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20:40:49

경전선/역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전선

1. 본선2. 개량 후 이설예정구간3. 신설중인 구간4. 향후 개량 구간5. 향후 폐량 구간6. 지선7. 폐역

<rowcolor=#fff> 일러두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여객, 화물 취급
K KTX 필수정차 k KTX 선택정차
R SRT 필수정차 r SRT 선택정차
iC ITX-청춘 필수정차 ic ITX-청춘 선택정차
iM ITX-마음 필수정차 im ITX-마음 선택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필수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선택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필수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선택정차
M 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 m 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X 동해산타열차 정차 V V-train 정차
N S-train 정차 G G-train 정차
A A-train 정차
T 광역철도 급행 정차 t 광역철도 정차
H 화물취급 여객/화물 미취급
<rowcolor=#fff> 역 등급
관리역
보통역 운전간이역
배치간이역 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 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 신호소
}}}}}}}}} ||

1. 본선

  • 2023년 9월 1일 기준[1]
KTX 필수정차 (K) KTX 선택정차 (k) SRT 정차 (R)
ITX-새마을 정차 (I) 무궁화호 필수정차 (M) 무궁화호 선택정차 (m)
S-train 정차 (T) 화물취급역 (F)
<rowcolor=#ffffff> ㎞ 역명 운행계통 등급 환승 노선 소재지
경부선과 직결 (물금 방면)
0.0 삼랑진 三浪津 MT 밀양시 경상남도
1.7미전선 분기 (밀양 방면)
낙동강 洛東江
9.9 한림정 翰林亭 m 김해시
14.1 진영 進永 KRIMT
18.0 진례 進禮 m
부산신항선 분기 (장유 방면)
28.2 창원중앙 昌原中央 kRIMT 창원시
(의창구)
35.2 용강 龍岡
38.5덕산선 분기 (덕산 방면)
창원 昌原 kRIM
진해선 분기 (진해 방면)
42.1 마산 馬山 KRIMT 창원시
(마산회원구)
48.7 중리 中里 m
57.6 함안 咸安 IM 함안군
64.6 군북 郡北 m
78.1 반성 班城 m 진주시
91.4사천비행장선 분기 (사천 방면)
진주 晉州 KRIMT
104.5 완사 浣紗 M 사천시
113.9 북천 北川 MT 하동군
122.0 횡천 橫川 M
127.4 하동 河東 MT
134.2 진상 津上 M 광양시 전라남도
148.5광양제철선 분기 (초남 방면)
광양 光陽 MF
152.2 평화 平和 순천시
전경삼각선을 통해 전라선과 연결 (여천 방면)
156.5 순천 順天 MT
전라선 분기 (구례구 방면)
168.3 원창 元倉
173.0 구룡 九龍
179.9 벌교 筏橋 MT 보성군
190.6 조성 鳥城 M
195.9 예당 禮堂 M
200.2 득량 得粮 MT
209.3 보성 寶城 MT
214.2 광곡 廣谷
218.1 명봉 鳴鳳 MT
230.9 이양 梨陽 M 화순군
243.1 능주 綾州 MT
252.0 화순 和順 MT
261.2 남평 南平 나주시
266.6 효천 孝泉 MT 남구 광주광역시
270.7 서광주 西光州 MT 서구
275.0 동송정 東松汀 광산구
275.6광주선 분기 (광주 방면)
276.4북송정삼각선을 통해 호남선과 연결 (장성 방면)
277.7 광주송정 光州松汀 MT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광주 1호선
호남고속선
호남선 분기 (나주 방면)

2. 개량 후 이설예정구간

※ 관할 지역본부
 ¶ 부산경남본부 : 부전 ↔ 신월
역명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환승노선 소재지
0.0 부 전[2] 釜 田 Mt 동해선
부전선
1호선
동해선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 야[3] 伽 倻 H 가야선
부전선
5.1 사 상[4] 沙 上 mt 2호선
부산김해경전철
5호선
부산광역시 사상구
강서금호 江西錦湖 t 부산광역시 강서구
부경경마공원 釜慶競馬公園 t
칠 산 七 山 부산신항선 경상남도 김해시
장 유[5] 長 有 t H § 부산신항선
신 월 新 月 t 경전선

3. 신설중인 구간[6]

※ 관할 지역본부
 ¶ 광주전남본부 : 보성 ↔ 임성리
역명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소재지
209.3 보 성[7] 寶 城 MN 경전선 전라남도 보성군
장 동 長 東 전라남도 장흥군
장 흥 長 興
강 진 康 津 전라남도 강진군
해 남 海 南 전라남도 해남군
영암월출 靈巖月出 전라남도 영암군
임성리[8] 任城里 m 호남선
호남고속선
전라남도 목포시

4. 향후 개량 구간

5. 향후 폐량 구간

6. 지선

7. 폐역

경전선/폐역 목록 참고.
[1]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6-225호[2] 동해선부전선만 영업중[3] 가야선부전선만 영업중[4] 경부선만 영업중[5] 부산신항선만 영업중[6] 해당 구간은 개통후 경전본선이 될지 지선이 될지 정해지지 않았다. 선형 때문에 본선이 될 것이라는 예측은 무성하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답은 철도공사의 공표 이전에는 할 수 없다.[7] 경전선만 영업중[8] 호남선만 영업중[9] 이 두 역은 광주-나주 광역철도 노선이 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