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20:32:44

강민첨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사(高麗史)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세가(世家)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670000,#fedc89>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성종 · 목종 현종 · 덕종
<rowcolor=#670000,#fedc89>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문종 · 순종 선종 · 헌종
<rowcolor=#670000,#fedc89>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숙종 · 예종 인종 · 의종 · 명종 신종 · 희종 · 강종
<rowcolor=#670000,#fedc89>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고종 원종 충렬왕
<rowcolor=#670000,#fedc89> 33·34·35권 36권 37권
충선왕 ·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 충정왕
<rowcolor=#670000,#fedc89>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공민왕 우왕 · 창왕 공양왕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표(表) ]
86·87권 「연표(年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88권 「후비1(后妃一)」
89권 「후비2(后妃二)」
90권 「종실1(宗室一)」
91권 「종실2(宗室二)」·「공주(公主)」
태조
신혜왕후 유씨 · 장화왕후 오씨 · 신명순성왕태후 유씨 · 신정왕태후 황보씨 · 신성왕태후 김씨 · 정덕왕후 유씨 · 헌목대부인 평씨 · 정목부인 왕씨 · 동양원부인 유씨 · 숙목부인 · 천안부원부인 임씨 · 흥복원부인 홍씨 · 후대량원부인 이씨 · 대명주원부인 왕씨 · 광주원부인 왕씨 · 소광주원부인 왕씨 · 동산원부인 박씨 · 예화부인 왕씨 · 대서원부인 김씨 · 소서원부인 김씨 · 서전원부인 · 신주원부인 강씨 · 월화원부인 · 소황주원부인 · 성무부인 박씨 · 의성부원부인 홍씨 · 월경원부인 박씨 · 몽량원부인 박씨 · 해량원부인
태자 왕태 · 문원대왕 왕정 · 증통국사 · 대종 왕욱 · 안종 왕욱 · 왕위군 · 인애군 · 원장태자 · 조이군 · 수명태자 · 효목태자 왕의 · 효은태자 · 원녕태자 · 효성태자 왕림주 · 효지태자 · 태자 왕직 · 광주원군 · 효제태자 · 효명태자 · 법등군 · 자리군 · 의성부원대군 · 안정숙의공주 · 흥방궁주 · 대목왕후 · 문혜왕후 · 선의왕후 · (정덕왕후 소생 공주) · 순안왕대비 · (흥복원부인 소생 공주) · (성무부인 소생 공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혜종 정종 광종
의화왕후 임씨 · 후광주원부인 왕씨 · 청주원부인 김씨 · 궁인 애이주 문공왕후 박씨 · 문성왕후 박씨 · 청주남원부인 김씨 대목왕후 황보씨 · 경화궁부인 임씨
흥화궁군 · 태자 왕제 · 경화궁부인 · 정헌공주 · 명혜부인 경춘원군 · (문성왕후 소생 공주) 효화태자 · 천추전부인 · 보화궁부인 · 문덕왕후
경종 성종 목종
헌숙왕후 김씨 · 헌의왕후 유씨 · 헌애왕태후 황보씨 · 헌정왕후 황보씨 · 대명궁부인 유씨 문덕왕후 유씨 · 문화왕후 김씨 · 연창궁부인 최씨 선정왕후 유씨 · 궁인 김씨
- 원정왕후 · 원화왕후 - }}}
현종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평양공 왕기 · 검교태사 왕충 · 효정공주 · 천수전주 · 인평왕후 · 경숙공주 · 효사왕후 · 효경공주 · 경성왕후 · 아지
