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3 22:50:23

Arras.io/게임 모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Arras.io
1. 개요2. 목록
2.1. 일반
2.1.1. 맵
2.1.1.1. Open- (열린)2.1.1.2. Maze- (미로)
2.1.2. 팀
2.1.2.1. -FFA (개인전)2.1.2.2. -2 TDM (2팀)2.1.2.3. -3 TDM (3팀)2.1.2.4. -4 TDM (4팀)2.1.2.5. -Clan Wars (클랜 전쟁)2.1.2.6. -Duos (듀오)2.1.2.7. -Squads (스쿼드)
2.1.3. Lybrinth (미궁)2.1.4. Nexus (넥서스)
2.1.4.1. Forge
2.1.5. Limbo
2.2. Tag류
2.2.1. Tag2.2.2. Elimination (제거)2.2.3. Manhunt (맨헌트)
2.2.3.1. Growth Manhunt (성장 맨헌트)
2.2.4. Skinwalkers (스킨워커)
2.3. Domination (점령전)2.4. Assault (강습)
2.4.1. Capture the Flag (깃발 뺏기)
2.5. Siege (공성전)
2.5.1. Winter Mayhem (겨울 아수라장)2.5.2. Growth Siege (성장 공성전)2.5.3. Siege (공성전) 모드의 역사
2.5.3.1. Boss Event-2020.5.9~2020.5.172.5.3.2. Siege-2020.7.23~2021.6.42.5.3.3. Siege-2020.6.5~2021.12.182.5.3.4. Winter Mayhem-2021.12.19~2021.12.252.5.3.5. Siege-2021.12.26~2022.12.152.5.3.6. Siege-2022.12.16~현재2.5.3.7. Siege 타임라인
2.6. Mothership (마더쉽)
2.6.1. Maze Mothership (미로 마더쉽)2.6.2. Arms Race Mothership
2.7. 확장 모드
2.7.1. Arms Race (군비 경쟁)2.7.2. Growth(성장)
2.7.2.1. Overgrowth (과도한 성장)
2.7.3. Rock (바위)
2.8. Old Dreadnought (과거 드레드노트)2.9. Soccer (축구)
2.9.1. Grudge Ball
2.10. Private server (개인 서버)2.11. Sandbox (샌드박스)2.12. 이벤트 모드
2.12.1. Space (우주)2.12.2. Blackout (정전)2.12.3. Retrograde (복고풍)2.12.4. Pumpkin Patch (호박 밭)2.12.5. March Madness (삼월의 광기)2.12.6. Tetromino (테트로미노)2.12.7. Magic Maze (마법의 미로)2.12.8. Outbreak (아웃브레이크)2.12.9. Classic (클래식)2.12.10. Halloween (할로윈)
2.13. 삭제된 모드
2.13.1. D-day (디데이)2.13.2. Half (절반)2.13.3. Train Wars (기차 전쟁)2.13.4. Worlds Collide (세계 충돌)
2.14. 그 외
2.14.1. Unknown2.14.2. Tartarus (타르타로스)
3. 기타

1. 개요

Arras.io의 게임 모드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이다.

2. 목록

알림: 최근 잦은 업데이트로 일부 정보가 실제와 다를 수 있음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2.1. 일반

Normal 탭에서 접근할 수 있는 모드.

2.1.1.

2.1.1.1. Open- (열린)
기지가 없는 맵에서 게임이 진행된다. 10개 내외의 바위들이 맵 전체에 고루 분포해있다. 팀전의 경우 팀원 근처로 스폰된다.
2.1.1.2. Maze- (미로)
미로 모드. 중앙에 펜타곤 구역이 뚫려 있다. 현재 3가지 맵 생성 방식의 종류가 있다.

2.1.2.

2.1.2.1. -FFA (개인전)
Free For All
말 그대로 개인전. 팀이 없는 유일한 게임모드이다. 채팅이 불가하며, 다른 사람들의 이름이 보이지 않는다.
2.1.2.2. -2 TDM (2팀)
2 Teams DeathMatch
파란 팀과 초록 팀이 있으며, 맵의 좌우 또는 이웃하지 않은 두 꼭짓점에 배치된 각 팀 기지에는 기지 드론을 발사하는 베이스(Base)가 여러 대 있다. 같은 팀끼리만 채팅이 가능하다.
2.1.2.3. -3 TDM (3팀)
3 Teams DeathMatch
파란 팀, 초록 팀, 빨간 팀이 있으며, 기지는 없다. 같은 팀끼리만 채팅이 가능하다.
2.1.2.4. -4 TDM (4팀)
4 Teams DeathMatch
파란 팀, 초록 팀, 빨간 팀, 보라 팀이 있으며, 맵의 각 변 또는 꼭짓점에 배치된 각 팀 기지에는 기지 드론을 발사하는 베이스(Base)가 지키고 있다. 같은 팀끼리만 채팅이 가능하다.
2.1.2.5. -Clan Wars (클랜 전쟁)
같은 클랜끼리 대결하는 모드. 클랜은 대괄호 안에 명칭을 넣어 생성 및 가입할 수 있다. 채팅이 불가하다.
2.1.2.6. -Duos (듀오)
2명끼리 한 팀이 된다. F키를 누르면 개인 팀(링크를 통해 팀)과 랜덤 팀(무작위로 팀 배정) 중 선택할 수 있다. 랜덤 팀을 고르면 스폰할 때마다 랜덤한 팀으로 들어올 수 있으나, 개인 팀을 고르면 스폰할 때마다 같은 팀으로 들어오고 다른 사람들은 링크가 있어야 같은 팀이 될 수 있다. 채팅이 불가하다.
2.1.2.7. -Squads (스쿼드)
무작위로 4명끼리 팀이 배정된다. 듀오와 마찬가지로 F키를 누르면 개인 팀(링크를 통해 팀)과 랜덤 팀(무작위로 팀 배정) 중 선택할 수 있다. 채팅이 불가하다.

2.1.3. Lybrinth (미궁)

기본적으로는 Maze 4 Team 모드이지만, 벽이 희끄무레하다.

희귀 도형을 찾기 매우 쉽다.[1]

이 모드에서는 일반 모드에서는 나오지 않는 희귀한 오메가 중첩 도형(같은 도형 4개가 층층이 쌓인 모양의 도형)들도 나온다.[2]
[ 중첩 도형 펼치기 • 접기 ]
|| 파일:Arras.io_Superimposed Omega Egg.png || 파일:Arras.io_Shiny Superimposed Omega Square.png ||
오메가 알. 초록 오메가 사각형.
파일:Arras.io_Superimposed Omega Triangle.png 파일:Arras.io_Superimposed Omega Pentagon.png
오메가 삼각형. 오메가 오각형.
파일:오메가 육각.jpg
오메가 육각형.


드레드노트 탱크들이 입장할 수 있는 유일한 모드이다.(Forge 제외)

원래는 플레이어 vs 드레드노트 형식이었고, 맵이 가로로 길었다. 또한, 60레벨 이상만 입장할 수 있었다.

2.1.4. Nexus (넥서스)

말 그대로, 모든 서버의 허브 역할을 하는 서버.[3] 새로고침을 하지 않고도 서버 간의 이동이 가능하다.

중앙 룸에는 4개의 스폰 포인트가 있다. 4팀 모드처럼 스폰된 곳의 색에 따라 자신의 색도 달라지는데, 다른 팀끼리 서로 피해를 주지는 않는다. 일반 모드와 달리 서로 다른 팀끼리도 채팅이 가능하다.

