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1 08:06:11

미스 아메리카나

파일:테일러 스위프트 THE TORTURED POETS DEPARTMENT 로고.svg


[ 정규 앨범 ]
##-------------------------------------------정규 앨범 1-------------------------------------------##
파일:Taylor Swift_standard_cover.png 파일:Fearless_standard_cover.png 파일:Speak Now_standard_cover.png 파일:Red_standard_cover.png
Taylor Swift
정규 1집

2006. 10. 24.
Fearless
정규 2집

2008. 11. 11.
Speak Now
정규 3집

2010. 10. 25.
Red
정규 4집

2012. 10. 22.
파일:1989_standard_cover.png 파일:reputation_cover.png 파일:Lover_cover.png 파일:folklore_cover.png
1989
정규 5집

2014. 10. 27.
reputation
정규 6집

2017. 11. 10.
Lover
정규 7집

2019. 08. 23.
folklore
정규 8집

2020. 07. 24.
파일:evermore_cover.png 파일:Midnights_cover.png 파일:THE TORTURED POETS DEPARTMENT_cover.png
evermore
정규 9집

2020. 12. 11.
Midnights
정규 10집

2022. 10. 21.
THE TORTURED POETS DEPARTMENT
정규 11집

2024. 04. 19.
[ 재녹음 앨범 ]
##-------------------------------------------재녹음 앨범 1-------------------------------------------##
파일:Fearless (Taylor's Version)_cover.png 파일:Red (Taylor's Version)_cover.png 파일:Speak Now (Taylor's Version)_cover.png 파일:1989 (Taylor's Version)_cover.png
Fearless (Taylor's Version)
2집 재녹음

2021. 04. 09.
Red (Taylor's Version)
4집 재녹음

2021. 11. 12.
Speak Now (Taylor's Version)
3집 재녹음

2023. 07. 07.
1989 (Taylor's Version)
5집 재녹음

2023. 10. 27.
[ 노래 문서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948c83>
※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테일러 스위프트의 노래 (발매순)
※ 싱글에 대한 정보는 테일러 스위프트/싱글 문서를 참고
||
앨범 노래 문서
파일:Tim McGraw_cover.png 파일:Teardrops On My Guitar_cover.png 파일:Our Song_cover.png 파일:Picture To Burn_cover.png 파일:Should've Said No_cover.png
[[Tim McGraw(테일러 스위프트)|
Tim McGraw
1집 싱글

2006. 06. 19.
]]
[[Teardrops On My Guitar|
Teardrops On My Guitar
1집 싱글

2007. 02. 19.
]]
[[Our Song|
Our Song
1집 싱글

2007. 09. 09.
]]
[[Picture To Burn|
Picture To Burn
1집 싱글

2008. 02. 03.
]]
[[Should've Said No|
Should've Said No
1집 싱글

2008. 05. 19.
]]
파일:Love Story_cover.png 파일:White Horse_cover.png 파일:You Belong With Me_cover.png 파일:Fifteen_cover.png 파일:Fearless(싱글)_cover.png
[[Love Story(테일러 스위프트)|
Love Story
2집 싱글

2008. 09. 15.
]]
[[White Horse|
White Horse
2집 싱글

2008. 12. 08.
]]
[[You Belong With Me|
You Belong With Me
2집 싱글

2009. 04. 20.
]]
[[Fifteen|
Fifteen
2집 싱글

2009. 08. 31.
]]
[[Fearless(싱글)|
Fearless
2집 싱글

2010. 01. 04.
]]
파일:Mine_cover.png 파일:Speak Now_standard_cover.png 파일:Back To December_cover.png 파일:Mean_cover.png 파일:The Story Of Us_cover.png
[[Mine(테일러 스위프트)|
Mine
3집 싱글

2010. 08. 03.
]]
[[Enchanted|
Enchanted
3집 수록곡

2010. 10. 25.
]]
[[Back To December|
Back To December
3집 싱글

2010. 11. 15.
]]
[[Mean|
Mean
3집 싱글

2011. 03. 13.
]]
[[The Story Of Us|
The Story Of Us
3집 싱글

2011. 04. 19.
]]
파일:Sparks Fly_cover.png 파일:Ours_cover.png 파일: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_cover.png 파일:Begin Again_cover.png 파일:I Knew You Were Trouble._cover.png
[[Sparks Fly(테일러 스위프트)|
Sparks Fly
3집 싱글

2011. 07. 18.
]]
[[Ours(테일러 스위프트)|
Ours
3집 싱글

2011. 12. 05.
]]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4집 싱글

2012. 08. 13.
]]
[[Begin Again(테일러 스위프트)|
Begin Again
4집 싱글

2012. 10. 16.
]]
[[I Knew You Were Trouble.|
I Knew You Were Trouble.
4집 싱글

2012. 12. 10.
]]
파일:22_cover.png 파일:Red(single)_cover.png 파일:Everything Has Changed_cover.png 파일:The Last Time_cover.png 파일:Shake It Off_cover.png
[[22(테일러 스위프트)|
22
4집 싱글