덕종 정종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문종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순종 선종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숙종 예종
명의태후 유씨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승덕공주 · 흥경공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인종 의종 명종
폐비 이씨 · 폐비 이씨 · 공예태후 임씨 · 선평왕후 김씨 장경왕후 김씨 · 장선왕후 최씨 광정태후 김씨
대령후 왕경 · 원경국사 충희 · 승경궁주 · 덕녕궁주 · 창락궁주 · 영화궁주 효령태자 왕기 · 경덕궁주 · 안정궁주 · 화순궁주 왕선사 · 왕홍기 · 왕홍추 · 왕홍규 · 왕홍균 · 왕홍각 · 왕홍이 · 연희궁주 · 수안궁주 }}}
신종 희종
선정태후 김씨 성평왕후 임씨
양양공 왕서 · 효회공주 · 경녕궁주 창원공 왕지 · 시령후 왕위 · 경원공 왕조 · 대선사 경지 · 충명국사 각응 · 안혜태후 · 영창공주 · 덕창궁주 · 가순궁주 · 정희궁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강종 고종 원종
사평왕후 이씨 · 원덕태후 유씨 안혜태후 유씨 순경태후 김씨 · 경창궁주 유씨
수령궁주 안경공 왕창 · 수흥궁주 시양후 왕이 · 순안공 왕종 · 경안궁주 · 함녕궁주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제국대장공주 · 정신부주 · 숙창원비 김씨 계국대장공주 · 의비 · 정비 · 순화원비 홍씨 · 조비 · 순비 허씨 복국장공주 · 조국장공주 · 경화공주 · 명덕태후 홍씨 · 수비 권씨
강양공 왕자 · 소군 왕서 · 정녕원비 · 명순원비 세자 왕감 · 덕흥군 용산원자
충혜왕 공민왕 공양왕
덕녕공주 · 희비 윤씨 · 화비 홍씨 · 은천옹주 임씨 휘의노국대장공주 · 혜비 이씨 · 익비 한씨 · 정비 안씨 · 신비 염씨 순비 노씨
석기 · 장녕공주 - 세자 왕석 · 숙녕궁주 · 정신궁주 · 경화궁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92권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 유금필 · 최응 · 최언위 (최광윤 최행귀 최광원) · 왕유 왕자지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수경 · 왕순식 이총언 견금 윤선 흥달 선필 태평 · 공직 · 박영규
93권
서필 · 최승로 최제안 · 쌍기 · 최량 · 한언공 · 류방헌 · 김심언 · 최항 · 채충순
94권
서희 서눌 서공 · 유진 · 강감찬 · 최사위 · 황보유의 장연우 · 양규 (양대춘) · 지채문 지녹연 · 하공진 · 김은부 · 주저 · 강민첨 · 곽원 · 왕가도 · 김맹 · 류소 · 윤징고 · 위수여 · 전공지 · 이주헌 · 이주좌 · 안소광 · 조지린
95권
최충 최유선 최사제 최약 최윤의 · 이자연 이자량 이자인 이혁유 이자현 이자덕 이예 이공수 이지저 이오 이광진 · 박인량 박경인 박경백 박경산 · 황주량 · 류신 · 왕총지 · 위계정 · 소태보 왕국모 고의화 · 문정 · 정문 · 김원정 · 손관 · 최사량 · 김선석 · 임의 임원후 임극충 임극정 임부 임유 임익 임항 · 김한충
96권
최사추 · 김인존 · 윤관 윤언순 (윤언식 윤언민 윤언이) 윤인첨 윤세유 윤상계 · 오연총
97권
김부일 김부의 · 고령신 · 김황원 이궤 · 곽상 곽여 · 유재 호종단 신안지 · 김경용 (김인규) · 최홍사 · 한안인 · 이영 · 한충 · 임개 유녹숭 · 김준 · 류인저 · 강증 · 허경 · 문관 · 정항 정서 · 김극검 · 김약온
98권
