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co 라인업의 Wi-Fi 7 지원 라우터 BE85 |
1. 개요
TP-LINK의 메쉬 Wi-Fi 라우터 브랜드. 작게는 가정용부터, 소형 오피스까지 커버할 수 있는 메쉬 Wi-Fi 시스템을 갖춘 제품을 발매하고 있다.2. 특징
모든 제품이 메쉬 Wi-Fi를 지원하고 있다. 다만, EasyMesh를 지원하지 않고 독자적인 DecoMesh만을 지원하고 있어, Deco 상품군은 Deco끼리만 메쉬 Wi-Fi 구성이 가능하다. 다만 Deco 끼리라면 별다른 제한은 없어, Wi-Fi 6만 지원하는 기종(X50 등)과 Wi-Fi 7을 지원하는 기종(BE85 등)을 메쉬로 묶는 것도 가능하다. 몇몇 최신 제품들의 경우 유선 백홀 구성도 가능해, BE85끼리를 10GbE 포트끼리 유선으로 연결하면 10GbE 대역폭을 두 기기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다.또한, Wi-Fi 6 이후 제품군은 모두 IEEE 802.11 규격명의 일부를 제품명으로 채용하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예를 들어, Wi-Fi 6(IEEE802.11 AX) 지원 제품의 경우 X90, X50, X10, X20 등 제품명이 X로 시작하며, Wi-Fi 6E 지원 제품의 경우 XE75, XE200 등으로 XE로 시작한다. Wi-Fi 7(IEEE802.11 BE) 제품군은 BE85, BE75 등 BE로 시작한다. 그 이전인 Wi-Fi 5(IEEE802.11 AC) 제품인 경우 AC나 C가 아닌 M으로 시작한다.
또한, WAN/LAN 포트 구별이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포트가 동일하게 WAN/LAN을 지원하며, 어느 포트에나 WAN을 꼽으면 이를 자동 인식해서 WAN포트로 동작하고, 그 외의 포트는 자동적으로 LAN포트로 작동하게 된다. 또한, 2대 이상을 무선 메쉬로 구성했을 경우, 1대를 '메인'으로 설정하여 해당 기기에 WAN 포트를 접속하면, 그 외의 Deco 제품의 모든 포트는 LAN으로 작동하며, 무선으로 접속된 해당 Deco 제품에서 LAN으로 유선 이더넷 포트를 뽑는 것도 가능하다. 때문에 유선 LAN만 지원하는 몇몇 기기가 공유기에서 너무 먼 거리에 있을 경우, Deco를 한대 더 사서 메쉬에 구성하면, 해당 Deco에서 유선 LAN으로 연결하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인터넷 선 공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집 공사가 어려운 임대주택 등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기능이다.
Deco 앱을 통해 기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앱을 통해 연결된 기기 일람을 보거나, 메쉬 맵을 열람할 수 있고, 기기 접속을 차단하거나, 특정 기기에 인터넷 접속 제한을 걸 수도 있으며, 유료 기능으로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도 설정할 수 있다. 2024년 6월 기준, 시험적인 기능으로, 유료 VPN 서비스와 연결해서 Deco에 접속한 기기 모두를 VPN으로 접속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원래는 OpenVPN이나 IPsec 등 VPN 접속정보가 필요했다. NordVPN과 Surfshark를 지원한다.
몇몇 제품군의 경우 WPS 버튼이 존재하지 않아, Deco 앱을 통해서 WPS를 눌러줘야 한다. 다만 BE 제품군부턴 WPS 버튼이 추가되었다.
3. 제품군
3.1. Wi-Fi 5(IEEE802.11 ac)
3.1.1. Deco M3
3.1.2. Deco M3W
3.1.3. Deco M4
3.1.4. Deco M5
3.1.5. Deco M9 Plus
3.2. Wi-Fi 6
3.2.1. Deco X10
3.2.2. Deco X20
3.2.3. Deco Voice X20
3.2.4. Deco X50
Wi-Fi 6 및 mesh구성을 지원하는 티피링크사의 Deco 공유기IEEE 802.11ax/ac/n/a 5 GHz
IEEE 802.11ax/n/b/g 2.4 GHz
일단 인테리어적으로 상당히 매력적인 디자인으로
안테나가 내부에 탑재되어 공유기보단 오히려 미니 가습기에 가까운 디자인 형태로 보여진다.
