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템 | 건물 | 차량 | |||
팁 | 맵 |
1. 개요2. 건물 목록
2.1. 생산 시설
2.1.1. 벽돌 공장2.1.2. 콘크리트 믹서기2.1.3. 혼합기2.1.4. 조립동2.1.5. 대기 분리 장치2.1.6. 집적회로 가공기2.1.7. 데이터 센터2.1.8. 메인프레임 컴퓨터2.1.9. 발효조2.1.10. 침전조
2.2. 물의 추출 및 처리 시설2.2.1. 빗물 저류 시설2.2.2. 지하수 펌프2.2.3. 해수 펌프2.2.4. 보일러2.2.5. 증발지2.2.6. 가열식 해수 담수기2.2.7. 물 냉각 시설2.2.8. 전해조2.2.9. 냉각탑2.2.10. 열 저장 장치
2.3. 식량 생산 시설2.4. 금속&제련 시설2.4.1. 석탄 제조기2.4.2. 분쇄기2.4.3. 회전식 가마2.4.4. 용광로2.4.5. 아크 용광로2.4.6. 금속 주조기2.4.7. 냉각 주조기2.4.8. 구리 전기분해기2.4.9. 산소 용광로2.4.10. 유리 제조기2.4.11. 실리콘 결정화 장치2.4.12. 실리콘 반응기2.4.13. 금 용광로
2.5. 발전 시설2.5.1. 경유 발전기2.5.2. 발전기2.5.3. 플라이휠2.5.4. 초압력 터빈2.5.5. 고압 터빈2.5.6. 저압 터빈2.5.7. 원자로2.5.8. 고속 증식로2.5.9. 농축 공장2.5.10. 핵연료 재처리 공장2.5.11. 태양광 패널
2.6. 원유 정제 시설2.6.1. 기본 증류기2.6.2. 원유 펌프2.6.3. 화학 공장2.6.4. 증류탑2.6.5. 고무 제조기2.6.6. 나프타 분해 설비2.6.7. 수소 개질기2.6.8. 산 세척 설비2.6.9. 합성수지 공장
2.7. 폐기물 관리2.7.1. 굴뚝2.7.2. 유체 배수구2.7.3. 소각탑2.7.4. 배기 여과 장치2.7.5. 폐수 처리 장치2.7.6. 혐기성 소화조2.7.7. 소각로(고체)2.7.8. 폐기물 선별 시설2.7.9. 가스 주입 펌프2.7.10. 압축기2.7.11. 분쇄기2.7.12. 소각 시설
2.8. 수송 설비2.8.1. 평면 컨베이어2.8.2. U자형 컨베이어2.8.3. 파이프2.8.4. 용융물 통로2.8.5. 밸런서2.8.6. 분류기2.8.7. Conveyer Lifter2.8.8. 스태커
2.9. 보관소2.10. 건물2.11. 건물 (차량용)2.12. 주거지 및 서비스2.12.1. 주거지2.12.2. 식료품 상점2.12.3. 생활용품 / 가전제품 / 전자제품 상점2.12.4. 상수도 시설2.12.5. 변압기2.12.6. 폐기물 / 재활용품/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2.12.7. 진료소2.12.8. 광장
2.13. 화물 부두2.14. 랜드마크[clearfix]
1. 개요
Captain of Industry의 건물을 설명하는 문서이다.2. 건물 목록
2.1. 생산 시설
2.1.1. 벽돌 공장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벽돌 공장 Brickworks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벽돌 생산[I] 연구 |
재료 | |
크기 | 6x6 |
인원 | |
소비전력 | 없음 |
유지보수 | |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철광석과 석탄 매장지 사이에 지어 동선을 최소화하고, 흙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줄 전용 굴삭기도 있어야 한다. 가격이 저렴하고 투입되는 총 인력 대비 생산량은 나쁘지 않은 편이라 극초반에 두 동 정도 운용하게 될 것이다. 단 재료 효율이 많이 낮기 때문에 여건이 된다면 콘크리트 생산으로 빨리 넘어가는 것이 좋다.
0.6 업데이트로 추가된 광석 분류기에 흙을 처음부터 저장해 둘 수 있게 되어, 고급 물류와 흙 전용 창고 없이도 벽돌 공장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해졌다.
2.1.2. 콘크리트 믹서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콘크리트 믹서기 Concrete Mixer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콘크리트 믹서기 | <colbgcolor=#2c2c2c> 콘크리트 믹서기 II | <colbgcolor=#2c2c2c> 콘크리트 믹서기 III |
해금 조건 | 콘크리트 생산[I] 연구 | 건설 III[II] 연구 | 기본 논리연산[IV] 연구 |
재료 | | | |
크기 | 6x5* | ||
인원 | | | |
소비전력 | | | |
유지보수 | | | |
벽돌의 대체재인
1레벨 콘크리트 믹서기는 건설 부품을 생산하는 조립동(수공업) 2개 혹은 조립동(전기) 1개에 정확히 대응되며, 상위 티어 믹서기는 이전 티어 2배의 제작속도를 갖는다.
2.1.3. 혼합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혼합기 Mixer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혼합기 | <colbgcolor=#2c2c2c> 혼합기 II | |
해금 조건 | 황 처리[II] 연구 | 혼합기 II[III] 연구 | |
재료 | | | |
크기 | 7x6* | ||
인원 | | | |
소비전력 | | | |
유지보수 | | |
구리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2.1.4. 조립동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조립동 Assembly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조립동 | <colbgcolor=#2c2c2c> 조립동 II | <colbgcolor=#2c2c2c> 조립동 III | <colbgcolor=#2c2c2c> 조립동 (로봇 자동화) | <colbgcolor=#2c2c2c> 조립동 (로봇 자동화) II | |
해금 조건 | 건설[I] 연구 | 건설 II[I] 연구 | 건설 III[II] 연구 | 기본 논리연산[IV] 연구 | 조립동 (로봇 자동화) II[V] 연구 | |
재료 | | | | | | |
크기 | 6x5 | |||||
인원 | | | | | | |
소비전력 | | | | | | |
유지보수 | 없음 | | | | | |
연산량 | 없음 | 없음 | 없음 | | |
벌크 화물과 유체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한 대부분의 제품을 생산하는 시설이다. 제품 출구 1개와 제품 입구 3개를 갖고 있는데, 조립동에서 생산하는 물건 중 재료가 3종류를 넘어가는 것은 없으므로 조립동에서 만들어지는 물품을 뽑는 공정은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한 자동화가 매우 용이하다.
다른 건물들처럼 티어가 올라갈 때마다 생산 속도가 2배씩 증가한다. 예외적으로 조립동과 조립동 II의 전자 부품 생산 속도는 3배 차이나기에 이 부분을 우선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고려할 만하다.
조립동에서 조립동 III 까지는 완벽한 상/하위 호환 관계이지만, 그 이후부터는 이전 티어 조립동에서 가능했던 레시피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또 조립동 (로봇 자동화) 부터는
0.6 버전 기준으로 건물의 텍스쳐와 이름이 꽤 다르다. 4단계 이후의 조립동은 그대로 Assembly (Robotic) 이라는 이름이지만, 0.6 버전 현재 3단계까지는 그냥 Assembly, Assembly II, Assembly III 라는 이름이다. 또 0.6 버전 현재는 Assembly도 미량이나마 전기를 사용한다.
조립동 (로봇 자동화) 는 결속력을 사용한 생산력 부스팅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굴뚝과 냉각탑에도 부스팅이 가능한 게 이 게임인지라 좀 의아한 부분.
2.1.5. 대기 분리 장치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대기 분리 장치 Air Separato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강철 제련[II] 연구 |
재료 | |
크기 | 9x6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공기를 냉각해
2.1.6. 집적회로 가공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집적회로 가공기 Microchip Machine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집적회로 가공기 | <colbgcolor=#2c2c2c> 집적회로 가공기 II | |
해금 조건 | 집적회로 생산[IV] 연구 | 집적회로 생산 II[V] 연구 | |
재료 | | | |
크기 | 7x4 | ||
인원 | | | |
소비전력 | | | |
연산 사용량 | | | |
유지보수 | | |
2.1.7. 데이터 센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데이터 센터 Data Cente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데이터 센터[IV] 연구 |
재료 | |
크기 | 18x11 |
인원 | |
소비전력 | |
연산 생산량 | |
유지보수 | |
고급 자동화 시설들의 가동에 필요한 연산을 수행한다. 작동을 위해
2.1.8. 메인프레임 컴퓨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메인프레임 컴퓨터 Mainframe Compute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기본 논리연산[IV] 연구 |
재료 | |
크기 | 8x8 |
인원 | |
소비전력 | |
연산 생산량 | |
유지보수 | |
집적회로 기술 이전의 투박한 부품으로 만든 기초적인 컴퓨터이다. 집적회로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집적회로 가공기가 필요한데, 가공기의 작동에는 집적회로를 소비하는 데이터 센터가 필요하다는 문제를 해결해 주는 시설이다. 거래를 통해 가공기 없이 집적 회로를 꾸준히 수급하는 것도 가능하나,
2.1.9. 발효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발효조 Fermentation Tank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발효[III] 연구 |
재료 | |
크기 | 8x6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옥수수나 사탕수수의 당분을 발효시켜
2.1.10. 침전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침전조 Settling Tank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금 제련[IV] 또는 우라늄 농축[IV] 연구 |
재료 | |
크기 | 9x5*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황산과 광물을 반응시켜 필요한 성분을 추출해내는 시설이다. 빠른 기술 발전을 원하는 플레이어는
여담으로 이 건물이 금을 제련할 때 발생하는 유독성 현탁액의 발생 속도는 폐수 정화 시설이 정화하는 속도의 정확히 1/4이다.
2.2. 물의 추출 및 처리 시설
2.2.1. 빗물 저류 시설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빗물 저류 시설 Rainwater Harveste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벽돌 생산[I] 연구 |
재료 | |
크기 | 19x19* |
인원 | 없음 |
소비전력 | 없음 |
유지보수 | 없음 |
가장 기초적인
수맥 위를 덮어도 지하수 보충을 방해하지 않는다.
2.2.2. 지하수 펌프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지하수 펌프 Groundwater Pump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지하수 펌프[I] 연구 |
재료 | |
크기 | 6x4*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빗물 수집보다 안정적이고 빠른 물 생산 수단이다. 지하수층 위에만 건설할 수 있으며, 지하수가 고갈되면 생산을 멈춘다. 선장 난이도 기준 보통 크기의 지하수층(15000)에서 2개의 펌프가 상시 작동해도 고갈되지 않으며, 3개부터는 지하수 소모량이 강우에 의한 보충량보다 커지게 된다.
지하수를 완전히 고갈시켜도 수맥 자체가 사라지거나 지반이 침하되지는 않는다.