양 옆의 문을 지나면 각기 다른 서버로 이동시켜주는 포탈들이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졌다 하는 방이 있다. 이곳에서 넥서스->다른 서버로 이동이 가능하다.

중앙 구역이 있는 대부분의 맵들은 가끔씩(약 5분마다) 넥서스로 가는 포탈이 스폰한다. 약 15초 후에 사라진다.

개인전은 빨간색, 2팀전은 파란색, 3팀전은 초록색, 4팀전은 분홍색 포탈이며, Maze 모드일 경우 더 진한 색의, Open 모드일 경우 더 연한 색의 포탈이 생긴다.
드레드노트는 연한 노란색 포탈이다.
아시아 넥서스는 노란색, 유럽은 파란색, 미국은 빨간색 포탈이다.
Labyrinth 모드는 넥서스의 왼쪽 아래에 회색 포탈이 생성된다.
Forge 포탈은 왼쪽 아래에 하얀색 포탈이다. 90레벨 이상이 되어야 입장할 수 있다.

벽 밖에는 ATMG(대전차 기관포)가 벽에 가깝게 붙어 있지만, 플레이어들을 공격하지 않는다. 넉백 감소 보너스를 받은 메가스메셔는 ATMG 위로 올라갈 수 있다.
2.1.4.1. Forge
드레드노트 탱크로 진화하기 위한 공간.

넥서스의 오른쪽 아래에는 하얀색 'Forge'포탈이 있다. 이 포탈에 진입하려면 90레벨 이상 이어야 한다.
Forge 서버에 진입하면 60스탯 포인트를 받고, 또한 Dreadnought(흰색 알) 탱크로 전직할 수 있으며, 이 트리의 다양한 탱크들로 전직할 수 있다. Labyrinth 서버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Nexus와 다르게 채팅이 가능하다.

참고로 Forge는 '대장간'이라는 뜻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드레드노트 탱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Arras.io/탱크/드레드노트 탱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rras.io/탱크/드레드노트 탱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rras.io/탱크/드레드노트 탱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5. Limbo

넥서스가 업데이트 될 때 플레이어들은 이곳으로 이동한다.

맵은 넓은 바둑판 형태이며, 각 칸마다 플레이어들이 있다. 점수를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업데이트가 끝날 때까지 기다리면 된다.

메인 화면에서 들어가려고 하면 개인 서버라며 막는다.

2.2. Tag류

2.2.1. Tag

Diep.io Maze와 Tag를 합친 모드
Diep.io의 태그 모드와 동일하지만, 맵이 작아지지 않는다. 총 3팀이 있고[4], 작은 미로 맵에서 시작한다. 상대를 죽일 시 상대는 자신의 팀으로 리스폰된다. 모든 팀을 없애면 승리이다. 보스가 여기서 게임을 엉망으로 만든다. 확실히 팀워크가 엄청나다.[5]

2.2.2. Elimination (제거)

4팀으로 시작하며, 태그 모드와 비슷하나 팀의 순위를 플레이어의 수가 아닌 해당 팀의 플레이어의 점수를 합한 값으로 계산한다. 또한 5분마다 점수가 가장 낮은 팀을 제거한다.[6] 태그 모드마냥 0점으로 표시되는 것도 아니라 순위창에서 아예 사라진다. 이렇게 5분마다 팀이 하나씩 사라지다가 최후의 한 팀이 우승자가 된다.

이전에 드론계를 제외한 탱크로 정직한 방법으로 2m을 최초로 달성 후 디스코드로 인증하면 니트로를 주는 이벤트를 진행했다.. 너무 어려웠다 생각했는지 당첨 대상이 2m 유저가 아닌 최고 점수 유저로 변경되었다. 최종 당첨자의 점수는 1,087,728(1.08m)점.

2.2.3. Manhunt (맨헌트)

기본 미로 맵과 동일하지만 플레이어를 처치했을 때 얻는 점수 양에 제한이 없다. 즉 점수가 1m인 탱크를 처치하면 1m의 점수를 그대로 받게 된다.
점수가 1위인 탱크는 24스탯 포인트를 추가로 받게 되어 총 66포인트 만큼의 스탯을 올릴 수 있다.[7] 또한 1위는 초록색으로 표시되며, 미니맵에도 나타난다.

예전에는 Nemesis라는 무적 Bob[8]가 맵을 돌아다니며 플레이어들을 공격했다.
파일:Nemesis Stuck Inside a Bunch of Walls.jpg
가끔씩 벽에 끼어버릴 때도 있었다.

이곳에는 어시스트가 없어 체력을 가장 많이 깎은 사람에게 점수가 간다.
2.2.3.1. Growth Manhunt (성장 맨헌트)
[플레이 화면 접기 • 펼치기]
파일:Growth Manhunt spike.png

Growth 모드와 Manhunt 모드가 합쳐진 모드.

대다수의 탱크들이 1등(가장 큰 탱크)를 공격하여 1등은 체력이 매우 빨리 닳는다. 그래서 1등을 죽인 사람이 엄청나게 커지게 되는데, 이 과정이 무한반복 된다. 1등이 매우 수시로 바뀌고, 이 과정에서 점수 손실이 없으니 크기가 유지되어 가능한 일이다. 게다가 1등을 한 뒤로 리스폰하면 점수가 높으니 1등의 점수는 계속 높아진다.

워낙 어지러운 모드라 1등이 되면 신기한 경험들을 할 수 있다.
[1등이 된 뒤의 화면]
|| 파일:Growth Manhunt leader.png ||
1000레벨 정도가 되면 맵 크기와 비슷해진다.
파일:image (74).png
1500레벨 죽기 직전. 너무 커져서 자신이 다 보이지도 않는다. 그리고 중앙에 있는 저 회색 사각형이 맵이다(...)
파일:Growth Manhunt high score death screen.png
이렇게 말도 안되는 점수를 얻을 수도 있다.


티밍이 심해 개발자가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띄우기도 했었다.
[개발자 메시지 접기 • 펼치기]
파일:ArrasioDevMessageGrowthMazeManhunt.png


Manhunt와 마찬가지로 어시스트가 없다.

2.2.4. Skinwalkers (스킨워커)

상대를 처치할 시 처치한 상대가 쓰고 있던 탱크로 강제로 바뀌게 된다.[9] 상대 탱크를 죽여서 그 탱크로 바뀔 때 스탯은 동일하며, 최대 티어가 아니면 더 진화할 수 있다.

스폰할 때 약한 탱크를 고르는 것도 꽤 좋은 선택지이다. 물론 킬을 내기 위해 강한 탱크를 고르는 것도 좋지만, 약한 탱크를 고르면 상대에게 죽으면 상대를 약하게 만들고, 상대를 죽이면 자신이 더 강해지기 때문이다.[10]

이 모드를 할 때는 다양한 탱크에 능할수록 좋다. 예를 들어 자신이 집탄계를 잘 다루는데 드론계 탱크를 죽이면 잘 못 할 수 있기 때문.

보스가 어느 탱크를 죽이면 그 보스도 그 탱크가 되어 잡기 매우 쉬워진다... 단, 플레이어가 보스를 죽인다고 보스가 되지는 않는다. 도형의 경우 그냥 도형한테 죽는다고 바로 그 도형이 되는 건 아니고 스탯이 다른 두 탱크가 겹쳐져 체력이 최대한이 되게 한 후 도형한테 닿으면 그 도형이 AI 탱크로 변하는데, 색은 도형 색이다.

