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3 14:20:30

WWF 섬머슬램(1992)

WWF 섬머슬램 (1992)
WWF SummerSlam (1992)
파일:WWF_SUMMER_SLAM_1992_Poster.jpg
WWF 개최 PPV
개최일 (*DST) 1992년 8월 29일 토 20시E/17시P
1992년 9월 1일 화 09시
경기장 잉글랜드 그레이터런던 주 브렌트 웸블리 스타디움
Wembley Stadium, Brent, Greater London, England
테마곡
관중집계 80,355명
WWF의 PPV
레슬매니아 8 섬머슬램 서바이버 시리즈
섬머슬램
1991 1992 1993
포스터 모델: WWF 슈퍼스타들 "THE SUMMERSLAM YOU THOUGHT YOU'D NEVER SEE!"

1. 대립 배경

1.1. 리전 오브 둠 VS 테드 디비아시 & 어윈 R. 샤이스터

1.2. 버질 VS 네일즈

1.3. 숀 마이클스 VS 릭 마텔

서로 얼굴은 공격할 수 없다.

1.4. 내추럴 디재스터스 VS 비벌리 브라더스

WWF 태그팀 챔피언십

1.5. 크러쉬 VS 리포 맨

1.6. 랜디 새비지 VS 얼티밋 워리어

WWF 챔피언십

1.7. 언더테이커 VS 카말라

1.8. 브렛 하트 VS 브리티시 불독

WWF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2. 대진표 및 결과

태그팀 매치 <2.5점>
리전 오브 둠 테드 디비아시 & 어윈 R. 샤이스터
싱글 매치 <1.25점>
버질 네일즈
싱글 매치 (더블 카운트 아웃) <2.75점>
서로 얼굴은 공격할 수 없다.
숀 마이클스 릭 마텔
WWF 태그팀 챔피언십 <1.25점>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내추럴 디재스터스 비벌리 브라더스
싱글 매치 <1.75점>
크러쉬 리포 맨
WWF 챔피언십 <4점>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랜디 새비지 얼티밋 워리어[1]
싱글 매치 <-1점>
언더테이커[2] 카말라
WWF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4.5점>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브렛 하트 브리티시 불독

3. 여담

  • WWF 챔피언십이 아닌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이 메인 이벤트를 차지했다. 심지어 WWF 챔피언십 매치는 얼티밋 워리어와 '마초맨' 랜디 새비지였음에도 말이다. 이는 브리티시 불독이 개최지인 영국을 대표하는 선수라는 영향이 컸으며[3], 결과적으로도 섬머슬램 최고의 명승부전이었다.[4]
  • 짐 더간 & 부쉬웨커스 vs 마운티 & 내스티 보이즈, 티토 산타나 vs 파파 샹고, 타탕카 vs 버저커의 경기도 있었지만 이 3경기는 다크 매치로 처리되었다.
  • 권선징악 성격이 짙었던 당시로서는 드물게 챔피언십이 두 경기나 선역 선수들간의 대결로 이루어졌다. 게다가 덤으로 그보다도 더 드물던 악역 선수들간의 대결이 (숀 마이클스 vs 릭 마텔) 이루어지기도 했다.
  • 크러쉬와 리포 맨은 전년도까지 태그팀 데몰리션의 멤버였다.
  • WWF 챔피언십 매치를 치른 얼티밋 워리어와 랜디 새비지에게는 이번 섬머슬램이 마지막 섬머슬램의 시합이 되었다.[5]
  • 메인 이벤트인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전에 스코틀랜드 전통 악기 연주회가 있었는데, 로디 파이퍼가 중간에 나와서 백파이프를 함께 연주했다. 실제 연주를 했는지 단순 흉내였는지는 불명.
  • 메인 이벤트 직전, 브렛 하트의 동생이자 브리티시 불독의 아내인 다이애나의 인터뷰가 있었으며, 경기 중간에도 다이애나의 모습을 작은 화면으로 함께 보여주었다.
  • 한국에서는 IB SPORTS를 통해 2023년 12월 16일에 중계되었다. 중계진은 정승호 캐스터와 조경호 해설위원. 여기서 조경호 해설위원은 카말라가 경기 종료 후 언더테이커를 공격하다가 언더테이커가 싯업을 하며 놀라는 표정을 했을 때, 언더테이커의 레슬매니아 연승 행진 종료 당시 경악을 금치 못하던 흑인 관중이 떠오른다는 멘트를 했다.(...) 심지어 닮았다 그 외에도 상기한 연주회에서 "로디 파이퍼가 나올지도 모른다"고 했다가 정말로 등장하자 크게 놀라기도 했다.[6] 또한 정승호 해설위원은 마지막 마무리에서 이 섬머슬램이 빈스 맥맨의 도박에 가까운 일이었음을 알려주었다.[7]


[1] 카운트 아웃 승. 챔피언 변동 없음.[2] DQ 승.[3] 게다가 챔피언이였던 브렛 하트의 해외 인기가 엄청났던 부분도 컸다.[4] 2025 섬머슬램을 앞두고 WWE가 선정한 역대 최고의 섬머슬램 경기 1위에 뽑히는 기염을 토해냈다.[5] 93년 섬머슬램에서 랜디 새비지는 해설자로써 등장하긴 했지만 시합은 하지 않았다.[6] 30년 전의 경기이니 자료조사하면 다 나오는 걸 왜 모르냐고 할 수 있겠으나, 조경호 해설위원은 기본적인 자료조사는 하지만 그 자리에서 경기를 처음보는 것과 같은 감정을 가지고 중계하기 위해, 경기 그 자체는 따로 미리 보는 것 없이 중계에 임한다고 한다.[7] 당시 WWF에 약물 파동이 일어나면서 미국 내 여론이 안 좋았기에, 해외 진출을 겸해서 이루어진 일이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