1~3 Pack 단위로 판매되고있으며, 최대 7대까지 확장가능하다.
Deco 위성은 Deco mesh 기술을 활용한 무선 mseh와
이더넷 백홀을 통한 유선 mesh구성이 가능하며
무선 mesh 구성을 위해서는 메인Deco에 인터넷 랜선 연결이 필요하고 이후 원하는 위치에 Deco 위성을 설치(전원연결)하기만하면 끝이다.(추가설정은 Deco앱에서 위성추가기능활용)
이더넷 백홀 유선 mesh 구성을 위해서는 메인Deco에 인터넷 랜선 연결 후 나머지 남는 이더넷 포트(X50의 이더넷포트는 3개)를 다른위치에 있는 Deco위성을 랜선을 통해 직결해주어야한다.
이 과정에서 Deco 기기가 3개 이상이 될경우 기가비트급 스위칭허브를 통해 더많은 Deco기기를 이더넷 백홀을 통해 유선구성할수있으며 해당 부분은 타회사의 유선mesh 구성방식과 동일하다. 다만 유선mesh 구성에 있어 상당히 간단한 Deco앱의 설명방식이 타회사대비 장점이자 돋보이는점이다.
*유선 mesh vs 무선 mesh 속도차이
Deco의 무선 mesh도 타회사 대비 상당히 강력한 속도를 보여주었다. (이는 유튜버 ‘눈쟁이’님의 Deco X50 홍보영상에서도 확인가능하다 =https://youtu.be/tcncnuxNyMs$0)
하지만 메인Deco와 멀리있는 위성Deco의 경우 속도차가 발생하긴하며 (평수가 크거나 벽 또는 문이 많은 구조, 복층구조 등은 무선 mesh기술의 한계가 크게 체감될것이다.) 이러한 속도차를 없애기위해서는 까다롭긴하지만 유선 mesh기술을 사용한다면 위성 Deco에서도 메인Deco 수준의 인터넷속도를 느껴볼수있을것이다.
(2025-04-11 기준) 현재까지 출시된 글로벌 모델의 버전은 V1, V1.2, V1.3, V2, V3가 있다
안테나는 버전별 개수차이가 있고, 듀얼밴드, HE160, 2X2 MU-MIMO를 지원한다. OFDMA 4스트림까지 지원 가능.
3개의 유선 포트가 있으며, 3포트 모두 1GbE를 지원한다.
하드웨어 버전별 스펙 (2025-04-11 기준)
V1 스펙 (EU)
https://www.tp-link.com/en/support/download/deco-x50/v1/
V1.2 스펙 (EU,US)
https://www.tp-link.com/en/support/download/deco-x50/v1.20/
V1.3 스펙 (1.2와 동일)
https://www.tp-link.com/en/support/download/deco-x50/v1.30/
V2 스펙 (EU,US)
https://www.tp-link.com/en/support/download/deco-x50/v2/
V3 스펙 (EU,US)
https://www.tp-link.com/en/support/download/deco-x50/v3/
이외 소수점 단위에서 다른 버전이 있을수는 있으나 이는 티피링크측에서 밝혀둔 국가 및 지역별로 다른버전으로 출시된것으로
이와 관련한 스펙차이는 본인이 갖고있는 기기의 설명서로 확인해야한다.
버전별 차이점
버전별 안테나 개수의 차이가 있으며
2× Internal Antennas (Deco X50 V1.0~V2.0)
3× Internal Antennas (Deco X50 V3.0)
HomeShield 관련 구독기능 또는 VPN 클라이언트 설치기능은 업데이트를 통해 구버전 사용자도 사용할 수 있게되었다.
버전별 소모전력량에서의 차이도 있다
V1 = Power Consumption (with power adapter): 16 W max
V1.2 = Power Consumption (with power adapter): 16 W max (EU version); 18.5 W max (US version)
V1.3 = V1.2
V2 = Power Consumption (with power adapter): 14.8 W max (US version); 12.8 W max (EU version)
V3 = Power Consumption (with power adapter): 15 W max
또한 국가별 인증 차이와 권장 보관온도부분에서의 차이가 있다
V1 = Certification: CE, FCC, RoHS, RCM, Storage Temperature: -40°C~70°C (-40°F~158°F)
V1.2 = Certification: CE, FCC, RoHS, RCM, Storage Temperature: -40°C~60°C (-40°F~140°F)
V1.3 = V1.2
V2 = Certification: CE, FCC, RoHS, Storage Temperature: -40°C~60°C (-40°F~140°F)
V3 = Certification: CE, RoHS, JPA, JRF, VCCI, Storage Temperature: -40°C~60°C (-40°F~140°F)
이러한 차이점은 출시국가별 각기다른 인증방식과, 안테나 개수 증설의 영역에서 스펙이 차이를 보여주고있다.
