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8 11:33:19

르노 캡처

파일:르노 로고.svg
파일:캡쳐 FL.jpg
CAPTUR

1. 개요2. 모델별 설명
2.1. 1세대
2.1.1. 유럽형(Captur J87, 2013~2019)
2.1.1.1. 르노삼성 QM3 (J87K, 2013~2020)
2.1.2. 글로벌 액세스(HA, 2016~현재)
2.1.2.1. 러시아/CIS 시장(Kaptur, 2016~2022)
2.1.2.1.1. 페이스리프트
2.1.2.2. 브라질 시장(Captur GA, 2017~현재)2.1.2.3. 인도 시장(Captur GA, 2017~2020)
2.2. 2세대 (HJB, 2019~현재)
3. 경쟁 차종4. 둘러보기


RENAULT Captur / Grand Captur[1] / Kaptur[2]
RENAULT-SAMSUNG Quest Motoring series 3[3]
MITSUBISHI Active Sports X(Cross)over

1. 개요

프랑스의 자동차 제조사 르노에서 2013년부터 생산하는 전륜구동 소형 SUV이다.

2. 모델별 설명

2.1. 1세대

1세대 캡처는 두 가지 버전으로 설계 및 제작되었는데, 코드명 J87은 르노-닛산 B 플랫폼을 기반으로 2013년부터 2019년 사이에 생산되었으며, 코드명 HA는 B0 플랫폼 기반인 글로벌 액세스(Global Access, GA) 버전으로 2016년부터 현재까지 생산된 별도의 차종이다.

2.1.1. 유럽형(Captur J87, 2013~2019)

파일:Renault_Captur1.jpg
파일:Renault_Captur2.jpg
전기형
파일:renault-captur-s-edition.jpg
파일:Renault-Captur-2018.jpg
후기형
[ 펼치기 · 접기 ]
파일:Renault-Captur-2018-interior.jpg

2011년 공개된 캡처 컨셉트의 양산형으로, 2013년 3월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됐다. 디자인은 로렌스 반 덴 에커(Laurens van den Acker)가 주도했고 여성이나 젊은 연령 층을 주요 시장층으로 만들어졌다. 4세대 클리오닛산 쥬크와 공유하는 르노-닛산 B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파워트레인은 0.9L, 1.2L, 1.3L 가솔린 터보 3종, 1.5L 디젤 단일로 구성되며, 게트락제 건식 6단 DCT 및 5단 수동과 맞물린다. 차량 서스펜션으로는 전면에 맥퍼슨 스트럿, 후면에 트위스트 빔 액슬로 설계되었고 브레이크는 전면이 디스크, 후면은 드럼 방식이다.

운전대가 좌측에 위치한 사양의 글러브 박스는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형 서랍형 글러브 박스와 같은 몇 가지 새로운 요소가 갖춰졌다.

안전 항목에서는 2013년 유로 NCAP 테스트에서 별 5개 등급을 획득했다. 표준 안전 장비 중에는 3점식 안전 벨트, 2개의 에어백, 크루즈 컨트롤, 속도 제한 장치, ESC, ABS 및 청각 및 시각적 안전 벨트 충돌 알림 경고가 있고 힐스타트(언덕 출발 밀림 방지) 지원 기능도 장착되어 있다.

영국 시장에서는 익스프레션(Expression), 익스프레션+(Expression+), 다이나미끄 미디어 내비(Dynamique Media Nav) 및 다이나미끄 S 미디어 내비(Dynamique S Media Nav)의 4가지 트림 레벨이 있었다. 2013년 12월에 르노는 최고급 시그니처 트림을 추가했고, 2015년에는 아이코닉 사양을 추가했다. 2018년엔 스포티 해진 S-에디션 트림을 추가했다. 캡처엔 기본적으로 주차 센서, 특정 기능에 대한 음성 활성화 기능이 있고 일부 버전에는 지퍼가 달린 탈착식 시트 커버, 터치 스크린 + 르노 위성 내비게이션 시스템, 후방 카메라, 자동 헤드 램프 및 앞유리 와이퍼 등도 갖추어졌다.

해외에서는 시승 평가시 주로 주행 성능보다 편의장비를 호평하는 편이다. 2천만원대의 소형 SUV 치고는 실내 인테리어나 편의장비 구성이 괜찮아 보인다. 주행 성능 자체는 90마력의 저조한 출력이 아쉽지만 디젤 엔진 특유의 저회전 토크로 어느정도 상쇄할 수 있겠으나 크게 기대할만한 편은 아니다. 어디까지나 도심형 SUV로서 적당한 편이지만 배기량이 작아도 디젤 엔진이라서 22.4 kg.m이라는 나쁘지 않은 수준의 토크를 발휘하기 때문에 저속에서의 힘은 꽤 괜찮은 편이다. 전체적으로 가성비와 생활용 차량으로서의 편의성에 특화된 차라는 평이다.