2013. 03. 12.
]]
[[Red(싱글)|
Red
4집 싱글

2013. 06. 21.
]]
[[Everything Has Changed|
Everything Has Changed
4집 싱글

2013. 07. 16.
]]
[[The Last Time|
The Last Time
4집 싱글

2013. 12. 04.
]]
[[Shake It Off|
Shake It Off
5집 싱글

2014. 08. 19.
]]
파일:Blank Space_cover.png 파일:Style_cover.png 파일:Bad Blood (feat. Kendrick Lamar)_cover.png 파일:Wildest Dreams_cover.png 파일:Out Of The Woods_cover.png
[[Blank Space|
Blank Space
5집 싱글

2014. 11. 10.
]]
[[Style|
Style
5집 싱글

2015. 02. 09.
]]
[[Bad Blood|
Bad Blood
5집 싱글

2015. 05. 17.
]]
[[Wildest Dreams|
Wildest Dreams
5집 싱글

2015. 08. 31.
]]
[[Out Of The Woods|
Out Of The Woods
5집 싱글

2016. 01. 19.
]]
파일:New Romantics_cover.png 파일:Look What You Made Me Do_cover.png 파일:...Ready For It? (BloodPop® Remix)_cover.png 파일:reputation_cover.png 파일:reputation_cover.png
[[New Romantics|
New Romantics
5집 싱글

2016. 02. 23.
]]
[[Look What You Made Me Do|
Look What You Made Me Do
6집 싱글

2017. 08. 24.
]]
[[...Ready For It?|
...Ready For It?
6집 싱글

2017. 09. 17.
]]
[[Gorgeous(테일러 스위프트)|
Gorgeous
6집 프로모

2017. 10. 20.
]]
[[Getaway Car|
Getaway Car
6집 싱글

2017. 11. 10.
]]
파일:reputation_cover.png 파일:Delicate (Sawyr And Ryan Tedder Mix)_cover.png 파일:ME!_cover.png 파일:You Need To Calm Down_cover.png 파일:The Archer_cover.png
[[End Game|
End Game
6집 싱글

2017. 11. 14.
]]
[[Delicate|
Delicate
6집 싱글

2018. 03. 12.
]]
[[ME!|
ME!
7집 싱글

2019. 04. 26.
]]
[[You Need To Calm Down|
You Need To Calm Down
7집 싱글

2019. 06. 14.
]]
[[The Archer|
The Archer
7집 프로모

2019. 07. 23.
]]
파일:Lover_cover.png 파일:The Man_cover.png 파일:cardigan_cover.png 파일:willow_cover.png 파일:Fearless (Taylor's Version)_cover.png
[[Lover(싱글)|
Lover
7집 싱글

2019. 08. 16.
]]
[[The Man|
The Man
7집 싱글

2020. 01. 27.
]]
[[cardigan|
cardigan
8집 싱글

2020. 07. 27.
]]
[[willow|
willow
9집 싱글

2020. 12. 11.
]]
[[Love Story (Taylor's Version)|
Love Story (Taylor's Version)
2집 재녹음 싱글

2021. 02. 12.
]]
파일:All Too Well (10 Minute Version) (Taylor's Version) (From The Vault)_cover.png 파일:Anti-Hero_cover.png 파일:Bejeweled_cover.png 파일:Lavender Haze_cover.png 파일:Karma (feat. Ice Spice)_cover.png
[[All Too Well (10 Minute Version)|
All Too Well (10 Minute Version)
4집 재녹음 프로모

2021. 11. 15.
]]
[[Anti-Hero(테일러 스위프트)|
Anti-Hero
10집 싱글

2022. 10. 21.
]]
[[Bejeweled|
Bejeweled
10집 프로모

2022. 10. 25.
]]
[[Lavender Haze|
Lavender Haze
10집 싱글

2022. 11. 29.
]]
[[Karma(테일러 스위프트)|
Karma
10집 싱글

2023. 05. 01.
]]
파일:cruel summer single cover.webp 파일:Speak Now (Taylor's Version)_cover.png 파일:"Slut!" (Taylor's Version) (From The Vault)_cover.png 파일:1989 (Taylor's Version)_cover.png 파일:Fortnight (feat. Post Malone)_cover.png
[[Cruel Summer|
Cruel Summer
7집 싱글