한국출시버전 (2025-04-11 기준)
한국출시버전은 공식적으로 V1, V1.2, V1.3버전으로 알려져있다. (티피링크 한국 X50 정보 인용)
한국 V1 = https://www.tp-link.com/kr/support/download/deco-x50/v1/
한국 V1.2 = https://www.tp-link.com/kr/support/download/deco-x50/v1.20/
한국 V1.3 = https://www.tp-link.com/kr/support/download/deco-x50/v1.30/
아직까지 안테나3개가 달린 X50 국내버전은 없으므로 해외구매를 통해 상위버전을 구매하지않는이상 구버전을 사용중인셈이다.
따라서 안테나 개수가 더많은 모델을 구입하길 원한다면 X60 모델을 이용하면된다.
(AX3000급 성능인 X50과 AX5400급 성능인 X60의 스펙 차이점이 있으며 X50의 이더넷포트는 3개이지만 X60은 이더넷포트가 2개이다. 나머지 부분은 X60 설명을 참고바람)
3.2.5. Deco X50-PoE
3.2.6. Deco X50-Pro
3.2.7. Deco X55
3.2.8. Deco X60
Wi-Fi 6 및 mesh구성을 지원하는 티피링크사의 Deco 공유기IEEE 802.11ax/ac/n/a 5 GHz
IEEE 802.11ax/n/b/g 2.4 GHz
Qualcomm Networking Pro 600 (1Ghz Quad-core CPU), 1024QAM
안테나는 내부에 4개 탑재, 듀얼밴드, MU-MIMO를 지원한다. OFDMA 6스트림까지 지원 가능.
일단 인테리어적으로 상당히 매력적인 디자인으로
안테나가 내부에 탑재되어 공유기보단 오히려 미니 가습기에 가까운 디자인 형태로 보여진다.
1~3 Pack 단위로 판매되고있으며, 최대 7대까지 확장가능하다.
Deco 위성은 Deco mesh 기술을 활용한 무선 mseh와
이더넷 백홀을 통한 유선 mesh구성이 가능하며
무선 mesh 구성을 위해서는 메인Deco에 인터넷 랜선 연결이 필요하고 이후 원하는 위치에 Deco 위성을 설치(전원연결)하기만하면 끝이다.(추가설정은 Deco앱에서 위성추가기능활용)
이더넷 백홀 유선 mesh 구성을 위해서는 메인Deco에 인터넷 랜선 연결 후 나머지 남는 이더넷 포트(X60의 이더넷포트는 2개)를 다른위치에 있는 Deco위성을 랜선을 통해 직결해주어야한다.
이 과정에서 Deco 기기가 3개 이상이 될경우 기가비트급 스위칭허브를 통해 더많은 Deco기기를 이더넷 백홀을 통해 유선구성할수있으며 해당 부분은 타회사의 유선mesh 구성방식과 동일하다. 다만 유선mesh 구성에 있어 상당히 간단한 Deco앱의 설명방식이 타회사대비 장점이자 돋보이는점이다.
*유선 mesh vs 무선 mesh 속도차이
Deco의 무선 mesh도 타회사 대비 상당히 강력한 속도를 보여주었다. (이는 유튜버 ‘눈쟁이’님의 Deco X50 홍보영상에서도 확인가능하다 =https://youtu.be/tcncnuxNyMs$0)
하지만 메인Deco와 멀리있는 위성Deco의 경우 속도차가 발생하긴하며 (평수가 크거나 벽 또는 문이 많은 구조, 복층구조 등은 무선 mesh기술의 한계가 크게 체감될것이다.) 이러한 속도차를 없애기위해서는 까다롭긴하지만 유선 mesh기술을 사용한다면 위성 Deco에서도 메인Deco 수준의 인터넷속도를 느껴볼수있을것이다.