2.2.3. 해수 펌프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해수 펌프 Seawater Pump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해수 펌프 | <colbgcolor=#2c2c2c> 해수 펌프 (고지대용) |
해금 조건 | 기본 담수화[II] 또는 소금 생산[III] 또는 열 해수 담수화[III] 연구 | |
재료 | | |
크기 | 4x4(지면), 12x6(해수면) | 4x4(지면), 15x6(해수면) |
인원 | | |
소비전력 | | |
유지보수 | | |
해안에서
2.2.4. 보일러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보일러 Boiler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보일러(석탄) | <colbgcolor=#2c2c2c> 보일러 (가스) | <colbgcolor=#2c2c2c> 보일러 (전기) |
해금 조건 | 발전기 II[II] 또는 고급 정유[II] 연구 | 가스 연소[II] 연구 | 전기 보일러[IV] 연구 |
재료 | | | |
크기 | 5x4 | ||
인원 | | | |
소비전력 | 없음 | 없음 | |
유지보수 | 없음 | 없음 | |
물을 끓여 고압 증기를 만드는 설비이다. 석탄과 가스 외에도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어 부산물 처리에도 적합하다.
전기 보일러는 다른 보일러의 절반의 생산 속도를 갖는다. 전기 보일러로 만든 증기로 터빈을 돌리면 발전기가 최고 효율로 작동할 때도 6% 정도의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기에 화력 발전이 주력인 경우 전기 보일러의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 전기 보일러는 원자력 발전이 가동되어 전력이 넘쳐날 때 연료 없이 소량의 증기를 쉽게 생성하는 데에 주로 사용된다.
가스 보일러 사용 시 주의할 점은 연소 생성물이 배기가스가 아닌 연료들이 있다는 것이다. 파이프에는 특정 유체를 걸러낼 수 있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배기 여과 장치를 사용하려면
어째서인지 온갖 유류를 다 연료로 쓰는 이 가스 보일러가
2.2.5. 증발지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증발지 Evaporation Pond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증발지 | <colbgcolor=#2c2c2c> 증발지 (가열식) |
해금 조건 | 소금 생산[III] 연구 | |
재료 | | |
크기 | 15x9 | |
인원 | | |
소비전력 | 없음 | |
유지보수 | | |
2.2.6. 가열식 해수 담수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가열식 해수 담수기 Thermal Desalinato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열 해수 담수화[III] 연구 |
재료 | |
크기 | 11x4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바닷물을 증기로 가열해 증류해서 순수한 물로 만드는 시설이다. 기본 증류기를 사용한 담수화보다는 효율적이지만, 에너지 소비가 크므로 사용하기에 앞서 빗물과 지하수를 최대한 활용해보기를 권장한다.
중후반부에 가면 증류에 고갈된 증기를 사용하는 레시피가 나오는데, 같은 양의 증기로도 냉각탑보다 훨씬 더 효율적이므로 부산물로 증기를 배출하는 시설(발전기, 여과장치, 아크 용광로II 등)은 가급적 바다에 가깝게 두면 유리하다.
고압/초고압 증기 사용 시 해수 소비량은 해수 펌프 하나의 생산량과 일치한다.
2.2.7. 물 냉각 시설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물 냉각 시설 Water Chille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데이터 센터[IV] 연구 |
재료 | |
크기 | 4x4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데이터 센터에 필요한
2.2.8. 전해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전해조 Electrolyzer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전해조 | <colbgcolor=#2c2c2c> 전해조 II |
해금 조건 | 전기분해[III] 연구 | 전해조 II[III] 연구 |
재료 | | |
크기 | 8x5 | |
인원 | | |
소비전력 | | |
유지보수 | | |
플라스틱 생산이나 폐수 처리에 필요한
발전기가 최고 효율로 작동한다고 가정하면 전기분해로 생산한 수소로 다시 전기를 만들 때의 에너지 전환율은 약 69%다.
다른 건물들은 업그레이드하먼 작업 속도가 2배로 빨라지는 것과 달리, 이 건물은 업그레이드하면 4배가 빨라진다.
2.2.9. 냉각탑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냉각탑 Cooling Tower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냉각탑 | <colbgcolor=#2c2c2c> 냉각탑(대형) |
해금 조건 | 물 회복[II] 연구 | 발전기 IV[IV] 연구 |
재료 | | |
크기 | 5x5 | 9x9 |
인원 | | |
소비전력 | 없음 | |
유지보수 | 없음 |
사용 후 배출된 증기를 식혀 물로 되돌려주는 시설이다. 화력 발전에 소비되는 물의 양을 절반으로 줄여 주기에 건설 III 이후 최우선적으로 연구해야 하는 것 중 하나이다. 대형 냉각탑은 처리 용량이 4배[1], 물 회수율은 50% 증가[2]하는 대신 훨씬 큰 면적을 차지하므로 화력발전소를 건설할 때 일반 냉각탑뿐만 아니라 대형 냉각탑을 위한 여유 공간을 마련해두면 좋다.
2.2.10. 열 저장 장치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열 저장 장치 Thermal Storage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열 저장 장치[III] 연구 |
재료 | |
크기 | 18x7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일반 저장소에는 넣을 수 없는 증기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게 해 준다. 장치 하나당 한 종류의 증기만 입력이 가능하며, 증기를 넣으면 열을 뽑아내 저장하고 무압 증기를 배출한다. 최대 3750만큼의 증기에 해당하는 열을 저장할 수 있으나, 열 전달 과정에서 20%의 손실이 있어 실질적인 용량은 3000만큼이다. 초고압 증기 사용 시 수소를 가득 채운 유체 저장소 IV의 2배가 약간 넘는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2.3. 식량 생산 시설
2.3.1. 농장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농장 Farm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농장 | <colbgcolor=#2c2c2c> 관개 농장 II | <colbgcolor=#2c2c2c> 온실 | <colbgcolor=#2c2c2c> 온실 II | ||
해금 조건 | 기초 농업[I] 연구 | 관개 농장[I] 연구 | 온실[III] 연구 | 온실 II[IV] 연구 | ||
재료 | | | | | ||
크기 | 61x41 | |||||
인원 | | | | | ||
소비전력 | 없음 | |||||
유지보수 | 없음 | | | |
여러 가지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공간이다. 처음으로 지을 수 있는 농장에는 인위적인 물 공급이 불가능하지만, 토양의 자체 수분으로 첫 수확에는 문제가 없으며 감자 자체가 가뭄에 강해 빗물만 있어도 말라죽지는 않는다. 관개 농장으로 업그레이드하면 출력부 맞은편에 물과 비료 입력 포트가 생기기 때문에 처음부터 긴 변끼리 붙여 지어야 입출력에 지장이 없다. 크기가 가장 큰 시설인데다 여러 개가 필요하고, 물의 수요 대부분을 차지하기에 위치 선정이 상당히 중요하다. 관개 농장 하나가 1개월당 물 약 30단위를 소비하고, 온실은 더 많이 소모한다.
모든 작물들은 생장 과정에서 비옥도를 소모하는데, 생산량은 비옥도에 비례한다. 비옥도는 100%에서 멀어진 만큼 회복(100%를 초과하는 경우 감소) 속도가 빨라져 완전히 고갈되지는 않으나, 면적/인력/물 대비 생산량이 설치 초기에 비해 대폭 하락하기에 풋거름이나 비료로 비옥도를 높여 줄 필요가 있다.
비료 제조에는 석유 부산물인 암모니아가 필요하므로 정유공장에서 이를 전부 소각하거나 전기분해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비료가 없는 초반에 풋거름을 윤작 사이클에 넣으면 단일 작물 재배 시보다 생산량이 소폭 늘어나지만, 이는 동일 작물 연작에 의한 비옥도 소모 50% 증가 효과를 적용받지 않은 것이 원인이다. 감자 이외에도 여러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단일 작물-풋거름보다는 풋거름 없이 여러 작물을 돌려 심는 것이 총 생산량 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관개시설이 없는 기본 농장의 경우 풋거름이 물을 소모하기에 오히려 전체 생산량에 해가 될 수 있다.
비료를 투입하려면 비료 저장고를 농장에 연결한 뒤 비옥도 설정을 직접 건드려줘야 함에 유의.
2.3.2. 닭 농장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닭 농장 Chicken Farm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닭 농장[III] 연구 |
재료 | |
크기 | 16x11* |
인원 | |
소비전력 | 없음 |
유지보수 | 없음 |
유일한 동물성 단백질원인 닭을 키우는 시설이다. 닭은 외부 정착지와의 거래로 습득 가능하며, 이후에는 알아서 개체수가 증가한다. 내부 사료 저장공간의 크기가 작지 않아 운용 초기에 곡물 부족 현상을 겪을 수 있지만,
고기를 가공하는 식품 가공기 한 대는 가득 찬 닭 농장 3동의 생산량을 처리할 수 있다. 가득 찬 닭 농장은 분당 15단위의 동물 사료를 요구한다.
2.3.3. 제분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제분기 Mill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밀의 재배 및 가공[II] 연구 |
재료 | |
크기 | 8x5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곡물 등을 분쇄해 다른 생산 공정의 재료로 가공해 주는 설비이다. 제빵 공장과 발효조와는 생산/소비 속도가 일치한다.
2.3.4. 식품 가공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식품 가공기 Food Processo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대두 재배[II] 또는 닭 농장[III] 연구 |
재료 | |
크기 | 7x7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다양한 식품 가공이 가능한 공장이다. 3개의 벌크 자원, 1개의 제품, 1개의 유체 입력 포트와 2개의 벌크 자원, 1개의 제품 출력 포트가 달려 있다.
2.3.5. 제빵 공장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제빵 공장 Baking Unit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밀의 재배 및 가공[II] 연구 |
재료 | |
크기 | 7x5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빵과 케이크를 만들 수 있는 시설이다.
2.4. 금속&제련 시설
2.4.1. 석탄 제조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석탄 제조기 Coal Make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없음 |
재료 | |
크기 | 5x3 |
인원 | |
소비전력 | 없음 |
유지보수 | 없음 |
게임 시작 후 처음으로 짓게 될 건물이며,
0.5 업데이트 전에는 나무 20을 석탄 4로 만드는 기적의 효율을 보여줬지만, 패치 이후 나무 12로 석탄 5를 만들게 되어 수율이 거의 2배로 증가했다.
2.4.2. 분쇄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분쇄기 Crusher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분쇄기 | <colbgcolor=#2c2c2c> 분쇄기 (대형) |
해금 조건 | 콘크리트 생산[I] 연구 | 분쇄기 (대형)[III] 연구 |
재료 | | |
크기 | 6x4* | 15x8* |
인원 | | |
소비전력 | | |
유지보수 | | |
각종 광물을 분쇄하는 장치이다. 콘크리트에 들어갈 골재 생산을 위해 처음 사용하게 되는데, 전력 소모가 적지 않기에 디젤 발전기를 사용하는 경우 돌을 갈아 가공 모래를 만드는 것보다 모래 채굴용 굴삭기를 운용하는 것이 디젤 소모량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하수 정화, 유리 제조 등등과 같이 천연 모래로만 할 수 있는 일들이 있음에 유의.
일반 분쇄기의 경우 투입구가 3층 높이에 있어 적절한 벨트 배치를 위해 약간의 공간이 필요하다. 보통은 conveyer lifter를 써서 높이를 확보한다.
2.4.3. 회전식 가마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회전식 가마 Rotary Kiln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회전식 가마 | <colbgcolor=#2c2c2c> 회전식 가마 (가스) |
해금 조건 | 콘크리트 생산[I] 연구 | 회전식 가마 (가스)[III] 연구 |
재료 | | |
크기 | 14x4 | |
인원 | | |
소비전력 | | |
유지보수 | | |
회전식 가마 1대의 생산량은 콘크리트 믹서기 2대의 소비량과 동일하다.