2.3. Domination (점령전)

Diep.io와 같이 모든 도미네이터들을 점령하면 승리한다.

일반적으로 기지를 제외한 꼭짓점과 모서리, 중앙에 도미네이터들이 배치되어 있다.

H키를 눌러 도미네이터에 탑승(조종)할 수 있다.

2.4. Assault (강습)

[플레이 화면]
파일:Arras_Assault.png

한 팀이 다른 팀을 습격하는 형태의 모드이다. Assault는 군사적 의미로 '강습', '돌격'의 의미를 담고 있다.
'FBI OPEN UP!'을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다.

2022년 6월 20일 패치로 맵 구조가 크게 바뀌었다. 승리 방법은 기존과 같으나 시작 시 맵 레이아웃의 구조가 10개의 랜덤한 구조중 하나로 결정되며, 어썰트의 D-day 시절처럼 스위치 문이 다시 생겨났다. 단, 스위치 문은 메가 스매셔 꼼수 때문에 금방 삭제되었다.

각 맵의 레이아웃:
  • Bunker
  • Trenches
  • Yin Yang
  • Booster
  • Line
  • Acropolis
  • Eye
  • Bastion
  • Stronghold
  • Branches

초록팀쪽에는 몇 개의 sanctuary도미네이터[11]가 있으며 초록팀도 여기에 스폰된다. 이 sanctuary도미네이터가 파괴되면 파란팀의 도미네이터[12]가 된다.

블루팀의 승리조건은 제한시간 안에 그린팀의 모든 sanctuary도미네이터를 파괴하는 것이며[13], 일반 도미네이터가 남아있어도 sanctuary도미네이터만 파괴하면 된다. 초록팀보다 파란팀 인원이 2-4배 정도 많다. 성역이 파란 팀에 점령되면 초록팀이 되찾아도 그곳에서는 초록팀 탱크가 스폰되지 않아 한번 점령되면 되찾은 후 유지하기 힘들다. 어느 한쪽 팀이 승리하면 플레이어들은 더이상 리스폰할 수 없게 된다. 그런데 이게 sanctuary도미네이터에게도 적용되어 게임이 끝난 후 죽이면 리스폰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이정도만 이해하면 되고 좀 더 깊숙히 들어가면 매커니즘은 이렇다. 초록팀의 목표는 sanctuary도미네이터 또는 일반 도미네이터를 12분 동안 유지하는 것이며, 도미네이터들 중 절반이 파란팀에게 뺏기면 'Green bases are down.'이라며 타이머가 멈춘다.[14] 다시 절반 이상을 되찾으면 타이머가 8분으로 리셋되고 다시 시작한다. 도미네이터들의 절반을 초록팀이 잃으면 'The santuaries have been unlocked!'라며 잠금이 풀린다. 잠금이 풀리기 전엔 sanctuary도미네이터가 아무 데미지도 안 받고 포탑, 터렛도 인식을 못한다. 모든 도미네이터들을 되찾으면 'The santuaries have been locked!'라며 다시 잠긴다.

확실히 팀워크가 상상을 초월한다.
파일:screenshot(do1).png
팀의 힘.

위 사진과 같이 초록 팀 성역에 스폰했는데 그 성역을 파란팀이 죽여버리고 벽에 밀어붙여 스폰 킬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는 O를 눌러 자살을 하거나 스매셔 계열[15]을 하여 두 탱크 정도 죽일 수 있다.

여기선 Sidewinder (사이드와인더)가 엄청난 힘을 발휘한다. Arms Race에서는 Crowbar 계열과 트래퍼 계열이 좋다.

2.4.1. Capture the Flag (깃발 뺏기)

[플레이 화면]
파일:arras capturetheflag.jpg

어썰트의 파생형으로, 맵이 가로로 길고 Outpost가 양쪽 팀에 있다.

각 팀은 아무것도 안 달려있는 Outpost가 2개, 베이스 드론을 발사하는 베이스가 양쪽 끝에 하나씩 있다.

상대 팀 Outpost를 공격해서 체력이 0이 되면 꽃 모양 깃발[16]을 1개 내놓는다.[17] 이 깃발의 체력을 깎아 가지고 자신의 팀 베이스까지 옮기는 것이 목표이다. 옮기는 것에 성공하면 그 Outpost는 사라지고 회색 정사각형 흔적만 남는다. 이렇게 상대 팀의 모든 Outpost를 파괴하면 승리한다.

깃발은 상대의 공격을 받거나 미로 벽에 닿으면 사라지니 조심해야한다. 참고로 미니맵에 커다란 원으로 표시된다.

만일 상대의 공격을 받아 깃발이 나오면 가져가지 못하게 최대한 빠르게 없애야 한다.

원래는 각 팀에 Outpost가 4개씩 있고, 베이스가 그 가운데 있었으면, 깃발을 한번에 3개씩 내놓았지만, 이렇게 바뀌면서 플레이어들이 Outpost에 더 많이 몰리게 되었다.

2.5. Siege (공성전)

속칭 보스전. 한번 하면 대부분 중독된다.
보스 탱크들이 구석에서 계속 소환되며, 매 웨이브 마다 끝없이 몰려오는 보스 탱크들을 팀(모든 플레이어들)과 함께 격파하며 아군 도미네이터를 지키는 공성전 형태의 모드이다. 웨이브가 지날 때마다 점점 더 강한 보스들이, 더욱 많이 소환된다. 웨이브에 제한이 없어 도미네이터들[18][19]이나 서버 둘 중 하나가 터져야 게임이 종료된다.

게임 시작 시 맵이 3개의 레이아웃(Citadel, Blitz, Fortress) 중 하나로 정해진다.

다음은 각 레이아웃들의 특징이다.
  • Citadel의 경우, 중앙구역 동서남북에 성역이 1개씩, 총 4개 배치되어 있으며 각 대각선 방향에서 보스가 들어온다. 당연히 중앙구역 밖으로 나갈 수 없게 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 Fortress의 경우, Citadel과는 반대로 각 대각선 방향에 성역이 총 4개 배치되어 있고, 동서남북에서 보스가 들어온다.
  • Blitz의 경우, 맵 오른쪽에 성역 4개가 세로로 나열되어 있으며 보스가 왼쪽에서부터 소환되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방식이다. 다른 레이아웃보다 맵이 꽤 넓다.

다음의 맵 구조는 3개 레이아웃 모두 따른다.
중앙구역 밖으로 나갈 수 없도록 벽으로 둘러싸여있다. 빨간색 구역은 보스가 들어오는 곳으로, 탱크가 빨간색 부분에 닿으면 체력이 급속도로 닳아서 죽는다.(마치 다른 팀 베이스에 들어갈 때와 같다)[20] 그리고 이때 You died a stupid death(당신은 멍청하게 죽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뜬다.

