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Miyolophone이 작곡한 곡이다. カレント는 current를 가타카나로 쓴 것이며, 앞의 re:와 합쳐져 하나의 단어 recurrent(되풀이되는, 반복되는)가 된다.
2. Geometry Dash의 건틀렛 맵 : Shards of Siberia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33333><tablebgcolor=#333333> 파일:OnlineMenuGMD/Gauntlets.png | 건틀렛 일람 | }}} {{{#!wiki style="margin: 0px -10px 0px" {{{#!folding [ PART 1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333333><colcolor=#fff> Fire | |
Ice | | ||||
Poison | | ||||
Shadow | | ||||
Lava | | ||||
Bonus | | ||||
Chaos | | ||||
Demon | |
- [ PART 2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colbgcolor=#333333><colcolor=#fff><width=20%>
Time ||Mind Control
Silence
Timeless
Half Past Twelve
Rose ||
- [ PART 3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colbgcolor=#333333><colcolor=#fff><width=20%>
Forest ||lost in the woods
Honeydew
Twenty Four
Petal Patch
Astralith ||
- [ PART 4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colbgcolor=#333333><colcolor=#fff><width=20%>
NCS I ||BUSSIN
BER ZER KER
Quebrantar
Next Cab Soon
The Incinerator ||
NCS IIWANNACRY
{{{#gray {{{#!folding [ 추가 예정 ]
||Portal Gauntlet의 수록맵
<rowcolor=#fff> 파일:HardEpicGMD.png Shards of Siberia by Xender Game | ||
| ||
Very Experimental effect level, made in 5 days, along with all my emotions and feelings of the past years... | ||
<rowcolor=#fff> 레벨 정보 | 보상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888,#333> 레벨 ID | 62995779 |
레벨 비밀번호 | 8055 | |
레벨 길이 | 1분 26초 | |
오브젝트 수 | 61,969 | |
업로드 버전 | 2.1 |
125
6
<rowcolor=#fff> 사용된 사운드트랙 | ||||||
Miyolophone - re:カレント[1] | ||||||
<rowcolor=#fff> 맵 순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 Azimuth | → | 2. Shards of Siberia | → | 3. Between Worlds |
White Space 등으로 유명한 Xender Game의 흑백 테마 레벨로, 맵 설명에 따르면 지난 몇 년간의 자신의 감정과 느낌을 담아 만들었다고 한다. 흑백 컬러만으로 만들어진 뛰어난 퀄리티의 다지인과 Xender Game 특유의 현란한 이펙트가 인상적인 레벨.
난이도는 앞선 Azimuth와 마찬가지로 4성치고는 어렵다. 앞선 Azimuth가 순간난이도는 쉽지만 XL이라 어렵다면 Shards of Siberia는 길이는 평범하지만 현란한 이펙트로 인해 가독성이 낮다.
2.1. 구간
1. 3차원 큐브 구간 (0~14%) |
떠 다시는 3차원 발판들 사이를 지나가는 구간이다. 중간에 3차원 가시도 나온다.
2. 언덕 구간 (14~25%) |
언덕을 빠르게 지나가는 동안 가시나 언덕들이 지나간다. 이후 거품을 타고 아래로 빠지는데 처음 빠지면 얼마 안 가서 빨간 점프링이 갑툭튀한다. 여기만 지나면 무난하다.
3. Variety 구간 (25~43%) |
중간 아트와 함께 진입한다. 게임모드가 짧은 간격으로 바뀌는데 다른 구간들은 크게 어렵지 않고, 볼 구간에서 살짝 암기가 필요하다.
4. 기하학 배경 구간 (43~60%) |
구름 사이를 UFO로 돌파하고 난 후 이어진다. 역시 게임모드가 짧은 간격으로 바뀐다.
5. 감정 구간 (60~78%) |
Ready 문구 이후 이어지며, 상술한 제작자 Xender Game의 지난 감정들이 녹아 있는 디자인이 인상적이다. 게임모드는 여전히 짧은 간격으로 바뀌며, 이번에는 화려한 디자인까지 덧붙여져 가독성이 매우 안 좋다.
6. 마지만 3차원 큐브 구간 (78~100%) |
마지막 구간. 전형적인 화살표 친 곳에서 점프하고 점프링 눌러주는 구간이다.