김부식 김돈중 김군수 · 정습명 · 고조기 · 김정순 · 정극영 · 박정유 · 최사전 · 김향 · 최자성 · 김진 · 임완 · 최기우 · 김수자 · 최유 · 이숙 이위 · 허재
99권
양원준 · 최유청 최당 최린 최선 최종준 최온 최문본 최평 최옹 · 이공승 · 신숙 · 한문준 · 문극겸 · 류공권 류택 · 조영인 · 왕세경 · 이순우 · 임민비 · 최척경 · 함유일 · 염신약 · 이지명 · 유응규 유자량 · 현덕수 · 최균 최보순 최윤개 · 김거공 · 한유한
100권
두경승 · 우학유 · 노영순 · 조위총 · 방서란 · 박제검 · 기탁성 · 홍중방 · 경대승 · 진준 · 최세보 · 박순필 · 이영진 · 백임지 · 이준창 · 최충렬 · 정세유 정숙첨 정안 · 정국검 이유성 · 정방우 · 정언진
101권
민영모 민식 · 송저 · 김광중 김체 · 안유발 · 최여해 · 최우청 · 왕규 · 차약송 기홍수 · 정극온 · 류광식 · 권경중 · 김태서 김약선 김미 · 문한경 권세후 백돈명 · 노인수 · 김의원
102권
금의 · 이규보 이익배 · 유승단 · 김인경 김승무 · 이공로 · 이인로 오세재 조통 임춘 · 조문발 · 이순목 이수 · 김창 · 송국첨 · 최자 하천단 · 채송년 채정蔡楨 · 손변 · 권수평 · 이순효 장순량 · 송언기 · 김수강 · 김지대 · 이장용
<rowcolor=#670000,#fedc89> 103권 104권
조충 조변 · 김취려 김문연 김변 · 이적 · 채정蔡靖 · 박서 송문주 · 김경손 김혼 · 최춘명 · 김희제 · 이자성 · 김윤후 · 김응덕 김방경 김구용 김제안 김흔 김순 김영돈 김영후 김사형 박구 · 한희유 · 나유 나익희 · 원충갑 · 김주정 김심 김종연 김석견
105권
류경 류승 류돈 류만수 · 허공 허종 허관 허금 허부 허유 · 홍자번 홍승서 홍영통 · 정가신 · 안향 안우기 안목 · 설공검 · 유천우 · 조인규 조서 조연 조덕유 조린 조연수 조위
106권
백문절 백이정 · 박항 · 곽예 · 주열 · 이주 이행검 · 장일 · 김구 · 이승휴 이연종 · 김훤 김개물 · 정해 정오 정포 정공권 · 조간 · 심양 · 추적 이인정 채우 · 김유성 곽린 · 윤해 윤택 · 이영 · 엄수안 · 안전 · 최수황 · 박유 · 홍규 홍융
<rowcolor=#670000,#fedc89> 107권 108권
한강 한악 한수 한방신 · 원부 원충 원호 원선지 원송수 · 김련 · 김부윤 · 정인경 · 권단 권부 권준 권렴 권용 권적 (권고) 권화 권근 · 민지 민상정 민종유 민적 민사평 민변 민제 · 김지숙 김인연 · 정선 · 이혼 · 최성지 최문도 · 채홍철 · 김이 · 이인기 · 홍빈 · 조익청 · 배정지 · 손수경
109권
박전지 · 오형 · 이진 · 윤신걸 박효수 · 허유전 · 박충좌 · 윤선좌 · 이조년 이승경 · 이곡 · 우탁 · 안축 안종원 안보 · 최해 · 장항 · 이성 · 조렴 왕백 · 이백겸 · 신군평
<rowcolor=#670000,#fedc89> 110권 111권
최유엄 · 김태현 김광재 · 김륜 김경직 김희조 김승구 · 왕후 왕중귀 · 한종유 · 이제현 이달존 이보림 · 이능간 염제신 · 이암 이강 · 홍언박 홍사우 류연 · 류탁 · 경복흥 · 김속명 · 이자송 · 조돈 조인옥 · 최재 · 송천봉 · 홍중선 · 김도 · 임박 · 문익점
112권
이공수 · 류숙 류실 · 이인복 · 백문보 · 전녹생 · 이존오 · 이달충 · 설손 설장수 · 한복 · 이무방 · 정습인 · 하윤원 · 박상충 · 박의중 · 조운흘
113권
안우 김득배 이방실 · 정세운 · 안우경 · 최영 · 정지 · 윤가관 · 김장수
114권
윤환 · 이성서 · 이수산 이념 · 이승로 · 황상 · 지용수 · 나세 · 김선치 · 전이도 · 구영검 · 오인택 · 김보 · 변광수 · 정지상 · 임군보 · 나흥유 · 목인길 · 김유 · 양백연 · 지용기 · 하을지 · 우인열 · 문달한 · 김주 · 최운해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670000,#fedc89> 115권 116권 117권
