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00:09:35

문보경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문보경의 2024 시즌에 대한 내용은 문보경/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2024 시즌 내야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2 문보경 · 4 신민재 · 6 구본혁 · 23 오스틴
· 53 김민수
2군
5 김주성 · 10 오지환 · 36 김성진 · 43 김태우
· 56 손용준 · 64 김대원 · 102 김형욱 · 107 김도윤
· 112 최명경 · 113 한지용 · 117 김유민 · 118 문정빈
· 123 박건우
최종 편집: 2024년 5월 30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문보경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문보경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LG 트윈스 우승 엠블럼 V3.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23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2022

LG 트윈스 등번호 102번
이창율
(2018)
<colbgcolor=#000><colcolor=#fff> 문보경
(2019~2021. 4. 30.)
김성협
(2021. 8.~2023)
LG 트윈스 등번호 35번
남호
(2021~2021. 3. 25.)
문보경
(2021. 5. 1.~2022)
김영준
(2023~)
LG 트윈스 등번호 2번
이상호
(2022)
문보경
(2023~)
현역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2022 아시안 게임
류중일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0022E,#ddd> 투수 1 문동주 · 11 장현석 · 16 정우영 · 17 김영규
18 원태인 · 19 고우석 · 21 박세웅 · 39 최지민
43 나균안 · 47 곽빈 · 60 박영현
포수 22 김동헌 · 25 김형준
내야수 2 박성한 · 3 김혜성 [[주장|
C
]] · 7 김주원 · 8 노시환
10 문보경 · 50 강백호 · 58 김지찬
외야수 9 김성윤 · 34 최원준 · 54 최지훈 · 91 윤동희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8 장종훈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최일언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김동수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 류지현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이종열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9 정대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2024 서울 시리즈
류중일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0022E,#ddd> 투수 1 문동주 · 4 박명근 · 11 조병현 · 15 황준서
18 원태인 · 21 이병헌 · 29 오원석 · 39 최지민
41 손동현 · 47 이의리 · 48 곽빈 · 53 신민혁
56 최준용 · 60 박영현 · 62 정해영 · 63 김택연
92 이로운
포수 22 김동헌 · 25 김형준 · 28 손성빈
내야수 2 문보경 · 3 김혜성 [[주장|
C
]] · 6 박성한 · 7 김주원
8 노시환 · 12 문현빈 · 13 이유찬 · 23 한태양
41 나승엽
외야수 9 김성윤 · 17 조세진 · 36 추재현 · 50 강백호
54 최지훈 · 91 윤동희
'''
감독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중일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지현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종훈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일언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성우
QC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진호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민철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파일:문보경 프로필 LG.png
<colbgcolor=#c30452><colcolor=#ffffff> LG 트윈스 No.2
문보경
文保景 | Moon Bo-Gyeong
출생 2000년 7월 19일 ([age(2000-07-19)]세)
서울특별시 강북구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서울송중초(동대문구리틀)[1] - 덕수중 - 신일고[2]
신체 182cm, 89kg
포지션 내야수(3루수, 1루수)[3]
투타 우투좌타
프로 입단 2019년 2차 3라운드 (전체 25번, LG)
소속팀 LG 트윈스 (2019~)
병역 예술체육요원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부문)
연봉 2024 / 3억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트랜스픽션 - 《Radio》[4]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응원가 구단 자작곡[5][율동]
소속사 그로윈스포츠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30452><colcolor=#fff> 본관 남평 문씨[7]
가족 조부 문완주[8], 부모님, 여동생
종교 무종교[9]
MBTI ISFP
}}}}}}}}} ||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10]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LG 트윈스 소속 내야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문보경/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2023년 AG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보경/플레이 스타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 역사적으로 고질적인 3루수 문제로 고통받은 LG 트윈스에게 문보경의 등장은 대단한 의미를 갖는다. 이광은이 3루수를 보지 않게 되자[11] 이 선수 저 선수가 3루수를 보게 되었고 결국 트레이드를 통해 한대화를 영입했으나 94년 한 시즌만 좋았고 1990년대는 전반적으로 이종열 신국환 송구홍이 번갈아가며 3루수를 보았다. 그나마 송구홍이 1992년에 3루수 골든글러브 수상까지는 해봤으나... 결국 확고한 3루수를 위해 FA로 데려온 게 홍현우였으나 홍현우가 부진했고 대신 기회를 받은 선수는 김상현이었다. 그러나 김상현의 성적도 썩 좋은 편이 아닌 것은 같았기에 여러 선수가 같이 3루를 보았으며 결국 FA를 통해 정성훈을 영입하며 3루 문제를 해결했다. 14년부터 정성훈이 3루를 볼 수 없게 되자 히메네스가르시아 영입을 통해 3루를 해결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그래서 다시 FA를 통해 영입한 게 김민성이었다. 그러나 김민성의 능력은 우수한 주전까지는 미치지 못했는데[12], 이때 혜성처럼 등장한 게 문보경. 즉 3루수를 잘 키워서 쓰는 모습은 수십 년에 걸쳐서 거의 처음[13]이었다. 그리고 나이도 어려서 LG 내야 세대교체의 중심이자 미래라 불리고 있다.