회전식 가마와 회전식 가마 (가스) 는 소비하는 자원이 전혀 다르지만 (회전식 가마는 석탄을, 회전식 가마 (가스) 는 연료 가스 또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한다.) 후자가 전자의 업그레이드로 취급됨에 유의. 입력측에서 사일로가 높게 솟아있는 부분이 석회석을, 그 반대쪽이 연료[3]를 받는 포트이다.
2.4.4. 용광로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용광로 Blast Furnace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용광로 | <colbgcolor=#2c2c2c> 용광로 II |
해금 조건 | 없음 | 고급 제련[III] 연구 |
재료 | | |
크기 | 9x6 | |
인원 | | |
소비전력 | 없음 | 없음 |
유지보수 | 없음 | |
녹은 금속과 유리를 생산하는 시설이다. 용융된 생산물은 트럭으로 옮길 수 없으며, 전용 통로로 주조기에 공급해야 한다. 재활용 레시피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부산물로 투입한 광석 절반만큼의 슬래그가 발생한다.
용광로 II로 업그레이드하면 보조하는 광물을 추가로 투입하는 대신[4] 광석과 석탄 투입량 대비 생산량이 증가하는데, 분쇄되지 않은 광석은 사용할 수 없으므로[5] 투입 라인에 분쇄기를 추가해야 한다. 중반 기준으로도 비싼 건물이기에 업그레이드 시
참고로 용광로 II로 업그레이드할 땐 슬래그가 나오는 쪽에 입력 포트가 1개 더 생긴다.
2.4.5. 아크 용광로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아크 용광로 Arc Furnace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아크 용광로 | <colbgcolor=#2c2c2c> 아크 용광로 II |
해금 조건 | 실리콘 & 전자 부품 II[III] 연구 | 아크 용광로 II[V] 연구 |
재료 | | |
크기 | 9x6 | |
인원 | | |
소비전력 | | |
연산 사용량 | 없음 | |
유지보수 | | |
아크 용광로 II에서는 실리콘뿐만 아니라 용광로 II의 제작법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냉각수를 입력받아 저압 증기로 배출하기 때문에 이를 처리할 냉각탑이나 담수화기가 필요하다.
2.4.6. 금속 주조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금속 주조기 Metal Caster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금속 주조기 | <colbgcolor=#2c2c2c> 금속 주조기 II |
해금 조건 | 없음 | 고급 제련[III] 연구 |
재료 | | |
크기 | 7x5 | |
인원 | | |
소비전력 | 없음 | |
유지보수 | 없음 |
용광로에서 녹은 금속을 받아 규격화된 판재로 만드는 시설이다. 같은 티어의 용광로 하나당 2개가 필요하다.
2.4.7. 냉각 주조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냉각 주조기 Cooled Caster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냉각 주조기 | <colbgcolor=#2c2c2c> 냉각 주조기 II |
해금 조건 | 강철 제련[II] 연구 | 고급 제련[III] 연구 |
재료 | | |
크기 | 7x5 | |
인원 | | |
소비전력 | 없음 | |
유지보수 | 없음 |
2.4.8. 구리 전기분해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구리 전기분해기 Copper Electrolysis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구리 정제[I] 연구 |
재료 | |
크기 | 7x5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주조된 직후의
전해질로
2.4.9. 산소 용광로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산소 용광로 Oxygen Furnace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산소 용광로 | <colbgcolor=#2c2c2c> 산소 용광로 II |
해금 조건 | 강철 제련[II] 연구 | 고급 제련[III] 연구 |
재료 | | |
크기 | 7x5 | |
인원 | | |
소비전력 | | |
유지보수 | | |
2.4.10. 유리 제조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유리 제조기 Glass Maker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유리 제조기 | <colbgcolor=#2c2c2c> 유리 제조기 II |
해금 조건 | 유리 제조[III] 연구 | 유리 제조 II[IV] 연구 |
재료 | | |
크기 | 12x5 | 28x5 |
인원 | | |
소비전력 | | |
유지보수 | | |
2.4.11. 실리콘 결정화 장치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실리콘 결정화 장치 Silicon Crystallize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집적 회로 생산[IV] 연구 |
재료 | |
크기 | 6x5 |
인원 | |
소비전력 | |
연산 사용량 | |
유지보수 | |
2.4.12. 실리콘 반응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실리콘 반응기 Silicon Reacto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실리콘 & 전자 부품 II[III] 연구 |
재료 | |
크기 | 4x3*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2.4.13. 금 용광로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금 용광로 Gold Furnace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금 제련[IV] 연구 |
재료 | |
크기 | 6x4*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2.5. 발전 시설
2.5.1. 경유 발전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경유 발전기 Diesel Generator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경유 발전기 | <colbgcolor=#2c2c2c> 경유 발전기 II |
해금 조건 | 전력 & 유지보수[I] 연구 | 대형 발전기[II] 연구 |
재료 | | |
크기 | 4x3 | 8x3 |
인원 | | |
전력생산 | | |
유지보수 | | |
가장 기초적인 전력 생산 시설로,
이 건물 때문인지 별의 별 유류를 다 연료로 쓰는 가스 보일러가 디젤만은 연료로 쓰지 않는다. 디젤 보일러를 증기 공급원으로 쓰는 발전 단지를 만들 수 있게 되면 이 건물의 존재 의의가 없어지기 때문인듯 하지만, 증기라는 아이템이 발전 과정에서만 쓰이는 건 아닌지라 약간 불편한 부분.
2.5.2. 발전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발전기 Power Generator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발전기 | <colbgcolor=#2c2c2c> 발전기 (대형) |
해금 조건 | 발전기 II[II] 연구 | 발전기 IV[IV] 연구 |
재료 | | |
크기 | 5x2 | 7x5 |
인원 | 없음 | |
전력생산 | | |
유지보수 | | |
기계적 동력을 전력으로 전환해주는 장비이며, 동력 생산원과 분리되어 있기에 디젤 발전기보다 복잡한 규칙이 적용된다. 동력축의 회전 속도(축의 현재 동력/총 용량)가 25% 이하로 떨어지는 순간부터 출력이 급격히 감소하고, 10% 미만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또한 표기된 만큼의 동력-전력 전환율을 보이는 것은 최대 출력을 낼 때뿐이며, 인출되는 전력이 낮아질수록 효율이 감소한다. 따라서 발전기가 여러 대 있는 경우 모두가 부하를 고르게 받지 않고 최대한 많은 발전기가 최고 효율을 낼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작동하게 되어 있다.
대형 발전기는 소형보다 전력 전환율이 더 높지만, 낮은 부하가 걸릴 경우에는 오히려 소형 발전기 다수의 동력 소모가 더 적을 수도 있다. 물론 전력 부하에 따라 발전기들을 실시간으로 수동 제어하는 것은 손이 너무 많이 가므로 전력이 약간만 부족한 경우에는 대형 디젤 발전기를 하나 켜는 것이 낫다.
2.5.3. 플라이휠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플라이휠 Flywheel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발전기 II[II] 연구 |
재료 | |
크기 | 7x7 |
인원 | 없음 |
소비전력 | 없음 |
유지보수 | 없음 |
증기 터빈의 자동 제어 기능을 보조하며, 최대 500MJ(현실 시간 기준)의 운동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이다. 많을수록 터빈의 재시동 주기가 길어져 연료 소비를 줄일 수 있으나, 차지하는 면적이 넓고 미작동 시 에너지 손실도 커지므로 무작정 많이 사용할 수는 없다.
보일러 한 대에 고압 터빈 II와 저압 터빈 II, 대형 발전기가 각각 하나씩 연결되어 있어 최대 18MW의 동력이 생산/소비 가능하고, 터빈의 자동 조절 기능이 켜져 있는 시스템을 가정해보자. 축 동력이 35% 이하로 떨어지면 터빈이 재시동되는데, 최대 출력에 도달하는 데까지는 26.5초의 시간이 걸리므로 이 시간 동안 발전기에 최대 부하가 걸린다면 해당 시간 동안 동력축은 238.5MJ의 동력을 잃게 된다. 이때 발전기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축 동력 25% 이상을 유지하려면 최소 에너지 저장량은 2385MJ, 플라이휠 5개 분량이 필요하다.
단, 시동 기간 전체에서 최대 부하가 걸리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것은 애초에 전력이 부족한 상황이기에 자동 조절 기능을 꺼 버리는 것이 낫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해당 발전소는 3~4개의 플라이휠만 있어도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2티어 터빈이 아닌 1티어 터빈을 2개씩 사용하는 상황에서는, 각각 1개씩만 자동 조절을 켜고 플라이휠은 2개만 있어도 충분하다. 물론 공간이 남아 플라이휠을 더 많이 설치한다면 약간의 연비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플라이휠이 없는 채로 작동하던 발전기에 플라이휠을 설치하면 갑자기 높아진 회전관성으로 인해 속도가 줄어 일시적으로 전력 생산이 중단될 수 있으나, 다른 문제가 없을 시 잠시 기다리는 것만으로 정상화된다. 0.6 업데이트에서 발전기 II 연구 시 고압 터빈과 함께 해금되는 것으로 바뀌어 해당 현상을 신경써야 할 필요가 적어졌다.
2.5.4. 초압력 터빈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초압력 터빈 Super-pressure Turbine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초고압 증기[V] 연구 |
재료 | |
크기 | 6x3 |
인원 | |
동력생산 | |
유지보수 | |
증식로의
터빈의 작동 방식에 대해서는 아래 고압 터빈 문단에서 서술한다.
2.5.5. 고압 터빈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고압 터빈 High-pressure Turbine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고압 터빈 | <colbgcolor=#2c2c2c> 고압 터빈 II |
해금 조건 | 발전기 II[II] 연구 | 발전기 IV[IV] 연구 |
재료 | | |
크기 | 6x3 | |
인원 | | |
동력생산 | | |
유지보수 | | |
석탄 화력 발전을 위해 처음 사용하게 될 터빈이다. 보일러 하나로 고압 터빈 2개를 돌릴 수 있지만 터빈은 전력 부하와 관계없이 돌아가므로 처음부터 2개를 모두 설치할 필요는 없다.
축의 회전 속도가 80%를 넘어가면 터빈의 동력 전환 효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동력축의 과부하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터빈이 켜져 있는 한 증기는 계속 소비되기 때문에 연료 낭비를 막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터빈을 껐다 켜 주어야 하는데, 이것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이 균형 자동 조절 기능(Auto-balance)이다.
해당 기능이 켜진 터빈은 축 동력이 80%에 도달하면 꺼지고, 동력이 소모되어 35%까지 내려가면 다시 켜지는 것을 반복한다. 다만 이 기능은 항상 이득이 되지는 않는데, 터빈은 켜지는 즉시 최대 효율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시동이 걸린 터빈은 매초 3.78%씩 출력이 증가해 최고 출력에 이르는 데 26.5초가 걸리고, 출력과 상관없이 증기 소비량은 일정하기 때문에 이 시간 동안의 평균 동력 전환율은 최고 효율의 절반만큼이 된다. 따라서 터빈의 재시동 횟수를 줄이기 위해 동력을 저장해줄 다수의 플라이휠이 필요하다.
재시동 시 효율이 낮아진다는 것은 터빈 운용에 안정적인 증기 공급이 필수적임을 의미한다. 증기 생산량이 요구량보다 조금이라도 적다면 터빈은 계속해서 재시동 상태에 머무르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매우 낮아지게 된다. 부산물로 나오는 증기의 양이 많지 않다면 냉각탑이나 담수화 설비로 재활용하는 편이 낫다.
