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667f57><tablebgcolor=#667f57>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Side A | |||
<rowcolor=#ED3F2A> 트랙 | 곡명 | 러닝타임 | ||
<colcolor=#000,#fff> 1 | We Will Rock You | 2:01 | ||
2 | We Are the Champions | 2:59 | ||
3 | Sheer Heart Attack | 3:26 | ||
4 | All Dead, All Dead | 3:10 | ||
5 | Spread Your Wings | 4:34 | ||
6 | Fight From the Inside | 3:03 | ||
7 | Get Down, Make Love | 3:51 | ||
8 | Sleeping On the Sidewalk | 3:06 | ||
9 | Who Needs You | 3:05 | ||
10 | It's Late | 6:25 | ||
11 | My Melancholy Blues | 3:29 | ||
|
'''{{{+1''' | |
<colcolor=#ED3F2A><colbgcolor=#5A734D> 앨범 발매일 | 1977년 10월 28일 |
수록 앨범 | |
작사/작곡 | 로저 테일러 |
러닝 타임 | 3:26 |
프로듀서 | 퀸 |
레이블 |
[clearfix]
1. 개요
동명의 3집 앨범과는 다르다. 원래 3집 앨범에 넣으려고 했으나 완성이 안 돼서 못 넣었다고 한다. 부자간의 말싸움을 다루고 있으며 당대에 엄청난 인기를 끌었던 펑크 록의 영향을 받은 사운드를 담고 있다.[1] 라이브에서는 1984년 초까지 앙코르에서 연주되었다.[2]첫 부분 가사는 비틀즈 첫 앨범 Please Please Me의 수록곡 'I Saw Her Standing There'의 오마주라고 한다.[3] 여담이지만 나중에 퀸 공식 사이트에서 이 노래에 대한 뮤직 비디오 공모전을 했다. 공모전 당선작 브라이언 메이와 로저 테일러가 직접 선정했다고 한다.
2. 가사
Sheer Heart Attack Well you're just 17 and all you want to do is disappear 매일 가출할 생각만 하는 17살 먹은 이 자식아 You know what I mean there's a lot of space between your ears 내가 뭘 말하는지 알기나 하냐 이 돌대가리야 The way that you touch don't feel no nothin' 니가 하는 짓마다 다 이 꼬라지야 Hey hey hey hey it was the D.N.A. 이봐요 이건 유전이라고요 Hey hey hey hey that made me this way 누가 나를 만들었는지 생각 해보라고요 Do you know do you know do you know just how I feel? 뭐..뭐 뭐라고? Do you know do you know do you know just how I feel? 이 자식이. Sheer heart attack 기절하겠네 Sheer heart attack 기절하겠다고 Real cardiac 진짜로 기절하겠네 I feel so in-ar in-ar in-ar in-ar in-ar in-ar in-ar in-ar-tic-u-late 너무 기가 막혀 Gotta feelin' gotta feelin' gotta feelin' like a paralyse 완전히 얼어 붙었어 It ain't no it ain't no it ain't no it ain't no surprise 이건 놀라운 정도가 아니야 Turn on the TV let it drip right down in your eyes 그래 그따구로 티비만 보고 있어라 Hey hey hey hey it was the D.N.A. 아 글쎄 유전이라고요 Hey hey hey hey hey that made me this way 누가 나를 이렇게 만들었는데 Do you know do you know do you know just how I feel? 기가 막혀 Do you know do you know do you know just how I feel? 이놈의 자식이 Sheer heart attack 아이고 기절하겠네 Sheer heart attack 기절하겠다고 Real cardiac 진짜로 기절하겠네 I feel so in-ar in-ar in-ar in-ar in-ar in-ar in-ar in-ar-tic-u-late 어이가 없어서 말도 안나오네 Just how I feel 뭐..뭐 뭐라고? Do you know do you know do you know do you know just how I feel? 이 자식이. Do you know do you know do you know just how I feel? 기가 막혀 Do you know do you know do you know do you know just how I feel? 이놈의 자식이 Sheer heart attack 기절하겠네 Sheer heart attack 기절하겠다고 Real cardiac 진짜로 기절하겠네 |
[1] 예전 편집에서는 펑크 록에 대한 디스라는 설명이 버젓이 씌여 있었는 데 근거가 없는 이야기다. 이는 프레디와 시드 비셔스의 말다툼 일화나 빌 그런디 쇼 사태(원인 중 하나가 바로 퀸과 관련이 있다.) 때문에 생겨난 퀸 펑크 록 디스 루머들 중의 하나인 듯 하다. 로저는 오히려 곡을 완성할 즈음에 마침 옆방에서 섹스 피스톨즈가 녹음하고 있었고 앨범 출시 당해에 마침 펑크가 인기를 끌어서 이 곡이 혜택을 봤다는 내용의 인터뷰를 1991년에 한 바 있다.[2] 거의 대부분의 공연에서 이 곡을 연주할 때는 프레디가 퀸의 다른 어떠한 곡에서보다 과격한 무대매너를 선보인다. 앰프나 멤버들의 마이크 스탠드를 넘어트리는 행동을 보여주는데, 이는 곡의 가사에 나오는 10대의 반항심을 보여주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1979년 12월 26일 'Hammersmith Odeon' 공연[3] "Well, she was just seventeen"(비틀즈) / "Well you're just seventeen(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