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1 17:48:34

마나마

아시아의 국가별 수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동아시아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중국
서울특별시 도쿄도 베이징시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북한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대만
[[몽골|
파일:몽골 국기.svg
]] 몽골
평양시 타이베이시 울란바토르
동남아시아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 인도네시아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 태국
[[필리핀|
파일:필리핀 국기.svg
]] 필리핀
자카르타 방콕 마닐라시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 싱가포르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 베트남
쿠알라룸푸르
푸트라자야
싱가포르 하노이시
[[미얀마|
파일:미얀마 국기.svg
]] 미얀마
[[캄보디아|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 캄보디아
[[라오스|
파일:라오스 국기.svg
]] 라오스
네피도 프놈펜 비엔티안
[[브루나이|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 브루나이
[[동티모르|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 동티모르
반다르스리브가완 딜리
남아시아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인도
[[아프가니스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 방글라데시
델리 연방 수도구역 카불 다카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 파키스탄
[[네팔|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스리랑카|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 스리랑카
이슬라마바드 카트만두 스리자야​와르데네​푸라코테
[[몰디브|
파일:몰디브 국기.svg
]] 몰디브
[[부탄|
파일:부탄 국기.svg
]] 부탄
말레 팀부
서아시아
[[레바논|
파일:레바논 국기.svg
]] 레바논
[[바레인|
파일:바레인 국기.svg
]] 바레인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튀르키예
베이루트 마나마 앙카라
[[이라크|
파일:이라크 국기.svg
]]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사우디아라비아
[[요르단|
파일:요르단 국기.svg
]] 요르단
바그다드 리야드 암만
[[아제르바이잔|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 아제르바이잔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 카타르
[[예멘|
파일:예멘 국기.svg
]] 예멘
바쿠 도하 사나
[[이스라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이스라엘
[[이란|
파일:이란 국기.svg
]] 이란
[[아르메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 아르메니아
예루살렘
정치

텔아비브
경제
테헤란 예레반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 쿠웨이트
[[조지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 조지아
[[키프로스|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 키프로스
쿠웨이트 트빌리시 니코시아
[[오만|
파일:오만 국기.svg
]] 오만
[[시리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 아랍에미리트
무스카트 다마스쿠스 아부다비
[[팔레스타인|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압하지야|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 남오세티야
라말라 수후미 츠힌발리
[[북키프로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 북키프로스
니코시아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 키르기스스탄
타슈켄트 아스타나 비슈케크
[[타지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 투르크메니스탄
두샨베 아시가바트
아메리카의 수도 | 아프리카의 수도 | 오세아니아의 수도 | 유럽의 수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5deg, transparent 35%, #CE1126 35%), linear-gradient(25deg, transparent 35%, #CE1126 35%), linear-gradient(147deg, transparent 14%, #fff 14%), linear-gradient(33deg, transparent 14%, #fff 14%), linear-gradient(to right, #fff 2%, transparent 2%, transparent 4%, #fff 4%), linear-gradient(to bottom, #fff 40%, #fff 40%, #fff 60%, #fff 6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ce1126>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딜문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카르마트 · 바레인 반정부 시위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할리파 왕조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걸프 협력회의
경제 경제 전반 · 바레인 디나르
국방 바레인군
교통 바레인 국제공항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 · 바레인 그랑프리 · 아랍어(걸프 방언)
인물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지리 걸프만 · 마나마 · 사키르 · 무하라크(무하라크섬) · 리파(바레인)
민족 걸프 아랍인
}}}}}}}}} ||