2023. 06. 20.
]]
[[I Can See You|
I Can See You
3집 재녹음 프로모

2023. 07. 08.
]]
[["Slut!"|
"Slut!"
5집 재녹음 싱글

2023. 10. 27.
]]
[[Is It Over Now?|
Is It Over Now?
5집 재녹음 싱글

2023. 10. 31.
]]
[[Fortnight|
Fortnight
11집 싱글

2024. 04. 19.
]]
파일:THE TORTURED POETS DEPARTMENT_cover.png 파일:THE TORTURED POETS DEPARTMENT_cover.png
[[Down Bad|
Down Bad
11집 수록곡

2024. 04. 19.
]]
[[I Can Do It With a Broken Heart|
I Can Do It With a Broken Heart
11집 수록곡

2024. 04. 19.
]]
기타 노래 문서
파일:boys_likes.jpg 파일:Today Was A Fairytale_cover.png 파일:bouCover.jpg 파일:Ronan_cover.png 파일:I Don't Wanna Live Forever_cover.png
[[Two Is Better Than One|
Two Is Better Than One
피처링

2009. 10. 19.
]]
[[Today Was A Fairytale|
Today Was A Fairytale
사운드트랙

2010. 01. 19.
]]
[[Both of Us|
Both of Us
피처링

2012. 05. 22.
]]
[[Ronan|
Ronan
싱글

2012. 09. 08.
]]
[[I Don't Wanna Live Forever|
I Don't Wanna Live Forever
사운드트랙

2016. 12. 09.
]]
파일:Christmas Tree Farm_cover.png
[[Christmas Tree Farm|
Christmas Tree Farm
싱글

2019. 12. 06.
]]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000><bgcolor=#948c83><-3>
활동
||
음반
영화
{{{#!wiki style="margin: -16px -11px" 테일러 스위프트: 디 에라스 투어 }}}
기타
기록 및 수상

<colbgcolor=#080607><colcolor=#b6a7c6> 미스 아메리카나 (2020)
Miss Americana
파일:taylor_swift_miss_americana_xlg.jpg
장르 다큐멘터리
감독 라나 윌슨
제작 모건 네빌
크리스틴 오말리
케이트린 로저스
출연 테일러 스위프트
편집 폴 마르칸드
그렉 오툴
리 로쉬
린제이 우츠
제이슨 젤데스
배급사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공개일 2020년 1월 31일[1]
러닝타임 86분
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링크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1. 개요2. 시놉시스3. 예고편4. OST5. 영상 및 대사6. 평가7. 수상8. 여담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Gif_미스 아메리카나.gif

넷플릭스 오리지널로 제작된 테일러 스위프트의 다큐멘터리.

다큐멘터리의 시점은 6집 reputation 발매 후 투어와 7집 Lover 발매 직후까지. 제목은 7집 Lover의 수록곡인 'Miss Americana & the Heartbreak Prince'에서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2. 시놉시스

지금껏 보지 못한 테일러 스위프트의 또 다른 모습을 담은 다큐멘터리. 작곡가 겸 가수로서 무대를 빛내는 모습은 물론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여성으로서의 그녀를 만난다.

3. 예고편

Official Trailer
(2020. 1. 23.)
공식 예고편[2]
(2020. 1. 23.)

4. OST

Lyric Video
(2020. 1. 31.)
가사
[ 펼치기 · 접기 ]

It keeps me awake
그 얼굴의 표정을 생각하며
The look on your face
난 다시 깨어나
The moment you heard the news
그 뉴스를 듣던 그 순간
You're screaming inside
속에선 비명이 들리고
And frozen in time
시간이 멈춰버렸어
You did all that you could do
내가 할 수 있는 걸 다 했는데

The game was rigged,
조작된 게임 속에
the ref got tricked
속을 수밖에 없었어
The wrong ones think they're right
잘못된 이들이 옳다고 주장하는데
You were outnumbered
나는 힘이 없네
This time
이번에는

But only the young
하지만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can run
다음 세대만이 뛸 수 있어
Can run
뛸 수 있어
So run
그러니 뛰어
And run
뛰는 거야
And run
더 뛰는 거야

So every day now
매일매일을 너는
You brace for the sound
TV를 통해서나 듣던
You've only heard on TV
소리에 맞춰서 준비해
You go to class, scared
두려운 마음을 가진 채
Wondering where the best
학교를 가고 어떤 곳이
Hiding spot would be
숨기에 좋은지 미리 찾아
And the big bad man
크고 힘센 남자,
And his big bad clan
크고 힘센 사람들
Their hands are stained with red
그들의 손은 빨갛게 물들었고
Oh, how quickly, they forget
그들은 얼마나 쉽게, 잊어버리는지