이색 · 우현보 · 이숭인 심덕부 · 이림 · 왕강 · 박위 · 이두란 · 남은 정몽주 · 김진양 · 강회백 · 이첨 · 성석린
<rowcolor=#670000,#fedc89> 118권 119권 120권
조준 정도전 윤소종 윤회종 · 오사충 · 김자수 }}}
121권
<rowcolor=#670000,#fedc89> 「양리(良吏)」 「충의(忠義)」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rowcolor=#670000,#fedc89> 「효우(孝友)」 「열녀(烈女)」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유씨 · (현문혁의 처) · (홍의의 처) · (안천검의 처) · (강화부 세 여인) · 최씨 · 배씨 · 문씨 · 김씨 · 안씨 · 이씨 · (권금의 처)
122권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670000,#fedc89> 「방기(方技)」 「환자(宦者)」 「혹리(酷吏)」
김위제 · 이녕 (이광필) · 이상로 · 오윤부 · 설경성 정함 · 백선연 · 최세연 · 이숙 · 임백안독고사 · 방신우 · 이대순 · 우산절 · 고용보 · 김현 · 안도치 · 신소봉 · 이득분 · 김사행 송길유 · 심우경 }}}
123권 「폐행1(嬖幸一)」
유행간 · 영의 · 김존중 · 정세신 · 백승현 · 강윤소 · 염승익 · 이분희 이습 · 권의 채모 이덕손 · 임정기 (민훤) · 주인원 · 이지저 고종수 김유 · 인후 인승단 · 장순룡 차신 노영 · 조윤통
124권 「폐행2(嬖幸二)」
윤수 윤길보 (송화) · 이정 김문비 이병 · 원경 · 박의 · 박경량 · 전영보 · 강윤충 · 배전 · 민환 · 윤석 · 손기 · 정방길 임중연 강융 · 신청 박청 · 왕삼석 양재 조신경 최노성 윤현 안규 · 최안도 이의풍 김지경 이인길 · 노영서 박양연 송명리 · 김흥경 · 반복해 · 신원필
125권 「간신1(姦臣一)」
문공인 · 박승중 · 최홍재 · 최유칭 · 박훤 · 송분 · 왕유소 · 송방영 · 오잠 석주 · 김원상 · 류청신 · 권한공 · 채하중 · 신예 전숙몽 · 이춘부 · 김원명 · 김횡 · 지윤
126권 「간신2(姦臣二)」
이인임 · 임견미 · 염흥방 · 조민수 · 변안열 · 왕안덕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670000,#fedc89> 127권 「반역1(叛逆一)」 128권 「반역2(叛逆二)」 129권 「반역3(叛逆三)」
환선길 · 이흔암 · 왕규 · 김치양 · 강조 · 이자의 · 이자겸 · 척준경 · 묘청 (정지상) 정중부 이광정 송유인 · 이의방 · 이의민 · 정방의 · 조원정 석린 최충헌 최이 최항 최의 }}}
<rowcolor=#670000,#fedc89> 130권 「반역4(叛逆四)」 131권 「반역5(叛逆五)」
한순 다지 · 홍복원 (홍차구 홍군상 홍선 장위 류종) · 이현 · 조숙창 · 조휘 · 김준 · 임연 · 조이 김유 이추 · 한홍보 · 우정 · 최탄 · 배중손 조적 · 조일신 · 김용 · 기철 · 노책 · 권겸 · 최유 · 홍륜 · 김문현 · 김의
132권 「반역6(叛逆六)」
신돈
133·134·135·136·137권
신우(우왕) (신창(창왕))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 여요전쟁 공신
강민첨
姜民瞻
출생 963년 12월 22일[1]
(음력 광종 14년 11월 29일)
진주 진강현(晉康縣)
(現 경상남도 진주시 옥봉동)
사망 1021년 12월 24일[2] (향년 58세)
(음력 현종 12년 11월 12일)
작위 천수현 개국남(天水縣開國男)
시호 은열(殷烈)
본관 진주 강씨[3]
1. 개요2. 생애
2.1. 고려사(절요)2.2. 은열공 강선생 실기
3. 초상화4. 경력5. 여담6.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고려 현종 때 일어난 여요전쟁 시기에 활약한 관료.

