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10:03

Buttercup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Buttercup'''{{{#!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파워퍼프걸의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버터컵]]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버터컵#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버터컵#|]]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동명의 꽃}}}에 대한 내용은 [[미나리아재비]]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미나리아재비#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미나리아재비#|]]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파워퍼프걸의 캐릭터: }}}[[버터컵]]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버터컵#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버터컵#|]]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동명의 꽃: }}}[[미나리아재비]]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미나리아재비#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미나리아재비#|]]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잭 스타우버/음악|잭 스타우버/음악]]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colcolor=#fff> Buttercup
버터컵
<colbgcolor=#377565>파일:Pop-Food-Art.webp
아티스트 잭 스타우버
앨범 정규 3집《Pop Food
발매일 2017년 3월 25일
길이 3:29
G major
레이블 Plopscotch Records
1. 개요2. 상세3. 음원4. 가사5. 해석6. 여담

1. 개요

잭 스타우버의 노래

2. 상세


2017년 3월 25일 발매된 잭 스타우버의 4번째 정규 앨범 Pop Food의 첫번째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현재 잭 스타우버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곡이 될 정도로 막대한 인기를 지니고 있으며, 공식적인 뮤직비디오는 없으나, 팬이 만든 위의 뮤직비디오가 조회수 2억회를 넘길만큼 유명해져있다. 뮤비에 쓰인 영상은 유아사 마사아키 감독의 2012년작 일본 단편 애니메이션 Kick-heart를 편집한 것이다. [1] 다만, 해당 영상을 만든 제작자는 자신의 팬 영상이 이렇게 까지 바이럴을 일으킬지 예상하지 못하였고, 자신의 뮤직비디오 때문에 혹시나 잭 스타우버 본인이 Buttercup의 뮤직비디오를 만들려 했으나 부담을 느껴 제작을 취소해버리진 않을까 하는 걱정이 더 앞섰다고 한다.[2] 결론적으론,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공개된 Buttercup의 뮤직비디오는 없으나, 당장 Pop Food 앨범에서도 뮤직비디오를 가지고 있는 곡은 Koi Boy외엔 없기에 원래 있던 계획이 취소되었다고 보긴 힘들다.

이후 밈화가 되어 유튜브에서 페럿이 춤추는 영상 또는 고든 램지의 머리를 늘려 기찻길을 만드는 영상등의 BGM으로 유명해져있으며, 원본과 다르게 가사없이 리믹스된 버전이지만, 엉뚱하고 머리에 생각이 사라지는 영상에 넣기에 딱 제격인지라 쇼츠 등에서 자주 쓰인다.

3. 음원


4. 가사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gcolor=#377565>
파일:Pop-Food-Art.webp
}}}}}}
(Won't you get out of my head?)
(내 머릿 속에서 그만 나가 줄래?)
(Electrify my golden tooth)
(내 금니에 자극을 줘)


Forget it, I'll do it sometime, ooh
신경 꺼, 언젠가 할 테니까
I'm locked up on the button
그런거 신경쓸 새 없다고
Can't you do it sometime?
네가 대신 해 줄순 없을까?
Pushed it in too far, oh!
너무 많이 미뤘어, 오!

Fine, electrify mine, oh
좋아, 날 흥분시켜줘
Electrify my golden tooth
내 금니에 자극을 줘
Can't look at those eyes
그 눈을 쳐다볼 수가 없어
Without sparking some...
짜릿한 뭔가 없이는...

Electrify my heart
내 마음을 흥분시켜줘
Electrify my heart
내 마음을 흥분시켜줘

● ● ●

Surprise, I'm in the same time
놀라워, 같은 시간
Beneath the same sun (Oh, yeah)
같은 태양 아래 너와 함께 있다니
Oh man you cut me to size (Ow!)
세상에, 내 마음을 산산조각 내고 있잖아
My little buttercup (That hurt!)
내 조그마한 사랑 (아팠어!)

Fine, electrify mine, oh
좋아, 날 흥분시켜줘
Electrify my golden tooth
내 금니에 자극을 줘
Can't look at those eyes
그 눈을 쳐다볼 수가 없어
Without sparking some...
짜릿한 뭔가 없이는..

Electrify my heart
내 마음을 흥분시켜줘
Electrify my heart
내 마음을 흥분시켜줘

● ● ●

Electrify my heart
내 마음을 흥분시켜줘
Electrify my heart
내 마음을 흥분시켜줘

● ● ●

(Oh)
(Please, so)
(Ple-)

Written By: Jack Stauber

5. 해석

Buttercup은 상대방에 대한 나의 감정을 드러냈을 때 돌아오지 않는 상대의 반응에 대한 노래이다.

곡명인 버터컵을 한국어로 번역하면 미나리아재비라는 꽃인데, 미나리아재비의 꽃말은 천진난만이면서, 약용으로 쓰이는 독초이기 때문에 화자의 마음에 자극을 달라는 표현이 어울리는 꽃이다.

또한, 한국내에 한정해서 영미권에선 금에 산성물질을 끼얹으면 안테나 역할을 해 전파를 잡을 수 있기에 금니를 낀 사람이 산성(미나리아재비)을 먹고 전파가 많이 흐르는 스팟에 가면 머리에 라디오 소리가 울린다는 도시 전설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

6. 여담

  • 밈에 쓰이는 칩튠 버전 Buttercup은 MixAndMash가 제작한 칩튠 버전 리믹스이다. 음원
  • 밈으로 인한 인기 때문에, 원본 음원과 칩튠버전 음원 둘다 저작권 침해와 도용으로 인한 피해를 많이 받았다고 한다. 가사의 뜻과 상관없이 쇼츠나 틱톡에서 무분별하게 쓰이는 것 때문에 안타까워 하는 팬들도 많은 편이다.

[1] 국내에서는 2020년에 '레슬링'이란 제목으로 개봉했는데, 이타즈 요시미 감독의 '피그테일(みつあみの神様)'과 카이야 토시히사 감독의 '거미 소녀(わすれなぐも)'와 함께 '피그테일: 피그테일과 거미 소녀 그리고 레슬링'이란 제목으로 개봉되었다.[2] 당장 현재 너무 많아진 인기 때문에 패트리온에서만 제작물을 공유하는 등 자신의 유명세를 부담스러워 하던 사람이였으니, 당시 팬 입장에선 이런 생각이 들 만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