The only obstacle to creativity is breaking that barrior of disbelief.
창의성에 대한 유일한 장애물은 불신의 장벽을 깨는 것이다.
이후 미국의 유명 스케이트보드 선수 로드니 뮬렌(Rodney Mullen)이 남긴 인용문[2]과 제목 아트를 마지막으로 레벨이 끝난다.창의성에 대한 유일한 장애물은 불신의 장벽을 깨는 것이다.
3.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Subterminal Point
Subterminal Point by SyQual | ||||||
| ||||||
Also inspired by Maplestory. Verified by PoCle | ||||||
<rowcolor=#ffffff> 레벨 비밀번호 | 레벨 ID | 레벨 길이 | 오브젝트 수 | 업로드 버전 | ||
X | 113599729 | 1분 10초 | 40970[3] | 2.2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예상 순위 | #9~#28[4] | ||||
현 상태 | Extreme Demon | |||||
배치 예정일 | 2월 24일 |
SyQual이 만든 Trueffet의 후속작.
3.1. 상세
난이도의 경우 베리파이어인 Pocle이 AOD보다 어렵다고 평가하였다[5]. 아직 정식 등재가 되지 않았지만 여러 정황을 볼 때 The Hallucination을 꺾고 한국인이 만들고 베리파이한 레벨 중 가장 어려운 레벨이 될 가능성이 높다.
60fps 프레임 퍼펙트는 51개이다.
3.1.1. 배경
전작과 마찬가지로 메이플스토리에서 래퍼런스를 가져온 것이 특징. 트뤼에페와 달리 리멘에 있는 '끝에 가까운 곳'의 디자인과 이름을 따왔다.
| |
끝에 가까운 곳(메이플스토리) | Subterminal Point |
3.2. 구간
0% ~ 9% |
9% ~ 17% |
15% ~ 22% |
22% ~ 27% |
27% ~ 35% |
35% ~ 44% |
44% ~ 53% |
53% ~ 63% |
63% ~ 80% |
80% ~ 88% |
88% ~ 100% |
3.3. 베리파이 과정
2023년 5월 21일, 풀 쇼케이스가 업로드되었으며 Syqual이 베리파이어를 구한다는 말을 했다. 이에 대해 PoCle은 메인 베파도 해보고싶고 맵도 마음에 들어서 바로 베리파이를 하겠다고 했다고 한다.
2024년 5월 27일, 56%~100% 구간을 프로그래스했다. # 당시에 TOP 25[10]라고 평가했다.
2024년 6월 16일, 23~71% 구간을 프로그래스했다. # TOP 30급[11]라고 평가했었다.
2024년 6월 23일, 50%를 달성했다. # 너프를 많이 했는데도 어렵다는 평가를 내렸다.
2024년 9월 17일, 68%를 달성했다. #[12]
2024년 9월 20일, 46~100%와 23~77%를 프로그래스했다.#
2024년 12월 12일, 24~84%를 프로그래스했다. #
2024년 12월 13일, 35~100%를 프로그래스했다. #
2024년 12월 14일, 76%를 스트림에서 달성했다. #
2024년 12월 28일, 91%를 달성했다... #
2024년 12월 29일, 72,892어템을 들여 베리파이에 성공했다![13] # 난이도는 TOP 28 이상으로 평가하였지만, 이후 AoD를 깬 후 SP-AoD-KOCMOC 순으로 평가하였다. 하지만 SP와는 다르게 AoD는 CBF를 사용하면서 클리어했다는 차이점이 있고, 이 때문인지 Pocle 본인도 신뢰도가 딱히 없는 의견이라는 사족을 덧붙였다.
3.4. 레이팅 과정
2024년 12월 27일, 베리파이되었으며 레벨이 서버에 업로드되었다.2025년 1월 1일, 본격적으로 쇼케이스들이 올라오기 시작하며 레벨의 인지도가 높아뎠다.
2025년 1월 24일, 28일만에 레이팅되었다.
3.5. 비판 및 문제점
레벨 자체에 대한 평가는 다소 미묘하거나 좋지 않은 편이다. 고작 4만 남짓한 오브젝트로 레벨 전체를 구현한 점은 높은 평가를 받지만, 블럭 디자인이나 배경이 다소 반복적이라 성의가 없다고 느낄 수 있으며, 결정적으로 전작인 Trueffet과의 괴리가 심하다는 점에서 불호하는 의견이 많다. 전작은 빠르고 강렬한 분위기를 선보여 호평이 많았지만 이번 작은 너무 밍밍하다는 평이다. 평이한 진행에 잔잔한 노래까지 한 몫한다.
