982),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82)
  • Dunbeath - 윌리엄 힐 퓨처리티[49](1982)
  • Be My Native - 코로네이션 컵(1983)
  • Esprit du Nord - 파일:독일 국기.svg 오이로파상(1983)
  • Awaasif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자키 클럽 대상(1983)
  • Teenoso - 더비 스테이크스(1983), 파일:프랑스 국기.svg 생클루 대상(1984),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1984)
  • Circus Plume - 오크스 스테이크스(1984)
  • Welnor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데르비 이탈리아노(1984)
  • Lanfranco - 윌리엄 힐 퓨처리티(1984)
  • Shadeed - 2000 기니 스테이크스(1985)
  • Lypharita - 파일:프랑스 국기.svg 디안상(1985)
  • Never So Bold - 킹스 스탠드 스테이크스(1985)
  • Old Country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마상(1985)
  • Midway Lady -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르셀 부사크상(1985)
  • El Prado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내셔널 스테이크스[50](1991)
  • Alhijaz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그란 크리테리움[51](1991)
  • Rodrigo de Triano - 2000 기니 스테이크스(199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2000 기니(1992),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1992), 챔피언 스테이크스(1992)
  • Mr Brooks - 줄라이 컵(1992),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베이 드 롱샹상(1992)
  • Silvernesian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자키 클럽 대상(1992)
  • Fatherland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내셔널 스테이크스(1992)
  • Lemon Souffle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모이글레어 스터드 스테이크스[52](1993)

4. 기록

  • 영국 평지 경마 챔피언 기수 11회 수상 (1960,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81, 1982)

4.1. 영국

  • 로킨지 스테이크스 최다승 (6승) - Sovereign Path(1960), The Creditor(1964), Sparkler(1973), Belmont Bay(1981), Polar Falcon(1991), Swing Low(1993)
  • 코로네이션 컵 최다승 (9승) - Zucchero(1953), Nagami(1959), Petite Etoile(1960, 1961), Park Top(1969), Roberto(1973), Quiet Fling(1976), Sea Chimes(1980), Be My Native(1983)
  • 킹 찰스 3세 스테이크스 최다승 (7승) - Right Boy(1957), Majority Rule(1963), Swing Easy(1971), Abergwaun(1973), Godswalk(1977), Solinus(1978), Never So Bold(1985)
  • 골드 컵 최다승 (11승) - Zarathustra(1957), Gladness(1958), Pandofell(1961), Twilight Alley(1963), Fighting Charlie(1965), Sagaro(1975, 1976, 1977), Le Moss(1979), Ardross(1981, 1982)
  • 이클립스 스테이크스 최다승 (7승) - Mystery IX(1951), Darius(1955), Arctic Explorer(1957), St Paddy(1961), Pieces of Eight(1966), Wolver Hollow(1969), Artaius(1977)
  • 팰머스 스테이크스 최다승 (7승) - Sylphide(1957), Green Opal(1960), Chrona(1966), Vital Match(1969), Chalon(1982), Niche(1993), Lemon Souffle(1994)
  • 줄라이 컵 최다승 (10승) - Vigo(1957), Right Boy(1958, 1959), Tin Whistle(1960), Thatch(1973), Saritamer(1974), Solinus(1978), Thatching(1979), Moorestyle(1980), Mr Brooks(1992)
  • 굿우드 컵 최다승[56] (5승) - Gladness(1958), Exar(1960), Proverb(1974), Girandole(1975), Ardross(1981)
  • 넌소프 스테이크스 최다승 (7승) - Right Boy(1958, 1959), Matatina(1963), Caterina(1966), Tower Walk(1969), Swing Easy(1971), Solinus(1978)
  • 스프린트 컵 최다승[57] (3승) - Green God(1971), Abergwaun(1972), Moorestyle(1980)
  •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 최다승[58] (6승) - Petingo(1967), Steel Heart(1974), Junius(1978), Mattaboy(1980), Cajun(1981), Diesis(1982)
  • 선 채리엇 스테이크스 최다승 (6승) - Popkins(1970), Cheveley Princess(1973), Swiss Maid(1978), Topsy(1979), Snow(1980), Home on the Range(1981)
  • 듀허스트 스테이크스 최다승 (10승) - Crepello(1956), Follow Suit(1962), Ribofilio(1968), Nijinsky(1969), Crowned Prince(1971), Cellini(1973), The Minstrel(1976), Try My Best(1977), Monteverdi(1979), Diesis(1982)
  • 퓨처리티 트로피 최다승[59] (5승) - Ribocco(1966), Noble Decree(1972), Apalachee(1973), Dunbeath(1982), Lanfranco(1984)