Sanctuary(성역)이라는 아군 특수탱크가 베이스 대신 존재한다. 플레이어가 이곳에서 스폰한다. 안식처 또는 기지 역할을 하며, 트래퍼 총구로 공격을 막고, 힐러 총구로 근처 아군을 치유해준다. 보스의 공격으로 파괴되면 노란팀(중립)으로 비활성화 되며[21][22], 플레이어들이 재공격하여 되찾을 수 있다. 보스가 모든 성역을 파괴할 시 카운트다운이 시작되고, 60초 안에 어느 성역 하나도 다시 점령하지 못할 시 패배한다.[23] 이후에 아레나 클로저가 나와 게임 종료.
성역은 5웨이브 마다 티어가 높아져, 총 25웨이브에 걸쳐서 티어 1에서 티어 6까지 등급이 오르고 더 강력해진다.
티어 1(1웨이브)힐러 총구 2개, 트래퍼 총구 3개
티어 2(5웨이브)힐러 총구 2개, 트래퍼 총구 6개
티어 3(10웨이브)힐러 총구 3개, 트래퍼 총구 8개
티어 4(15웨이브)힐러 총구 3개, 트래퍼 총구 9개
티어 5(20웨이브)힐러 총구 4개, 트래퍼 총구 10개
티어 6(25웨이브)힐러 총구 4개, 트래퍼 총구 12개

보스의 패턴: 입구에서 쏘면서 계속 접근 -> 성역에 접근 -> 성역을 빙빙 돌면서 공격[24] -> 성역을 함락시켰다면 웬만해선 다음 성역으로 이동[25] -> 모든 성역이 파괴되었다면 플레이어들 소탕

수많은 종류의 보스 탱크들이 등장한다. 다음은 등장하는 보스 탱크(+특수탱크)의 종류이다. 플레이어들 일편단심 모드라 그런지 일반 모드와는 차원이 다른 난이도의 보스들도 있다.
  • 크래셔, 센트리 3종: 극초반부터 등장하는 잡몹이다. 뭉쳐봤자 별사탕이다.
  • 센티넬 3종: 극초반부터 등장하는 잡몹이다. 하나 잡는 건 어렵지 않지만 센트리와 비교하면 속도도 빠르고 화력도 좋다.
  • 엘리트 크래셔 7종: 모든 보스들 중 가장 쉬운 난이도로, 1웨이브부터 등장한다. 혼자서도 잘 하면 잡을 수 있으며, 성역에서는 샌드백이다.
  • 도형 보스 4종: 초반부터 등장하는 쉬운 난이도의 보스들이다. 소환하는 드론의 피통이 꽤 크니 조심하자.
  • 일반 보스(엘리트 스키머, 네스터 3종, 로그 팰리세이드): 초중반부터 등장하며, 두세명이서도 잡을만 하다. 로그 팰리세이드는 이제 아군으로 등장한다.
  • 테레스트리얼(Terrestrial) 5종: 슬슬 시동 건다. 중반부터 등장하며, 속도도 빠른데 화력은 일반 보스의 두배 정도는 돼서 서너명이 몰아서 공격해야 잡힌다.
  • 셀레스티얼(Celestial) 5종: 대부분 여기부터 위기를 느끼기 시작한다. 중후반부터 등장하며 다른 보스들을 가볍게 압도하는 화력을 가지고 있다. 발사되는 모탄이 상당히 작은데, 이 탄 하나가 플레이어 두명은 썰고 지나갈 수 있다.
  • 이터널(Eternal) 3종: 난이도가 흉악하기 그지없다. 극후반(30웨이브~)부터 등장하는 끝판왕 보스이다, 너무 강력해서 보통 35웨이브 언저리에서 더 버티지 못하고 게임이 끝난다.

가끔 보스는 나오지 않고 특별한 웨이브가 진행될 때가 있다. 예를 들면 대량의 크래셔들이 성역을 습격한다던지, 보스가 아닌 보스의 소환 탱크들이 대신 대량으로 나온다던지 하는 등의 변종이다. 보통 10 웨이브 당 한 번 꼴로 이벤트 웨이브가 뜬다. 그런데 여기에서 유의해야 할 것은, 이 특수 웨이브가 나오는 확률은 무작위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몇 웨이브도 되지 않았는데 셀레스티얼과 테레스트리얼들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까지 확인된 특수 웨이브는 다음과 같다.
  • 파일:Arras_siege crasher wave.png
    매우 많은 크래셔들이 성역을 습격한다. 하지만 크래셔가 너무 약해 성역의 트랩조차도 뚫지 못하니 잉여 웨이브이다.
  • 파일:arras.io_siege_PolygonBosses.png
    도형 보스들만 출현한다.
  • 파일:Arras_celeswave.png
    5개의 셀레스티얼과 5개의 테레스트리얼이 전부 출현한다.
  • 파일:Arras_elitewave.png
    엘리트 크래셔, 엘리트 스키머만 잔뜩 출현한다.
  • 네스트 키퍼와 네스트 가디언만 잔뜩 출현한다.
  • 파일:Arras_sentrywave.png
    센트리와 센티널들이 잔뜩 출현한다. 깨기 쉬울 것 같지만 생각보다 많이 나와 사람들이 많아도 성역들이 2~3개 정도 중립화되곤 한다.
  • 파일:arras.io_PolygonLevel_Siege.jpg
    맵에 도형을 여럿 퍼뜨린다. 맵 내에 있는 모든 도형을 제거하면 웨이브 클리어.
  • 파일:ArrasShinySentryWave.png
    해당 웨이브에 출현하는 센트리들이 전부 초록색 센트리로 강화된다. 엘리트 스포너가 생성하는 센트리는 강화되지 않는다.
    특수 웨이브들 중 난이도는 최상. 초록색 센트리답게 체력도 끔찍이 높은 센트리들이 성역에 돌격까지 하는 터라 순식간에 성역들이 터지는 광경을 볼 수 있다.
  • 파일:Arras_siege bob level.jpg[26]
    민트색 Bob 탱크가 원래 그 웨이브에 나올 보스 수만큼 습격한다. 속도는 무지 빠르지만 총구가 없어 성역을 공격하지 않기 때문에 잉여 웨이브다. 100 웨이브 당 한 번 꼴로 나온다.

가끔씩 "A mysterious egg has appeared.(신비한 알이 나타났습니다.)" 라는 문구와 함께 맵에 검은색 육각형 또는 칠각형 알이 스폰한다[27]. 이 알을 보호하다보면 "(고유명) has arrived and joined your team.((고유명)이(가) 막 깨어나 당신의 팀에 합류했습니다.)" 라는 문구가 뜨며 아군 로그 팰리세이드(육각형) 또는 로그 아르마다(칠각형)가 스폰한다. 이들은 플레이어를 도우며 보스에게 함께 공격을 가한다. 원래 보스였어서 그런지 무지 든든하다. 체력이 다 닳으면 사라진다.
극후반대에 매우 드물게 로그 셀레스티얼도 아군으로 등장한다. 50웨이브에서 발견.[28]

보스들이 업데이크로 훨씬 더 빨라지고 체력도 높아지면서 그렇게나 이 모드에 특화된 포크마저 쓸모가 없어졌다. 현재는 머신거너와 펜타 샷, 펙토리 등이 점수 얻기에 가장 좋은데, 머신거너는 작은 콩알탄들을 빠르게 연사하여 데미지를 많이 줄 수 있고, 펜타 샷은 총구 5개로 안정적인 방어선을 형성하고 한번에 여러 보스들을 상대할 수 있으며, 펙토리는 보스를 둘러싸고 미니언 총알을 발사하면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힐 수 있으며, 그러다가 미니언들을 모두 보스에게 충돌시키면 체력을 많이 깎을 수 있다.

보스들이 스폰할 때 서로를 튕겨내다 보니 Citadel, Fortress에서는 맵의 각 변이나 꼭짓점으로 날아가거나, Blitz에서는 아예 맵 밖으로 갈 때도 있다. 이러한 보스들은 이후 그냥 죽고, 웨이브도 정상적으로 진행된다.

이 모드에서는 스매셔와 언더시어 트리가 없다.[29] 또한 이 모드에서만 'Healer' (힐러) 라는 탱크가 존재한다.[30]

벽 밖을 둘러싸는 투명한 무언가가 존재하고, 이것에 닿으면 죽는다.