  • 고등학교 3학년 때 투타겸업을 해서 팔꿈치 수술을 받은 적이 있다. LG 입단 직후에 수술을 받았었는데, 이 수술 때문에 병역특례를 얻기 전에는 보충역 판정을 받았었다고 한다.[14]
  • 신인 드래프트에서 다들 3라운드까지 내려올 줄 몰랐다고 한다. 그만큼 실력이 좋다는 뜻이다. 그리고 10개 구단 팬들이 모두 탐냈다. 그래서 지명된 팀인 LG 트윈스의 팬들이 2019시즌 신인들 중 가장 기대하는 선수였고 결국 주전 3루수가 되었다.
  • 어릴 적 아버지를 따라서 우연히 사회인야구 경기를 보러 갔다가 야구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당시 두산 베어스 소속이자 현재 LG 트윈스 소속인 신일고등학교 선배 김현수를 따라 우투좌타로 야구를 시작한 이후 아버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고 한다.
  • 박한이 정도는 아니지만, 타석에 들어설 때 본인만의 독특한 제스처가 있다. 과도하게 고개를 돌려가며 시선을 조정하는데, 헛스윙한 다음에도 반복된다. 이 제스처는 헬멧이 머리에 잘 맞도록 고개를 돌리다 보니 어느새 습관이 되었다고 한다. #
  • 2021년 6월 8일 경기서 결승타를 터뜨린 후 수훈선수 인터뷰에서 "엘린이" 출신이라는 것을 인증[15]했다. 어린 시절 프로필의 목표 란에 있어 팬들의 오해를 샀던 '두산 최고의 유격수'란 글은 두산 팬인 아버지가 쓰신 거라고. 본인은 원래부터 첫 직관이 LG였고 최동수를 좋아했다고 밝혔다. 본인이 LG에 입단하고 아버지도 LG로 갈아타셨다고 한다.[16] 또한 아버지의 현재 전화 벨소리가 문보경의 응원가라고 한다.
  • 2000년대에 출생한 LG 타자 중 첫 홈런-타점 기록을 가지고 있다.
  • 대표적인 별명으로 차은우가 있는데, 홈런이나 적시타를 칠때마다 댓글창은 '야 차은우 야구 그만 잘해', '은우야 너는 적시타 못 치잖아'(...)등으로 도배된다.
  • 팬서비스가 매우 좋은 선수 중 하나이다. 특히 이재원, 송찬의, 이영빈, 문성주 등 LG의 젊은 신인들이 모두 팬서비스가 좋기로 유명한데, 엘린이 출신인지라 더더욱 팬을 아끼는 모습이 보인다. 팬들이 본인 응원가 불러주면 자기도 따라 부를 만큼 자기애와 팬사랑이 뛰어나다.
  • 지명 전 삼성 라이온즈가 문보경을 많이 관찰했다는 얘기가 있다. 삼성이 뽑아갈 거라 생각했지만 양우현을 지명[18][19]하면서 굉장히 아쉬워하고 있다.
  • 2022 시즌이 끝나고 군입대를 할 것 같다고 팬들이 많이 추측함과 동시에 그러면 또 3루 구멍이 생기는 거냐며 굉장히 아쉬워하는 반응들이 많이 보이는 중이다.[20] 다행히 입대를 1년 미뤘다고 한다. 그리고 그 해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따면서 천만다행으로 군 문제가 해결되었다.
  • 팬들 사이에서는 중요한 순간마다 제 역할을 해주면 문보물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그 반대로 중요한 상황에 못칠때 는 새가슴과 문보경을 합쳐서 새보경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 등장곡으로 ITZY의 WANNABE를 쓰고 있었다. 그러다 2024 시즌 지드래곤의 크레용으로 등장곡을 바꿨다가 타격감이 너무 안 좋았고 팬들 사이에서 워너비로 돌아와 달라는 의견이 많아서 결국 다시 워너비로 돌아왔다. 그러자 놀랍게도 타격감이 돌아왔다. 사실 문보경의 풀네임은 누가뭐라해도난나야난그냥안타문보경이라고 하더라
  • 민트초코를 매우 싫어한다. 엘튜브에서 민트초코 얘기가 나오면 항상 절대 안 먹는다며 거부할 정도이다.
  • 울고 난 뒤의 경기력이 좋아지는, 대단히 특이한 징크스가 있다. 일명 울보경 현상.
  • 중성적인 이름으로 생긴 해프닝이 있다. 한 X 유저가 LG 치어리더의 직캠[21]에 적힌 글을 보고 “LG의 문보경이라는 누나 알아요? 너무 예쁘다”라고 글을 썼는데 알고보니 해당 치어리더가 문보경이 타석에 있을때 응원을 했던 것. # X 유저의 오해를 만든 인스타 영상.[22]
  • 만루에 매우 약하다. 23시즌 기준 통산 23타석 20타수 3안타. 타율이 무려 0.150. 주자 상황별 타율 중에서 만루 상황에 타율이 제일 낮다. 별명은 만루바보.

