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01:48:27

국제대학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교명에 '국제'가 포함된 대학에 대한 내용은 국제대학(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folding [ 펼치기 · 접기 ]<colbgcolor=#4b92db> 대학원대학 국제법률경영대학원대학교
국제언어대학원대학교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

1. 개요2. 상세3. 단과대학
3.1. 국제대학이 단과대학으로 존재하는 국내 대학교
4. 해외에서5. 여담

1. 개요

국제학에 특화된 대학교를 의미한다. 전공과 관련된 내용은 국제학부에서 확인 가능하다.

2. 상세

해당 경우는 국제학이 중요하기 때문에 운영 성격이 외국어대학과 비슷하며 커리큘럼에 외국어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모두 대학원대학이며 소규모 대학이다.
  • 국제법률경영대학원대학교: 아시아의 대학생에게 국제법학을 가르치는 대학원대학
  • 국제언어대학원대학교: 영어에 올인한 외국어대학이었지만, 베트남어학과가 생겨나면서 소규모 외대가 되었다.
  •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한림대학교의 형제학교. 국제방사선학과, 미국법학과, 정치외교학과를 갖고있다.
  •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국제정책학에 특화된 대학원이다. 외국의 한국 전문가를 양성하기 때문에 유학생이 많다. 국제대학 중 유일한 특별법법인 학교로 사립이긴 하나 실질적으로는 공공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이 운영하고 있어 국립이라고 볼 수도 있다. 여담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이름이 긴 고등교육기관이다.
  •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국제적인 원자력 공학 분야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한 대학원대학. 국제학과, 무역학과, 외교학과, 어문학과가 없지만 다분히 외교적인 의도로 설립된 대학이라서 국제대학교의 특성을 갖고있다.
  •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선교단체 인터콥의 대학원대학. 국제학과를 갖고있다. 그러나 극단적인 세대주의 운동으로 주요 교단에게 이단 판정을 받았고 인가받은 신학과는 없다. 그나마 예장 개혁국제와 예장 개혁총회와 MOU를 맺었다.

3. 단과대학

국제학부가 단과대학인 경우에 국제대학이라 부른다. 현재까지는 독립적인 단과대보다 단과대 내 학부 소속인 경우가 더 많다.

국제학부가 대학원인 경우는 국제대학원이라고 부른다. 해당 문서를 참조하라.

그 외 국제학과가 있는 대학의 정보는 국제학부 문서 참고

3.1. 국제대학이 단과대학으로 존재하는 국내 대학교

4. 해외에서

  • 한국인 박준호가 우즈베키스탄에 설립한 페르가나 한국국제대학교가 있다.
  • 일본 니가타현고쿠사이대학(国際大学)이 소재한다. 학부 과정이 없는 대학원대학이다.
  • 해외에 있는 여러 국제 대학이 궁금하다면 구글에 International University라 검색해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5. 여담

  • 관동대학교천주교 재단에게 경영권이 넘어간 후 (인천가톨릭대학교를 운영하는 재단) 새로운 명칭을 정하는 과정에서 가톨릭관동대와 국제가톨릭대를 최종까지 고민하였고 결국 가톨릭관동대학교로 개명하였다. 그러나 가톨릭관동대학교는 국제학부를 개설하진 않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