(2025-04-13 기준) 현재까지 출시된 글로벌 모델의 버전은 V1, V3, V3.2, V4.2가 있으며
한국기준 V3.2가 가장 최신버전의 Deco X60 기기이다.
2개의 유선 포트가 있으며, 2포트 모두 1GbE를 지원한다.
하드웨어 버전별 스펙(2025-04-13 기준)
V1 스펙
https://www.tp-link.com/en/home-networking/deco/deco-x60/v1/
V2 스펙
(V1과 동일, 국가 및 지역별로 다른버전으로 출시된것으로 기록되었으나 스펙은 동일하다. 아래는 참고할만한 데이터시트)
https://www.tp-link.com/en/support/download/deco-x60/v2/
V3 스펙
https://www.tp-link.com/en/home-networking/deco/deco-x60/v3/
V3.2 스펙
https://www.tp-link.com/en/home-networking/deco/deco-x60/v3.20/
V4 스펙
(V3.2와 동일, 국가 및 지역별로 다른버전으로 출시된것으로 기록되었으나 스펙은 동일하다. 데이터시트는 제공되지않음)
https://www.tp-link.com/en/support/download/deco-x60/v4/
V4.2 스펙
https://www.tp-link.com/en/home-networking/deco/deco-x60/v4.20/
이외 소수점 단위에서 다른 버전이 있을수는 있으나 이는 티피링크측에서 밝혀둔 국가 및 지역별로 다른버전으로 출시된것이다.
구버전 160Mhz 대역폭 업데이트로 인한 AX5400급 성능 업그레이드
해당 제품에 탑재된 칩셋인 ‘Qualcomm Networking Pro 600 (1Ghz Quad-core CPU)’은 160Mhz 대역폭을 지원하다.
다만 과거 V1~V3 버전에서는 80Mhz 대역폭만 사용이 가능했고 따라서 해당 제품광고에도 AX3000 급성능을 자랑했다.
이후 V3.2 버전부터 160Mhz 대역폭사용이 가능해졌고 이전버전들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동일성능이 제공되어졌다.
따라서 구버전 제품도 AX5400 급 성능으로 업데이트 된셈이다.
결론적으로 하드웨어는 동일하고 구버전은 펌웨어 언락(해금)을 통해 160Mhz 대역폭을 사용할수있게 되었는데
이러한 이유로는 전파인증문제(국가별제한), DFS(레이더 간섭 회피)처리 문제등이 해결된 최신제품 출시이후 업데이트 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티피링크측에선 이와 관련된 별도의 설명은 없었다.
버전별 차이점
V1~V3 의 경우 스펙상 차이가 없는 AX3000 (Wi-Fi 6 speeds up to 3,000 Mbps—2,402 Mbps on 5 GHz and 574 Mbps on 2.4 GHz) 급 성능을 갖고 출시되었다. 하지만 이후 업데이트를 통해 AX5400 급 성능이 제공되고 있다.
V3.2~V4.2 의 경우 스펙상 차이가 없는 AX5400 (Wi-Fi 6 speeds up to 5,400 Mbps—4,804 Mbps on 5 GHz and 574 Mbps on 2.4 GHz.) 급 성능을 갖고있는 제품이다 따라서 V3.2~V4.2 버전이 최신버전이며 한국엔 (2025-04-11 기준) 현재 까지 V3.2 버전까지 출시되어있다.
HomeShield 관련 구독기능 또는 VPN 클라이언트 설치기능은 업데이트를 통해 구버전 사용자도 사용할 수 있게되었다.
해당 제품들은 모두 외관 및 구성품까지 전부 동일하지만 V3.2버전 부터 제품 박스에 AX3000 이 아닌 AX5400 의 스펙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구버전 제품 또한 업데이트를 통해 AX5400 급 성능이 제공되어지고 있다.
