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5 20:42:07

SLT/발로란트/2025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SLT/발로란트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4cb29><tablebgcolor=#f4cb29> 파일:SLT 로고 블랙.svg[[SLT/발로란트|SLT Seongnam]]
역대 시즌
}}}'''
{{{#!wiki style="color: ##f4cb29;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SLT Seongnam 2023 2024 2025
}}}}}}}}} ||
SLT Seongnam 역대 시즌
2024 시즌 2025 시즌 2026 시즌

1. 개요

SLT Seongnam의 2025 시즌을 다루고 있다.

2. 2025 WDG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 S1

파일:SLT 로고 블랙.svg SLT
파일:2025 S1 SLT.jpg
<colbgcolor=#f4cb29><colcolor=#000> 감독 [[구태균|구태균
TK9
]]
코치 [[김기운(1997)|김기운
R3THME
]]|[[양요셉|양요셉
YYS
]]
로스터
ACTIV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재혁|고재혁
C1ndeR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혁(2007)|김민혁
Klaus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태건(프로게이머)|김태건
XuNa
]]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상범(프로게이머)|신상범
oonzmlp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석현(프로게이머)|장석현
zexy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시후|윤시후
shu
]]

2025년 1월 23일 'shu' 윤시후 선수를 영입하였다. #

최종 성적 : 5위

3. 2025 WDG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 S2

파일:SLT 로고 블랙.svg SLT
파일:2025 S2 SLT.jpg
<colbgcolor=#f4cb29><colcolor=#000> 감독 [[구태균|구태균
TK9
]]
코치 [[김기운(1997)|김기운
R3THME
]]|[[양요셉|양요셉
YYS
]]
로스터
ACTIV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재혁|고재혁
C1ndeR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혁(2007)|김민혁
Klaus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태건(프로게이머)|김태건
XuNa
]]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상범(프로게이머)|신상범
oonzmlp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석현(프로게이머)|장석현
zexy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시후|윤시후
shu
]]

S1보다 나아진 모습을 보여주며 결승까지 진출했지만 BFX의 벽을 넘지는 못했다.
여담으로 이 준우승으로 팀 통산 4번째 준우승을 기록하면서 최다 결승전 진출팀이자, 최다 준우승 팀이 되었다.

최종 성적 : 준우승

4. 2025 WDG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 S3

파일:SLT 로고 블랙.svg SLT
파일:2025 S3 SLT.jpg
<colbgcolor=#f4cb29><colcolor=#000> 감독 [[구태균|구태균
TK9
]]
코치 [[김기운(1997)|김기운
R3THME
]]|[[양요셉|양요셉
YYS
]]
로스터
ACTIV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재혁|고재혁
C1ndeR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혁(2007)|김민혁
Klaus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태건(프로게이머)|김태건
XuNa
]]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상범(프로게이머)|신상범
oonzmlp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석현(프로게이머)|장석현
zexy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은혁|오은혁
Ray
]]

정규 시즌 4승 3패로 기존 챌린저스 팀 상대로는 전승, 아카데미 팀을 상대로 전패하며 정규 시즌을 4위로 마무리하였다.

플레이오프 첫 경기 DRX Academy를 상대로 2:0으로 승리한 후 BNK FEARX 상대로도 2:0 승리를 거두며 기분 출발을 하였지만, T1 Esports Academy를 상대로 0:2 패배를 거두며 패자조 결승으로 향하게 되었다.

패자조 결승에서 다시 한번 BNK FEARX를 만나 3:1로 승리하여 결승전으로 향하게 되었고, 이번 시즌 BNK FEARX를 상대로 3전 전승을 하며 다시 한번 T1 Esports Academy와 결승전 경기를 할 수 있게 되었다.

결승전에서 T1 Esports Academy를 다시 만나며 팽팽한 경기가 예상되었으나, 예상과는 다르게 1,2세트 계속해서 승기를 잡아가다가 역전당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0:3으로 패배하여 이번 시즌도 준우승으로 마무리하게 되었다.