2. 생애


강민첨의 행적은 『고려사』, 『고려사절요』와 함께 조선시대에 작성된 가전 자료인 「은열공 강선생 실기」, 은열사 묘비 등을 기반으로 알려져 있다. 간략한 고려사의 기록에 비하면 가전 자료 쪽이 더 자세하지만 교차검증이나 출처 등 신뢰성 문제에서 자유롭지는 않다.

2.1. 고려사(절요)

고려사에 따르면 진주(晉州) 진강현(晉康縣) 출신이며 나이나 아버지의 이름은 나와있지 않고 목종 연간에 과거에 급제했다.

1010~1011년 제2차 여요전쟁 시기에는 애수진장(隘守鎭將)이었다. 애수진은 지금의 함경남도 문천시 또는 고원군 인근이다. 이는 동북면의 지명이므로 통주 전투에서 고려군이 대패하자 동북계의 군대가 서경으로 전환 배치될 때 같이 서경으로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경 전투 중 동북면 군대가 궤멸하자 통군녹사 조원, 낭장 홍협(洪叶)·방휴(方休) 등과 함께 서경에 남아 조원을 병마사로 추대하고, 신사에 점을 쳐보니 길한 점괘를 얻었다며 병사와 백성들을 독려하고 서경을 끝까지 지켜내는 공로를 세웠다.#

1012년 문연(文演), 이인택, 조자기 등과 함께 해안 방어 부서인 도부서(都部署)의 일원으로서 동여진(東女眞)의 동남 지방(청하현, 영일현, 장기현) 침략을 막아내기도 했다.# 1016년 낭사, 즉 대간직인 내사사인이 되어 내사문하성에 들어갔다.#

1018~1019년 제3차 여요전쟁 시점에는 대장군이었다. 상원수 평장사 강감찬을 보좌하는 원수로서 삼교천 전투, 귀주 대첩에서 거란군을 무찔렀다.#

1019년 응양상장군 주국(柱國, 훈위)이 되고# 1020년(음력 1019년) 우산기상시가 되어 내사문하성 낭사의 최고위직에 오르고# 추성치리익대공신(推誠致理翊戴功臣)이 되었다.# 이어 (음력 1020년) 병부상서·지중추원사가 되었다.병부상서·지중추사

1021년 죽고# 태자태부가 추증되었다.# 1025년 강민첨의 아들 강단(姜旦)과 하공진의 아들에게 관직이 더해졌다.# 1046년 벽상공신이 되었다.#