정말로 가끔 플레이어가 플레이어를 죽이는 버그가 있다.

2.5.1. Winter Mayhem (겨울 아수라장)

크리스마스 시즌이 오면 Siege의 겨울 테마 모드, Winter Mayhem을 플레이할 수 있다.

2021년 12월 19일~2021년 12월 25일, 2023년 12월 14일~현재에 열렸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 참고.

2.5.2. Growth Siege (성장 공성전)

위에 서술된 공성전과 같은데, 점수를 얻으면 크기가 커진다.

공성전 모드에서 일반 모드보다 점수를 훨씬 더 쉽게 얻을 수 있기에 엄청나게 커다란 탱크들이 많다.

원래는 개발자 이벤트였다.

파일:Pre_Growth Siege.png
보스들이 크기 버프를 안 받는 업데이트 전[31]에는 위 사진처럼 보스 크기가 커서 상대하기 매우 어려웠다. 특히 이터널들은 분명 반대쪽 벽에 닿았는데도 빨간 영역에서 한참 튀어나와 모르고 그냥 있다가 즉사하는 경우가 허다했다.

2.5.3. Siege (공성전) 모드의 역사

2.5.3.1. Boss Event-2020.5.9~2020.5.17
당시 모드 이름은 Boss Event였고, 이벤트성 모드였다.

최종 웨이브: 27웨이브. 지금은 무한 웨이브여서 패배 또는 서버 폭파 둘 중 하나지만, 이때는 마지막 웨이브를 통과하여 게임 승리가 가능했다. 게임 승리 시 메세지는 "YOUR TEAM HAS WON THE GAME!" 이었다.

초기 버전에는 성역 대신 중심에 파란 스폰 지역이 있었다. 이 부분에는 보스가 들어와도 게임오버가 되질 않았다.

즉, 스폰 후 무적 메커니즘 때문에 서버 폭발 말고는 게임오버 되는 법이 없었던 것. 그리고 보스가 영 잡히질 않는다면 부활 후 무적시간때 메가 스매셔로 보스를 처치하는 방식으로 웨이브를 넘어갔으나 잠수함 패치로 막히고, 이 이후에 성역이 생겨났다.[32]

셀레스티얼 3종(Paladin, Freyja,Japkiel)은 이때부터 존재해왔다.

성역[33]이 추가되면서 맵이 지금의 Fortress 레이아웃과 비슷하게 바뀌었다.(2020.5.14)
2.5.3.2. Siege-2020.7.23~2021.6.4
최종 웨이브: 28웨이브.

Siege 모드가 정식 모드로 자리잡게 되었다.

맵 밖으로 나간 플레이어를 빠른 속도로 죽이는 안티-탱크 머신건(Anti-Tank Machine Gun)이 추가되었다.(2020.12.9)[34][35]

벽뚫 문제로 스파이크를 Siege에서 제거했다.(2021.5.29)

로그 셀레스티얼 3종(Alviss, Tyr, Fiolnir)가 추가되었다.(2021.6.4)
2.5.3.3. Siege-2020.6.5~2021.12.18
최종 웨이브: 31웨이브.

신규 셀레스티얼 테이아(Theia)(2021.6.5)와 닉스(Nyx)(2021.10.2)가 추가되었다.

끝판왕 보스 이터널(Eternal)이 추가되었다. 라그나로크(Ragnarok)(2021.6.5)가 가장 먼저 추가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크로노스(Kronos)(2021.7.13)와 레저너리 크래셔(Legionary Crasher)(2021.10.1)가 차례로 추가되었다. 마지막 웨이브인 31웨이브에서 각각 1/3의 확률로 등장했다.

너프 전인 그 당시에 이터널의 토벌 난이도는 상상을 초월했는데, 크기가 어마무시하게 크고 성역도 몸통박치기로 파괴하는 수준이었다.[36] 2022년 12월 16일 대형 업데이트에서 너프되어 지금은 강력한 보스들 중 하나가 되었다.

맵을 리뉴얼 하였다.(2021.6.5) 이전에는 맵이 특이하게들 생겨서 좁은 통로가 있는 맵이라면 다들 그곳에서 숨어서 로켓티어, Engineer 등 장거리 공격은 가능하나 적의 공격은 상쇄할 수 있는 탱크, 혹은 성역 주변 존버할 수 있는 곳에서 펜타, 트리플렛 등으로 쉽게 버티기도 했다. 그러나 6월 5일 업데이트로 맵이 존버 불가능하게 바뀌었다. 성역은 팔방에 1개씩 총 8개가 배치되어 있다.

네크로 막타충 문제로 언더시어 트리를 제거했다.(2021.6.27) 스매셔 트리도 완전히 제거한 듯 하다.

아주 낮은 확률로 등장하는, 일반 센트리보다 강한 초록색 센트리를 추가했다.(2021.7.13)

보스가 한마리만 스폰하는 웨이브(1, 13, 14, 15, 16, 31 웨이브)에서는 보스가 가운데에서 스폰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2021.7.13) 끔살당하진 말라고 웨이브 시작 전에 알려주니 안심하자.[37]

로그 셀레스티얼 3형제가 Siege 모드에서 더이상 나오지 않게 되었다. 이로 인해 Siege 모드에서 유일하게 등장하지 않는 보스가 되었다.
2.5.3.4. Winter Mayhem-2021.12.19~2021.12.25
최종 웨이브: 34웨이브.

Winter Mayhem(직역: 겨울 아수라장) 이벤트를 진행했었다. 간단히 크리스마스 이벤트라고 부른다.

보스들의 이름이 'Elf Militia(엘프 의용군)', 'Reindeer(순록)', 'Nutcracker(호두까기 인형)' 등으로 바뀌었다.

센트리(엘리트 스포너의 것도 포함)가 칠면조 또는 눈사람 모양으로 바뀌었다.

네스트 키퍼의 이름이 'Pumpkin Emperor(호박 황제)' 로 바뀌었고 색도 주황색으로 바뀌었다.

보스들의 수가 2배 정도 증가했으며 속도는 5배 정도 빨라졌다. 마지막 웨이브에서는 이터널이 2대가 등장했다.

이터널의 종합적인 능력치가 대폭 상승하여, 가장 강력한 보스 탱크는 크리스마스 버전 레저너리 크래셔가 되었다.

조종 가능한 마더쉽 또는 칠면조(Turkey)(마더쉽 변이종) 총 4대가 아군으로 참여했다.[38]

이벤트 동안 성역의 트래퍼 총구에서는 선물 모양 탄을, 힐러 총구에서는 사탕지팡이 모양 탄을 발사했다.
2.5.3.5. Siege-2021.12.26~2022.12.15
최종 웨이브: 34웨이브.
Winter Mayhem 이벤트 종료.