{{{#!wiki style="margin:-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0732F>
파일:이슬람 도시기구.pn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732F> 이집트 카이로 · 기자 · 알렉산드리아 · 데숙 · 카프르엘셰이크 · 만수라 · 탄타 · 시빈엘콤 · 반하 · 아시유트 · 퀴나 · 룩소르
모로코 탕헤르 · 우지다 · 페스 · 라바트 · 메크네스 · 카사블랑카 · 마라케시 · 아가디르 · 엘아이운
튀니지 튀니스 · 타바르카 · 비제르트 · 베자 · 카이로우안 · 수스 · 마흐디야 · 스팍스 · 토주르 · 가베스
세네갈 티바완 · 티에스 · 다카르 · 디우르벨
카메룬 야운데 · 두알라 · 응가운데레 · 응간하
리비아 트리폴리 · 데르나 · 벵가지
수단 하르툼 · 북하르툼 · 옴두르만
니제르 아가데즈 · 니아메
나이지리아 아부자 · 라고스
말리 바마코 · 팀북투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 메디나 · 메카 · 바하 · 압하 · 지잔 · 타부크 · 나즈란 · 담맘 · 부라이다 · 하일 · 사카카 · 아라르 · 호푸프
팔레스타인 가자 · 나블루스 · 라말라 · 아리하 · 예루살렘 · 베이트 울라 · 사이르 · 알칼릴 · 칼킬야 · 툴카름 · 제닌 · 칸유니스 · 할훌
레바논 베이루트 · 트리폴리
시리아 다마스쿠스 · 알레포 · 라타키아 · 홈스
이라크 바그다드 · 모술 · 바스라
요르단 암만 · 카라크 · 마안 · 살트 · 자르카 · 마프라크 · 이르비드
예멘 사나 · 아덴 · 타림
오만 무스카트 · 소하르 · 도파르 · 니즈와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 두바이 · 샤르자 · 라스 알카이마 · 아지만
이란 테헤란 · 이스파한 · 쉬라즈 · 카샨 · 타브리즈
튀르키예 앙카라 · 이스탄불 · 카이세리 · 이즈미르 · 에디르네 · 부르사 · 메르신 · 가지안테프 · 샨르우르파
북키프로스 파마구스타 · 레프코샤 · 키레니아
러시아 카잔 · 그로즈니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사마르칸트 · 부하라
그 외 국가 사라예보 · 티라나 · 그라나다 · 실베스 · 누악쇼트 · 리브르빌 · 반줄 · 와가두구 · 은자메나 · 코나크리 · 프리타운 · 비사우 · 파라마리보 · 지부티 · 모가디슈 · 캄팔라 · 마푸투 · 모로니 · 쿠웨이트 · 마나마 · 도하 · 바쿠 · 알마티 · 비슈케크 · 두샨베 · 아시가바트 · 카불 · 이슬라마바드 · 다카 · 말레 · 마라위 · 반다르스리브가완 · 쿠알라룸푸르 · 자카르타 }}}}}}}}}

파일:마나마 1.jpg
마나마
المنامة[1]
Manama
국가 <colcolor=#000000>
[[바레인|]][[틀:국기|]][[틀:국기|]]
지역 수도 주
면적 30km²
시간대 UTC+3
인구 157,000명
인구 밀도 5,233.33명/km²

1. 개요
1.1. 역사
2. 갤러리3. 기타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바레인 야경.jpg

바레인의 수도이자 최대도시. 아랍어로 "휴식의 장소"라는 의미이다. 인구는 약 15만 7천명이며 면적은 30km²다.[2] 옛부터 호르무즈와 함께 걸프 지역의 무역 중심지였고 석유 시대 전에는 진주 채취가 흥하였다. 그 때문에 포르투갈이란 등 외세의 침공이 잦았으나 19세기 중반부터 영국의 보호를 받아 안정을 유지할 수 있었다. 1923년 기존 중심이던 이웃 도시 무하라크 대신 수도가 되었다. 2012년 마나마는 아랍 문화 수도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2014년에는 아시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가 이곳에서 개최되었다. 대학교로는 마나마 대학교가 있다. 항구로는 미나 살만항이 있다. 해당 항구에 영국이 50년 만에 해군기지를 개설하였다. 시간은 한국보다 6시간 느리다.