이로써 최다 결승 진출의 기록을 5회로 갱신하였지만, 최다 준우승 기록 또한 5회로 갱신하며 다음 2025 WDG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 어센션 진출전 대회에서의 우승을 기약하여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최종 성적 : 준우승

5. 2025 WDG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 어센션 진출전

파일:SLT 로고 블랙.svg SLT
파일:2025 RTA SLT.png
<colbgcolor=#f4cb29><colcolor=#000> 감독 [[구태균|구태균
TK9
]]
코치 [[김기운(1997)|김기운
R3THME
]]|[[양요셉|양요셉
YYS
]]
로스터
ACTIV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재혁|고재혁
C1ndeR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혁(2007)|김민혁
Klaus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태건(프로게이머)|김태건
XuNa
]]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상범(프로게이머)|신상범
oonzmlp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석현(프로게이머)|장석현
zexy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은혁|오은혁
Ray
]]

2025 WDG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 어센션 진출전에서 SLT Seongnam과 더불어 가장 강력하다고 평가받는 BNK FEARX를 상대로 2025 WDG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 S3에서 3전 전승을 하며 2025 WDG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 어센션 진출전으로 향하였기 때문에 SLT Seongnam의 우세로 시즌 전 평가가되었다.

하지만 첫 경기 BNK FEARX를 상대로 두개의 맵 모두 역전패를 당하며 0:2 패배로 패자조 결승전으로 향하게 되었다.

패자조 결승전의 상대는 ONSIDE GAMING으로 이전 SLT Seongnam 출신의 선수가 대거 포진해있는 팀이지만 3:1로 승리하며 다시 최종 결승에서 BNK FEARX를 만나게 되었다.

패자조 결승 이후 약 10일간의 준비 기간을 거치고 부산이스포츠경기장에서 진행되는 최종 결승전에서는 해당 경기장이 BNK FEARX의 홈구장이기도 하고, 최근 경기에서 2:0으로 역전승을 하여 먼저 결승에 도착한 BNK FEARX의 우세를 많은 사람들이 예측했다.

결승전 첫 맵 아이스박스에서 13:7로 패배하여 많은 사람들이 역시 BNK FEARX의 우승이라고 계속해서 예측하고 있었지만, 2맵 헤이븐부터 판도가 완전히 변화되었다.

zexy의 무력을 바탕으로 선수들 모두 강력한 에임과 탄탄한 전략을 바탕으로 13:8로 헤이븐을 SLT Seongnam이 승리하게 되었고, BNK FEARX가 선택한 3맵 어센트에서도 13:8로 승리하며 먼저 결승전 매치 포인트를 SLT Seongnam이 획득하게 되었다.

마지막 두 팀의 희비를 엇갈리게 한 맵은 SLT Seongnam이 선택한 바인드였다.
바인드에서 마저 13:5로 승리하며 구단 최초 우승을 달성하게 되었고, 2025 VCT Ascension Pacific 대회의 출전을 확정지었다.

이로써 총 6번의 결승전 동안 5연속 준우승만을 기록하다가 드디어 구단 창단 이후 첫 우승을 하게 되었다.

최종 성적: 우승

6. 2025 VCT Ascension Pacific

파일:SLT 로고 블랙.svg SLT
파일:2025 VCT Ascension Pacific Roster SLT.png
<colbgcolor=#f4cb29><colcolor=#000> 감독 [[구태균|구태균
TK9
]]
코치 [[김기운(1997)|김기운
R3THME
]]|[[양요셉|양요셉
YYS
]]
로스터
ACTIV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재혁|고재혁
C1ndeR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혁(2007)|김민혁
Klaus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태건(프로게이머)|김태건
XuNa
]]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상범(프로게이머)|신상범
oonzmlp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석현(프로게이머)|장석현
zexy
]]

최종 성적: VCT Pacific 승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