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15:48:03

고려대학교/학부/국제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려대학교/학부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고려대학교/대학원/국제대학원
,
,
,
,
,

파일:고려대학교 로고_웜그레이.svg
{{{#!wiki style=""
{{{#872434,#db788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캠퍼스
||<tablewidth=100%><width=33.33%><tablebgcolor=#fff,#1f2023> 인문·사회계캠퍼스 ||<width=33.33%> 자연계캠퍼스 ||<width=33.33%> 녹지캠퍼스 ||
학부 대학원 강의
총학생회 동아리 교우회
사건사고 (2010년대·2020년대)
시설 (안암학사·화정체육관) 주변 상권 교통 (셔틀버스)
입학 상징 출신 인물 기타 정보
세종캠퍼스
학부 대학원 강의 학사제도
총학생회 동아리 역사 사건사고
시설 주변 상권 교통 상징
운동부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fff,#1f2023> 야구부 ||<width=20%> 농구부 ||<width=20%> 럭비부 ||<width=20%> 빙구부 ||<width=20%> 축구부 ||
파일:고려대학교의료원 심볼.svg 의료원
||<tablewidth=100%><width=33.33%><tablebgcolor=#fff,#1f2023> 안암병원 ||<width=33.33%> 구로병원 ||<width=33.33%> 안산병원 ||

}}}}}}}}}}}}}}}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의 단과대학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고려대학교 국제대학
高麗大學校 國際大學
Korea University College of International Studies
파일:고려대학교 국제대학 상징.png
<colbgcolor=#872434,#191919> 상징색 <colbgcolor=#ffffff,#191919> 짙은 청록색
상징물 지구본(세계화)과 리본(국제사회와의 통합과 소통)의 조합
보조 상징물 호랑이의 무늬를 반원형으로 패턴화
FM 무한국제
단과대 학번 23
연혁 2002년 국제학부 설립
2022년 국제대학 승격, 글로벌한국융합학부 신설
2024년 글로벌자율학부 신설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파일:국제관 무영건축.png
고려대학교 국제관

고려대학교국제대학. 국제학부로 시작하여 단과대학 단위로 승격된 몇 안 되는 케이스 중 하나다.

2. 학부

2.1. 국제학부

고려대학교 국제대학 국제학부 소개영상
2002년 설립.

졸업 시 국제학사를 수여받는다. 전공 내용은 정치학과 경제학을 기반으로 국제관계와 협력, 국제 분쟁 해결, 국제평화와 안보, 외교 및 무역 정책, 국제법, 국제시장과 경제 분석 등 세계화로 인해 빠르게 변화하며 일어나는 모든 국제적인 문제들을 공부하고 그에 따른 해결책에 대해 탐구하는 사회과학계열의 전공이다. 광범위한 학문을 통합적으로 배우다보니 전문성이 비교적 떨어진다는 평가도 있지만, 다양한 학문을 배우며 얻은 지적 소양을 '도구'로 활용하여 이미 과거에 일어났거나 현재 진행중인 국제적인 문제들을 이해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도출할 줄 아는 국제사회의 리더를 양성해내는 것이 목적인 실용 위주의 전공이라고 할 수 있다.
고려대학교 국제학부는 다른 학과들과는 달리 100% 영어 강의로 이루어져 있다. 수업은 물론이고 질의응답, 과제, 시험, 발표 등 수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이 온전히 수준급 영어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뛰어난 영어 실력은 필수다. 과제는 주로 방대한 양의 자료를 읽고 레포트를 쓰거나 피피티를 발표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발표와 작문도 잘해야한다. 애당초 국제학부 입학생 토플 최저 컷이 117~118점 수준이고 토익 만점은 시험 중간에 졸아도 나온다고 하는 이들이 대다수인 영어 괴수 집단이라 타과생이 잘 모르고 들어왔다가 크게 고생하는 경우가 많다. 비슷한 케이스로 수능 점수로 왔다가 영어에 적응 못해 반수하는 경우도 한 학년에 몇 명씩은 꼭 나온다.[1] 그래도 전 과목이 절대평가라서 경쟁이 아닌 자신의 노력을 통해서 좋은 학점을 얻는 데에는 더 유리한 면이 있다.
고려대학교 타 학과 재학생이 국제학부로 이중전공을 하고자 한다면, 학점도 좋아야하고 일대일 영어면접까지 거쳐야 한다.
여담으로 대부분의 국제학 전공이 국제관에서 열리고, 열람실, 라운지, 과방 등 주요 시설이 국제관 내에 있기 때문에 국제학부생이라면 주로 국제관에 상주한다. 해외에서 체류한 경험이 있는 학우들이 대다수이고, 많지 않은 인원이 같은 건물과 시설을 함께 이용하다보니 유독 편안하고 자유로운 학과 분위기를 자랑하는 편이다. 물론 문과대학 소속 학과들의 과방과 몇몇 필수교양이 국제관에서 열리기 때문에 건물 내에서 종종 타과 학생들도 볼 수 있다.
해외 대학원으로 나가 더 공부를 하거나, 대기업의 국제계열 직렬, 외국계 기업, 국제기구, 로스쿨, 고시, 외교부 쪽 분야로 진출하는 것이 대표적인 진로다. 2022년에 입법고시 재경직 직렬 수석 및 행정고시 재경직 양과 합격자를 배출했다.