1026년 세워진 천안봉선홍경사갈기비에 따르면 고려 현종이 아버지 안종을 기리기 위해 지은 홍경사(弘慶寺) 건설(1016~1021년)의 관료 측 감독관으로 김맹(金猛)과 함께 참여하였다. 여기에 나타나는 추증을 포함한 강민첨의 최종 관작은 추성치리익대공신(推誠致理翊戴功臣, 공신호) 금자흥록대부(金紫興祿大夫, 품계) 병부상서(兵部尙書, 관직)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관직) 겸태자태부(兼太子太傅, 명예직) 상주국(上柱國, 훈위) 천수현개국남(天水縣開國男, 작위) 식읍삼백호(食邑三百戶)이다.[4] 고려사(절요) 기록에는 금자흥록대부 품계, 상주국 훈위, 천수현 개국남 작위, 식읍이 누락되어 있다. 이것들이 생전에 주어진 것인지 사후 추증에 포함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또 최종적으로는 장군직을 모두 내려놓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2. 은열공 강선생 실기

은열공 강선생 실기에 따르면 고려사(절요)나 금석문에 나타나지 않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음력 963년 11월 29일[5] 강주(康州, 진주의 옛 이름) 개경향(開慶鄕)에서 아버지 원윤[6] 강보능(姜甫能)과 어머니 거창 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세는나이 15세(978년)까지는 향교를 다녔다.

음력 1005년 4월 고려 목종 문과에 급제했다.[7] 장사랑, 문림랑, 도교령 동정을 거쳐, 동북면의 안변도호부[8] 장서기(掌書記)로 일했다.

제2차 여요전쟁이 끝나고 음력 1011년 3월 이후 도관((都官)의 시원외랑(試員外郎)[9]에 제수되고 음력 8월 이후 안찰사(按察使)에 제수되었다.[10] 1017년 태복경에 제수되었다.[11]

은열사의 묘비에 따르면 1019년 응양상장군이 된 시점에 은청흥록대부(銀靑興祿大夫) 품계에 오르고 천수현 개국남(天水縣開國男)에 봉해져 식읍 300호를 받았다.# 음력 1020년 12월 17일 품계가 금자흥록대부(金紫興祿大夫)에 올랐다.

1021년 죽고 은열(殷烈)이라는 시호를 받아 진주 강씨 은열공파의 시조가 되었다.

오늘날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이티숲실길 42-18(구 감천동)에 묘소가 지어졌다. 글공부하던 경상남도 하동군의 우방산 아래 두방영당(斗芳影堂)이 세워졌다. 오늘날 경상남도 진주시의 옥봉산 아래 개경향(開慶鄕) 생가 터에 은열사(殷烈祠)가 세워졌다. 1968년 후손들이 청주 충현사를 세워 강감찬과 함께 위패를 두었다.

여기에 고려 현종이 강민첨을 문하시랑 평장사 수상(門下侍郎 平章事 首相)에 추증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천안봉선홍경사갈기비의 최종 관작과 교차검증되지 않는다.

3. 초상화

파일:강민첨초상v박춘빈.jpg파일:강민첩 초상화.jpg
<rowcolor=#670000,#fedc89>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 진주 은열사 초상화
강민첨 초상화는 보존을 위해 수 차례 옮겨 그려지거나 복사되었다. 그 중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은 보물 제588호에 지정되었다.
  • 1046년 11월, 고려 문종이 제서를 내려 "공신각(功臣閣)에 초상을 걸어 후세에 권장하게 하라" 명하여 벽상공신으로 대우했다.#
  • 1777년, 하동군에 '두방재(斗芳齋)'가 별도로 세워져 우방사(牛芳祠)로부터 초상을 물려받았다.#
  • 1788년, 화가 박춘빈이 우방사 버전에서 상반신만 옮겨 그렸다. 1975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이 이것이다.#
  • 1790년, 진주 은열사의 초상화가 그려졌다.#[12]
  • 18세기 미상, 진주 은열사의 젊은 시절 초상화가 그려졌다.#[13]
  • 1920년, 경북 김천시에서 후손들이 숙청각(肅淸閣)을 새로 짓고 초상을 안치했다.#
  • 1954년, 경남 진주시에서 후손들이 산앙사(山仰祠)를 새로 짓고 초상을 안치했다.#

