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4:41:36

김휘집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김휘집의 2024년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김휘집/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315288>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NC 다이노스
2024 시즌 내야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2 박민우 · 5 서호철 · 7 김주원 · 14 최정원
· 16 도태훈 · 24 데이비슨 · 44 김휘집
2군
3 김수윤 · 4 김택우 · 6 박주찬 · 34 오영수
· 35 한재환 · 40 서준교 · 46 조현진 · 49 최보성
· 52 윤형준 · 68 김한별IL-30 · 70 신성호 · 84 김세훈
· 87 안인산 · 107 조현민 · 111 박인우
최종 편집: 2024년 5월 30일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김휘집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김휘집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로고.svg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준우승
2023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44번
김정인
(2020.8.28.~2020)
<colbgcolor=#B07F4A><colcolor=#FFFFFF> 김휘집
(2021)
박관진
(2022)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33번
이승호
(2017.7.31.~2021)
김휘집
(2022~2024.5.29.)
원성준
(2024.6.6.~)
NC 다이노스 등번호 44번
박성재
(2023)
김휘집
(2024.5.30.~)
현역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2023 APBC
류중일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0022E,#ddd> 투수 1 문동주 · 11 조병현 · 17 김영규 · 18 원태인
29 오원석 · 39 최지민 · 47 곽빈 · 48 이의리
53 신민혁 · 56 최준용 · 62 정해영 · 64 최승용
포수 22 김동헌 · 25 김형준 · 28 손성빈
내야수 3 김혜성 [[주장|
C
]] · 5 김도영 · 7 김주원 · 8 노시환
12 문현빈 · 33 김휘집 · 41 나승엽
외야수 9 김성윤 · 13 박승규 · 54 최지훈 · 91 윤동희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 류지현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5 장종훈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최일언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김동수
QC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이진영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김현욱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파일:김휘집NC프로필.jpg
<colbgcolor=#315288><colcolor=#FFFFFF> NC 다이노스 No.44
김휘집
金揮執 | Kim Wheejip
출생 2002년 1월 1일 ([age(2002-01-01)]세)[빠른생일]
서울특별시 양천구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양목초(히어로즈리틀) - 대치중 - 신일고
신체 180cm, 92kg
포지션 내야수(유격수, 2루수, 3루수)[2]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21년 2차 1라운드 (전체 9번, 키움)
소속팀 키움 히어로즈 (2021~2024)
NC 다이노스 (2024~)
연봉 2024 / 1억 1,0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트랜스픽션 - 《Get Show》
응원가 키움 구단 자작곡[NC][키움][5]
MBTI ESFJ
소속사 MVP스포츠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3.2. 수비 및 주루
4. 여담
4.1. 야구 관련4.2. 야구 외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NC 다이노스 소속 우투우타 내야수.

2. 선수 경력

김휘집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김휘집/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1년 2022년 2023년 24 키움 24 NC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2023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

파일:김휘집2023APBC한일전홈런.gif
타격폼[6]
흔히 '티라노 스윙'이라고 부르는, 몸통 회전으로만 홈런을 만들어낼 수 있는 탁월한 파워를 가지고 있다. 낮은 공을 퍼올리는 어퍼 스윙으로 고교 시절 스카우트들에게 평가가 상당히 좋았다. 프로 3년차인 2023 시즌에는 안타 92개 중 30개가 장타일 정도로 시즌 두 자릿수 홈런을 쳐낼 수 있는 우타 거포로 성장할 잠재력을 보였다. 김휘집은 풀타임 시즌을 치렀던 2022 시즌 이후 순장타율[7]이 매년 0.1을 넘기고 있다.

트레이드 직후 임선남 NC 단장은 인터뷰에서 "김휘집 선수는 파워툴을 가지고 있는 내야수로 어린 나이에 비해 많은 경험을 가지고 있다. 장타 생산력이 좋아 팀 공격력의 깊이를 한층 더 할 수 있는 선수이고, 아직 타석에서 보여주지 못한 잠재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2루수, 유격수, 3루수 수비가 모두 가능하여 내야진 운용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꾸준한 성장세에 일본에서 열린 2023 아시아프로야구챔피언십(APBC)에서는 첫 태극마크를 달기도 했다.

선구안이 꽤 좋은 편이라 볼넷을 잘 골라낸다. BB%가 10% 초중반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 정도면 리그 전체로 따져도 수준급이다. 다만 뛰어난 선구안에 비해 떨어지는 컨택으로 삼진이 다소 많다는 점은 개선되어야 한다.