1.1. 역사

작은 섬인 바레인의 특성상 마나마의 역사가 사실상 바레인의 역사이다. 마나마 일대는 기원전 3000년 경부터 딜문 문명의 중심지였다. 수로를 통해 식수와 농업용수를 제공받는 고도의 문명을 지녔다. 그러던 기원전 700년경 아시리아에게 정복되었고, 이후 신바빌로니아, 아케메네스 제국을 거쳐 헬레니즘 시대에 그리스인들이 정착해 틸로스를 세우기도 하였다. 로마의 역사가 대 플리니우스는 틸로스에서 생산되는 진주와 목화밭에 대해 기술하였다. 기원후 무렵 바레인은 파르티아사산 제국의 지배를 받았는데, 그 시기에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가 전래되어 흥성하였다. 현 무하라크 북쪽 앗 다이르에 경교 주교좌와 수도원이 세워지기도 하였다.

그러던 628년 사산 제국의 바레인 총독 문지르 빈 사와 앗 타미미가 무함마드의 서신대로 개종하면서 이슬람화되었다. 632년 무함마드의 사후 바레인의 주민들은 배교하고 반란을 일으켰으나 아부 바크르에 의해 파견된 알 알라 알 하드라미에게 진압되었다. 이후 그는 바레인 총독이 되었으나 639년 파르스 원정에 실패한 후 해임되었다. 그의 후임자로서 파르스를 정복한 이는 바로 사드 이븐 아비 와카스. 8세기 초에는 칼리파 우마르 2세에 의해 바레인 최초의 이슬람 사원인 마스지드 알 카미스가 세워졌다. 이슬람 제국의 평화 시대에 바레인은 걸프 무역의 중심지로 거듭났다. 마나마에서 발굴된 당나라 ~ 송나라 대의 중국 동전들이 원거리 무역의 증거이다. 10세기부터 바레인은 토착 베두인 왕조들인 카르마트, 우윤 왕조 등의 지배를 받았다. 12세기의 지리가 알 이드리시는 '아왈 (바레인의 옛 지명)의 수도는 인구가 많고 그 주위가 비옥하며 곡물과 대추야자가 많이 난다.'고 기록하였다.

파일:바레인 요새.jpg
파일:바레인 성채 1.png
포르투갈에 의해 세워진 바레인 요새

그러던 1330년 자르완 왕조 때에 바레인은 호르무즈 왕국의 속국이 되었고, 이란에서 온 쉬아 울라마 (지식인층)가 큰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였다. 마나마라는 현 지명은 1345년에 처음 언급되었다. 그러던 1521년 걸프-인도양 무역을 독점하려 하던 포르투갈이 바레인을 장악하였다. 포르투갈 인들은 마나마 외곽에 바레인 요새를 세웠다. 여러 현지인 반란에 시달리던 포르투갈은 1602년 사파비 제국에 의해 축출되었다. 이란의 지배기에 총독들은 빌라드 알 카뎀에 머물렀다. 사파비 시대에 마나마는 이란 시장에 많은 진주와 곡물을 수출하며 번영하였다. 특히 약 2천척의 선박이 동원되어 수확된 그 진주는 연간 60만 두카트의 수입을 창출하였다. 농업에 있어서도 순니인 오스만 제국이 장악한 알 하사와 카티프에서 박해를 우려해 이주해 온 쉬아 세력 덕에 비약적인 발전이 있었다. 사파비 조를 멸한 나디르 샤는 1740년경 오만 원정 전에 마나마 남쪽 외곽에 요새를 세웠다.

걸프에 대한 페르시아 패권은 18세기 후반 쇠퇴하였다. 카자르 왕조 시대에 바레인은 파르스 지방의 부셰르 후국에 속해 있다. 그러던 1783년 카타르 북부에 있던 바니 우트바 계열의 알 칼리파 가문이 쿠웨이트의 도움으로 마나마를 공격, 이란 총독 나스르 알 마드쿠르를 축출하였다. 이로써 바레인에 자리잡은 칼리파 왕조는 부셰르를 비롯한 이란과의 관계를 끊었다. 하지만 이란 시장의 상실과 19세기 정치, 종교 상의 불안정은 바레인의 경제를 파탄내었다. 그에 더하여 1800년에 오스만, 1810년에 사우디의 와하비 세력이 침공해왔고 1842년 발발한 칼리파 왕조의 내전에서 마나마는 주요 전장이었다. 연이은 전란으로 항구 기능이 사실상 정지되자, 상인들은 쿠웨이트나페르시아 해안으로 피신하였다가 내전이 끝난 후에야 돌아왔다. 1862년 마나마를 방문한 영국인 지포드 팔그레브는 도시에는 파손된 몇몇 석조 건물들과 가난한 어부 및 진주 채취꾼들의 움막만이 있다고 기록하였다.