2.2. 글로벌한국융합학부

고려대학교 국제대학 글로벌한국융합학부 소개영상

2022년 고려대학교 국제학부국제대학으로 승격되면서 함께 신설된 학부다.

기존에 존재하던 융합전공인 GKS융합전공을 학부 과정으로 확장한 것으로 정원내 신입생 5명을 제외한 전원을 외국인 학생으로 선발한다. 글로벌한국융합학부 설립 이후에도 융합전공으로서의 GKS융합전공은 계속 유지된다.

2.3. 글로벌자율학부

고려대학교 국제대학 글로벌자율학부 소개영상
홈페이지
2024년 3월 출범. 쉽게 말해 고려대학교외국인 전용 자유전공학부이다.

글로벌자율학부 학생들은 입학 직후 한국어 트랙과 영어 트랙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데, 이후 1학년을 마친 뒤 TOPIK 5급 이상을 취득하면 전공 진입이 가능해진다. 전공 신청에는 학점컷, 인원 제한 등이 없어서 원하는 학과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한국어 트랙을 선택한 경우 의과대학, 간호대학, 사범대학, 국제대학, 계약학과인 사이버국방학과/반도체공학과/차세대통신학과/스마트모빌리티학부, 그리고 영어 트랙 전용 학과인 경영학과, 공과대학 소속 기계공학부와 융합에너지공학과, 이과대학 소속 지구환경과학과를 제외한 43개 학과로 진입할 수 있다. 영어 트랙을 선택한 경우, 앞서 언급한 경영학과, 기계공학부, 융합에너지공학과, 지구환경과학과와 국제학부, 총 5개 학과로 진입할 수 있다. 한국어 트랙을 선택했을 때 영어 트랙을 선택했을 때보다 전공 선택의 범위가 훨씬 더 넓다.

신입생 TO 중 5명을 내국인으로 선발하는 글로벌한국융합학부와 달리 글로벌자율학부는 외국인 학생들만 선발하기 때문에 내국인 학생은 글로벌자율학부에 지원할 수 없으며, 선발도 정원 외로 된다. 내국인 학생이 자유전공 쪽으로 가고 싶다면 같은 대학 내에 있는 자유전공학부나 2025년 신설되는 학부대학에 지원하는 것이 좋다. 마침 자유전공학부의 경우 2025년부터 학과 선택 제한 및 학과별 배정 인원 제한이 모두 해제되기 때문에 더욱 부담이 덜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0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0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꼭 영어뿐만 아니라 제 2 외국어도 유창한 학생들이 대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