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일반적 의미}}}에 대한 내용은 [[유스티티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유스티티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유스티티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일반적 의미: }}}[[유스티티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유스티티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유스티티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BGA |
1. 개요
Cosmograph vs. Lunatic Sounds (feat. NieN)의 곡. 유스티티아라고 읽는다.2. EZ2ON REBOOT : R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수록곡 일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hapter 1 | ||
A Showdown Between Two Prideful Geniuses | ATOPY | Backfire | |
Belong To You | felys -final remix- | Glacial Alice | |
Iron Cloud | Kings | kthnox | |
LIGHTYEAR | MAX301 | Next Endeavour | |
Over Drying | R.F.C. Ⅱ | Sakura Garden | |
Start Me Up | Stay 2022 | TakeOFF | |
TRPNO | Unleashed Emotions | Various Ways | |
開花 | 고백 (Go Back) | 별처럼 (Stella) | |
Chapter 2-1 | |||
coastline | Faker | FiND A WAY | |
Higher | LIMBO | Nobody Face Love | |
TROMA | 個人的なメモ (KENPO SAITO) | 다 잘될 거야 (Almost There) | |
Chapter 2-2 | |||
2038 (2022 Version) | Cybernetic Geist | Decision Altitude | |
Diabolic Swing | Glimmering | #EZ2ON REBOOT : R | |
ozma | ROD7 -Regions Of Desolation- | ONE히든곡 | |
추가 수록곡 | |||
MIRINAE (from Arcaea) | |||
총 43곡 수록 |
수록곡 목록 · DLC 정보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wiki style="text-align: left" | ||
<nopad> 전 키 최고 레벨 곡 (20 · 20 · 20 · 20) | |||
Sudden Death[1] 2008 | LIMBO PP | ||
JUSTITIA PP | Alteregoism TC1 | ||
<nopad> 3개 패턴 최고 레벨 곡 (4K 19 / 19 · 20 · 20 · 20) | |||
ULTIMATUM 2021 | PUPA 2021 | ||
R.F.C. Ⅱ PP | Black Dragon O2 | ||
Identity Part 2 O2 | Omega Ax GC | ||
ouroboros -twin stroke of the end- GC | Per Aspera Ad Astra GC | ||
ROD7 -Regions Of Desolation- PP | ozma PP | ||
Awakening Universe EC | Fortress 2 Blue GM05 (NieN Metal Remix) FT | ||
SON OF SUN DM | Fermion DM | ||
Legend EC | The Profound (KARUT Remix) FT | ||
BATTLE NO.1 TC | BEDLAM EV | ||
BlitzKrieg EV | Terminated Protocol EV | ||
Rosenkreuz†Vampir EV | Morgenglut 2012 AE | ||
<nopad> 3개 패턴 최고 레벨 곡 (4K 18 / 18 · 20 · 20 · 20) | |||
Kamui (神威) 2013 | AIR (EZ2ON Ver.) 2021 | ||
