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22:36:07

Roblox Studio/유료 모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Roblox Studio
파일:Roblox 로고.svg파일:Roblox 로고 화이트.svg
게임 목록 | 이벤트 | 2차 창작 | 유료 서비스
Roblox Corporation
평가 (긍정적) | 문제점 및 비판 | 논란 및 사건 사고 | Roblox Studio스크립트 유료 모델

1. 개요2. 종류
2.1. 모델
2.1.1. 차량2.1.2. 건물
2.2. 시스템
2.2.1. 스크립트 / UI
2.3. 맵
3. 장점4. 단점5. 문제점
5.1. Roblox 규정 위반과 저작권 위반5.2. 비정상적인 가격과 판권팔이5.3. 전자상거래 법 위반5.4. 소비자 기만행위5.5. 유출/리셀
6. 팁

1. 개요

Roblox Studio에서 사용되는 유료 모델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Roblox Studio에서 거래되는 유료 모델은 디지털 자산으로, 주로 디스코드의 "로샵(RoShop)"이라 불리는 거래 서버들에서 이루어진다. 서버는 100명 이하의 소규모부터 수천 명 규모까지 다양하며, 거래되는 모델은 주로 기초지방자치단체 게임이나, RP 게임, 아포칼립스 생존물, 군대 게임 같은 양산형 게임에서 많이 쓰인다. 특히 차량 모델은 다른 게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흔히 슬롯 카라고 불리며, 툴 박스에 업로드한 모델에 생기는 고유한 ID를 이용해 스튜디오로 만든 자신만의 차량을 타 게임에 불러올 수 있는 시스템과 연계할 수 있어서 수요가 높다. 그러나 이러한 유료 모델 거래는 로블록스 정책상 금지된 행위로, 규정을 위반하며, 저작권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럼에도 공식 제재 사례가 없어 아직까지 멀쩡히 거래래되고 있다.

2. 종류

2.1. 모델

2.1.1. 차량

차량 모델은 현실에 있는 차를 따온 모델이 대부분을 차지한다.[1]
가격대는 5천원에서 5만원 사이로 형성되어 있다.

2.1.2. 건물

건물 모델은 주로 현실에 있는 건축물의 느낌을 재현하거나 아예 따라 만든다. 단독 건물은 잘 안 팔리고, 맵에 넣은 형태로 나오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다.
단독 모델의 경우, 가격은 2~4천원대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2.2. 시스템

2.2.1. 스크립트 / UI

대부분 RP 게임에 사용되는 시스템이 대다수이며, 5천원에서 3만원 사이로 가격대가 형성되어 있다. 공지 시스템, 인트로 시스템과 같은 간단한 시스템부터, 과속 단속 시스템이나 아르바이트 시스템과 같은 특정 장르의 게임에 필요한 시스템도 팔리는 반면, 일부는 저작권 위반 요소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3.

군대, RP 게임 맵을 주로 팔며 주로 1만원에서 6만원대로 판매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가격대가 높은 부류이다.

3. 장점

  • 국내 로샵 한정으로 국내 게임에 맞춘 한국풍 에셋을 쉽게 구할 수 있다.
  • 판매되는 모델과 시스템의 종류가 다양하다.
  • 일부 모델은 고품질로 제작되어 사용자 만족도가 높을 수 있다.

4. 단점

  • 국내 로샵 한정 해외 로샵에 비해 가격대가 꽤 높은 편이다.
  • 무료로 제공되는 고품질 모델도 많아 유료 모델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 초보 개발자가 유료 모델에만 의존할 경우 개발 실력이 늘지 않을 수 있다.
  • 구매 비용이 다소 높을 수 있으며, 게임에 필요한 모델을 모두 구매하려면 상당한 지출이 필요할 수 있다.
  • 동일한 모델이 여러 게임에서 사용될 경우 게임의 개성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
  • 구매한 유료 모델이 유출이나 메쉬 정지가 될 경우 손해를 볼 가능성이 크다.

5. 문제점

5.1. Roblox 규정 위반과 저작권 위반

  • 차량의 경우, 자동차 회사의 라이센스를 불법으로 사용하는 행위가 대표적이다. 가공의 제조사와 로고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우회하나 여전히 차량 디자인으로 인해 저작권 문제에서 안전하지 않다. 또한, '비엠 섀시'라고 불리는 로블록스 차량 시스템인 'A-Chassis'를 개조한 시스템도 수많은 유저들이 판매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사실 해외에서 유출된 시스템이라는 큰 문제가 있다.
  • 일부 판매 모델은 술, 담배 등을 추가하는 시스템이 존재하며, 실제로 취한 느낌까지 재현하였다. 이쪽은 가이드라인 위반의 여지가 있다.
  • 또한 Roblox 규정상 '로블록스 외에서 일어나는 거래 행위'는 규칙 위반으로, 금지되어 있는 행위이다.[2]