한국출시버전 (2025-04-13 기준)
한국출시버전은 공식적으로 V1, V2, V3, V3.2 버전으로 알려져있다. (티피링크 한국 X60 정보 인용)
한국 V1 = https://www.tp-link.com/kr/support/download/deco-x60/v1/
한국 V2 = https://www.tp-link.com/kr/support/download/deco-x60/v2/
한국 V3 = https://www.tp-link.com/kr/support/download/deco-x60/v3/
한국 V3.2 = https://www.tp-link.com/kr/support/download/deco-x60/v3.20/
3.2.9. Deco X90
3.2.10. Deco X95
3.3. Wi-Fi 6E
3.3.1. Deco XE75
3.3.2. Deco XE200
3.4. Wi-Fi 7
3.4.1. Deco BE65
6GHz에서 최대 5760Mbps, 5GHz에서 최대 4320Mbps 전송속도를 지원한다.(802.11be) 2.4Ghz에서는 574Mbps까지만 지원한다.(802.11ax)안테나는 4개 달려있으며, 2x2 MU-MIMO를 지원한다. 6스트림까지 지원 가능.
4개의 유선 포트가 있으며, 4포트 모두 2.5GbE를 지원한다.
3.4.2. Deco BE75
6GHz에서 최대 5760Mbps, 5GHz에서 최대 4320Mbps 전송속도를 지원한다.(802.11be) 2.4Ghz에서는 688Mbps까지만 지원한다.(802.11ax)안테나는 6개 달려있으며, Deco BE65와는 달리 4x4 MU-MIMO를 지원한다. 8스트림까지 지원 가능.
4개의 유선 포트가 있으며, 3개의 포트는 2.5GbE를 지원하며, 나머지 1개의 포트는 10GbE 포트로, 일반적인 RJ45(일반적인 이더넷 포트)로 사용하거나, 혹은 SFP+ 포트를 연결할 수도 있다.
3.4.3. Deco BE85
6GHz에서 최대 11520Mbps, 5GHz에서 최대 8640Mbps 전송속도를 지원한다.(802.11be) 2.4Ghz에서도 1376Mbps까지의 전송속도를 지원한다.(802.11be)안테나는 8개 달려있으며, BE75와 동일하게 4x4 MU-MIMO를 지원한다. 12스트림까지 지원 가능.
또한 상기 BE65나 BE75와는 달리, IoT 기기만을 위한 2.4GHz 전용 Wi-Fi 네트워크를 별도로 사용 가능하다. IoT 네트워크는 기본 네트워크와는 완전하게 분리되며, 인터넷 접속은 가능하지만 IoT네트워크가 아닌 기본 네트워크에서 LAN으로 접속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Apple HomeKit 지원 액세서리의 경우 IoT 네트워크로 접속하면 Apple TV나 HomePod 등을 기본 네트워크에 접속 시 연결이 불가능해지므로, 둘 다 IoT 네트워크로 접속하거나 둘 다 기본 네트워크로 접속해야 한다.
4개의 유선 포트가 있으며, 2개의 포트는 2.5GbE를 지원하며, 2개의 포트는 10GbE를 지원한다. 10GbE 포트 2개 중 하나는 BE75와 동일하게 RJ45/SFP+의 콤보 포트로, RJ45 혹은 SFP+ 둘 중 하나를 연결해 사용할 수 있다.
3.4.4. BE65 - BE75 - BE85 공통
Wi-Fi 7의 신기능인 MLO를 지원하여, 2.4GHz, 5GHz, 6GHz의 주파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VPN 서버/클라이언트를 지원하여, VPN 서버로서 VPN망을 구축할수도 있으며, OpenVPN이나 IPsec 등을 통해 VPN 서비스에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또한 IPv4와 IPv6를 지원하며, 각종 IPv6 연결 서비스를 지원한다. WAN타입으론 동적IP, 정적IP, PPPoE, PPTP, L2TP, v6플러스, DS-Lite, MAP-E(OCN) 등을 지원한다. 포트 전송이나 IP주소 예약, IGMP 스누핑이나 브릿지도 지원한다. 2.4GHz와 5GHz는 동일한 SSID로 동작하며, 6GHz는 분리되어 있지만, 2.4/5GHz 네트워크와 동일한 SSID를 설정하면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라우터 모드와 브릿지 모드 2가지 모드를 지원한다.
USB-A(USB3) 포트를 탑재하고 있어, 외장 USB 저장장치를 연결해 FTP 서버로서 사용하거나, Mac 제품의 무선 Time Machine 저장장치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존 Deco에서는 무선 백홀만 지원했지만, 이더넷 백홀도 지원하여 메쉬 Wi-Fi끼리의 접속을 유선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최대 200대 이상의 기기를 접속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