Guardian TT | 開花 PP | ||
Xeus DM | |||
<nopad> 2개 패턴 최고 레벨 곡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곡명 (카테고리) | 4K · 5K · 6K · 8K | |
picking 2021 | 18 · 20 · 20 · 19 | ||
GOODTEK 2021 | 17 · 18 · 20 · 20 | ||
ATOPY PP | 19 · 19 · 20 · 20 | ||
Destruction TT | 18 · 20 · 20 · 19 | ||
Resonance Spectra AE | 18 · 20 · 19 · 20 | ||
Taillight Phantom AE | 19 ·19 · 20 · 20 |
<nopad> 1개 패턴 최고 레벨 곡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곡명 (카테고리) | 4K · 5K · 6K · 8K | |
Fire Storm 4TH | 18 · 20 · 19 · 19 | ||
Revelation 7TH | 17 · 20 · 19 · 18 | ||
Lucid 2013 | 19 · 19 · 19 · 20 | ||
Encounter on orbit TT | 17 · 19 · 19 · 20 | ||
ApolloN CV | 18 · 19 · 20 · 18 | ||
MAX301 PP | 19 · 19 · 20 · 18 | ||
A Site De La Rue EC | 19 · 19 · 19 · 20 | ||
밀양 포트리스 ~구포 경유 REMIX~ FT | 18 · 19 · 19 · 20 | ||
BLACK GOLD DM | 18 · 19 · 19 · 20 |
[1] 특수 패턴으로 랭킹 미반영 및 기록 열람 불가 |
JUSTITIA | ||||
장르 | (미표기) | |||
BPM | 80~290[1][2] | |||
작곡 | Cosmograph vs. Lunatic Sounds (feat. NieN) | |||
배경 | alpha complex | |||
업데이트 날짜 | 2022년 12월 16일 (Prestige Pass DLC Chapter2) | |||
EZ2ON REBOOT : R 기준 난이도 정보 | ||||
모드 / 난이도 | <colcolor=DeepSkyBlue,#6495ed> EZ | <colcolor=DarkOrange> NM | <colcolor=DeepPink,salmon> HD | <colcolor=MediumVioletRed,PaleVioletRed> SHD |
<colcolor=white> 4 KEY | 8 | 15 | 18 | 20 |
5 KEY | 8 | 14 | 17 | 20 |
6 KEY | 7 | 14 | 18 | 20 |
8 KEY | 9 | 15 | 18 | 20 |
레벨 표기는 STANDARD 모드 기준. BASIC 모드의 레벨은 위첨자로 별도 표기. |
LIMBO에 이어 전 키 SHD 20레벨 곡으로 등장하면서 현 EZ2ON REBOOT : R의 양대 보스곡으로 자리매김하였다. LIMBO가 고밀도의 물량으로 밀어붙이는 체력곡 성향의 채보라면 JUSTITIA의 경우 잦은 변속과 난해한 변박 때문에 스코어링이 상당히 까다롭다. 클리어링 면에서는 LIMBO가 우위에 있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나 스코어링 면에서 현재의 EZ2ON REBOOT : R에서 JUSTITIA를 뛰어넘을 곡은 없다는 평. 처리력이 좋은 고수 유저들의 입장에서는 스코어링을 더 고평가 하기 때문에 LIMBO보다 우위에 있는 느낌이라고 한다.
2.1. 4 KEY
EZ (8) | NM (15) |
HD (18) | SHD (20) |
4K SHD의 경우 중후반부 롱잡 계단이 난관으로 굉장히 난해한 박자로 계단이 내려와 타이밍을 잘 맞추어 쳐야하고, 그러지 못할 경우 말려죽는다.
2.2. 5 KEY
EZ (8) | NM (14) |
HD (17) | SHD (20) |
2.3. 6 KEY
EZ (7) | NM (14) |
HD (18) | SHD (20) |
2.4. 8 KEY
EZ (9) | NM (15) |
HD (18) | SHD (20) |
SHD는 클리어 난이도마저 LIMBO를 뛰어넘으며 8키 STANDARD의 최종보스곡으로 평가받는다.
2.5. COURSE
- PM 10:45 - Tower Avenue 코스에 실렸다. 4, 6키에선 마지막 스테이지로 나오며 5, 8키에선 세번째 스테이지로 나온다.