They aren't gonna help us
우리를 도와주지 않을 거야
Too busy helping themselves
자신들만 챙기기 바쁘니까
They aren't gonna change this
이 상황을 바꾸지 않을 거야
We gotta do it ourselves
우리가 바꿔야 해
They think that it's over
이미 끝났다 생각할 거야
But it's just begun
하지만 이제 시작일 거야
Only one thing can save us
아직 우리를 구할 한 가지가 있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Don't say you're too tired to fight)
(싸우기엔 너무 지쳤다고 하지 말아 줘)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It's just a matter of time)
(이제 시간문제일 뿐이야)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Up there's the finish line)
(이제 결승선이 보여)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Can run
뛸 수 있어

Don't say you're too tired to fight
싸우기엔 너무 지쳤다고 하지 말아 줘
It's just a matter of time
이제 시간문제일 뿐이야
(Can run)
(뛸 수 있어)
Up there's the finish line
이제 결승선이 보여
So run, and run, and run
그러니 뛰어, 뛰는 거야, 더 뛰는 거야

Don't say you're too tired to fight
싸우기엔 너무 지쳤다고 하지 말아 줘
It's just a matter of time
이제 시간문제일 뿐이야
(So run)
(뛰는 거야)
Up there's the finish line
이제 결승선이 보여
And run, and run, and run
더 뛰고, 뛰어, 더 뛰는 거야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Only the young
다음 세대만이

5. 영상 및 대사

테일러 스위프트가 설명하는 엔터계의 여성 아티스트
2018년 그래미 어워즈에서 reputation이 주요 부문에서 스넙 당했을 때
"테일러 스위프트가 음악 산업이다."
어느 방송에서 테일러를 소개하며 한 말 #
13년 동안 나를 잘못 보여줬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 지금껏 있었던 모든 일의 종착역이 이 순간이란 걸 깨닫고 보니, 기분 존나 좋아요.
Taylor 사람을 존중하는 법을 열심히 배웠어요. 그렇게 여성 혐오에 대한 인식을 바꾸려고 했죠. 갖다 버려야 하는 거예요. 또 가지지 않으려고 저항하고요. 걸레 같은 여자(slut)는 없고, 계집년(bitch)이란 말은 없어요. 누가 누구를 지배하는 게 아닌 거죠. 다면적이라고 해서 욕먹기 싫은 거예요. ... 죄송해요. 갑자기 설교를 했네요.
Reporter 아니에요.
Taylor 내가 왜 사과하지?
Reporter 그건 우리가 사과하라고 교육 받아서 그래요.
Taylor 맞아, 그래요. "미안해요. 내 목소리가 너무 컸나요?" 내가 내 돈으로 산 집 안에서? 내가 쓴 노래로? 내 인생인데?

6. 평가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
메타스코어 65 / 100 점수 9.3 / 10 상세 내용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92% 관객 점수 91%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4.1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191932"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191932;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91932|{{{#!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9.32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9.32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393f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8.6 / 10




2021년 4월, 로튼 토마토에서 실시한 2020 Golden Tomato 시상식에서 'FAN FAVORITE MOVIES'를 수상했다. 또한, IMDb에서 넷플릭스 오리지널 전기다큐멘터리 영화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동료 가수인 케이티 페리는 이 영화를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며 극찬을 남겼다. #
I was impressed by her documentary because I saw some self awareness starting to happen and I saw a lot of vulnerability. I was really excited for her to be able to show that to the world: that things aren’t perfect, they don’t have to be, and it’s more beautiful when they aren’t.
테일러의 다큐멘터리를 보고 감명을 받았어요. 영상을 보고, 저는 스스로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게 되었고, 그 안에 많은 상처를 볼 수 있었어요. 테일러가 세상에 이러한 것들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 정말 기뻤습니다. 모든 것은 완벽하지 않고, 완벽할 필요도 없고, 그렇지 않을 때도 아름답다는 것을요.

7. 수상

  • 2020년 크리틱스 초이스 다큐멘터리 어워즈
  • 2020년 National Board of Review (NBR) 어워즈 : 올해의 다큐멘터리 5개 중 하나로 선정

8. 여담

  • 원래 테일러가 Only The Young을 작업하는 40분가량의 컷이 있었는데 분량 상으로 인해 10분가량으로 압축되었다고 한다. 감독의 해당 인터뷰는 영상 참고.
  • 최초 공개 직후, 니키 글레이저가 2015년에 테일러에게 했던 바디셰이밍에 관해 인스타그램에서 사과했다. 테일러는 댓글로 '이런 글을 남겨줘서 고마워. <미스 아메리카나>의 중요 포인트 중 하나가 우리는 생각을 바꾸고 성장하며 스스로 깨우칠 수 있다는거니까. 내가 힘들었던 문제로 너도 힘들었다는 것에 위로하고 싶어. 사랑을 보내며💗'라고 답했다. #

9. 둘러보기



[1] 선댄스 영화제에서 1월 23일에 선공개[2] 한글 자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