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Gotta Do What You Wanna Do | |
1. 개요
사우스 파크 시즌 12 에피소드 13 'Elementary School Musical'에서 나온 OST.2. 상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lementary School Musical#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lementary School Musical#|]][[Elementary School Musical#|]]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아버지의 강요에 의해 노래와 춤만이 삶의 전부인 채 살아가던 3학년생 브라이든은 마침내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던 농구를 할 수 있게 된다. 스탠 마시와 에릭 카트먼, 카일 브로플로브스키, 케니 맥코믹이 이에 동조하며 에피소드의 마지막 부분에서 네가 진정으로 원하는 걸 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아 부른 노래이다. 그러나 학교의 누구도 관심을 주지 않았으며, 다들 브라이든의 농구 연습을 구경하러 갔기 때문에 노래가 끝났을 땐 강당이 텅 비어 있었다(...).
3. 가사
You Gotta What You Wanna Do ALL 스탠 에릭 카일 케니 'Cause you got to do what you wanna do But he finally got the courage to answer his heart's call Just like me, all I ever wanted was to sing and dance You gotta do what you wanna do 네가 하고 싶은 걸 해 Even if other people don't really want you to 다른 사람들이 네게 바라는 일이 아니어도 말야 True, girl you know it's true[1] 정말이야, 이게 맞다는 거 알잖아 That the thing you want to do is the thing that you should do 네가 하고 싶은 일은 네가 해야 하는 일이나 마찬가지야 Some kids think I'm strange cuz I like studying for an exam And I like nothing better than making fun of Jews Do what you wanna do 네가 원하는 일을 해야 해 Just make sure that what you're doing is what's cool and popular with everyone else 네가 원하는 일이 모두에게 멋있고 인기 있다는 것만 확실히 해 Chew baby, chew and chew[2] 씹어, 자기야, 잘 씹어 먹어 when you're eating jerky, 네가 육포를 먹고 있다면, if eating jerky is what you want to do 육표를 먹는게 네가 원하는 일이라면[3] Do what you want don't have restraint Don't stress about it or you just might faint If you wanna get high and jack off it's cool You gotta do what you wanna do Do what you wanna do 네가 하고 싶은 걸 해 As long as what you wanna do is what everybody wants you to 네가 하고 싶은 거라면 남들도 다 네가 하길 바라는 거야 Glue baby, buy some glue[4] 딱풀, 자기야, 딱풀 좀 사 Just in case that what you're doing[5] involves needing scissors and glue 만약 네가 하고픈 일에 가위와 딱풀이 필요하다면 |
[1] 이때 카일이 모자를 벗어던지고 머리카락을 보여주는 희귀한 장면이 나온다.[2] 'Do what you wanna do'와 라임을 맞춘 아무말이다.[3] 이때 베베와 브라이든의 'Hey Bridon, can we watch you practice Basket Ball?(브라이든, 네가 농구 연습하는 거 구경해도 돼?)-'Uh, sure.(음, 그래.)'라는 대화가 겹쳐 나온다.[4] 마찬가지로 라임을 맞추기 위해 때려넣은 구절이라고 볼 수 있다.[5] 이때 스콧이 'Hey guys. Hey guys!'라고 애들을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