2017년 5월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2.1.1.1. 르노삼성 QM3 (J87K, 2013~2020)
파일:NxtUoDF.jpg
파일:new_qm3.jpg
전기형 후기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르노삼성 QM3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르노 캡처 1세대(J87)의 대한민국 시장 모델. 르노삼성 QM3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2013년 4월 서울 모터쇼에서 공개되었으며 실제 생산지는 부산 공장이 아니라 스페인에 위치한 르노 바야돌리드 공장에서 이뤄진 것으로, 르노삼성자동차의 태풍 로고를 부착해 배지 엔지니어링을 거쳐 수입, 판매하였다.

2.1.2. 글로벌 액세스(HA, 2016~현재)

파일:kaptur1.jpg
파일:kaptur2.jpg
전기형
르노에서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의 신흥 시장들을 공략하기 위해 기존 캡처를 기반으로 휠베이스와 지상고를 더 크게 키워 생산한 차종이다. 르노 내부적으로 캡처 글로벌 액세스(Captur Global Access), 줄여서 Captur GA로 불리며 B 플랫폼 기반의 4세대 클리오를 바탕으로 만든 유럽형 캡처에 비해, 1세대 다치아 더스터를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기존 캡처와 영문 스펠링이 다른데, 유럽 시장 캡처는 Captur를 사용한 반면, CIS 시장 캡처는 주로 Kaptur로, 우루과이 시장에서는 Grand Captur로 구분한다.[4] 더 넓은 실내 공간과 제작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초기 B0 모델에는 디젤 엔진이 없었고 러시아형 조립 차량엔 가솔린을, 브라질형 조립 차량엔 가솔린/ 에탄올 혼합 엔진을 두었다.
2.1.2.1. 러시아/CIS 시장(Kaptur, 2016~2022)
캡처(Captur) GA는 2016년 러시아와 인근 CIS 국가 시장에 처음 출시되었으며 Renault Kaptur라는 이름으로 2022년까지 판매되었다. 이름 변경은 원래 "Captur" 이름을 러시아어로 정확하게 발음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수정된 것이다. 2016년 4월부터 르노 러시아 공장에서 제조되었고 전륜 구동 버전은 1.6리터 엔진으로 구동되며 수동 변속기 또는 CVT를 선택할 수 있었다. 엔진은 2.0 L 사양밖에 없었으며, 수동 또는 4단 자동 변속기가 조합된다.
  • 카자흐스탄 시장에서는 르노와 알뤼르 그룹 간의 파트너십을 통해 2021년 코스타나이에 위치한 사랴르카아브토프롬(SaryarkaAvtoProm) 공장에서 조립되었다.
2.1.2.1.1. 페이스리프트
파일:kaptur3.jpg
파일:kaptur4.jpg
후기형
[ 펼치기 · 접기 ]
파일:kaptur5.jpg

2020년 5월, 르노 러시아는 페이스리프트된 Kaptur를 출시했다. LED 헤드램프 및 새로운 휠 디자인 등, 몇 가지 미묘한 외부 및 내부 업데이트 외에도 더 나은 승차감을 위해 B0 대신 B0+ 플랫폼으로 설계했으며 55%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업데이트되었다.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을 버리고 현대식 전동 파워 스티어링을 채택했으며, 이로 인해 스티어링 칼럼이 조정 가능 범위에 맞게 조정될 수 있었다. 새로 바뀐 Kaptur는 2.0L F4R 자연 흡기 가솔린 엔진을 대체하는 새로운 1.3L H5H 가솔린 터보 엔진이 장착되었으며 2021년 7월, 브라질 시장에서 1.3리터 가솔린 엔진을 탑재하여 판매에 들어갔다.
2.1.2.2. 브라질 시장(Captur GA, 2017~현재)
2017년 초에 Captur로 출시되었으며 1.6, 2.0 L 엔진은 메르세데스-벤츠 엔진과 같이 생산되는 1.3 TCe 엔진(170cv)으로 변경됐고 5단 수동, CVT 및 4단 자동변속기와 조합된다. 같은 해에 아메리칼(Americar, 라틴 아메리카 자동차 언론 협회)에서 최우수 디자인으로 선정했다. 브라질 산 Captur GA는 라틴 아메리카 전역으로 수출되며 2021년 인테리어와 엔진을 변경한 페이스리프트 버전을 공개했다.
  • 우루과이 시장 - 2016년 2월부터 우루과이에서 출시된 유럽형 Captur와 차별화하기 위해 2017년 11월부터 브라질산 Captur GA를 Grand Captur라는 이름으로 우루과이에서 판매하였다.
2.1.2.3. 인도 시장(Captur GA, 2017~2020)
2017년부터 인도 시장에서 Captur로 판매되었으며 2017년 9월에 생산 및 사전 주문이 시작되었다. 2020년 4월까지 1.5L K9K 디젤 엔진으로 제공되었다. 여담으로 이름과 관련된 혼동을 르노 인디아(Renault India)에서도 겪었는지, 당시 제작한 캡처 광고 영상에서 유럽형 B 플랫폼 버전이 자동차 상을 받은 것을 언급하여 일부 포럼과 언론 매체에서 고객에게 '오보'했다는 부정적인 반응을 얻기도 했다.