2.5.6. 저압 터빈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저압 터빈 Low-pressure Turbine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저압 터빈 | <colbgcolor=#2c2c2c> 저압 터빈 II |
해금 조건 | 발전기 III[III] 연구 | 발전기 IV[IV] 연구 |
재료 | | |
크기 | 7x5 | |
인원 | | |
동력생산 | | |
유지보수 | | |
고압 터빈을 돌린 후 버려지던
2.5.7. 원자로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원자로 Nuclear Reactor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원자로 | <colbgcolor=#2c2c2c> 원자로 II |
해금 조건 | 원자로[IV] 연구 | 원자로 II[IV] 연구 |
재료 | | |
크기 | 32x16 | |
인원 | | |
소비전력 | 없음 | |
연산 사용량 | 없음 | 없음 / |
유지보수 | | |
원자로의 출력은 3단계로 조정 가능하며, 각 단계는 보일러 2대만큼의 증기를 만든다. 증기 배출이 막히거나 물 공급이 부족하면 노심의 온도가 계속 올라가 과열된 후 비상 정지 절차에 들어가므로 안정적인 물 공급과 더불어 일정한 증기 소비가 필요하다.
원자로 II에서는 자동 제어 기능이 있어 증기 생산량을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면 연료 낭비 없이 일부 터빈의 자동 조절 기능을 켜거나 원자로의 증기를 직접 담수화에 쓸 수 있게 된다. 단 출력을 1단계 아래로 내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핵연료 재처리 과정에서 나온
2.5.8. 고속 증식로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고속 증식로 Fast Breeder Reacto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고속 증식로[V] 연구 |
재료 | |
크기 | 45x21 |
인원 | |
소비전력 | 없음 |
연산 사용량 | 없음 / |
유지보수 | |
더욱 발전된 형태의 원자로로, 비분열성 우라늄을 높은 고속중성자선속에 노출시켜 핵분열이 가능하게 만들어준다. 증식로를 사용하면 기존 원자로 운용 과정에서 쌓인
증식로는
시동을 위해서 필요한 코어 연료의 제조에는
일반 원자로와는 달리 사용하는 연료가 액체 상태이고, 차량 운송이나 보관소 저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발전소를 연료 생산 및 재처리 시스템과 일체화시켜야 한다.
2.5.9. 농축 공장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농축 공장 Enrichment Plant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우라늄 농축[IV] 연구 |
재료 | |
크기 | 14x8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다수의 원심분리기로 핵분열 가능한 우라늄을 농축하는 시설이다. 부산물로 다량의 열화우라늄이 발생하는데, 이는 바닥에 버릴 수 있으므로 보관소에 모두 저장해둘 필요는 없다.
고속 증식로에서 꺼낸 블랭킷 연료에서 코어 연료를 분리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2.5.10. 핵연료 재처리 공장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핵연료 재처리 공장 Nuclear Reprocessing Plant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원자로 II[IV] 연구 |
재료 | |
크기 | 21x10 |
인원 | |
소비전력 | |
연산 사용량 | |
유지보수 | |
사용된 핵연료를 재활용 가능한 재료로 바꿔 주는 시설이다. 이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2.5.11. 태양광 패널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태양광 패널 Solar Panel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태양광 패널 | <colbgcolor=#2c2c2c> 태양광 패널(단결정) |
해금 조건 | 태양광 패널[III] 연구 | 태양광 패널 II[V] 연구 |
재료 | | |
크기 | 10x10 | |
인원 | 없음 | |
전력생산 | | |
유지보수 | | |
햇빛을 전기로 직접 전환해주는 시설이다. 발전량의 변동이 심해 주력으로 사용하려면 대규모 에너지 저장 설비와 터빈 발전소가 필요하다. 다른 게임에 비해서도 면적 대비 전력 생산량이 심하게 낮은 편인데, 나무를 키워서 화력 발전에 쓰는 것에 밀릴 정도이다. 단위가 MW가 아니라 kW인 것이 압권. 재료가 상당히 비싸고 유지보수도 필요하지만 작동에 인력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 유일한 장점이다.
단결정 패널은 일반 패널보다
2.6. 원유 정제 시설
2.6.1. 기본 증류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기본 증류기 Basic Distille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기초 경유(DIESEL) 정제[I] 연구 |
재료 | |
크기 | 6x5 |
인원 | |
소비전력 | 없음 |
유지보수 | 없음 |
처음으로
기본 해수 담수화 연구 시 해수로부터 염수와 물을 생산하는 제작법이 추가된다. 물론 연료 효율이 아주 낮기 때문에 물이 극단적으로 부족한 것이 아니면 사용할 일은 거의 없으며, 열 해수 담수화 기술은 이 기술의 후속연구가 아니기 때문에 아예 연구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2.6.2. 원유 펌프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원유 펌프 Oil Pump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기초 경유(DIESEL) 정제[I] 연구 |
재료 | |
크기 | 5x3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원유 매장지에서 기름을 뽑아올리는 설비이다. 3대를 설치하면 기본 증류기 하나와 속도가 일치한다.
2.6.3. 화학 공장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화학 공장 Chemical Plant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화학 공장 | <colbgcolor=#2c2c2c> 화학 공장 II |
해금 조건 | 화학 공장 & 제지[II] 연구 | 화학 공장 II[IV] 연구 |
재료 | | |
크기 | 7x7 | |
인원 | | |
소비전력 | | |
유지보수 | | |
다양한 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건물이다. 조립동처럼 높은 범용성을 가지고 있다. 3개의 유체, 2개의 벌크 자원, 1개의 제품 입력 포트와 2개의 유체, 1개의 제품 출력 포트가 달려 있다.
2.6.4. 증류탑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증류탑 Distillation (Stage n)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증류탑(단계 I) | <colbgcolor=#2c2c2c> 증류탑(단계 II) | <colbgcolor=#2c2c2c> 증류탑(단계 III) |
해금 조건 | 고급 정유[II] 연구 | 고급 정유[II] 연구 | 나프타 처리[III] 연구 |
재료 | | | |
크기 | 5x5 | ||
인원 | | | |
소비전력 | 없음 | ||
유지보수 | | | |
증기로 원유를 가열해 끓는점에 따라 분류하는 시설이다. 고급 정유 연구 시 해금되는 증류탑 I / II 만 사용하더라도 기본 증류기 대비 디젤 수율이 50% 증가한다. 대신 부산물로 산성수를 배출하므로 파이프를 따로 짓는 것이 좋다. 한 파이프 구간 안에서는 한 가지의 유체만 존재할 수 있으므로 고무 제조기의
튜토리얼에서는 부산물인
증류탑 III은 경유(Light)를
석유를 화력발전의 주 연료로 쓰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증류탑 4세트면 로켓을 쏘기에는 충분하다.
2.6.5. 고무 제조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고무 제조기 Rubber Make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합성 고무[I] 연구 |
재료 | |
크기 | 8x6*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2.6.6. 나프타 분해 설비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나프타 분해 설비 Cracking Unit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바이오 연료[II] 또는 나프타 분해[III] 연구 |
재료 | |
크기 | 9x6*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유류 전용 화학 공장이다.
원유를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해 주는 대신 사용하려면 복잡한 설계가 필요하다. 크기도 크고 인력 수요도 적지 않기에 공정 설계에 자신이 없다면 잉여 유류를 모두 화력 발전의 보조 연료로 돌리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일 수 있다.
2.6.7. 수소 개질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수소 개질기 Hydrogen Reforme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수소 생산[III] 연구 |
재료 | |
크기 | 9x6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나중에는 증식로의
2.6.8. 산 세척 설비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산 세척 설비 Sour Water Strippe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황 처리[II] 연구 |
재료 | |
크기 | 9x5*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원유 정제나 흑연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산 세척 설비 1대는 증류탑 2세트에서 나오는 산성수를 처리할 수 있다. 나중에는 흑연 공정에서 나오는 산성수도 처리해야 하므로 정유에 필요한 것보다 한 대 더 지어두면 좋다.
2.6.9. 합성수지 공장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합성수지 공장 Polymerization Plant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플라스틱[III] 연구 |
재료 | |
크기 | 8x7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2.7. 폐기물 관리
2.7.1. 굴뚝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굴뚝 Smoke Stack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굴뚝 | <colbgcolor=#2c2c2c> 대형 굴뚝 |
해금 조건 | 없음 | 파이프 II[II] 연구 |
재료 | | |
크기 | 1x1 | 2x2 |
인원 | 없음 | |
소비전력 | 없음 | |
유지보수 | 없음 |
부산물로 나오는
가스 보일러에서 유류를 연소하는 경우 발생하는 배기 가스가 많아 굴뚝 한 대로는 부족할 수가 있는데, 이 경우 배기 포트에 파이프 커넥터를 직접 연결하면 다수의 굴뚝을 깔끔하게 설치할 수 있다.
신기한 사실로, 굴뚝에도 결속력을 부어 생산량(?)을 가속시킬 수 있다. 조립동 (로봇 자동화) 에는 결속력을 부을 수 없는 것을 생각해보면 이상한 부분.
2.7.2. 유체 배수구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유체 배수구 Liquid Dump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기초 경유 (DIESEL) 정제[I] 연구 |
재료 | |
크기 | 3x2(지면), 14x5(해수면) |
인원 | |
소비전력 | 없음 |
유지보수 | 없음 |
액체 부산물을 바다에 버리기 위한 시설이다. 육지뿐만 아니라 바다 쪽에도 면적을 차지하며, 매립 등으로 이 공간이 방해받게 되면 작동하지 않는다.
2.7.3. 소각탑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소각탑 Flare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고급 정유[II] 연구 |
재료 | |
크기 | 1x1 |
인원 | |
소비전력 | 없음 |
유지보수 | 없음 |
가연성 유체를 태워 없애는 시설이다. 가스 보일러의 배기 가스를 그대로 배출한 것과 같은 양의 공해를 발생시킨다.
2.7.4. 배기 여과 장치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배기 여과 장치 Exhaust Scrubbe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배기 여과[III] 연구 |
재료 | |
크기 | 8x6*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설비의 처리용량이 분당 배기가스 180단위로 매우 크므로 오염원을 집중화하는 것이 좋다.
배기가스 180단위 처리시 오염도(60초당)
- 굴뚝을 통해
배기가스 전부 방류
대기오염 90 : 건강 영향 -4.5 황을 산으로 바꾸어 바다에 방류 및
이산화탄소 방류
대기오염 42, 수질오염 72 : 건강 영향 -9.3황을 소각처리 및
이산화탄소 방류
대기오염 66 : 건강 영향 -3.3황을 재활용,
이산화탄소 방류
대기오염 42 : 건강 영향 -2.1황을 재활용,
이산화탄소 주입 처리시
대기오염 24 : 건강 영향 -1.2
이론상 여과장치 하나가 풀가동중인 2티어 용광로 5기를 커버할 수 있으며, 석탄 보일러는 3대, 기름 보일러는 2대까지 커버가 가능하다.
2.7.5. 폐수 처리 장치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폐수 처리 장치 Wastewater Treatment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폐수 처리[III] 연구 |
재료 | |
크기 | 17x11*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금과 우라늄 정제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담으로 유독성 현탁액을 정화하는 속도가 딱 금을 정화하는 침전조 4개에서 현탁액이 발생하는 속도와 정확히 일치한다.
