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신경얼기 brachial plexus | |||
빗장위부분 | 등쪽어깨신경 · 긴가슴신경 · 빗장밑근신경 · 어깨위신경 | ||
빗장아래부분 | 가쪽다발 | 가쪽가슴근신경 · 근육피부신경 · 정중신경의 가쪽뿌리 | |
안쪽다발 | 안쪽가슴근신경 · 안쪽위팔피부신경 · 안쪽아래팔피부신경 · 자신경 · 정중신경의 안쪽뿌리 | ||
뒤다발 | 위어깨밑신경 · 아래어깨밑신경 · 가슴등신경 · 겨드랑신경 · 노신경 |
ulnar nerve (자신경, 척골신경) | |
|
1. 개요
자신경(ulnar n.)은 팔과 손 부위에 분포하는 말초신경으로, 팔신경얼기(brachial plexus)에서 분지되는 중요한 5개의 종말가지 중 하나이다. 개정 이전 용어는 척골신경(尺骨神經). 일부 아래팔 앞칸 근육들과 손의 대다수 근육들을 지배한다.2. 구조
| |
팔신경얼기 전체 구조 | 간단한 모식도 |
아래팔로 진입한 자신경은 자쪽손목굽힘근 위팔갈래와 자갈래 사이를 지나가면서 근육가지를 낸다. 그 후 이 얕은쪽의 자쪽손목굽힘근과 깊은쪽의 깊은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profundus m.) 사이에서 아래로 주행하고, 아래팔 중간쯤 이후부터는 자동맥(ulnar a.)과 함께 주행한다. 손목에 다다른 자신경은 안쪽의 자쪽손목굽힘근 힘줄과 가쪽의 얕은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 힘줄 사이를 통해 얕은층으로 나온다.
2.1. 가지
| |
자신경의 전체 구조 | 자신경 구조 모식도 |
- 자쪽손목굽힘근과 깊은손가락굽힘근의 안쪽 절반으로 가는 근육가지
- 손바닥가지(palmar cutaneous branch) - 아래팔의 중간 높이쯤에서 분지되어 손바닥의 안쪽 피부에 분포한다.
- 손등가지(dorsal cutaneous branch) - 아래팔의 먼쪽에서 분지되어 넷째손가락의 안쪽 절반과 새끼손가락 피부에 분포한다. 손등에서 등쪽손가락신경(dorsal digital n.) 3개로 갈라진다.
- 얕은가지(superficial branch) - 자신경의 종말가지 중 하나이다. 유일하게 근육가지를 내는 근육은 짧은손바닥근(palmaris brevis m.)이며, 이후에는 손바닥면 자쪽의 감각신경 바닥쪽손가락신경(palmar digital n.)으로 나뉜다.
- 깊은가지(deep branch) - 자신경의 종말가지 중 하나이다. 손목에서 굽힘근지지띠를 지나기 직전의 지지띠 먼쪽 모서리에서 분지되어 깊은손바닥동맥활(deep palmar arch)과 함께 주행한다. 손의 안쪽에서 새끼두덩근육(새끼벌림근, 짧은새끼굽힘근, 새끼맞섬근), 벌레근(lumbricals mm.) 4개 중에서 안쪽 2개[4], 엄지모음근(adductor pollicis m.), 등쪽뼈사이근과 바닥쪽뼈사이근(dorsal/palmar interossei mm.), 그리고 마지막으로 짧은엄지굽힘근(flexor pollicis brevis m.)의 깊은갈래에 분포한다.
3. 분포
| |
팔 부위에서 감각신경의 분포 | 아래팔과 손의 감각신경 분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