5.2. 비정상적인 가격과 판권팔이

  • 기본적인 경우 5,000원부터 시작되며, 희귀한 모델이나 고퀄리티의 맵의 경우, 십만 원대를 웃돌며, 특히 내부가 구현된 국내 함선들은 판매자가 사실상 없어 70만 원 이상까지 올라간다. [3]
  • '판권'이라 해서 원작자[4] 가 소장권[5] 판매 권한을 파는데, 가격이 최소 3만 원대 시작으로 심히 창렬스럽다. 또한 '소유권'이라 해서 '판권'을 판매할 수 있는 권한도 파는데 기본 5만 원에서 시작이며, 심한 곳은 소유권 판매 권한도 있다.[6]
  • 돈을 벌 목적으로 이런 걸 살 계획이라면, 접는 것이 좋다. 당장 자동차 회사로부터 저작권 침해로 고소 당해도 할 말이 없으며, 애초에 잘 팔리지도 않는다. 차량을 직접 제작해서 팔 경우, 10만 원대의 3D 모델을 사야 하는데, 그 돈을 만회하기 위해서 위 언급된 권한들을 팔고, 권한을 산 사람들은 또 다른 권한을 파는 악순환이 벌어진다.
  • 권한 판매를 유도하기 위해서 모델만을 살 때 지나치게 많은 제한을 둔다. 슬롯[7] 제한, 공용 개발 서버 사용 제한 등.
  • 해외샵과 비교해서 가격대가 높다. [8]

5.3. 전자상거래 법 위반

대부분의 판매자들이 사업자나 통신판매업 신고를 하지 않는다. 다만 유저 장터에서 판매하는 소규모 거래 행위는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적게는 수백 명 많게는 수천 명의 고객을 보유하는 대형 판매자들 또한 위와 같은 행위를 하니 문제가 된다.

그러한 이유는 대형 판매점들의 평균 수익은 월 수십만원에서 높으면 백만원 이상의 수익을 올리는데 반면 이러한 행위에 대한 세금 납부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5.4. 소비자 기만행위

대부분의 판매자들이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17조 2항 1호에 따라, 전자상거래로 구매한 제품은 수령 1주일 이내 환불이 가능하다는 것을 무시하고 무조건 환불 불가라는 배짱을 부린다. 이러한 경우 환불 문서의 3번 문단을 참고 바란다.
이 뿐만 아니라 모델을 구입한 이후 판매자의 일방적인 협조 요청(특정 서버 탈퇴)을 따르지 않을 경우 환불 없는 모델 사용 권한을 박탈한다. 이러한 행위는 명백한 소비자 기만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판매자가 유료 모델들을 보호 및 관리한다는 목적으로 특정 게임에서 모델들이 동작할 경우 바이러스[9]가 실행되도록 하는 악질 판매자 또한 존재한다.

5.5. 유출/리셀

  • 툴 박스, 무료 배포된 모델 등을 파는 곳이 가끔씩 있다. 반대로, 유료 모델을 무료 배포하는 경우도 있다.
  • 또한, 위에 언급했던 통칭 "비엠 섀시" 또한 외국 유저의 모델 유출로 시작된 에셋이다.
  • 이러한 것으로 유출을 한 사람은 원작자에게 배상금을 지불하거나, 대부분의 서버에서 밴이 된다.[10]
  • 다만 위 문단에서 설명하지만 유료 모델 판매 행위 자체도 불법이지만 이러한 유출, 리셀 행위를 처벌하는 것은 여러 서버의 운영진들의 담합으로 이루어진다.

6.

  • 유료모델의 구매 필요성과 비용을 충분히 고려하고, 대안이 되는 무료 에셋도 탐색해 보자.
  • 굳이 차량을 써야 한다면 툴 박스에서 인증 배지를 받은 사용자의 에셋을 사용하자.
  • 무료 배포된 에셋들이 팔리는 경우가 종종 있으니, 구매 후 메쉬체크 플러그인을 사용, 원작자를 확인하자. [11]
  • 로블록스의 약관에 따라 외부 거래를 지양하자.


[1] 이러한 상품들은 차량 제조사의 디자인 저작권을 침해한다.[2] 다만 공식적으로 제재를 한 기록은 없다.[3] 사실상 부르는 게 값이다.[4] 3D 모델 원작자가 아닌, 모델 반출+셰시를 넣은 최초 판매자를 뜻한다[5] 그냥 모델만 사는 경우, 그 모델을 '소장권'이라고 부른다.[6] 즉, '판권'과 '소유권'을 팔 수 있는 '소유권 판매 권한'이라는 권한을 따로 판다는 것이다.[7] 지방자치단체 게임에서 개인차량을 스폰 하는 것을 말한다.[8] 심하면 동일모델임에도 불구하고 해외샵보다 2~3배 높은 가격으로 파는 경우도 있다.[9] 게임 내 모든 에셋 삭제, 무한 재설정 유발, 게임 패스 구매 무한 팝업 등 툴 박스에서 구할 수 있는 위험한 모델들과 사실상 같은 부류이다.[10] 다만 저작권 등록을 하지 않았을 경우 배상금을 요구하는 것은 명백한 불법이다.[11] 만일 문제가 있는 모델일 경우, 환불을 요청하거나, 환불을 거절할 경우 다른 서버에 도움을 청하자.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