2.7.6. 혐기성 소화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혐기성 소화조 Anaerobic Digeste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바이오 연료[II] 연구 |
재료 | |
크기 | 8x6*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잉여 농산물[7]이나 하수 슬러지를 발효시켜
후반부에는 썩어나는 황을 하수 슬러지로 바꾸어 가스공장을 돌릴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슬러지를 저장하는 내부 창고의 크기가 절망적일 정도로 작다. 딱 정화 작업 1쿨 돌아가는 데 필요한 만큼만 저장할 수 있을 정도. 꽉 차있는 주거지 III 8개로 이뤄진 마을 하나의 폐수를 여과재로 정화할 때 생기는 슬러지도 건물 하나로 감당이 안 될 정도다.
2.7.7. 소각로(고체)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소각로(고체) Burner (Solid)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소각로[II] 연구 |
재료 | |
크기 | 3x2 |
인원 | |
소비전력 | 없음 |
유지보수 | 없음 |
고형 폐기물을 소각하는 시설이다.
2.7.8. 폐기물 선별 시설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폐기물 선별 시설 Waste Sorting Plant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재활용[II] 연구 |
재료 | |
크기 | 25x9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연구실, 정비창과 주거지에서 나오는
초기 재활용률은 25%밖에 되지 않아 투자한 건설 부품과 인력 대비 효과가 적지만, 관련 정책을 연구해 4단계까지 모두 적용하면 최대 90%까지 늘어나 소모품에 들어가는 원자재의 양을 크게 줄여 준다. 이때부터는 폐기물 선별 시설 앞으로 용광로를 옮겨 버리는 쪽이 물동량이 적게 된다.
선별된 재활용품들이 나올 출구를 컨베이어 벨트로 빼야 작동하는데, 이 건물의 컨베이어 벨트는 최소한 레벨 2로 맞출 것. 그렇지 않으면 제품(?)이 나오는 속도가 제품(?)이 생산되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해 시설이 포화되어버린다. 또 철은 Iron과 Steel 두 가지의 공정을 굴리게 되어 있어 고철이 다른 종류의 재활용품보다 필연적으로 더 많이 발생하므로, 고철을 버퍼링하는 창고는 다른 재활용품을 버퍼링하는 창고보다 2배 이상 세우기를 권장한다.
2.7.9. 가스 주입 펌프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가스 주입 펌프 Gas Injection Pump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배기 여과[III] 연구 |
재료 | |
크기 | 6x4*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2.7.10. 압축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압축기 Compacto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압축기[II] 연구 |
재료 | |
크기 | 5x3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없음 |
쓰레기나 고철 등을 압축해 부피를 1/3로 줄여 준다. 압축된 아이템을 분쇄기에 넣으면 손실 없이 원래 형태로 돌아온다. 폐기물 선별 시설, 소각 시설을 제외한 다른 고철을 사용하는 시설들은 압축된 고철을 받지 않지만, 트럭의 운반량을 사실상 세배로 늘려주는 시설이다보니 제련소 쪽에 분쇄기를 달아서 차량으로 고철을 운반할 때 유용하다.
폐기물 선별 시설은 어째서인지 압축 재활용품을 받아서 그걸 고철, 구리고철, 금부스러기, 유리파편으로 분류해준다. 분류하지 않고 압축한 재활용품을 어떻게 분류하는 것인지 의문인 부분.
2.7.11. 분쇄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분쇄기 Shredde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압축기[II] 연구 |
재료 | |
크기 | 6x3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없음 |
2.7.12. 소각 시설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소각 시설 Incineration Plant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소각 시설[III] 연구 |
재료 | |
크기 | 14x8*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없음 |
주거지에서 나오는
시설 한 대가 거의 5000명분의 폐기물을 처리한다. 이는
참고로 배기가스를 1분당 72단위씩 뿜어내는데, 굴뚝에도 처리 용량이 있으므로 굴뚝 2개를 파이프 II로 이어줘야 공정(?)이 막히지 않게 된다.
2.8. 수송 설비
2.8.1. 평면 컨베이어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평면 컨베이어 Flat Conveyor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평면 컨베이어 | <colbgcolor=#2c2c2c> 평면 컨베이어 II | <colbgcolor=#2c2c2c> 평면 컨베이어 III |
해금 조건 | 컨베이어 벨트[I] 연구 | 컨베이어 벨트 II[II] 연구 | 컨베이어 벨트 III[IV] 연구 |
재료 | | | |
소비전력 | 설명 참조 | ||
유지보수 | 없음 | ||
운송량 | 60 / 60 | 200 / 60 | 450 / 60 |
일반 제품들을 수송하는 설비이다. 표기된 재료 수치는 길이에 곱한 후 반올림되어 정수로만 적용되는데, 1칸씩 끊어서 건설 명령을 내리면 각 부분마다 부품 1개씩이 소모되므로 길게 이어 짓는 것이 좋다.
고층 컨베이어 벨트에 물건을 올리고 내리기 위해서는 공간이 많이 필요하다. Conveyer Lifter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2층 높이로 올라가기 위해서는 3칸, 3층은 5칸, 4층은 7칸의 경사로가 필요하다.
작동 시 전력을 소모한다. 이는 길이에 비례하지 않으며 벨트가 길어질수록 길이당 소비량이 낮아지는데, 대략 (길이)^0.7 kW이다.
2.8.2. U자형 컨베이어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U자형 컨베이어 U-shape Conveyor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U자형 컨베이어 | <colbgcolor=#2c2c2c> U자형 컨베이어 II | <colbgcolor=#2c2c2c> U자형 컨베이어 III |
해금 조건 | 컨베이어 벨트[I] 연구 | 컨베이어 벨트 II[II] 연구 | 컨베이어 벨트 III[IV] 연구 |
재료 | | | |
소비전력 | 설명 참조 | ||
유지보수 | 없음 | ||
운송량 | 60 / 60 | 200 / 60 | 450 / 60 |
벌크 자원을 수송하는 설비이다. 그 외의 것은 평면 컨베이어와 같다.
2.8.3. 파이프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파이프 Pipe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파이프 | <colbgcolor=#2c2c2c> 파이프 II | <colbgcolor=#2c2c2c> 파이프 III |
해금 조건 | 없음 | 파이프 II[II] 연구 | 파이프 III[III] 연구 |
재료 | | | |
소비전력 | 없음 | ||
유지보수 | 없음 | ||
운송량 | 60 / 60 | 200 / 60 | 450 / 60 |
유체를 운송하는 설비이다. 벨트처럼 방향성이 있으며, 안에 들어 있는 유체는 펌프 없이도 높은 곳으로 흐를 수 있다.
파이프 한 구간 안에서는 한 종류의 유체만 존재할 수 있다. 폐수 배출이나 농장에 비료 투입 시 이로 인해 심각한 운송량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데, 파이프 커넥터에서는 여러 종류의 유체가 공존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입력부 하나에 다수의 유체를 공급하려면 입력 포트 직전에서 파이프 커넥터를 통해 파이프들을 병합해야 한다.
설치물 중 유일하게 땅 속에 묻혀도 파괴되지 않는다. 이를 계획적으로 이용하면 주거지나 농장 등 커다란 건물 밑으로 지나가는 지하 파이프라인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단, 지하에서도 철거 명령의 영향을 받기에 어느 순간 실수로 조용히 사라질 수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2.8.4. 용융물 통로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용융물 통로 Molten Channel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없음 | ||
재료 | | ||
소비전력 | 없음 | ||
유지보수 | 없음 | ||
운송량 | 120 / 60 |
녹은 금속과 유리가 흘러가는 통로이다. 다른 수송 설비와는 달리 경사로를 만들 수 없다.
2.8.5. 밸런서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밸런서 Balancer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평면 컨베이어 밸런서 | <colbgcolor=#2c2c2c> U자형 컨베이어 밸런서 | <colbgcolor=#2c2c2c> 파이프 밸런서 | <colbgcolor=#2c2c2c> 용융 채널 밸런서 |
해금 조건 | 수송설비 밸런서[I] 연구 | |||
재료 | | |||
크기 | 2x2 | |||
소비전력 | | |||
유지보수 | 없음 |
수송 설비 간 입출력 우선순위를 지정해주는 장치이다. 총 8개의 입출력부가 있으나, 각각 한 단계의 우선순위만 배정 가능하기에 세 단계 이상의 순서가 필요하다면 밸런서가 여러 개 필요하다.
건물의 입출력 포트나 파이프/벨트 커넥터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으며, 사이에 적어도 한 칸의 수송 설비가 있어야 한다.
2.8.6. 분류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분류기 Sorter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평면 컨베이어 분류기 | <colbgcolor=#2c2c2c> U자형 컨베이어 분류기 |
해금 조건 | 지능형 컨베이어 분류[I] 연구 | |
재료 | | |
크기 | 2x2 | |
소비전력 | | |
유지보수 | 없음 |
지정한 아이템들만을 걸러내는 장치이다. 농장, 폐기물 분류 시설, 집적회로 가공기 등의 물류 자동화에 거의 필수적이다.
2.8.7. Conveyer Lifter
컨베이어 벨트로 수송되는 물품을 수직으로 오르내리게 해주는 장비. 설치하는 방법이 꽤 독특한데, 첫번째로는 다른 건물을 설치할 땐 건물의 좌우를 뒤집는 키로 작동하는 F키가 Conveyer Lifter를 설치할 땐 인입/인출 방향을 바꾸는 키로 작동한다는 것아고, 두번째로는 마우스를 한 번 찍으면 바로 설치되는 다른 건물들과 달리 이걸 설치할 땐 마우스를 찍으면 Lifter의 높이를 조정하는 (Q, E 키로 조정한다.) 두번째 단계로 들어간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Conveyer Lifter를 설치할 땐 마우스를 두 번 찍어야 한다.장비 자체는 1*2의 공간을 차지하며, 비용은 6 + 2*(오르내리는 높이) 만큼의 건설 부품 II다. 즉 기본 건설 비용은 건설 부품 II 8개.
2.8.8. 스태커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스태커 Stacke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스태커[I] 연구 |
재료 | |
크기 | 24x5* |
인원 | 없음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없음 |
운송량 | 200 / 60 |
최대 벨트 II만큼의 속도로 벌크 자원을 바닥에 뿌려 주는 설비이다. 광산에서 나온 흙이나 돌을 처리하는 데 사용하면 트럭의 동선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 장비 자체는 벌크 자원을 바닥에 뿌려주는 역할을 할 뿐이지만, 벌크 자원은 바닥에 뿌려지면 흘러내리기 때문에, 지하로 깊이 파들어간 폐 노천 탄광 등 깊이가 깊은 곳에 이 장비를 사용해서 버력[9]을 부어주면 아주 멋지게 폐광을 매립하면서 버력을 버릴 막대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높이를 -12로 설정하면 스태커가 설치된 지면 높이 직전에서 작동을 멈추며, 그곳을 나중에 다른 재료로 덮었을 때 드러나지 않는다.