같은 르노 닛산 B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된 닛산 킥스의 약간 더 큰 버전인 인도 시장용 킥스(D15)와 플랫폼을 공용하며, 두 차량 모두 르노와 닛산이 공동 소유한 인도 첸나이의 동일한 제조 공장에서 생산됐다. 그러나 Captur GA는 4년 동안 7,000대 미만이 생산되는 판매 부진으로 인해 2020년 인도에서 단종되었다.

2.2. 2세대 (HJB, 2019~현재)

파일:captur1.jpg파일:captur2.jpg
초기형[5]
파일:2024 르노 캡처 E-테크 하이브리드 테크노_(1).jpg파일:2024 르노 캡처 E-테크 하이브리드 테크노_(2).jpg
페이스리프트[6]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르노 캡처/2세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경쟁 차종

4. 둘러보기

<colbgcolor=#fff,#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000><tablealign=center>
파일:르노 로고.svg파일:르노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판매차량 단종차량
<colbgcolor=#000><colcolor=#fff> 마이크로카 - 트위지
경차 트윙고(Z.E.) 3 · 4
소형차 클리오 · 탈리안트(크로스) · 5 4CV · 도핀 · 7 · 로간/심볼 · 산데로 · 펄스 · 조에
준중형차 메간 6 · 8/10 · 9/11 · 얼라이언스/엥코르 · 14 · 19 · 스칼라 · 플루언스(Z.E.)
중형차 SM6한국형 12 · 16 · 18 · 20/30 · 21 · 라구나 · 사프란(2,3세대) · 래티튜드 · 탈리스만(2세대)
준대형차 - 25 · 사프란(1세대) · 벨 사티스 · 탈리스만(1세대)
스포츠카 - 카라벨 · 15/17 · 푸에고 · 스포트 스파이더 · 윈드
그랜드 투어러 - 아반타임
경형 SUV 크위드 E-테크 일렉트릭 시티 K-ZE
소형 SUV 카이거 · 산데로 스텝웨이/스텝웨이 · 더스터 · 카르디안 · 캡처 E-테크 하이브리드 · 메간 E-테크 일렉트릭 -
준중형 SUV 심비오즈 E-테크 풀 하이브리드 · 아르카나(E-테크 하이브리드) · 오스트랄 E-테크 하이브리드 · 라팔 E-테크 하이브리드 · 세닉 E-테크 일렉트릭 카자르 · 콜레오스(1세대)
중형 SUV 에스파스 E-테크 하이브리드 · 콜레오스(2세대)/QM6 -
소형 MPV 트라이버 모뒤스 · 롯지
준중형 MPV - 세닉
중형 MPV - 에스파스
픽업트럭 알래스칸 · 더스터 오로크 -
상용밴 트래픽 · 캉구 · 마스터 캉구 Z.E.
전차 - FT · B1 · B1 비스 · R35 · R40
장갑차 - UE 슈니예트
군용차 - TRM 500
르노의 포뮬러 1 레이스카
알핀의 차량
다치아의 차량 }}}}}}}}}



[1] 우루과이 시장 판매 명칭.[2] CIS 시장 판매 명칭.[3] 1세대의 한국시장 판매명.[4] 쉐보레 볼트(Volt), 쉐보레 볼트 EV(Bolt EV) 예시가 이와 비슷하다.[5] INITIAL PARIS 특별사양[6] E-테크 하이브리드 테크노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