5. 관련 문서



[1] 서울백운초에서 전학.[2] 배명고등학교에서 전학.[3] 유격수를 제외한 전 포지션에 설 수 있다. 주 포지션은 3루로, 3-유 두 자리를 병행하다 고교 시절 3루에 정착했다. 1루수는 경험이 없었고 데뷔 시즌인 21년도에 1군 콜업 한달 전에서야 연습하기 시작했으나 준수한 수비를 보여주고 있다. 국대에서는 이러한 수비력을 바탕으로 노시환 3루 - 문보경 1루 조합을 주로 볼 수 있다. 한편 2루수로도 간간히 출전하지만 팀 내야 포지션이 꼬일 경우에 어쩔 수 없이 맡는 정도로만 나오고 있고, 허나 좌타자 수비시프트 문보경이 2루수 위치에 서 있는 것으로 간접적으로나마 구경할 수 있다.[4] 이종욱의 두산시절 응원가 원곡으로도 유명하다. 2024년 5월부터 사용 중이다.[5] 무적 LG 승리 위해 날려버려~라~ LG의 문보경! 안타! LG의 문보경! 홈런! ×2[율동] 오른쪽 팔 4번 돌리기-박수 3번+외야 방향으로 팔을 쭉 뻗기(X2)[7] 출처[8] 출처[9] 출처[10] 2024 시즌 계속된 부진으로 인하여 팬들한테 악성 DM을 많이 받은 모양인지 계정을 폭파하였다.[11] 가끔 보긴 했다.[12] 물론 김민성의 경우 LG 트윈스의 외국인 타자 영입 기조 변화와 더불어 양석환의 입대, 원 소속팀인 히어로즈의 무관심 등의 상황 속에서 잽싸게 잡아온 것이고 앞으로의 3루 유망주 배출에 시간을 벌기 위한 목적도 있었기 때문에 꼭 필요한 영입이었다.[13] 순수 LG 3루수라고 할 만한 선수들이 이광은, 송구홍, 이종열 정도였으나 이광은은 키웠다기보다는 완성된 상태에서 프로야구가 생긴 거였고 송구홍은 전성기가 너무 짧았으며 이종열은 수비 안정감은 있었으나 타격이 너무 떨어졌고 전문 3루수가 아닌 2, 3루 유틸이었다. 결국 제대로 2군에서부터 키운 건 문보경이 처음이고 스타로 주목받은 건 80년대 이광은, 90년대 송구홍 이후 처음이라고 봐도 무방하다.[14] 이 때문에 병역특례 전까지 사회복무요원 소집이 계속 미뤄지면 장기대기로 군면제를 받을 수 있었다.[15] 사실 첫 콜업 후 맹타를 터뜨린 후에 LG Twins TV 인터뷰에서도 본인은 엘린이 출신이라고 인증했다. 다만 그 후에 '두산 최고의 유격수'라는 글이 발견되면서 오해를 샀다.[16] 아버지가 두산 팬이니 문보경도 두산 팬 아니냐고 할 수도 있지만 예전이었으면 모를까 요즘은 야구중계만 봐도 가족단위로 와서 서로 다른 팀을 응원하는 풍경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만큼 그렇게 이상한 일은 아니며 아예 본인, 부, 추측된다다 응원팀이 다른 경우도 있다. 멀리 가지 않아도 팀 선배 임찬규는 찐 엘린이 출신이지만 그의 부친은 기아 팬이었다고 한다.[17] 문보경이 본격적으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한 2022년 이후부터 야구팬은 물론이고 농구팬들에게도 종종 둘이 닮았단 얘기가 나오고 있다. 이대헌이 더 눈이 큰 걸 제외하면 꽤 닮았단 평이 대부분.[18] 삼성 팬들에 의하면 내부적으로 문보경을 뽑기로 해놓고는 이학주를 보러 가다가 양우현을 보고 스카우터가 꽂혀 버렸다고 한다. 그래서 문보경이 아닌 양우현을 뽑으면서 삼성팬들은 문보경만 보면 땅을 치고 있다. 심지어 프로 첫 홈런도 삼성 상대로 쳤으니.[19] 그래서 2023년 여름 삼성의 뷰캐넌 <->켈리 트레이드설이 나왔을 때 삼성이 반대급부로 문보경을 제시했고 LG가 이를 거절했다는 소문이 돌자, 삼성 팬들 중엔 '그러게 기회 있을 때 지명했어야지 이게 뭐냐'는 반응까지 보이는 팬들도 있었다.[20] 최근 몇년 간 LG가 2루수 못지않은 구인난으로 고생했던 포지션이 3루수였다.[21] 영상 속 치어리더는 김이서였다.[22] 댓글에서도 "저 치어리더가 문보경인가요?"라는 반응이 대다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