2.9. 보관소
어째서인지 이 게임은 하나의 보관소가 저장 명령과 방출 명령을 동시에 걸어놓지 못하게 되어 있다. 즉 보관소에 아이템을 50%까지 저장하라는 명령을 내렸으면 50%만큼의 아이템을 반드시 들고 있도록 되어 있고, 방출 명령을 내렸으면 그 보관소에는 트럭이 아이템을 갖다놓지 않는다. 즉 "n% 이상 저장, m% 이상 방출" 명령을 한 보관소에 걸어두는 것은 불가능하다.보통은 보관소를 수송 장비 (컨베이어 벨트, 파이프 등) 나 채굴 장비 (원유 펌프, 지하수 펌프 등) 등 아이템의 입출력을 자동으로 하는 장비와 연결시켜 사용하지만, 수송 장비가 뚫리지 않은 초반이나 벌목지 근처에 목재 중간저장 보관소를 운용할 때 등등 보관소만 단독으로 사용할 때는 꽤나 신경쓰이는 문제. 보통은 보관소만 단독으로 운용할 때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보관소를 직렬로 이어붙여서 앞의 것에는 방출 명령을, 뒤의 것에는 저장 명령을 걸어놓는 변태적인 방법으로 (...) 이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Advanced Logistic Control 기술을 연구하면 보관소, 채굴 관제탑과 광석 분류기 상호간에 수출/수입 관계를 지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어느 건물에 아이템이 쌓이면 어느 건물로 보내고, 어느 건물이 아이템이 모자라면 어느 건물에서 받아오는지를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 하지만 앞서 말한대로 이 게임은 하나의 보관소가 저장 명령과 방출 명령을 동시에 걸어놓지 못하게 되어 있고, 따라서 수출 명령을 걸어둔 건물에 아이템 저장 명령을 걸어두면 에러가 나기 때문에 (...) 채굴 관제탑에 그 전용 광석 분류기를 지정하는 등등의 사용법이 아니면 잘 쓰지 않게 되는 기능. 또 생산 건물에는 수출/수입 관계를 지정할 수 없는 점도 불편한 부분,
2.9.1. 제품 보관소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제품 보관소 Unit Storage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제품 보관소 | <colbgcolor=#2c2c2c> 제품 보관소 II | <colbgcolor=#2c2c2c> 제품 보관소 III | <colbgcolor=#2c2c2c> 제품 보관소 IV |
해금 조건 | 거래 선착장[I] 연구 | 보관소 II[II] 연구 | 보관소 (대형)[III] 연구 | 보관소 (대형) II[IV] 연구 |
재료 | | | | |
크기 | 5x5 | 5x5 | 10x10 | 10x10 |
소비전력 | | | | |
저장용량 | 180 | 360 | 2160 | 4320 |
인원 | 없음 | |||
유지보수 | 없음 |
제품 형태의 아이템을 보관하는 시설이다. 크기나 비용 대비 저장 용량이 다른 게임에 비해 적은 편으로, 실제로 보이는 부피만큼의 양만 보관 가능하다. 입출력 포트를 맞추어 여러 개의 보관소를 이어 지으면 하나의 큰 보관소처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맞물린 포트에 따라 자동으로 차량 입출력 제한이 걸린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정지 상태의 청사진을 설치해도 마찬가지이다.
벨트 입출력부의 속도에는 한계가 존재하며, 티어별로 분당 360/760/790/1800만큼의 아이템을 전달 가능하다.
2.9.2. 벌크 자원 보관소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벌크 자원 보관소 Loose Storage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벌크 자원 보관소 | <colbgcolor=#2c2c2c> 벌크 자원 보관소 II | <colbgcolor=#2c2c2c> 벌크 자원 보관소 III | <colbgcolor=#2c2c2c> 벌크 자원 보관소 IV |
해금 조건 | 보관소[I] 연구 | 보관소 II[II] 연구 | 보관소 (대형)[III] 연구 | 보관소 (대형) II[IV] 연구 |
재료 | | | | |
크기 | 5x5 | 5x5 | 10x10 | 10x10 |
소비전력 | | | | |
저장용량 | 180 | 360 | 2160 | 4320 |
인원 | 없음 | |||
유지보수 | 없음 |
벌크 자원을 보관하는 시설로, 이외의 내용은 제품 보관소와 동일하다. 저장 용량은 맨 땅에 쏟아놓았을 때의 부피와 크게 차이가 없으며, 지붕이 뚫려 있어 내용물 확인이 용이하다.
2.9.3. 유체 보관소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유체 보관소 Fluid Storage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유체 보관소 | <colbgcolor=#2c2c2c> 유체 보관소 II | <colbgcolor=#2c2c2c> 유체 보관소 III | <colbgcolor=#2c2c2c> 유체 보관소 IV |
해금 조건 | 기본 경유(DIESEL) 정제[I] 연구 | 보관소 II[II] 연구 | 보관소 (대형)[III] 연구 | 보관소 (대형) II[IV] 연구 |
재료 | | | | |
크기 | 5x5 | 5x5 | 10x10 | 10x10 |
저장용량 | 180 | 360 | 2160 | 4320 |
인원 | 없음 | |||
소비전력 | 없음 | |||
유지보수 | 없음 |
유체를 저장하는 시설이다. 위의 두 보관소와는 달리 전력 소비가 없고, 포트 입출력 속도가 훨씬 빠르다.
부풀어오른 정도로 멀리서도 저장량을 확인할 수 있다.
2.9.4. 방사성 폐기물 보관소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방사성 폐기물 보관소 Radioactive Waste Storage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원자로[IV] 연구 |
재료 | |
크기 | 16x16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없음 |
저장용량 | 1600 |
증식로 두 대가 최대 출력으로 작동 시 발생하는 핵분열 생성물은 보관소 하나의 처리량을 약간 초과한다.
2.10. 건물
2.10.1. 연구실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연구실 Research Lab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연구실 | <colbgcolor=#2c2c2c> 연구실 II II | <colbgcolor=#2c2c2c> 연구실 III | <colbgcolor=#2c2c2c> 연구실 IV | <colbgcolor=#2c2c2c> 연구실 V | |
해금 조건 | 없음 | 연구실 II[I] 연구 | 연구실 III[II] 연구 | 연구실 IV[III] 연구 | 연구실 V[IV] 연구 | |
재료 | | | | | | |
크기 | 15x15* | |||||
인원 | | | | | | |
소비전력 | 없음 | | | | | |
연산 사용량 | 없음 | | ||||
유지보수 | 없음 | | | | | |
결속력 | | | | | |
각종 기술들을 연구하는 시설이다. 기본 연구소는 작동을 위해 약간의 인력과 결속력만을 요구하지만, 연구소 II부터는 전용 연구 장비를 공급해 주어야 한다. 많은 자원을 소비하고, 재활용 연구 시
건설에 해당 연구실이 소모하는 연구 장비가 필요하므로, 업그레이드에 앞서 연구 장비 공장에 새로운 생산라인을 추가해야 한다.
2.10.2. 등대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등대 Beacon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등대[I] 연구 |
재료 | |
크기 | 5x5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없음 |
결속력 | |
난민들에게 섬의 위치를 알리는 건물로, 인구 증가량이 없거나 낮은 게임 초반의 인력 수급을 책임진다. 가동 시 난민 무리가 소량의 구리/고무/디젤/고철을 가지고 섬에 들어오는데, 이들이 오는 주기는 시간이 지날수록 늘어나기에 나중에는 결속력만 낭비하는 시설이 되므로 끄거나 철거해야 한다. 주거지 III이 10개쯤 정도 차게 되면 인구의 자연 증가만으로도 새로 지은 주거지의 인구를 채우는 데 전혀 문제가 없게 된다.
2.10.3. 선장 사무실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선장 사무실 Captain's Office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선장 사무실 | <colbgcolor=#2c2c2c> 선장 사무실 II |
해금 조건 | 선장 사무실[I] 연구 | 선장 사무실 II[II] 연구 |
재료 | | |
크기 | 20x20 | |
인원 | | |
소비전력 | | |
유지보수 | 없음 |
청사진과 각종 정책들을 사용하려면 건설해야 하는 건물이다. 뭔가 중요해보이는 이름과 생김새와는 달리 존재하기만 하면 효과를 발휘하므로 아무데나 지어도 무방하다.
아무 기능을 쓰지 않아도 상시 전력을 소비한다.
청사진 (Blueprint : F4) 기능을 쓰려면 이 건물이 반드시 작동중이어야 한다.
2.10.4. 정비창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정비창 Maintenance Depot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정비창 (기본) | <colbgcolor=#2c2c2c> 정비창 | <colbgcolor=#2c2c2c> 정비창 II | <colbgcolor=#2c2c2c> 정비창 III |
해금 조건 | 전력 & 유지보수[I] 연구 | 정비창 II[II] 연구 | 건설 IV[III] 연구 | 데이터 센터[IV] 연구 |
재료 | | | | |
크기 | 7x6 | |||
인원 | | | | |
소비전력 | | | | |
유지보수 | 없음 |
각종 설비와 차량의 작동에 필요한
재활용 연구 시 재활용품을 배출하는 제작법을 수동으로 선택해 주어야 한다. 많은 자원이 소비되는 곳이므로 연구소-재활용센터 복합체와 함께 물류의 중심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정비창 I, II, III는 업그레이드 관계가 아님에 유의. 상위 등급의 유지보수를 생산하는 정비창은 하위 등급의 유지보수를 생산하지 못한다.
2.10.5. 로켓 발사체 조립동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로켓 발사체 조립동 Rocket Assembly Depot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로켓 조립 & 발사[V] 연구 |
재료 | |
크기 | 41x21* |
인원 | |
소비전력 | |
연산 사용량 | |
유지보수 | 없음 |
로켓을 생산하는 거대한 공장이다. 조립이 완료된 로켓은 기립되어 전용 트랜스포터로 발사대까지 이동한다.
2.10.6. 로켓 발사대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로켓 발사대 Rocket Launch Pad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로켓 조립 & 발사[V] 연구 |
재료 | |
크기 | 38x26* |
인원 | |
소비전력 | 없음 |
유지보수 | 없음 |
최종적으로 로켓을 발사하는 시설이다. 연료인
로켓 발사 시 일정 시간 동안 결속력 보너스가 주어진다.
2.11. 건물 (차량용)
2.11.1. 광석 분류 시설
- Ore Sorting Plant
게임 시작 시 이 건물을 쓸 수 있게 하는 옵션을 켜야 쓸 수 있다.
이 건물이 등장하는 게임에서는 광석을 실은 트럭이 우선 이 시설을 거쳐서 짐을 분류해야 짐을 원래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광석을 실은 트럭이 짐을 그냥 덤프만 해놔도 버력[10]이 알아서 걸러지기 때문에 편리하다는 의견과, 채광 과정에 한 차례를 추가해서 불편하다는 의견이 공존한다.
건물 자체의 기능은 입력된 화물을 4가지 출력 포트로 분류해서 출력하는 기능이다. 어떤 화물이 어떤 포트로 나오게 할 것인지도 선택할 수 있다.
비용은 건설 부품 I 80개, 크기는 10*18.
게임 시작 때부터 열리는 건물이지만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해, 광석 분류 속도와 버퍼의 용량[11]이 극초반 기준으로 밸런싱되어 있는지, 2레벨 이상의 굴삭기를 4대를 초과해서 투입하면 광석 분류 속도가 채굴 속도를 따라잡지 못한다. 크기가 작지 않은 건물이라 한 광산에 2개 이상 깔기도 부담스러워서 꽤나 답답한 부분. 업데이트 3에서 이 건물에도 업그레이드가 추가될 것이라는 소식이 있지만...
