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23:07:49

대천여객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시내/농어촌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0 -10px;"
<colbgcolor=#8c8c70><colcolor=#fff>천안시 · ·
아산시 · <colbgcolor=#8c8c70><colcolor=#fff>공주시
당진시논산시
서산시계룡시
보령시금산군
홍성군부여군
예산군서천군
청양군태안군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77c2d5><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보령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77c2d5;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각 지역→대천시내방향 노선은 출발지에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900번으로 운행
다만 일부 중간경유지로 갈라지는 구간이 있는 노선은 900번으로 표출하지 않고 원래 노선번호로 표시되는 예외도 존재함
<colbgcolor=#77c2d5><colcolor=#fff,#191919> 대천항 100번대
시내 노선 200번대 300번대
남포, 웅천, 주산, 서천 400번대 500번대
청라, 청양 600번대
주교, 주포, 청소, 오천, 천북, 광천 700번대
성주, 미산, 외산 800번대
마을버스 원산도 마을버스 삽시도 마을버스
}}}}}}}}} ||
파일:보령 100번 현대차량.jpg

1. 개요2. 상세3. 운행 노선4. 면허 체계5. 차량

1. 개요

홈페이지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버스 회사이다. 1979년 12월 29일 금남여객자동차[1]에서 분리독립 되어 설립되었다.

2. 상세

이 업체의 대부분의 노선들은 구 대천역(롯데리아 앞)[2]을 기점으로 운행한다.[3] 여느 인구 적은 도시의 시내버스들이 그렇듯 원래는 차량 전면에 행선지 판넬를 꽂아놓고 다니던 업체였으나, 보령시에서 시내버스 노선에 노선 번호를 부여하면서 LED가 전면적으로 도입됐고, 기존 행선판과 함께 사용하고 있다.

도색은 하늘색, 녹색, 남색이 어우러진 도색을 사용하며, 좌석 차량의 경우 한때 범퍼가 자주색으로 도색되어 있었고, 차량 전•후면에 좌석 스티킹이 붙어 있었으나, 제거되었다. 현재는 좌석 차량은 물론이거니와 입석 뉴 슈퍼 에어로시티 마저 사라진 상태이기에 더는 볼 수 없는 상태이다.

과거에는 입석 차량은 충남 공용 구도색, 좌석 차량은 경상남도 농어촌버스 도색을 사용했었다.

3. 운행 노선

일부 노선은 충청남도 홍성군(광천), 청양군(화성, 청양), 서천군(비인, 판교), 부여군(외산)까지도 들어간다.

시내버스에 노선 번호를 부여하게 됨과 동시에 각 지역별로 권역이 설정되었기 때문에 노선 번호를 보면 대략적인 행선 방향을 알 수 있다. 단, 이는 대천 시내에서 출발하는 차량에만 해당되며, 대천 시내로 향하는 차량은 출발지가 어디든 간에 일률적으로 900번을 띄운 채로 운행한다. 즉, 900번은 전부 대천 시내로 향하는 편도 노선인 셈이다. 부도심이 적거나 미약한 지역들은 각지에서 시내(도심 지역)로 나가는 수요가 대부분인데 이런 식으로 하는 게 승객들의 혼동도 적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서들을 참조.

4. 면허 체계

  • 충남 7155## ~ 55##

5. 차량

자일대우버스현대자동차를 혼용 출고했었지만, 2020년에 자일대우버스의 공장 폐쇄 이후 대형은 현대, 중형은 BYD로 출고한다. 이후 자일대우버스의 부품 수급 문제와 더불어 유로6 커민스 디젤 엔진을 탑재한 NEW BS 시리즈 차량들의 상태가 좋지 못해 빠른 속도로 현대로 조기대차했다.

한 때 서울 중부운수 출신의 2000년식 에어로 스페이스 LS 전중문 폴딩형 좌석 차량을 운행했다가 2007년 말에 전량 대차했다. 이 외에는 BS106 로얄시티 중에 전중문 폴딩형 1/3 개폐창 좌석 개조 차량이 존재했다.

2016년 8월 1일에 대우 NEW BS110 디젤 저상버스를 도입했다.[4] 하지만 신호위반한 차량[5][6]으로 사고가 심하게 나고, 커민스 디젤 엔진의 상태와 맞물려 차 상태가 매우 좋지 않아 7년만에 조기대차되었다.

2017년 9월에 전국 최초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디젤 저상버스를 도입했다.[7] 현대자동차 순회전시용 테스트카를 중고로 구매했으며,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된 차량이었다.[8] 하지만 해당 차량도 7년만에 eBus9 전기버스로 조기대차 되었다.

2022년 9월에 자사 최초로 전기버스를 도입했으며, 차량은 일렉시티로 출고했다.[9]

2023년 6월 27일에 전기버스에 이어 수소 전기버스도 도입했으며, 해당 차량은 도입함으로써 레스타와 커민스 엔진 장착 차량이 사라졌다.

2024년에는 최초로 중국산 전기버스를 도입했다. 차종은 BYD의 eBus9이다.

5.1. 현재 보유차량

5.1.1. 현대자동차

5.1.2. 자일대우버스

5.1.3. BYD

5.2. 과거 보유차량

5.2.1. 자일대우버스

5.2.2. 현대자동차


[1] 현재의 금남고속[2] 롯데리아가 근방에 4군데 있지만, 이 지역 사람들에게 롯데리아 앞이라고 하면 십중팔구 이 곳으로 이해한다.[3] 나머지는 명문당사거리, 대천여객 기점.[4] 2006년식 대우 BS106L 로얄시티 디젤 대차분으로 포천 선진시내버스 중고 차량이었으며, 공조기 옵션은 두원공조 5팬 에어컨을 채택했고, 자동변속기앨리슨을 채택한 차량이었다.[5] 해당 차량에 탑승했던 승객 3명은 전원 사망했다. 2명은 현장에서 즉사, 1명은 병원 이송 중 사망.[6] 어느 뉴스 매체에서는 충청북도 청주시 계모임 회원으로 보도됐다.[7] 2007년식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대차분으로 대차 전 차량은 KBS 독한 일꾼들에도 출연했었다. 개그맨 최양락이 버스 안내양 아줌마로 분장한 상태로 탑승했다.[8] 메가페어 전시차량 중 하나였던 수동변속기 디젤저상은 김천버스가 구입했다.[9] 충전은 보령 문화의전당 옆 부지에 있는 공공형 전기버스 충전소에서 충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