가장 많이 지적당하는 것이 게임플레이인데, 전작의 호평받던 트랜지션에 비해 단순한 큐브 칼타, 좁기만 한 비행기와 웨이브 파트로 난이도를 올린다. 이는 레벨 곳곳에 박혀있는 보정가시도 한몫했는데, 이 때문에 히트박스가 좁아지면서 프레임 퍼펙트의 개수도 급등했다. 보정가시는 Avernus에서도 혹평을 받으며 레벨의 평가를 떨어뜨린 전적이 있는 만큼, 유튜브 댓글 등에서 비판을 받으며 SP에서도 지적받고 있다.
이로 인해 Falseffet라는 멸칭까지 생겼다. 다만 비판에 대한 반론도 있으며 호불호도 분명히 존재하는[14] 레벨이다. 이 레벨은 속편이지 리메이크는 아니며, 둘 모두 메이플스토리 기반이라는 점에서 연관성도 있다. 결국 Trueffet과의 다른 분위기가 의견이 갈리는 결정적인 이유이기 때문에, 타인의 의견에 매몰되지 않고 본인의 주관으로 레벨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레벨에 대한 악평이 단순 비판을 넘어 분탕으로 이어지는 현상도 보이는 중이다. 댓글에서는 이 레벨을 익스트림 데몬 중 가장 싫어요가 많은 레벨으로 만들자고 하거나[15], 비판에 반박하는 댓글들에 비추천을 눌러 하단까지 내려가게 하고 스팸으로 판정되게 하는 여론 조작을 벌이고 있다.
4. 여담
[1] Geometry Dash에 사용되는 Pusab 폰트가 일본어를 지원하지 않아 re:????로 표기된다.[2] 정확히는 “The biggest obstacle to creativity is breaking through the barrier of disbelief.”[3] 아무리 길이가 1분 10초여도 요즘 익데들이 10만 오브젝트는 기본으로 깔고 가는 걸 보면 4만 오브젝트는 정말 엄청난 수치이다.[4] 베리파이어는 Pocle은 Subterminal point>abyss of Darkness>kocmoc 순으로 평가하였지만 맵자체가 비행기, 웨이브 모드의 난이도가 주력이기 때문에 자신의 컨트롤 실력에 따라서 abyss of Darkness와 slaughterhouse보다 쉬울 가능성도 있다.[5] 다만 본인은 신뢰도가 그리 높은 의견이 아니라고 밝혔다.[6] 공점을 누른 상태에서 쭉 누르는 파트는 Sakupen Circles의 비행 파트를 떠오르게 하기도 한다.[7] 다른 파트는 익데 중위권 ~ 익텐급인 파트들이 많다.(몇몇 파트는 메인급이다.)[8] 여담으로, 4개의 공점을 연타하는 구간에서는 적절히 타이밍을 맞춰 공점 2개만 누르고 마지막쯤에 점프를 뛰어도 지나가진다.[9] Pocle 본인은 이 레벨을 너프 없이 본인이 할 수 있는 한에서 가장 어렵게 내고 싶어 했다는 소감을 밝혔는데, 그럼에도 이 파트는 너프가 필요한 수준이였던 것으로 보인다.[10] 당시 25위는 COMBUSTION이였다.[11] 당시에는 30위가 arcturus였다.[12] 당시 기준 TOP 25, 즉 LIMBO 위로 평가하였다. 이는 클리어 이후로도 변하지 않아 클리어 당시 28위인 LIMBO보다 난이도가 높다는 평가를 하였다.[13] 이 여파로 구독자가 대거 상승하였다![14] 해외에서는 몇몇 실력자들이 이 맵이 베스트 익스트림 데몬이라며 칭찬하지만, 몇몇 실력자들은 이 맵은 최악의 히트박스 판정을 가졌다며 비판한다.[15] 비난하는 유저들의 대부분은 10개 이상의 익스트림 데몬을 클리어한 기록이 있는데, 매크로도 섞여있기 때문에 실력자들 대부분이 비판에 가세한다고 보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