타격에서 3년차만에 wRC+ 100을 찍었다는 점[8]과 준수한 장타툴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 선구안이 나쁘지 않다는 점에서 키움의 전임 유격수였던 강정호의 신인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타격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키움 팬들의 호평을 받았다.

3.2. 수비 및 주루

파일:김휘집SS220909.gif
파일:김휘집3루230502.gif
유격 수비, 3루 수비[9]
신일고 시절부터 2루, 유격, 3루를 모두 볼 수 있는 내야 유틸리티로 육성되었지만 발이 느리고 판단 능력도 좋지 않아 지명 전후에는 김휘집의 유격수 수비를 놓고 평가가 엇갈렸다. 즉 발이 느린 탓에 수비 범위가 좁고 어깨는 3루를 간신히 볼 수 있을 정도라는 냉정한 평가와 함께 프로에서는 유격수가 아닌 2루수 혹은 3루수에 정착할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히어로즈의 여러가지 팀 사정상[10] 2년차인 2022 시즌부터 주전 유격수로 발탁되었고 풀타임을 치렀는데, 리그 주전 유격수 중 최하급의 수비라는 혹평 일색이었다.[11] 2023년 채종국 키움 수비코치는 김휘집의 수비에 대해 "김휘집은 (운동능력이 뛰어난) 김하성, 김혜성과 다르다. 그보단 강정호나 박진만 삼성 감독처럼 클 수 있다. 현역 시절 강정호, 박진만도 발이 빠른 편은 아니었지만, 자신이 소화할 수 있는 범위를 인지하고 범위 내의 공은 확실하게 처리하면서 유격수 자리를 지켰다. 또 (김)휘집이는 장타력이 강점이다. 비록 어깨는 강정호보다 약하지만, 강정호처럼 공격형 유격수로 성장할 수 있다"고 단언했다.#

2023년에는 3루수로서 경기에 출장하는 경우가 많았다.[12] 유격수보다는 3루 수비에서 훨씬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러셀이 부진과 부상으로 재차 퇴출되면서 결국 유격수로 돌아올 수 밖에 없었다.[13]

NC 팬덤에서도 김휘집을 유격수보다는 3루수 자리에서 서호철, 김한별 등과 경쟁할 것으로 전망하는 이들이 많으나, 일단 이적후 첫 경기였던 2024년 5월 30일 홈경기에서는 허벅지 긴장으로 라인업에서 빠졌던 김주원을 대신해 유격수로 선발 출장했다. 군 미필 자원이기도 해서 현재 전원 군필인 NC 내야진의 당장의 기둥 역할이라기보다는 이들의 경쟁자로서 팀 내야 뎁스를 더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휘집의 NC 이적 후 고형욱 키움 단장은 "김휘집을 보내게 돼 크게 아쉽긴 하지만, 이재상과 고영우의 성장세가 돋보인다"며 김휘집보다 유격수비가 낫다고 평가받은 이재상으로 대체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과감히 트레이드를 단행했다.

송성문처럼 야구선수치곤 호리호리한 체격인데도 발이 느려 병살타가 자주 나온다. 즉 도루를 기대하기 힘든 타자다. 다양한 상황에서 센스있게 대응하는 모습도 아직은 부족한데, 이는 경험이 쌓이면 해결될 문제로 보인다.