당시 보스 탱크의 종류
*엘리트 크래셔 : 엘리트 거너, 엘리트 스프레이어, 엘리트 디스트로이어, 엘리트 배틀쉽, 엘리트 스포너[39]
*일반 보스 탱크 : 엘리트 스키머, 네스트 키퍼, 로그 팰리세이드, 서머너
*셀레스티얼 보스 탱크 : 팔라딘, 프레이야, 자프키엘, 테이아, 닉스
*라그나로크, 크로노스, 레저너리 크래셔

1. 엘리트 크래셔 중 1대
2. 엘리트 크래셔 중 2대
3. 엘리트 크래셔 중 3대
4. 엘리트 크래셔 중 4대
5. 엘리트 크래셔 중 3대, 일반 보스 중 1대[40]
6. 엘리트 크래셔 중 2대, 일반 보스 중 2대
7. 엘리트 크래셔 중 1대, 일반 보스 중 3대
8. 일반 보스 4대
9. 엘리트 크래셔 중 1대, 일반 보스 4대
10. 엘리트 크래셔 중 2대, 일반 보스 4대
11. 엘리트 크래셔 중 3대, 일반 보스 4대
12. 엘리트 크래셔 중 4대, 일반 보스 4대
13. 팔라딘[41]
14. 프레이야
15. 자프키엘
16. 닉스
17. 테이아
18. 셀레스티얼 중 1대, 엘리트 크래셔 중 1대, 일반 보스 중 1대
19. 셀레스티얼 중 1대, 엘리트 크래셔 중 2대, 일반 보스 중 2대
20. 셀레스티얼 중 1대, 엘리트 크래셔 중 3대, 일반 보스 중 3대
21. 셀레스티얼 중 1대, 엘리트 크래셔 중 4대, 일반 보스 4대
22. 셀레스티얼 중 2대
23. 셀레스티얼 중 2대, 엘리트 크래셔 중 2대, 일반 보스 중 2대
24. 셀레스티얼 중 2대, 엘리트 크래셔 중 3대, 일반 보스 중 3대
25. 셀레스티얼 중 2대, 엘리트 크래셔 중 4대, 일반 보스 4대
26. 셀레스티얼 중 3대
27. 셀레스티얼 중 3대, 엘리트 크래셔 중 2대, 일반 보스 중 2대
28. 셀레스티얼 중 3대, 엘리트 크래셔 중 4대, 일반 보스 4대
29. 셀레스티얼 중 4대
30. 셀레스티얼 중 4대, 엘리트 크래셔 중 2대, 일반 보스 중 2대
31. 셀레스티얼 중 4대, 엘리트 크래셔 중 4대, 일반 보스 4대
32. 셀레스티얼 5대
33. 셀레스티얼 5대, 엘리트 크래셔 ?대, 일반 보스 4대
34. 라그나로크(꽤 쉬움~아주 어려움)/크로노스(아주 어려움)/레저너리 크래셔(아주, 아주 어려움)
34웨이브에서는 The reality comes to an end as Raganok arrives!(라그나로크 등장 시)Do you believe in Ragnarok?(크로노스 등장 시)라는 문구가 표시된다.









마침내 34 웨이브를 깨면 YOUR TEAM HAS WON THE GAME! 메시지가 뜨면서 승리한다. 그리고 아레나 클로저가 나와 플레이어를 다 죽인다.
2.5.3.6. Siege-2022.12.16~현재
최종 웨이브: (없음)

더이상 '승리' 가 존재하지 않는다. 웨이브가 진행될수록 더 많고 강한 보스들이 나오는 방식으로 바뀌어서, 게임오버되는 방법은 성역이 다 터져 패배하거나 렉으로 서버가 터지거나 개발자가 임의로 붕단시키거나 하는 길 밖에 없다.

특수 웨이브가 추가되었다. 10웨이브 중 한 번 꼴로 나온다.

성역에 티어(Tier) 메커니즘을 추가하였다. 웨이브가 진행될 수록 성역들의 티어가 오르며 강화된다.

맵을 3개의 레이아웃(Citadel, Blitz, Fortress)이 돌아가며 선택되는 방식으로 바꾸었다. 또 모든 맵의 성역의 수는 4개이다.

센티널(Sentinel) 3종, 새로운 엘리트 크래셔 2종(Elite Spinner, Elite Trap Guard), 새로운 도형 보스 3종(Sorceror, Enchantress, Exorcistor), 테레스트리얼(Terrestrial) 5종을 추가했다.

로그 팰리세이드(Rogue Palisade)와 로그 아르마다(Rogue Armada)가 아군으로 등장한다.

34웨이브 이후에도 게임 진행은 가능하도록 이터널(Eternal)의 전체 능력치를 너프했다. 크기가 확실히 줄어들었다.

보스가 한마리만 스폰하는 웨이브(1, 13, 14, 15, 16, 31 웨이브)에서 다시 보스가 빨간 구역을 통해 들어오는 방식으로 되돌렸다.

이 과정을 뚫고 승리한 적은 단 한 번. 2023년 4월 9일 무려 웨이브 100을 가며 최초로 승리하였다.