4.2. 아일랜드

  • 프리티 폴리 스테이크스 최다승[60] (3승) - Mariel(1971), Godetia(1979), Calandra(1980)
  • 빈센트 오브라이언 내셔널 스테이크스 최다승[61] (4승) - Cellini(1973), Sir Wimborne(1975), El Prado(1991), Fatherland(1992)

4.3. 프랑스

  • 모리스 드 게스트상 최다승[62] (4승) - Mountain Call(1968), Abergwaun(1972), Moorestyle(1981), College Chapel(1993)
  • 마르셀 부사크상 최다승[63] (3승) - Vela(1969), Play It Safe(1981), Midway Lady(1985)

[1] 현역 시절 기준[2] 유럽의 그룹 제도는 1971년부터, 북미의 그레이드 제도는 1973년부터 도입되었다.[3] 그룹 제도/그레이드 제도 도입 때 G1/GI 등급으로 시작한 경주들은 G1/GI급 경주로 분류한다.[A] [5] 당시에는 프리랜서 기수가 거의 없었다.[6] 프랑스 경주마. 통산 21전 9승(G1 5승). 1983년 개선문상 우승.[7] 프랑스 출신의 미술상으로, 경마 오너 브리더로도 유명했다. 팽트르 셀레브르 등을 보유했다.[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10] 레스터 피곳의 첫 더비 우승마. 18살에 더비 우승.[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12] 모든 경기를 같이 뛰었다.[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18] 그룹제 도입 때 G1으로 시작. 2017년 G2로 강등[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22] 모든 경기를 같이 뛰었다.[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28]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 현재 퓨처리티 트로피[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31]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 현재 장뤼크 라가르데르상(Prix Jean-Luc Lagardère)[32] 그레이드제 도입 때 GI으로 시작. 1994년을 마지막으로 폐지[33] 그룹제 도입 때 G1으로 시작. 2009년 G2로 강등[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35]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 현재 마르셀 부사크상(Prix Marcel Boussac)[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G1급] 그룹제 도입 때부터 현재까지 G1[41] 그룹제 도입 때 G1으로 시작. 2000년을 끝으로 폐지[42] 그룹제 도입 때 G1으로 시작. 2004년을 끝으로 폐지[43] 그룹제 도입 때 G1으로 시작. 2017년 G2로 강등[44] 현재 킹 찰스 3세 스테이크스. 1973~1987년 G1, 1988~2007년 G2, 2008년 G1으로 재승격[45] 그룹제 도입 때 G1으로 시작. 2016년 G2로 강등, 2024년 G3로 강등[46] 그룹제 도입 때 G1으로 시작. 2024년 G2로 강등[47] 1978년 G1으로 승격[48] 1976년 G1으로 승격[49] 현재 퓨처리티 트로피[50] 1985년 G1으로 승격. 현재 빈센트 오브라이언 내셔널 스테이크스[51] 1980년 G1으로 승격. 2014년 G2로 강등[52] 1983년 G1으로 승격[B] 공동 1위 (프랭키 데토리)[54] 2000 기니 스테이크스, 더비 스테이크스, 1000 기니 스테이크스, 오크스 스테이크스,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B] [56] 공동 1위 (젬 로빈슨, 조지 포드햄, 스티브 도노휴, 팻 에더리, 프랭키 데토리)[57] 공동 1위 (팻 에더리, 윌리 카슨, 브루스 레이먼드)[58] 공동 1위 (대니 마허, 고든 리처드 경)[59] 공동 1위 (팻 에더리)[60] 공동 1위 (총 7명)[61] 공동 1위 (마이클 키네인)[62] 공동 1위 (제랄드 모세)[63] 공동 1위 (이브 생마르탱, 알랭 르케, 윌리 카슨, 올리비에 펠리에, 라이언 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