2.11.2. 차량 기지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차량 기지 Vehicles Depot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차량 기지 | <colbgcolor=#2c2c2c> 차량 기지 II | <colbgcolor=#2c2c2c> 차량 기지 III |
해금 조건 | 차량 및 채광[I] 연구 | 대형 트럭[II] 연구 | 초대형 차량[IV] 연구 |
재료 | | | |
크기 | 16x12* | 16x12* | 30x20* |
인원 | | | |
소비전력 | 없음 | | |
유지보수 | 없음 |
차량의 생산 / 업그레이드 / 폐차 / 긴급 구조를 담당하는 건물이다. 빠른 건설처럼 결속력을 이용해 즉시 재료를 가져오도록 할 수 있다. 폐차된 차량의 부품은 차량 기지에 보관되며, 해당 아이템에 대한 요청이나 보관 공간이 있다면 다른 차량에 의해 배송된다. 차량의 업그레이드 명령은 건물과는 달리 '폐차 후 신차 조립'이기에 이전 차량의 부품은 업그레이드되지 않고 차량 기지에 남는다.
2.11.3. 관제탑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채굴 관제탑 / 조림지 관제탑 Mine Control Tower / Forestry Control Towe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차량 및 채광[I] 연구 | <colbgcolor=#2c2c2c> 나무 심기[I] 연구 |
재료 | | |
크기 | 4x4 | |
인원 | 없음 | |
소비전력 | 없음 | |
유지보수 | 없음 |
각각 지형 편집과 삼림 조성을 관리하기 위한 건물이다.
채굴 관제탑에 배정된 굴삭기와 차량은 해당 지역에 내려진 굴삭과 매립 명령을 수행한다. 단 매립의 경우 배정되지 않은 차량에게도 유효하기에, 차량 배정 없이 특정 자원의 매립 명령을 내리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조림지 관제탑에 지정된 조림지 구역에서는 배정된 식재기와 벌목기가 지속적으로 작업을 수행한다. 지정된 구역의 성숙한 나무는 벌목 대상으로 지정된 것과 같은 취급이기에 미배정 상태의 벌목기도 수확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림지의 성체 나무는 수확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벌목기가 알아서 수확한다.
조림지 관제탑에서는 나무의 수확 기준을 정할 수 있다. 기준이 높을수록 묘목당 나무 수율이 증가하지만, 후반의 성장 속도가 느리기에 수확 기준 60%에서 삼림지 면적 대비 목재 생산량이 가장 크다.
2.11.4. 주유소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주유소 Fuel Station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주유소 | <colbgcolor=#2c2c2c> 주유소 II | <colbgcolor=#2c2c2c> 주유소 III |
해금 조건 | 주유소[II] 연구 | 주유소 II[II] 연구 | 주유소 III[IV] 연구 |
재료 | | | |
저장용량 | 40 | 120 | 360 |
크기 | 7x6 | ||
인원 | 없음 | ||
소비전력 | 없음 | ||
유지보수 | 없음 |
차량에 연료를 보급하는 시설이다. 연료가 떨어진 차량은 선착장이나 가까운 디젤 보관소까지 가서 연료를 채우는데, 벌목기나 굴삭기의 경우 해당 시간 동안 자신과 자신에게 배정된 차량이 작업을 하지 못하게 된다. 주유소 건설 후 차량을 배정하면 더 이상 굴삭기/벌목기/식재기는 스스로 연료를 찾아 떠나지 않으며 주유소에 배정된 차량에게서만 보급을 받게 된다.
티어가 올라갈수록 주유소의 용량은 3배씩 증가한다. 연료가 필요한 차량은 가장 가까운 주유소에 연료를 '예약'하는데, 다른 차량에 의해 예약되지 않은 연료가 자신의 용량보다 적어 만충할 수 없게 된 경우 더 먼 주유소로 가게 되므로 대형 차량이 많이 지나다니는 곳에는 고티어 주유소가 필요하다.
차량이 주유소를 선택하는 기준은 현재 자신과의 xy평면상 직선 거리이다. 따라서 높은 산 위나 바다 건너 작업하던 차량이 주행거리상 더 가까운 주유소를 무시하고 멀리 돌아오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주유소의 위치를 적절히 수정해야 한다.
2.11.5. 차량용 경사로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차량용 경사로 Vehicle Ramp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차량용 경사로(소형) | <colbgcolor=#2c2c2c> 차량용 경사로(중형) | <colbgcolor=#2c2c2c> 차량용 경사로(대형) |
해금 조건 | 차량용 경사로[I] 연구 | ||
재료 | | | |
크기 | 11x8 | 15x8 | 20x8 |
인원 | 없음 | ||
소비전력 | 없음 | ||
유지보수 | 없음 |
차량이 수송 설비를 넘어 이동할 수 있게 해 준다. 소형은 3칸, 중형은 3칸 2개, 대형은 3칸 2개와 가운데 4x2칸의 공간을 제공한다.
파이프만을 넘어야 하는 경우 흙이나 돌로 덮는 것이 더 컴팩트한 대체재가 될 수 있다.
2.11.6. 옹벽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옹벽 Retaining Wall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옹벽 (짧은) | <colbgcolor=#2c2c2c> 옹벽 (모서리) | <colbgcolor=#2c2c2c> 옹벽 (교차) | <colbgcolor=#2c2c2c> 옹벽 (T자형) | <colbgcolor=#2c2c2c> 옹벽 (긴) |
해금 조건 | 옹벽[I] 연구 | ||||
재료 | | | | | |
크기 | 2x1 | 2x2 | 2x2 | 2x2 | 4x2 |
최대 5칸 높이의 벌크 자원을 지지해주며, 주로 채굴 작업 시 흙막이공사에 사용된다.
한 칸을 땅에 묻고 4칸 높이만 사용할 시 벨트나 파이프가 넘어다니는 것이 가능하다.
채굴/매립 지정 영역의 바로 옆 중간칸 (4*4 사각형) 의 가운데를 지나가게 깔아야 깔끔하게 깔 수 있다.
2.11.7. 장벽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장벽 Barrier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장벽 (직선) | <colbgcolor=#2c2c2c> 장벽 (모서리) II | <colbgcolor=#2c2c2c> 장벽 (교차) | <colbgcolor=#2c2c2c> 장벽 (T자형) | <colbgcolor=#2c2c2c> 장벽 (끝부분) |
해금 조건 | 차량 관리 III[II] 연구 | ||||
재료 | | ||||
크기 | 1x1 |
차량의 통행을 제한하는 데 사용되며, 그 외의 기능은 장식뿐이다.
2.12. 주거지 및 서비스
2.12.1. 주거지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주거지 Housing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주거지 | <colbgcolor=#2c2c2c> 주거지 II | <colbgcolor=#2c2c2c> 주거지 III |
해금 조건 | 없음 | 주거지 II[I] 연구 | 주거지 III[III] 연구 |
재료 | | | |
거주인원 | | | |
크기 | 28x28 |
주민들이 거주하는 장소이며, 선착장 근처에 두 동이 지어진 상태로 시작한다. 청사진을 손에 들 시 기존 주거지 주변에 녹색 사각형으로 지을 수 있는 곳이 표시되며, 이렇게 붙여 지은 주거지끼리는 부착된 모듈을 공유할 수 있다.[12] 분리된 다수의 주거지구를 조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모듈도 따로 달아 줘야 하기에 완전히 이사하려는 경우가 아니면 권장되지 않는다.
티어가 올라갈수록 주민들의 물과 전력 소비량이 약간 증가한다. 그러나 주거지 II는 물과 전력이 공급될 시 50%, 주거지 III는 물, 전력, 생활용품이 모두 공급될 시 해당 조건 만족으로 얻는 결속력이 100% 증가하는데다 무엇보다도 공간 효율이 급증하니 재료만 충분하다면 상위 티어 주거지로의 업그레이드를 망설일 이유는 없다.
2.12.2. 식료품 상점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식료품 상점 Food Market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없음 | <colbgcolor=#2c2c2c> 식료품 상점 II[II] 연구 |
재료 | | |
인원 | | |
크기 | 11x7 |
주거지에 식량을 공급하는 곳이다. 식량 한 종류당 400의 자체 저장 공간을 가지며, 좌상단의 개월 수는 이곳에 저장되어 있는 양을 기준으로 한다. 식료품 상점 II는 식량 저장 슬롯이 2개이다. 우선순위 기본값은 8로 일반적인 건물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보관소처럼 한 칸 간격을 둔 2개의 입력 포트가 있는데 하나는 제품용, 다른 하나는 벌크 자원용이다. 건설 시 f를 눌러도 좌우반전되지 않으며 이는 식료품 상점뿐만 아니라 다른 주거지 모듈도 마찬가지이다.
2.12.3. 생활용품 / 가전제품 / 전자제품 상점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생활용품 / 가전제품 / 전자제품 상점 Household Goods / Household Appliances / Consumer Electronics Module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생활용품 상점 | <colbgcolor=#2c2c2c> 가전제품 상점 | <colbgcolor=#2c2c2c> 전자제품 상점 |
해금 조건 | 생활용품[III] 연구 | 가전제품[III] 연구 | 전자제품[V] 연구 |
재료 | | | |
인원 | | | |
소비전력 | | | |
유지보수 | | | |
크기 | 11x7 |
결속력 증진을 위해 주민들에게 물품을 공급하는 시설이다.
2.12.4. 상수도 시설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상수도 시설 Water Facility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정착지 물[I] 연구 |
재료 |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크기 | 11x7 |
주거지에 물을 공급하는 시설이다. 1레벨 주거지에 1000명이 거주하는 경우 분당 약 60의
2.12.5. 변압기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변압기 Transformer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정착지 전력[II] 연구 |
재료 |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크기 | 11x7 |
주거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시설이다. 다른 건물과 달리 입출력물이 없기 때문에 위치 선정에 있어 자유롭다.
여러 대 지으면 부하를 나눠 담당하는 다른 모듈과는 달리 변전소는 다수가 있어도 그 중 하나만 작동한다.
2.12.6. 폐기물 / 재활용품/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폐기물 / 재활용품/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 Waste / Recyclables / Biomass Collection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폐기물 배출장 | <colbgcolor=#2c2c2c> 재활용품 배출장 | <colbgcolor=#2c2c2c>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 |
해금 조건 | 없음 | 재활용[II] 연구 | 주거지 재활용[III] 연구 |
재료 | | | |
인원 | | | |
소비전력 | 없음 | ||
유지보수 | 없음 | ||
크기 | 11x7 |
주거지에서 발생한 쓰레기들이 모이는 장소이다.
2.12.7. 진료소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진료소 Clinic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병원[III] 연구 |
재료 | |
인원 | |
소비전력 | |
유지보수 | |
크기 | 11x7 |
2.12.8. 광장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광장 Square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광장 (밝은) | <colbgcolor=#2c2c2c> 광장 (어두운) | <colbgcolor=#2c2c2c> 광장 (기둥) | <colbgcolor=#2c2c2c> 분수가 있는 광장 |
해금 조건 | 정착지 장식[III] 연구 | 정착지 장식 연구 + DLC 구매 | ||
재료 | | | ||
크기 | 28x28 |
주거지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주거지에 붙여 건설하면 인접한(대각선 포함) 주거지에 거주하는 주민의 수에 비례한 결속력 보너스가 생긴다. 그 양은 모든 주거지가 광장과 인접할 시 매달 +1.0으로 크지 않으나 아주 간단하게 받을 수 있으므로 주거지 확장 계획 시 광장의 배치를 고려하는 것을 권장한다.