4. 경력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생전 직위
공신호 추성치리익대공신(推誠致理翊戴功臣)현종이 봉한 공신호.
문산계 품계 금자흥록대부(金紫興祿大夫)[A]종2품 품계.
훈위 주국(柱國)2등급 훈위.
상주국(上柱國)[A]1등급 훈위.
무관직 대장군(大將軍)두 번째로 높은 무관직
상장군(上將軍)무관 최고위직
문관직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내사문하성 소속 직위. 기관 내 서열 6위. 대간 서열 1위.
병부상서(兵部尙書)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병부상서상서병부장관이다.
지중추원사는 중추원의 직책으로 재추에 해당한다.
사후 추증
태자삼사 태자태부(太子太傅)태자의 스승. 당시 태자는 제9대 덕종.
시호 은열(殷烈)고려사》나 당대 기록에는 없다. 진주 강씨 문중 기록.

5. 여담

  • 고려사에 따르면 서생 출신으로 활쏘기, 말타기는 잘 하지 못했다고 한다. 강감찬, 윤관, 김부식처럼 출장입상(出將入相, 나가서는 장군, 들어와서는 재상), 유장(儒將, 학자이면서 장군)의 시대였던 고려 전기에도 새삼스레 이런 면모가 강조된 걸 보면 군대와는 어지간히 어울리지 않는 이미지였던 것 같다. 그럼에도 여요전쟁 같은 어려운 시기를 만나 군대 지휘관으로서의 활약으로 출세했고 조선시대에도 대체로 장군의 이미지로 알려졌다.

6. 대중매체



[1] 율리우스력 12월 17일[2] 율리우스력 12월 18일[3] 강민첨과 강감찬은 같은 강(姜)씨지만, 강감찬의 본관은 금주(衿州)로 다르다. 강감찬의 집안은 "금천 강씨"로, 그의 5세조 강여청(餘淸)을 시조로 본다.[4] 이 중 태자태부는 사후 추증이 확실하기 때문에 이것이 홍경사 건설 당시의 관작이 아니라 사후 추증을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정리된 관작임을 알 수 있다.[5] 프로필 표의 생년월일은 여기에 기반한 내용이다.[6] 元尹. 고려 향직 총 16관계 중 10위인 6품.[7] 이순신이 세는나이 32세에 급제한 것도 늦다고 하는데, 강민첨은 42세에 급제한 것이다.[8] 지금의 강원도 안변군[9] 도관은 노비 호적 및 소송을 담당하는 부서로 형부(刑部)의 하위 부서이다. 원외랑은 정6품인데 앞에 시(試)가 붙은 것은 정식 관직이 아니라 시범 임용이라는 뜻으로 오늘날 군대에서의 진급예정을 떠올리게 한다. 정식 관직의 업무를 보지만 실제 대우는 한 등급 낮다.[10] 고려 현종이 기존 절도사 제도를 폐지하며 새로 도입한 5도 양계의 직책이다. 조선 관찰사의 전신이다. 문종 연간에 잠깐 도부서(都部署)라는 이름으로 바뀐 적이 있었는데 원래 도부서는 해안 방어 부서를 가리키던 말이었다. 만약 이 가전 기록이 오류라면 동여진의 해안 침략을 막기 위해 도부서의 일원이 되었던 것이 와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1] 왕명 출납 및 의복, 수레와 말 등을 담당하는 직책. 이듬해 제3차 여요전쟁에서 활약한 중갑기병대를 꾸리기 시작한 것으로 추측된다.[12] 2008년 초상화를 보수하다 기록을 발견했다.[13] 2005년 10월 영정을 모시는 감실의 뒤편에서 말려진 족자 형태로 발견되었다.[A] 생전의 기록에는 등장하지 않는다.[A] [16] <무인시대>에서 몽골 장수 카치운 역으로 나왔고, <불멸의 이순신>에서는 서한수 역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