4. 여담

4.1. 야구 관련

  • 양천구 히어로즈 리틀야구단 출신으로[14] 어릴 때부터 히어로즈 팬이었으며, 2010년 4월 23일 목동 KIA전에서 시타를 한 경력이 있다. 히어로즈에 애정을 드러냈던 선수였고 NC로 트레이드된 직후 구단 유튜브에 올라온 고별영상에서 울먹이는 모습을 보였다.
}}} ||
리틀야구단 시절 시타 영상
  • 롤모델을 김하성로 여러차례 꼽았으며, 신일고 시절에는 하주석을 꼽기도 했다.# 드래프트 당시 양현종, 서준원을 상대해보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 NC에서 일찍이 탐냈던 선수이다.[15] 트레이드 직후 고형욱 키움 단장의 인터뷰에 의하면 NC가 2023년부터 김휘집을 적극적으로 원했다고 한다. NC는 드래프트 지명권과 선수가 포함된 조건을 제시하기도 했는데, 키움 측에서 상위 라운드 지명권 2장을 받는 조건으로 김휘집을 트레이드하기로 결정했다.
  • 신일고 시절부터 근면성실함과 향상심으로 지도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다.[16] 홍원기 키움 감독은 2021년 루키 시즌 김휘집을 두고 "좀 애늙은이 같은 기질이 있다. 훈련 태도나 선배들과 함께 지내는 모습을 보면 야구에 대한 애정이나 진지한 모습이 눈에 띈다. 성격이 비슷한 선수들을 본 적은 있지만 김휘집은 좀 더 남다르다"며 야구를 대하는 진중한 태도와 성숙한 마인드에 대해 호평했다.#
    • 본인도 학창시절 부터 항상 또래들보다 의젓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고 말했다.# 대치중 시절과 신일고 시절 모두 주장을 맡았으며 2020년 대통령배에서는 주장이자 팀의 리드오프로서 준우승을 이끌었다.#
    • 키움 구단 유튜브에서 김휘집의 진지한 면모가 드러나는 영상들이 여럿 있는데, 선후배 동료들에게는 대략 '젊은 꼰대' 정도로 불리는 모양이다.[17]
    • 신인 시절 스프링캠프에서 야구일지를 쓰는 모습이 구단 유튜브를 통해 공개되기도 했다.
  • 경기 중, 특히 수비 이닝에 상대 타자의 응원가를 따라부르는 장면이 중계 카메라에 종종 포착되며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이에 대해 "응원가를 따라부르면 잡생각이 좀 없어져서 그런 것도 있고, 긴장을 없애려고 하는 게 가장 큰 것 같다"고 답했다. 긴장을 많이 할 때는 오히려 더 크게 부르기도 하는데, 같이 키스톤을 보던 김혜성이 '(옆에서) 다 들린다'고 핀잔을 준 적도 있었다.#
  • NC 이적 후 신인 시절 등번호였던 44번을 다시 달게 되었다.

4.2. 야구 외

  • 이름을 할아버지가 지어주셨는데 (휘두를 휘), (잡을 집)을 쓴다.# 야구선수가 되기를 바라고 지은 이름은 아니었지만 프로 야구선수가 된 지금은 딱 맞아떨어지는 이름이 되었다.
  • 야구팬들에게 '집집이'로 불린다. 2021년 스프링캠프 동안 합숙 룸메이트였던 김혜성이 붙여준 애칭으로 발음하기 편해서 자연스럽게 붙여졌고 팬들도 따라 부르기 시작했다. 고교 시절에는 신일고 후배들이 이름의 앞뒤를 바꿔 '지피스'라고 불렀다.
  • 2002년 1월 1일생으로 빠른년생이지만 부상으로 유급하면서 2021 신인 드래프트로 입단해 2001, 2002년생 선수들과 족보가 꼬였다. NC 이적 이후에도 2001년생 김한별과 친구인데, 2023년 APBC에서 국가대표로 함께 뛰었던 김주원과도 친구라 호칭 정리를 어떻게 할 지 기대되는 부분. 팀에 신일고 선배로 임정호와 박세혁이 있고, 후배 목지훈과 서동욱이 있다.
  • 팬서비스가 좋아 미담이 많다.[18] 구단 유튜브에도 여러 차례 출연했다.
}}} ||
}}} ||
  • 차분한 목소리를 가졌고 말도 또박또박 잘 하는 편이다. 특히 아래 영상은 신인선수들에게 좋은 인터뷰의 예시로서 교육자료로 쓰였다. 반면 춤과 노래를 여러 차례 선보인 바 있다.[19]
}}} ||
  • 식단 관리를 엄격하게 한다. 2023 시즌이 끝나고 식단을 공부했는데 야구를 잘 하고 싶어서 먹는 것을 굉장히 신경쓰고 있다고 말했다.#
  • 2024년 KBO 환경 캠페인 키움히어로즈 편에 출연하였다.#
  • 2023년 3월, 2024년 4월 더그아웃 매거진과 인터뷰를 했다.##
  • 김휘집이 NC로 이적을 하게 되면서 NC는 2024 KBO 올스타전 유격수 후보로 기존 후보였던 김주원과 더불어 두 명의 후보가 나오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5. 관련 문서



