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10:13:53

낙동강역

낙동강역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Nakdonggang
한자 洛東江
간체자 洛东江
가나 [ruby(洛東江, ruby=ナクトンガン)]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진로 119 (삼랑리)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밀양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운영 기관
경부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마산선 1906년 12월 12일
~ 1931년 3월 31일[1]
경전남부선 1931년 4월 1일
~ 1968년 2월 6일[2]
경전선 1968년 2월 27일
철도거리표
경전선[3]
낙동강
미전선
낙동강
종점
파일:attachment/낙동강역/nakdonggang.jpg
구 역사 (1962년 준공, 2010년 철거)

1. 개요2. 역사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낙동강역 스탬프.jpg
낙동강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지역 브랜드인 미르피아를 형상화하였다. 현재 삼랑진역에 비치중이다.[4]
경전선철도역.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진로 119 (삼랑리) 소재.

역명은 인근에 흐르는 낙동강에서 따왔다.

2. 역사

경전선이 처음 생길 때에는 보통역으로 출발했으나 2004년 이후 제법 가까운 곳에 위치한 삼랑진역으로 여객수요가 대부분 흡수되면서[5] 2010년 1월 4일을 끝으로 여객열차 영업이 중지되었으며, 그 해 11월 12일 역사가 철거되었다. 현재는 창고만이 남아 낙동강역의 역사를 알리고 있다. 그러나 어느새 역 앞의 공간에 이곳의 이야기를 '약간' 담은 공원이 생긴 상태이다.

200m 가량의 섬식 승강장이 있으나 미전선 상행선에만 1곳 있다. 이는 미전선이 2003년 복선화 이전 현 상행선 선로만 존재했기 때문. 미전선 하행선과 경전선 측에 승강장 부지는 미리 확보되어 있다.

이 역에는 2009년 명예역장이 배치되어 활동했던 전적이 있다. 이 역의 명예역장은 스스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만들어서 비치해 놓을 정도의 철도 동호인이었지만 2010년 1월 5일부로 영업이 중지되면서 사실상 짤렸다. 그 이후 연임하지 못했다.

역사도 철거되고 명예역장도 이 역을 떠난 상태이지만 낙동강역은 묵묵히 제 일을 수행하고 있다.[6] 이 역의 스탬프는 삼랑진역에서 관리하고 있다.

이 역과 한림정역 사이에 낙동강철교가 있는데, 경전선 복선전철화로 2009년에 이설된 철교로 지금 사용되는 철교는 경전선 개통 이래 3대째의 철교가 된다. 이때 이설된 구간 대부분이 선로 철거를 면치 못하였지만, 낙동강-한림정 구간 중 삼랑진철교를 비롯한 일부 구간은 선로가 존치되어 레일바이크와 와인터널이 만들어져 관광상품화되었다. 관련기사

3. 둘러보기

경전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
}}}}}}}}}

미전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 삼랑진역 ~ 구마산역 구간 운영[2] 삼랑진역 ~ 진주역 구간 운영[3] 삼랑진역부터 진례역까지는 부전마산선 개통 이후 서류상 부산신항선에 편입될 예정이다.[4] 2021.1.31 삼랑진역 정상 배치 확인[5] 삼랑진역에 정차하는 열차 대수가 많아진 영향이 크다.[6] 낙동강역은 경전선미전선이 분기하여 삼각선을 이루는 역인 이유로 신호장 역할을 위해 존치된다. 이때문인지 가끔 미전선측 승강장에 운전정차하는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