1820년의 해상 조약에 이어 1861년의 우호 조약으로 바레인은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영국은 바레인의 외교권을 가져가는 대신 그를 외세의 해상 침공으로부터 보호해 주기로 했는데, 바레인은 섬이었기에 사실상 완전한 안전 보장 약속이었다. 19세기 후반 마나마는 영국의 걸프 경영의 중심이 되었고, 상업과 진주 수출로 마나마 경제는 어느 정도 부흥할 수 있었다. 1900년 마나마에는 영국 정치국이 세워졌고, 1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은 바레인을 기반으로 오스만령 이라크를 공격하였다. 이후 석유가 발견되자 영국은 1919년 바레인을 해외 영토에 포함시켰다. 1923년 칼리파 왕조의 하킴 하마드 이븐 이사는 기존 수도 무하라크에서 바로 건너의 마나마로 천도하였다. 1932년 석유 채굴과 함께 마나마는 현대 도시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1965년 3월에는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반영 독립 시위가 열렸고, 마침내 6년 후에 바레인의 독립이 이루어지자 마나마는 그 수도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

2. 갤러리

파일:마나마.jpg
마나마의 랜드마크인 바레인 국제 무역 센터[3]

파일:바레인 진주 교차로.jpg
2011년 시위 이전의 진주 교차로. 시위 후 구조물이 철거되고 회전 교차로 대신 일반 교차로로 변형되었다.

3. 기타

2023년 아시아 남자 배구단 선수권 대회(5월 14~21)가 마나마에서 열렸다.

바레인 마나마 중심가에 한식당 <아리랑>이 있다. 이 식당은 오한남 대한배구협회 회장이 과거 바레인에서 배구 지도자 생활을 하다가 인연이 돼서 창업한 곳으로, 현재 오 회장의 아들이 운영한다. 2013년 11월 25일에 박상주를 통해 내일신문소개되었다. 배구 잡지 더 스파이크 2023년 6월호 77쪽에도 등장했다.
더 스파이크 2023년 7월호 65쪽
편집자: 바레인에서는 배구 지도자뿐만 아니라 사업가로도 크게 성공한 것으로 알고 있다.
오한남: 그것도 뭐 대단한 건 아니다(웃음). 지도자 일을 하면서, 사업 차원에서 식당을 하나 인수했다. 식당 이름은 <아리랑>이었다. 처음에는 잘되지 않았다. 식당은 저녁 장사가 메인인데, 배구팀 훈련을 주로 저녁에 하다 보니 식당 운영에 힘을 쏟기가 쉽지 않았다. 그래서 본격적으로 사업에 힘을 쏟기 시작할 때는 훈련을 낮에 진행하는 유소년팀 위주의 지도자가 됐다. 이후 <아리랑>이 정말 잘 됐다. 한국 사람들은 물론이고 일본 등 다른 나라에서도 손님들이 많이 찾아왔다. 수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예약이 필수일 정도였다. 분점도 다섯 개나 생겼다. <아리랑>이 잘된 이후에는 호텔과 부동산 사업에도 발을 들였다.
편집자: <아리랑>은 지금도 운영 중이지 않나. 얼마 전 아시아배구연맹(AVC) 클럽 챔피언십에 참가한 대한항공 선수들도 <아리랑>을 방문했는데.
오한남: 그렇다. 지금은 아들이 현지에서 운영하고 있다. 내가 맡았떤 교민 단체 회장직도 아들이 물려받은 상태다. 코로나19 때문에 중동에서 하던 사업을 접은 사람들이 정말 많은데, <아리랑>은 계속해서 유지했다.

4. 둘러보기



[1] 아랍어[2] 부산광역시 부산진구(29.67km²)와 비슷하다.[3] 트윈타워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물에 풍력 발전용 풍차 3개가 설치되어있다. 빌딩풍을 활용하기 위한 시도를 한 것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