2.13. 화물 부두
2.13.1. 제품 하역 설비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제품 하역 설비 Unit Module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제품 하역 설비 (소형) | <colbgcolor=#2c2c2c> 제품 하역 설비 (중형) | <colbgcolor=#2c2c2c> 제품 하역 설비 (대형) |
해금 조건 | 항만 시설[II] 연구 | 항만 시설 II[II] 연구 | 항만 시설 III[IV] 연구 |
재료 | | | |
인원 | | | |
소비전력 | | | |
유지보수 | | | |
저장용량 | 180 | 360 | 720 |
운송량 | 90 / 60 | 180 / 60 | 360 / 60 |
크기 | 10x5 |
화물선에 제품을 선적/하역하기 위한 시설이다. 항만 시설에 인접하게만 건설 가능하다. 자체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밸런서로 모든 하역 설비에서 균일하게 아이템을 가져와야 한다.
입출력 포트가 일반 보관소와 동일한 위치에 있어 간단하게 저장용량을 늘릴 수 있다. 단, 벨트 커넥터를 포트에 직결할 수는 없다.
2.13.2. 벌크 자원 하역 설비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벌크 자원 하역 설비 Loose Module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벌크 자원 하역 설비 (소형) | <colbgcolor=#2c2c2c> 벌크 자원 하역 설비 (중형) | <colbgcolor=#2c2c2c> 벌크 자원 하역 설비 (대형) |
해금 조건 | 항만 시설[II] 연구 | 항만 시설 II[II] 연구 | 항만 시설 III[IV] 연구 |
재료 | | | |
인원 | | | |
소비전력 | | | |
유지보수 | | | |
저장용량 | 180 | 360 | 720 |
운송량 | 90 / 60 | 180 / 60 | 360 / 60 |
크기 | 10x5 |
벌크 화물을 선적/하역하는 시설이다. 그 외의 것은 제품 하역 설비와 동일하다.
2.13.3. 유체 하역 설비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유체 하역 설비 Fluid Module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유체 하역 설비 (소형) | <colbgcolor=#2c2c2c> 유체 하역 설비 (중형) | <colbgcolor=#2c2c2c> 유체 하역 설비 (대형) |
해금 조건 | 항만 시설[II] 연구 | 항만 시설 II[II] 연구 | 항만 시설 III[IV] 연구 |
재료 | | | |
인원 | | | |
소비전력 | | | |
유지보수 | | | |
저장용량 | 220 | 440 | 880 |
운송량 | 110 / 60 | 220 / 60 | 440 / 60 |
크기 | 10x5 |
유체를 선적/하역하며, 원유를 가져오기 위해 처음 사용하게 될 시설이다. 다른 하역 설비에 비해 약간 높은 운송량과 저장 용량을 가진다.
2.13.4. 항만 시설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항만 시설 Cargo Depot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항만 시설 (2칸) | <colbgcolor=#2c2c2c> 항만 시설 (4칸) | <colbgcolor=#2c2c2c> 항만 시설 (6칸) | <colbgcolor=#2c2c2c> 항만 시설 (8칸) |
해금 조건 | 항만 시설[II] 연구 | 항만 시설 II[II] 연구 | 항만 시설 III[IV] 연구 | 항만 시설 IV[V] 연구 |
재료 | | | | |
크기 | 25x2 | 25x2 | 45x2 | 45x2 |
저장용량 (디젤) | 77 | 120 | 163 | 206 |
인원 | | | | |
소비전력 | 없음 | |||
유지보수 | 없음 |
화물선의 정박을 위해 필요한 시설이다. 2칸은 4칸으로, 6칸은 8칸으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건설 때부터 업그레이드를 위한 추가 공간을 요구한다. 4칸에서 6칸으로는 업그레이드가 되지 않음에 유의.
화물선의 용량은 해당 화물선이 정박하는 항만 시설의 크기에 따라 변한다. 큰 화물선을 사용하면 운송량당 디젤 사용량을 약간 줄일 수 있으나, 하역 설비와 화물선 자체에 더 많은 인원이 필요하므로 모든 품목에 대해 큰 항만 시설을 지을 필요는 없다.
여담으로, 항구를 업그레이드하면 대응되는 화물선이 바다로 나갔다가 업그레이드가 돼서 돌아온다. (...)
참고로 이 건물을 짓게 해주는 연구는 월드맵에서 난파선을 발견해야 해금된다. 첫 난파선 발견이 항만 시설 연구를 찍을 시점보다 훨씬 더 일찍 이뤄지기 때문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사실.
2.13.5. 거래 선착장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거래 선착장 Trading Dock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거래 선착장[I] 연구 |
재료 | |
크기 | 10x2 (지면) + 15x12* (지면 또는 해수면) + 16x1 (해수면) |
인원 | 없음 |
소비전력 | 없음 |
유지보수 | 없음 |
다른 정착지와의 교역에 사용되며, 빠른 거래 시 물건은 이곳에 배송된다. 섬에는 단 하나의 거래 선착장만 존재할 수 있다.
커다란 화물선을 여러 대를 정기선으로 굴리는 기지에서 무역항은 끝까지 이렇게 초라한 모습인 것을 보면 대략 정신이 멍해진다. (...)
2.13.6. 조선소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조선소 Shipyard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선박 부두 수리[I] 연구 |
재료 | |
크기 | 60x2 (지면) + 60x17 (지면 또는 해수면) + 86x17* (해수면) |
인원 | 없음 |
소비전력 | 없음 |
유지보수 | 없음 |
게임 시작 시 배가 정박해 있는 장소로, 배를 수리하고 업그레이드하는 곳이다. 감자를 제외한 시작 물품은 모두 여기에 보관되어 있으므로 초기 건물들과 디젤 발전기는 조선소 근처에 건설해야 동선을 절약할 수 있다.
철거나 차량/보관소에서 아이템 제거 시 나머지 보관소 용량을 초과하는 잉여분은 모두 이곳으로 옮겨진다. 쓸모 없는 아이템은 여기서 제거 버튼을 눌러 영구적으로 삭제할 수 있으나, 폐기물을 없앨 수는 없다.
조선소에는 연료 입력 포트를 제외한 물류 인터페이스가 없어 외부 광산에서 채굴한 광석 등을 본선으로 직접 가져오면 이를 모두 차량이 처리해야 한다. 이때 차량 물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조선소의 우선순위를 낮추는 것은 독이 될 수 있는데, 게임 시스템상 차량이 매우 수동적이기 때문에 우선순위가 낮으면 하역 작업을 1회 마친 후 다른 보관소의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떠나 버려 동선 낭비가 심해진다. 조선소의 화물 용량은 400으로 한정되어 있고, 철거 등으로 인해 잉여 물품이 있을 시 하역 요청량은 더 줄어들기 때문에 우선순위를 높인다고 해서 모든 차량이 하던 일을 놓고 조선소로 달려드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는다. 물론 가장 간단한 해결책은 해당 상황 발생 시 과적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다.
다른 장소에 추가로 건설 후 기함이 그곳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해저면은 섬에서 멀어질수록 선형적으로 낮아지므로 효율적인 간척을 위해서는 한 번 옮겨야 할 수도 있다.
2.14. 랜드마크
2.14.1. 유지보수의 동상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유지보수의 동상 The Statue of Maintenance | ||
| ||
명칭 | <colbgcolor=#2c2c2c> 유지보수의 동상 | <colbgcolor=#2c2c2c> 유지보수의 동상 (금) |
해금 조건 | 유지보수의 동상[III] 연구 | 유지보수의 동상[III] 연구 + DLC 구매 |
재료 | | + |
크기 | 11x10 | |
유지보수 | | |
인원 | | |
소비전력 | |
분당 유지보수 I 10만큼을 사용하여 전체 유지보수 요구량을 4% 감소시킨다. 유지보수 I은 정비창 하나가 분당 480단위만큼 뽑아내는 자원인지라 저 유지보수 사용량은 무시해도 상관없다. 여러 개 짓는 것도 가능하지만, 동상 건설 시 추가 효과는 이전 동상의 절반만큼이다. 후방 파이프 연결부를 통해
클릭하면 다음의 글귀를 볼 수 있다.
Text on the plaque: Life can be rough, if you don't maintain your stuff. And when things fail, just look - missing entry in the service book! |
DLC 구매 시 동상의 황금 버전도 같이 해금된다. 처음부터 건설할 수는 없으며 일반 동상 건설 후 금을 추가해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2.14.2. 선장의 무덤
<colbgcolor=#253740><colcolor=#FFFBED> 선장의 무덤 Tomb of Captains | |
| |
해금 조건 | <colbgcolor=#2c2c2c> 선장의 무덤 연구 (DLC) |
재료 | 문단 참조 |
크기 | 75x46 |
인원 | 없음 |
소비전력 | 없음 |
유지보수 | 없음 |
역대 선장들이 묻히는 공간으로, DLC 구매 시 연구 트리에 추가된다. 건설은 총 6단계로 이루어지며, 농장보다 더 큰 면적을 차지하는 건물인 만큼 막대한 양의 자재가 필요하다. 건설 5단계부터
건설 비용 | |
<colcolor=#fff> 1단계 | |
2단계 | |
3단계 | |
4단계 | |
5단계 | |
6단계 | |
합계 | |
[1] 24단위 -> 96단위[2] 물 24단위당 12단위 -> 18단위[3] 회전식 가마는 석탄, 회전식 가마 (가스) 는 연료가스 또는 수소.[4] 철의 경우 석회석 분당 3단위, 구리의 경우 모래 분당 6단위를 추가로 투입해야 한다.[5] 이 때문에 무심코 용광로를 업그레이드할 시 광석을 담던 창고와 용광로를 잇는 컨베이어 벨트에 분쇄되지 않은 광석이 끼어 있어 그 컨베이어 벨트가 막히는 일이 생긴다. 용광로를 업그레이드하면 용광로와 광석 창고를 잇는 컨베이어 벨트를 반드시 비울 것.[6] 모래로 정화할 때 발생하는 슬러지의 양은 감당할 수 있으나, 여과재로 폐수를 정화할 때는 모래로 정화할 때에 비해서 슬러지가 1.5배로 발생한다.[7] 감자, 채소, 밀, 과일, 양귀비, 고기 정형 찌꺼기만. 다른 농작물들은 어째서 혐기발효가 불가능한지 모를 일.[8] 식료품 상점 > 제조공장 > 저장고 > 소화조 순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면 남는 수확물을 소화조로 보내게 된다.[9] 채굴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흙, 바위 등, 채굴 대상이 아닌 버려야 하는 물건들.[10] 광산의 채굴 과정에서 나오는 돌, 흙 등의 폐기물.[11] 총 360단위의 크기를 가진 입력 버퍼에서 1초에 30단위씩 종류별로 분류되어 출력 버퍼에 쌓이는 시스템이다.[12] 주거지의 청사진을 사이에 두고 나머지 완공된 주거지와 모듈이 붙어있어도 모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captainofindustry&no=629&pag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