[빠른생일] 빠른생일으로 2001년생들과 학창시절을 보냈지만 고교시절 부상으로 1년을 유급하며 2002년생들과 함께 프로에 입단했다. 그래서 2001년생인 이주형과 친구로 지낸다.[2] 데뷔시즌 세 포지션을 모두 소화했으나, 2년차인 2022 시즌 부터는 유격수로 고정되었다. NC 이적 후에는 김주원과 분배를 하며 종종 3루수에도 출전하고 있다.[NC] 안타! 안~타 날려버려~ 다이노스 김휘집~ (예!) X4[키움] 안타! 안~타 날려버려~ 히어로즈 김휘집~ (예!) X4[5] NC로 이적하면서 응원가 보컬이 변경되었다.[6] 2023년 APBC 한일전 타구치 카즈토를 상대로 기록한 솔로홈런.[7] 장타율-타율[8] 2023 시즌 리그 WRC+ 100이상을 찍는 25세 미만 우타자는 김휘집을 포함하여 3명 뿐이다. 나머지 2명은 노시환, 김도영.[9] 2022년 9월 9일 LG전, 2023년 5월 2일 삼성전.[10] 유격수 포지션 경쟁자인 김주형이 잠깐 반짝하다 공수 양면에서 급격한 하락세를 타고 신준우가 타격에서 심히 헤매고 있던 반면 김휘집은 꾸준히 평균 이상의 타격을 유지했기 때문에 김휘집이 기회를 받았다.[11] 사실 이는 비교대상이 운동능력이 넘사벽인 메이저리거 강정호, 김하성이었기 때문에 이에 미치지 못하는 김휘집이 유독 혹독한 질책을 받은 면도 있다. 강정호도 신인 시절 수비에서 높은 평을 받진 못했지만 글러브에서 공 빼는 속도가 매우 빨랐고, 간결한 동작으로 강한 송구를 뿌릴 수 있어 저평가받는다는 의견도 많았다.[12] 2루 김혜성 - 유격 에디슨 러셀이 고정된 상황에서 나머지 내야진 중 가장 공격력이 좋은 김휘집과 송성문을 동시에 기용할 유일한 방법이었다. 기존 1루수였던 김태진, 전병우 등은 도저히 코너 내야수로 기용할 수 없을 정도로 타격이 처참했으며, 내야수로 포지션을 옮긴 임지열은 시범경기 내내 삽을 펐다. 그나마 이 최선의 내야진이란 것도 시즌 초반 송성문이 어이없는 부상을 당하더니 몇 주 뒤 러셀의 부진, 부상 및 퇴출, 그리고 김휘집의 부상 등으로 인해 제대로 작동된 적이 거의 없다.[13] 김휘집이 부상으로 잠시 자리를 비운 동안 경쟁자인 김주형, 신준우가 김휘집에 못 미치는 성적을 냈기 때문이다. 다만 이 때도 유격 수비는 좋지 못해서 2024년 4월 25일 중계에서 이순철 해설위원은 유격 불가 판정을 내리기도 했다.[14] 2010년부터 2013년까지 활동했다.[15] 특히 강인권 NC 감독이 적극적으로 임선남 NC 단장에게 어필했다고 전해진다.#[16] 채종국 키움 수비코치는 2023년 6월 인터뷰에서 "휘집이는 본인이 잘못했다 싶으면 계속 그것만 생각하는 스타일이라 오히려 '괜찮다'고 다독이는 편이다. (김)혜성이랑 비슷하다. 매사에 열심이고 성실해서 지도자 입장에서는 사랑할 수밖에 없는 선수"라며 워크에식에 대해 칭찬한 바 있다.#[17] 아웃백 먹방 토크 MZ한테 뭔가 쌓인게 많은 휘집이형 수훈선수 인터뷰 후토크 2023 APBC 대회 후토크[18] 말소되어 2군 경기에 출장할 때에도 어린이 팬이 글러브를 들고 응원석에서 서성이자 아이의 부친에게 서슴없이 공을 건네줬으며 경기 후 어르신과 악수, 사진 촬영, 스몰톡까지 받아줬다. 팬이 히어로즈 깃발에 싸인을 요청하자 방향이 거꾸로인데 이대로 해도 괜찮겠어요? 라고 미리 물어보며 괜찮다고 하자 싸인을 정성스럽게 해주고 날짜까지 기재해줬다. 박찬혁의 차를 얻어 타고 가는 날에는 팬들이 멀리서 싸인을 해달라고 요청을 하면 싸인 못 해드린다고 가야 된다고 죄송하다고 인사를 하고 가기도 했다.[19] 렛잇고 성인식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