Siege에 Arms Race를 추가한 Arms Race Siege Blitz 아시아 서버가 이벤트성으로 추가되었다.(2023.06.11) 새로운 힐러 계열의 Tier 4 탱크들도 추가되었다.
2.5.3.7. Siege 타임라인
  • 2020/05/09 : 보스 이벤트(Siege의 시초)가 시작했다.
  • 2020/05/14 : 성역이 추가되고, 플레이어 팀이 질 수 있게 되었다.
  • 2020/05/17 : 보스 이벤트가 종료되었다.
  • 2020/05/23 : 'Siege'라는 공식 모드로 변경되었다.
  • 2020/12/09 : ATMG가 맵 밖에 추가되었다.
  • 2021/06/04 : 로그 셀레스티얼이 추가되었다.
  • 2021/06/05 : 맵이 리뉴얼되고, 라그나로크가 최종 보스로 추가되었으며, 테이아도 추가되었다.
  • 2021/06/27, 2021/07/09 : 각각 언더시어 트리, 스매셔 트리가 상술한 이유로 제거되었다.
  • 2021/07/13 : 일반 센트리의 강화형이지만 희귀한 초록 센트리와 새로운 최종 보스 크로노스가 추가되었다.
  • 2021/09/02 : 닉스 셀레스티얼이 추가되었다.
  • 2021/10/01 : 레저너리 크래셔가 추가되었다.
  • 2021/12/19 : Winter Mayhem 이벤트가 시작했다.
  • 2022/01/01 : Winter Mayhem 이벤트가 종료했다.
  • 2022/01/08 : 아군을 치유할 수 있는 힐러 계열이 추가되었다.
  • 2022/12/16 : 여러 가지 업데이트가 진행되었다:
    • 맵 3가지 레이아웃 추가
    • 센티널, 네스터 보스, 도형 보스, 테레스티얼 보스 추가
    • 로그 보스들이 아군으로 등장
    • 웨이브 수 무제한
    • 이터널 너프[42]
  • 2023/04/06 : 100 웨이브 달성.
    웨이브 97에선 개발자들이 직접 공지로 웨이브 100까지 버티면 다음 날 새 탱크를 추가해주겠다고 공지해주었고, 웨이브 100까지 도달하자 축하한다는 공지와 함께 승리하며 게임은 종료, 다음날 Vulture이라는 새 탱크가 추가되었다.
  • 2023/05/01 : 102 웨이브 달성.
    개발자가 보스 대신 도형을 매우 많이 생산하여 서버가 닫혔다.
  • 2023/05/26 : 115 웨이브 달성.
  • 2023/06/12 : 154 웨이브 달성.
    6월 11일부터 시작된 Siege Blitz 맵에서 10시간 이상 버텼으며, 최대 118명의 플레이어, 6대의 아군 로그 보스, 1000만점을 넘은 머신거너 등등의 여러 기록들을 세웠다. 중간에 운영자 Valrayvn이 찾아와 잠수 유저들을 숙청하기도 했다.
    파일:Siege Blitz_153wave.png파일:Siege_Blitz_153wave_Moderator_Kills.gif
  • 2023/07/03 : 이벤트로 Growth Siege 모드가 진행되었다. 나중에 개발자가 성장 맨헌트 공성전으로 바꿨다가 종료시켰다.
  • 2023/09/15 : 15시 경 Arms Race Siege 모드에 개발자인 damocles가 들어와, 맵의 벽을 개조해 사면에 어몽어스 캐릭터를 그리고, 적이 아니고 같은 편인 Kronos 보스를 소환했다.
    {{{#!folding [Siege 모드 개발자와 Kronos 보스]
    파일:Arms Race Siege Citadel_AMONGUS.png
    파일:Arms Race Siege Citadel_Developer's Gray Tank_Friendly Kronos_Rogue Celestials.gif
    }}}
  • 2023/09/20 : 201 웨이브 달성.
    개발자가 웨이브 201에 아레나 클로저들을 소환해 끝났다.
  • 2024/01/03 : 293 웨이브 달성.[Arms_Race]
  • 2024/07/05 : 300 웨이브 달성.[Arms_Race]
    웨이브 290 대에 총알 불꽃놀이 효과가 사라지고, 웨이브 301에 희귀 보스인 Bob가 대출몰해 플레이어들은 속수무책으로 죽었다.
  • 2024/12/22 : 317 웨이브 달성.[Arms_Race]
    빛나는 센트리가 대거 출몰하여 끝났다.
  • 2025/04/06 : 210 웨이브 달성.
  • 2025/04/16 : 472 웨이브 달성.[Arms_Race]
    중간에 북쪽 벽이 조정되어 위쪽에도 또 다른 베이스가 생겨났다. 이들이 위쪽 성역을 지키고, 로그들이 있던 남쪽 베이스에서는 방어와 함께 밀고 올라오는 식으로 진행이 되었는데, 웨이브 473에 delenda라는 1등 트리플-오토 펜이 붉은 영역을 향해 직진했다.[47] 로그들은 리더를 따라오는 특성 때문에 최하단 베이스는 파괴되고, 보스들이 로그와 플레이어들을 둘러싸 로그들이 죽어갔으며, 최상단 베이스까지 파괴되며 게임이 끝났다.
    무려 엿새나 지속된 기록이다.
  • 2025/06/02 : 두 번째 Growth Siege가 진행되었다. 개발자가 붉은 구역 너머에 화살표 블록을 놓아 보스가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하였다. 나중에 보스가 너무 많아 끝나게 되었다.
  • 2025/06/06 : 드레드노트가 약 한 달 동안 이 모드에 입장이 가능해졌다. 한번 들어오면 다시 Forge로 돌아갈 수 없었다. 그러나 일반 탱크가 점수를 얻기 힘들어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 2025/08/05 : Growth Siege가 로테이션 및 일반 모드에 추가됨
  • 2025/09/15 : 404 웨이브 달성.[Growth][Arms_Race]
    시즈모드 Growth와 Arms Race가 겹쳐 열린 판으로, 아군 탱크에게 유리한 조건을 두 개나 가진 상태로 진행되었기에 초반부터 빠른 속도로 웨이브를 클리어해 나갔다. 특히 Arras.io 문서의 버그 문단에도 서술되어 있듯이 Physican의 자가회복 능력으로 인해 가장 유리하다고 평가받는 Blitz 모드가 아닌 Fortress 모드에서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400이 넘는 기록을 세울 수 있었다.

2.6. Mothership (마더쉽)

상대팀의 마더쉽을 모두 처치하는 것이 목표.

마더쉽은 속도가 매우 느리며[50], 마더쉽은 포탈을 타지 못한다[51].F키를 눌렀을 때 플레이어가 마더쉽을 하지 않고 있을 때 마더쉽을 탑승할 수 있다.[52]

리더보드에는 각 팀의 마더쉽의 체력이 백분율로 나타난다.

마더쉽의 체력이 워낙 높고 체력 회복도 매우 빠르다 보니 보통 게임은 서로 몸빵하며 끝난다.

2.6.1. Maze Mothership (미로 마더쉽)

Diep.io의 Mothership과 Maze를 합친 모드
파란 팀과 초록팀이 있으며, 미로에서 진행된다! 여기서는 N키로 레벨업을 할 수 없다. F키를 눌러 통제되지 않은 마더쉽을 제어할 수 있다.

2.6.2. Arms Race Mothership

Diep.io의 Mothership과 Arm Race를 합친 모드
Mothership의 이름이 Flagship으로 바뀌었고 더 강해졌다.

2.7. 확장 모드

기존 게임모드 앞에 붙어 적용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Maze가 Growth Maze 가 되었다면 Maze 모드이지만 Growth의 규칙이 적용되는 식이다.

2.7.1. Arms Race (군비 경쟁)

FFA와 비슷하나 45레벨 전직보다도 상위 탱크들이 어마무시하게 많은 모드이다. 상위 탱크로 가기 위해 60레벨까지 가야한다던가 하는 조건은 없고, 45레벨까지 올리면 바로 상위 탱크들로 전직이 가능하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Arms Race 모드의 탱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Arras.io/탱크/Arms Race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rras.io/탱크/Arms Rac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rras.io/탱크/Arms Rac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7.2. Growth(성장)

크기제한이 120레벨까지 있는 모드이다. 그래서 랭킹권에 있는 유저를 보면 아주 거대하고 강하며, 독점 상황 시 게임을 뒤집기가 매우 어렵다.

보스가 몇십억 점수를 얻으면 잡기 매우 어려워지기 때문에 보스는 크기가 증가하지 않는다.

업데이트로 크기가 커져도 체력은 늘지 않는다! 다만 스탯이 더 많아지기 때문에 돌격계로 큰 탱크들을 죽이기엔 적합하지 앟다.
2.7.2.1. Overgrowth (과도한 성장)
Growth 모드보다도 더 빠르게 성장한다.

처음 스폰되었을 때 400레벨[53]에서 F를 눌러 진화하라고 하는 메시지가 뜨는데, 진화하면 초기화되는 대신 최대 크기 레벨이 500레벨이 된다.

현재는 삭제된 것으로 추정.

2.7.3. Rock (바위)

맵 전체에 512개의 작은 바위들이 분포해있다.[54] 단, 중앙 펜타곤 지역은 별로 없다.

2.8. Old Dreadnought (과거 드레드노트)

개발자가 Scenexe.io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 모드이다.

두 팀 또는 네 팀으로 나뉘어 있으며 Growth 모드로 점수를 얻을 시 커진다.
이 모드 한정으로 Dreadnought라는 청록색이며, 육각형인 특수 탱크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으며, 전직을 위해선 110 이상의 레벨과 가끔씩 생성되는 하얀 색 포탈을 이용해야 한다.

펜타곤 지역에서는 특이하게도 칠각형, 팔각형, 구각형이라는 새로운 도형이 자라며, 체력이 매우 높으며 파괴 시 경험치도 대량 지급한다.

단, 그곳에 드레드노트들이 농성하고 있을 시 조심해야한다. 특히 드론계 드레드노트는 순식간에 플레이어들을 학살하니 피해가야 한다. 게다가 예전과 달리 그들의 위치도 보이지 않으니 더욱 조심해야한다.

이 모드에는 Forge 포탈 말고도 Lybrinth 포탈도 생성되는데, 현재 Lybrinth와는 다르고 Old Lybrinth라는 Growth 모드의 일종이다.
이곳은 과거 도형도 나오고 도형 생성 확률이 대폭 증가했기 때문에 과거 희귀 도형을 찾기에 가장 적합한 곳이다.
초록 도형이 자주 나오며 전설 도형도 간헐적으로 찾을 수 있고, 무지개 도형이나 Trans 도형, 운이 좋으면 삼차원 도형도 가끔 볼 수 있다.

