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15:02:04

From Me to You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영제가 From Me to You인 시이나 하루코의 만화}}}에 대한 내용은 [[너에게 닿기를(만화)]]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너에게 닿기를(만화)#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너에게 닿기를(만화)#|]]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영제가 From Me to You인 시이나 하루코의 만화: }}}[[너에게 닿기를(만화)]]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너에게 닿기를(만화)#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너에게 닿기를(만화)#|]]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비틀즈의 역대 싱글
Please Please Me
(1963)
From Me to You
(1963)
She Loves You
(1963)
From Me to You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From Me to You
<colbgcolor=#FDF2EE><colcolor=#281F1A> 싱글 발매일 파일:영국 국기.svg 1963년 4월 11일
파일:미국 국기.svg 1963년 5월 27일
싱글 B면 Thank You Girl
녹음실 EMI 스튜디오
장르 로큰롤, 머지 비트
재생 시간 1:56
작사/작곡 레논-매카트니
프로듀서 조지 마틴
레이블 팔로폰 레코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비제이 레코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FromMeToYou.jpg.jpg
}}}}}}}}} ||

1. 개요2. 가사3. 차트 성적

1. 개요

비틀즈의 노래. 1963년 3월 5일 녹음되었으며, 약 한 달 뒤 발표되었다.

레논-매카트니의 작곡인데, 의 비중이 좀 더 높은 곡으로 평가받는다. 곡의 첫 부분은 존 레논이 썼는데 블루스 느낌이 너무 강해 녹음할 생각은 하지 않다가 폴이 좀 더 경쾌한 분위기의 뒷부분을 작곡하여 비로소 녹음할 수 있었다고 한다. 폴에 의하면 정확히는 래그타임 형식으로 지었다고 하며 특히 브릿지에 해당하는 중간 부분(I've Got Arms ...)에서 마이너 코드와 7도 코드를 사용하여 마음에 들었다고 한다. 스스로 작곡 능력이 한층 늘어난 느낌이었다고. 하지만 곡을 지을 당시에는 5년 뒤에는 이 곡을 멋지게 편곡을 할 수도 있겠지만, 이 곡 같은 쓰레기 같은 곡들을 쓸 것이라고 자학개그를 했다고 한다. 하지만 5년 뒤에는..

곡의 배경은 1963년 2월 28일 슈루즈베리로 가는 관광버스에서 썼다고 하며, 곡의 제목은 '뉴 뮤지컬 익스프레스' 라는 뮤지컬에서 나온 곡인 'From You To Us' 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존은 이에 대해 폴과 내가 그 곡을 썼던 날 밤, 우리는 마차를 타고 요크에서 슈루즈베리까지 여행하면서 헬렌 샤피로에게 가는 길을 가고 있었고, 장난 식으로 썼다고 한다. 그 곡을 처음 들은 헬렌 샤피로는 이 곡을 다음 싱글로 내라는 추천을 했다고 한다.
그래서 원래 비틀즈는 다음 싱글로 'Thank You Girl'을 발표할 계획이었지만 그 조언을 듣고 이 곡으로 싱글을 변경했다고 한다.

이 곡을 쓸 당시 여담으로 비틀즈가 유명해지면서 다른 음악가들을 만나기 시작했고 그 중 로이 오비슨이 있었는데, 비틀즈가 로이 오비슨과 관광 버스에 탈 때, 로이 오비슨이 한 노래를 흥얼거리면서 짓고 있었다고 한다. 근데 그 곡이 바로 로이 오비슨을 상징하는 노래인 'Oh, Pretty Woman' 이었다고 한다. 그 노래를 들은 비틀즈는 사랑스러운 노래였다고 좋아했다 한다.

또한 폴은 이 곡이 1위를 차지했을 때 자신이 클럽에서 돌아와서 막 자려고 하는데 우유 배달원이 이 곡을 휘파람으로 부는 걸 들었다고 한다. 그 때 자신한테 감동을 느꼈다고 한다.

영국에서는 비틀즈 최초로 차트 1위를 기록했고[1], 미국에서는 비틀즈의 음악이 중소 음반사인 Vee-Jay 레이블을 통해 소수만 유통되던 상황에서 빌보드 핫 100에 최초로 차트인하며 나름대로 이름을 알리게 된다.

후에는 'Runaway' 로 유명한 댈 섀넌이나 You light up my light의 데비 분이 커버하기도 했다.

2. 가사


From Me to You
Da da da, da da dum dum da
다 다 다, 다 다 덤 덤 다
Da da da, da da dum dum da
다 다 다, 다 다 덤 덤 다

If there's anything that you want
만약 네가 원하는 것이 있다면
If there's anything I can do
만약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Just call on me and I'll send it along
그냥 나를 불러줘, 그러면 내가 보내 줄게
With love, from me to you
사랑을 담아, 내게서 너에게로

I've got everything that you want
네가 원하는 거라면 뭐든 갖고 있어
Like a heart that's oh so true
진실한 마음 같은 것 말이야
Just call on me and I'll send it along
그냥 나를 불러줘, 그러면 내가 보내 줄게
With love, from me to you
사랑을 담아, 내게서 너에게로

I've got arms that long to hold you
내 팔로 너를 꼭 껴안고
And keep you by my side
그대로 내 곁에 두고 싶어
I've got lips that long to kiss you
내 입술로 너에게 키스하고
And keep you satisfied
그리곤 널 황홀하게 하고 싶어

If there's anything that you want
만약 네가 원하는 것이 있다면
If there's anything I can do
만약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Just call on me and I'll send it along
나를 불러줘, 그렇게 하면 내가 보내줄게
With love, from me to you
사랑을 담아, 내게서 너에게로

From me
내게서
To you
너에게로
Just call on me and I'll send it along
그냥 나를 불러줘, 그러면 내가 보내 줄게
With love, from me to you
사랑을 담아, 내게서 너에게로

I've got arms that long to hold you
내 팔로 널 꼭 껴안고
And keep you by my side
그대로 내 옆에 두고 싶어
I've got lips that long to kiss you
내 입술로 너에게 키스하고 싶어
And keep you satisfied
그리곤 널 황홀하게 하고 싶어

If there's anything that you want
만약 네가 원하는 것이 있다면
If there's anything I can do
만약 내가 할 수 있는게 있다면
Just call on me and I'll send it along
그냥 나를 불러줘, 그러면 내가 보내 줄게
With love, from me to you
사랑을 담아, 내게서 너에게로
To you
너에게로
To you
너에게로
파일:비틀즈 로고.svg

3. 차트 성적

[include(틀:오피셜 싱글 차트 1위 노래,
전번_곡=How Do You Do It? ,
전번_아티스트=게리 앤 더 페이스메이커즈,
전번_1위_기간=3주 연속,
이번_곡=From Me to You,
이번_아티스트=비틀즈,
이번_1위_기간=7주 연속,
후번_곡=I Like It,
후번_아티스트=게리 앤 더 페이스메이커즈,
후번_1위_기간=4주 연속)]
[1] 정확히는 Please Please Me도 당시 4개 존재하던 영국 싱글 차트 중 3개에서는 1위를 달성했지만 나머지 하나, 하필 현재의 공식 싱글 차트의 전신이 된 Record Retailer 차트에서만 2위를 해서 현재는 1위곡 대접을 못 받는다. 이 곡은 그 Retailer에서 1위를 한 첫 번째 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