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15:48:02

마라위

{{{#!wiki style="margin:-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0732F>
파일:이슬람 도시기구.pn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732F> 이집트 카이로 · 기자 · 알렉산드리아 · 데숙 · 카프르엘셰이크 · 만수라 · 탄타 · 시빈엘콤 · 반하 · 아시유트 · 퀴나 · 룩소르
모로코 탕헤르 · 우지다 · 페스 · 라바트 · 메크네스 · 카사블랑카 · 마라케시 · 아가디르 · 엘아이운
튀니지 튀니스 · 타바르카 · 비제르트 · 베자 · 카이로우안 · 수스 · 마흐디야 · 스팍스 · 토주르 · 가베스
세네갈 티바완 · 티에스 · 다카르 · 디우르벨
카메룬 야운데 · 두알라 · 응가운데레 · 응간하
리비아 트리폴리 · 데르나 · 벵가지
수단 하르툼 · 북하르툼 · 옴두르만
니제르 아가데즈 · 니아메
나이지리아 아부자 · 라고스
말리 바마코 · 팀북투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 메디나 · 메카 · 바하 · 압하 · 지잔 · 타부크 · 나즈란 · 담맘 · 부라이다 · 하일 · 사카카 · 아라르 · 호푸프
팔레스타인 가자 · 나블루스 · 라말라 · 아리하 · 예루살렘 · 베이트 울라 · 사이르 · 알칼릴 · 칼킬야 · 툴카름 · 제닌 · 칸유니스 · 할훌
레바논 베이루트 · 트리폴리
시리아 다마스쿠스 · 알레포 · 라타키아 · 홈스
이라크 바그다드 · 모술 · 바스라
요르단 암만 · 카라크 · 마안 · 살트 · 자르카 · 마프라크 · 이르비드
예멘 사나 · 아덴 · 타림
오만 무스카트 · 소하르 · 도파르 · 니즈와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 두바이 · 샤르자 · 라스 알카이마 · 아지만
이란 테헤란 · 이스파한 · 쉬라즈 · 카샨 · 타브리즈
튀르키예 앙카라 · 이스탄불 · 카이세리 · 이즈미르 · 에디르네 · 부르사 · 메르신 · 가지안테프 · 샨르우르파
북키프로스 파마구스타 · 레프코샤 · 키레니아
러시아 카잔 · 그로즈니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사마르칸트 · 부하라
그 외 국가 사라예보 · 티라나 · 그라나다 · 실베스 · 누악쇼트 · 리브르빌 · 반줄 · 와가두구 · 은자메나 · 코나크리 · 프리타운 · 비사우 · 파라마리보 · 지부티 · 모가디슈 · 캄팔라 · 마푸투 · 모로니 · 쿠웨이트 · 마나마 · 도하 · 바쿠 · 알마티 · 비슈케크 · 두샨베 · 아시가바트 · 카불 · 이슬라마바드 · 다카 · 말레 · 마라위 · 반다르스리브가완 · 쿠알라룸푸르 · 자카르타 }}}}}}}}}

파일:maxresfault.jpg
시가지 전경
파일:Marawi_Grand_Mosque_top_view_(Disalongan_Street,_Marawi,_Lanao_Del_Sur;_10-14-2023).jpg
1970년에 세워진 대모스크

1. 개요2. 역사
2.1. 현대 분쟁지

1. 개요

마라노어: Bandar a Marawi
타갈로그어: Lungsod ng Marawi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 섬의 중서부에 위치한 도시. 옛 지명은 단살란이다. 라나오 호수 북안에 자리하며, 인구는 약 21만명이다. 정식 명칭은 마라위 이슬람 도시 (Islamic City of Marawi)일 정도로 이슬람 색채가 강하며, 주민 중 99.6%가 무슬림이다. 2017년 다에시계열의 분리주의 집단이 점령하여 마라위 전투가 벌어졌고, 이때 정부군의 공습으로 많은 인명 사상과 시가지 파괴가 벌어지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기후는 연중 내내 20~25도로 일정하고, 고도가 높아 비교적 선선하여 민다나오의 여름 수도로 여겨진다.

2. 역사

본래 마라나오 (메라나우) 부족장 다투 부아디 사 카요의 성채가 있었고, 1639년 10월 스페인 장교 프란시스코 아티엔차가 라나오 호수 일대를 감독할 식민 마을을 세워 단살란 (Dansalan)이라 명명하였다. 다만 같은해 말엽 수천의 마라나오 부족이 아직 요새화 중이던 마을을 공격해 스페인인들을 몰아냈다. 스페인 군은 19세기가 되어서야 마귄다노 술탄국을 정복에 나서며 라나오 호수 일대로 돌아왔고, 두 차례의 시도 끝에 1895년 다투 아마이 파팍과 다투 시날의 사후 마라나오 거점인 마라후이를 점령할 수 있었다. 다만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기에 미군이 다가오자 스페인 군은 재차 일대를 떠났다.

미국령 필리핀 시기인 1907년, 모로 주 산하 단살란 시가 설립되었다. 1935년 3월, 하지 압둘하미드 봉가봉 능 18인의 마라나오 지도자들은 미대통령 프랭클린 루즈벨트와 미의회에게 민다나오 및 술루의 분리 독립을 요청하는 단살란 선언을 하였다. 태평양 전쟁기인 1940년 8월, 일본군이 단살란을 점령하였다. 일본군은 위안소를 세운 후 현지 여성들을 나이를 불문하고 강제로 위안부로 삼았다. 전후 1956년, 단살란은 현지 지명인 마라위러 개칭되었다.

2.1. 현대 분쟁지

파일:GettyImages-1145566753_edit.jpg

파일:GettyImages-1145577027.jpg

파일:41090069_905.jpg

필리핀의 유일한 이슬람 다수 도시인 마라위는 1980년 마라위 이슬람 도시로 선포되었고, 중동 자본을 유치하고자 했던 마르코스 대통령도 이를 인가하였다. 2017년 5월, ISIL에 충성 맹세를 한 극단주의 이슬람 단체 아부 사야프가 도시를 점령하였다. 이후 필리핀 정부군이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의 협조 하에 1만의 병력을 동원해 공세를 가하였다.

1천 병력의 아부 사야프는 시가전을 통해 격렬히 저항하였고, 필리핀 군은 공습까지 가한 끝에 5달만에 도시를 탈환했다. 다만 그 과정에서 민간인 80여명이 희생되었고, 2019년 12월까지 군정 하에 놓였다. 도시는 아직도 완전히 재건되지 않았고, 민다나오 주립대학교의 가톨릭 미사 도중 2023년 마라위 폭탄 테러가 발생하는 등 완전히 안정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