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13:17:03

DRX Challengers/2023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RX Challengers|DRX Challengers]]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102a3><tablebgcolor=#1102a3> 파일:DRX 로고(화이트).svgDRX Challengers
역대 시즌
}}}
{{{#!wiki style="color: #1102a3;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DRX
Challengers
2021 2022 2023
2024 2025
}}}}}}}}} ||
파일:DRX로고(화이트)_테두리 간격.png
DRX 역대 시즌
2022 시즌 2023 시즌 2024 시즌

1. 개요

DRX Challengers의 2023 시즌을 서술한 문서.

2. LCK 스토브리그/2022

3. 2023 LCK Challengers League Spring

여러모로 어수선했던 1군과 달리 구본택 감독만 계약 종료된 것 빼고는 엄청 조용한 스토브리그를 보냈으며 12월 1일, 기존에 주전 서포터었던 이 파트너였던 태윤과 함께 은사 김대호 감독이 있는 광동 프릭스로 이적했다.

12월 28일, AWESOME SPEAR 소속 선수로 활동했던 크러쉬가 코치로 부임하였고 클리어-스폰지-세탭&스타릿-플레타-피에로로 2023 시즌 로스터를 확정지었다.

1라운드 막판까지 매주 1승 1패에 득실은 0을 거두며 진정한 의미의 5할 승률을 유지했으나, 5주차부터 점차 승리를 챙기더니 파죽의 6연승을 기록하며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다. KT와 함께 포스트시즌 개근을 유지한 것은 덤.

계속 연승을 이어가다, 9주차 선두를 다투던 디플러스 기아를 2:0으로 꺾으며 선두 싸움에 본격적으로 끼어들었다. 그리고 디플러스가 T1에게 덜미를 잡히며 주저앉고, 정규시즌 마지막 경기였던 KT전을 2:0으로 승리하면서 승자승에서 앞서서 기적적으로 정규 시즌을 1위로 마무리했다. 말 그대로 CL 정규시즌 버전 중꺾마를 보여주었다.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서는 T1을 선택했다. 1, 2경기는 좋지 않은 경기력으로 패배했지만 남은 3, 4, 5 경기를 모두 이기며 선배들의 롤드컵 8강 역스윕을 재현한 것은 물론, 2021 서머에 당했던 역스윕을 베이에게 돌려주는 데에도 성공했다.[1]

승자조에서 KT를 만나게 되었다. 1,2세트는 아쉬운 경기력을 보이며 패배했지만, 또다시 3세트부터 각성, 3,4,5세트를 모두 승리하며 두번째 역스윕을 달성하며 가장 먼저 결승전에 선착했다.

그러나 패자조에서부터 칼을 갈고 온 디플러스 기아에게 1:3으로 패배하며 준우승으로 이번 시즌을 마무리했다.

4. 2023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스프링에서 보여준 드라마틱했던 미라클 런이 준우승으로 마무리되는 아쉬움을 뒤로 하고 5월 22일, 클리어와 계약 종료를 하고 다음날 3군 탑 프로그와 서포터 커리어를 콜업, 주전 서포터 피에로와 서브 미드 스타릿을 로스터에서 말소시키며 프로그-스폰지-세탭-플레타-커리어로 로스터를 확정지었다.

1주차에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고, 광동에게 한 세트를 내주긴 했으나, 결과적으로 매치 2승을 챙기며 득실 하나차이로 단독 3위로 1주차를 마쳤다.

서머 2라운드 덕담이 CL로 복귀하게 되면서 기존 주전 원딜이었던 플레타가 다시 서포터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덕담 가세 후 2라운드에서 3연승을 달리며 2위 싸움에 본격적으로 끼어들었다.

하지만 한화와 농심의 기세에 밀려나면서 4위로 정규 시즌을 마쳤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 상대는 KT가 되었다. 그리고 3:1로 승리, KT의 천적임을 다시 한 번 드러내며 플레이오프 2라운드로 향했다.

플레이오프 2라운드 상대는 농심. 스폰지와 세탭의 저점이 드러나면서 1:3으로 패배해 패자조로 내려갔다.

패자조에서 한화를 3:0으로 잡아내며 최종 진출전에 진출했지만, 지난 시즌 자신들에게 준우승을 안겨준 디플러스 기아에게 0:3으로 패배하며 최종 3위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5. 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 그룹 스테이지 D조
파일:PSG Talon 로고 2022.svg파일:PSG Talon 로고 2022 화이트.svg 파일:MiaoJinglogo_square.png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V3_Esports_2021_only.png


조별리그에서는 프로그가 CL와는 다르게 꾸준히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었고 세탭, 덕담의 캐리와 함께 6승 0패 전승으로 8강에 진출하였다.

8강 DK전에서는 덕담이 게임을 지배하였다. 덕담은 승리한 1, 3, 4세트에서 모두 MVP를 받았으며 징크스, 자야, 아펠리오스로 압도적인 원딜 캐리를 보여주었다.

4강에서는 한화와 리매치를 CL 플레이오프 리매치를 펼치게 되었고, 3:0으로 다시 한 번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 상대는 지난 ASCI 준우승팀인 MAX. 1,2세트를 선취하며 쉽게 승리하는 듯 보였으나, MAX의 반격에 3,4세트를 내주었다. 대망의 5세트 초반 게임을 잘 풀어나갔으나, MAX의 한타에 말리면서 위기가 이어진다. 그러나 크산테를 잡은 프로그의 미친듯한 활약으로 끝내 2번째 바론을 챙기며 승기를 가져왔고, MAX가 드래곤을 치는 사이, 녹턴 궁 + 더블 텔레포트를 통한 백도어로 MAX의 넥서스를 파괴하며 DRX가 2023 ASCI 챔피언 자리에 등극한다.




[1] T1 미드인 베이가 2021 서머 역스윕 당시 농심의 미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