3. 여담
- 예정대로라면 Chapter1에 수록되어야 했으나 Chapter2-2까지 미뤄지게 되었다. 디렉터 FOX-B는 패턴에 변속을 넣는 작업이 생각보다 길어졌기 때문에 미뤄졌다고 밝혔다. 이후 작곡가의 트윗과 공식방송을 통해 박자 변화도가 공개되었는데, 이전에 수록된 ULTIMATUM은 BPM 변속만 많았지만 이번엔 BPM 뿐만이 아닌 세부박자 변박까지 포함되는 등 "난장판" 그 자체였다. yusi.는 이를 두고 난수방송 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착한 변속[3] 이 때문에 키음 담당인 KIEN을 걱정하는 반응도 있었다. 작곡가 본인이 올린 BPM 변화도 정보 트윗에 대한 KIEN의 반응. 본인이 올린 작업 리뷰 영상(아래)에서는 한술 더 떠서 285BPM 6/4박에서 시작해서 한박 반마다 BPM이 증가해서 290BPM 6/4박이 되는 등 변속변박에 대한 기행이 그대로 드러났다. 직접 보고 느껴보자.
- 공식 방송에 따르면 Cosmograph와 Lunatic Sounds의 대결을 NieN이 심판을 본다는 느낌의 곡이라고 한다. 두 작곡가는 오버히트의 OST인 LION HEART에서 합을 맞춘 적이 있다.
- EZ2 시리즈에서는 Total Eclipse 이후 두번째로 작곡가의 서로 다른 명의의 대결 형태의 명의를 쓰이게 되었다.
- 피처링으로 NieN이 참여한 것은 Cosmograph와 NieN이 서로 친분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 디스코르디아, 유스티티아 모두 로마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이고, 같은 작곡가 표기 방식을 썼으며, 곡 전개가 비슷하고, BGA에 시계 태엽이 등장하고, 곡 초반 변박이 존재하는 등 ディスコルディア의 오마주라는 의견이 있다. ###### FOX-B 또한 곡 소개 시간에 사운드 볼텍스를 직접 언급하진 않았지만 최신 리듬게임 성향에 맞춘 곡이라고 알린 적이 있다.
- cosMo@폭주P의 야미나베!!!!가 프로세카에 수록됐을때, 유튜브 덧글로 누군가가 폭주P와 Cosmograph를 헷갈린 것인지 "유스티티아때 적당히 넘어가니까 선이라는게 없다생각하고 곡만드나 카멜리아도 이딴식으로 안싸는데"라며 오인사격을 하는 일이 있었다.#
정작 카멜리아는 더한 곡을 만든 전적이 있다
- 공식 방송에서 이 곡을 시연하던 FOX-B가 마지막 롱노트에서 계속 GOOD을 내버리는 바람에, 이후 롱노트에서 GOOD을 내는 상황을 폭스비당했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 작곡가인 Cosmograph가 이 곡의 6키 슈퍼하드 패턴을 스탠다드 판정으로 96%를 찍어버리자 이를 본 사람들은 "자급자족 작곡가"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물론 못하면 그것대로 놀림감이 될텐데 잘해서 이게 아닌데 스러운 반응이 더 많다
[1] 상세 BPM과 박자는 279 (3/4) → 270 → 250 → 230 → 150 → 279 (5/4 → 6/4 → 5/4) → 275 (3/4) → 270 → 255 → 240 → 110 (5/4) → 80 → 279 (6/4 → 3/4) → 260 (6/4) → 279 → 285 (6/4 → 5/4) → 286 (6/4) → 287 (6/4) → 288 → 289 → 290 (3/4) → 270 → 260 → 260 (6/4) → 279 → 279 (6/4 → 5/4 → 6/4) → 100 (1/1) → 279 (4/4)이다. 트윗영상[2] 공개 당시 최고 BPM이 290이 아닌 279로 되어있었다.[3] 작곡가 피셜로 "이 정도면 착한 변속이지"가 적혀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닌 게 이보다 훨씬 악질적인 변속의 Mystic Dream 9903 ~Horror Mix~와 kthnox 같은 곡들은 플레이 차트에 랭킹조차 되지 않은 상태이며 FOX-B도 똑같이 그렇게 얘기했다. 이후 Cosmograph 본인이 직접 이 곡의 6K SHD 패턴을 클리어한 모습을 유튜브 영상으로 남겨두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