점수 얻기에도 보다 좋기 때문에 포탈이 생기면 사람들이 몰린다.[55]

2.9. Soccer (축구)

축구를 모티브로 한 이벤트 모드이다.
맵에 있는 아레나 클로저 총알(축구공)을 쏴서 상대편 진영으로 밀어넣으면 1점을 얻고, 10점을 먼저 얻는 팀이 우승한다. 공에 닿으면 바로 끔살당하니 몸으로 밀 생각은 하지 말자. 혼자서는 공이 잘 움직이지 않으니 팀원 여럿과 협력하여 미는 게 중요하다. 하지만 상대팀도 만만치 않게 밀어붙이니 상대팀을 먼저 쓸어버리고 공을 밀자.

건축계로 공을 밀고 탄막 계열로 방어하는게 흔한데, 오토 어쌔신, 레인저, 프레데터, 시야 넓은 크루져/매니저 계열 탱크로 죽이면 된다.

이 모드의 맵 밖 경계는 다른 모드와는 다르게 아예 투명 벽으로 막혀있었다. 그래서 스워머 탄을 맵 밖으로 쏘면 스워머 드론이 정신 사나운 속도로 반대편으로 튕겨져 나가는 버그가 있어 딸피에서 스워머 드론에 의문사하고 미로 벽과 투명 벽 사이로 들어가 맵 밖에서 교전하는 일도 있었지만 며칠 못 가 몽땅 빈틈없는 미로 벽으로 막고 밖에는 안티탱크 머신건을 두어 이런 일은 볼 수 없게 되었다..

이곳에서 가장 좋은 분산계 탱크는 펜타 샷[56], 확산계 탱크는 옥토 탱크, 드론계는 오버로드[57], 포탑계는 오토 5[58], 건축계는 엔지니어[59]와 부머[60], 돌격계는 메가 스매셔[61], 건축계 제외 지뢰계는 오버트래퍼, 파괴계는 콘커러[62], 저격계는 머스킷이나 크로스보우, 집탄계는 거너 계열이 좋다.

공이 체력이 다하면 '터져서' 중앙에 다시 생길 때가 있다.

2.9.1. Grudge Ball

Soccer 모드의 파생형. 4개의 팀이 2개의 공을 가지고 하는 축구 모드다.

맵 가장자리는 벽으로 막혀있고, 각 변의 중앙에는 골대가 있다. 방어팀도 골대에 닿으면 죽기 때문에, 골대 안에서 밖으로 공을 밀어내는 전략은 불가능하다.
각 변의 가장자리에는 밀폐된 스폰장소가 있고, 화살표 벽을 타고 전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각 팀마다 목숨이 5개씩 있고, 골을 먹히면 목숨을 하나 잃는다. 목숨을 전부 잃은 팀은 탈락, 해당 팀의 플레이어들은 Spectator라는 투명 탱크로 전환되어 경기를 관전할 수 있다.
마지막까지 남은 팀이 우승한다.

2.10. Private server (개인 서버)

직접 개인 서버를 만들 수 있다. 이 곳에서 여러 사람들이 만든 개인 서버들을 플레이할 수 있다.전에 있던 링크는 지금은 막혔다고 한다. 자작 탱크와 도형을 만들 수 있으며, 자작 보스까지도 제작 가능하고 맵의 구성도 바꿀 수 있었다.

2.11. Sandbox (샌드박스)

Diep.io Sandbox를 그대로 옮긴 모드
2021년 1월 1일 모드가 생겼고, 맵이 작다.[63] 같은 맵을 계속 플레이하면 아레나 클로저가 나온다. 그리고 업데이트로 최초로 들어온 유저는 AO(Arena Operater)가 된다. `키를 누른 상태로 아래의 키를 눌러 치트를 쓸 수 있고, `키를 떼서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치트 목록 접기 • 펼치기]
다른 물체와 상호작용하는 치트의 경우 탱크, 도형, 벽, 총알, 지뢰, 드론 등을 포함한 모든 물체에 적용된다.

Q - 기본 탱크로 전직
E - 마우스 위치로 순간이동
K - 마우스와 닿은 물체를 즉시 죽인다. 죽은 탱크 시점에서는 You died a stupid death. 라고 뜬다.
W - 가장 가까운 물체를 마우스 위치까지 끌고, 드래그한다.
D - 마우스와 닿은 물체를 D키를 땔 때까지 계속 마우스 위치로 끈다.
V - 자신을 3단계로 나누어 은신시킨다. 1단계(안 누름)은 항상보임, 2단계(1번 누름)은 항상 투명, 3단계(2번 누름)은 가만히 있으면 은신이다.
I - 무적. 뭘 하던 죽지 않는다. 단, K 치트키로는 죽는다.
T - 자신을 마우스에 있는 대상의 팀으로 바꾼다.
Y - 마우스와 닿은 대상을 자신의 팀으로 바꾼다.
H - 마우스와 닿은 대상을 즉시 최대 체력까지 회복한다.
S - 아래 키까지 함께 누르면 더 다양한 능력 사용 가능(스탯 관련)
  • H - 스탯 한도를 늘림.(최대 20개)
  • G - 스탯 한도를 줄임.(최소 0개)
  • M - 모든 스탯을 최대한으로 채움.
  • C - 모든 스탯 포인트를 돌려줌.
  • F - 스탯 포인트 추가
  • D - 스탯 포인트 줄임
  • R - 스탯 초기화
A - 아래 키까지 함께 누르면 더 다양한 능력 사용 가능(속성 관련)
  • T - 모든 사람들을 미니맵에 표시.
  • M - 미니맵에 안 보인다.
  • L - 리더보드에 보이기 켜기/끄기
  • C - 재장전 무제한[64]
  • R - 반동 켜기/끄기
  • O - 맵 밖으로 나갈 수 있음[65]
  • W - 벽을 통과함
N - 무한정으로 레벨을 올릴 수 있다.[66]
P - Arras Police[67]이라는 특수 탱크로 전직하며, 이름도 Arras Police로 바뀐다. [68] 대신 본체(원) 위에 경찰등이 있다. 그리고 시야가 매우 넓어 맵 크기를 최대로 해도 아무것도 안 보일 정도이다. 또한 체력과 몸체 피해량이 아레나 클로저와 맞먹어 Trans 오메가 육각형을 몸빵하여 죽일 때까지 체력바 한번 뜨지 않으며, 스탯 최대, 재장전 무제한으로 한 어나이얼레이터가 쏘아도 마찬가지다.[69] 다만 ` + K로는 죽고, 벽 사이에 끼어도 체력이 깎인다. 그런데 대부분의 물체를 2방컷 하는 빨간 벽에 몇 번씩이나 충돌해도 살 수 있다. 게다가 모든 스탯을 20으로 하면 피해량이 그렇게나 높은 아레나 클로저 총알을 7발 이상 맞아야 죽는다.[70] 이 탱크로 전직을 하면 샌드박스 서버의 모든 유저들에게 'WOOP WOOP! That's the sound of da police!(윙 윙!경찰의 소리입니다!)' 라는 영어 문구가 뜬다.[71]
B - 마우스를 중심으로 마우스 근처에 있는 물체들을 마우스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낸다. 마우스와 가까이 있을수록 더 멀리 날아간다.
+[72] - 시야 감소(범위 확대)
- - 시야 증가(범위 축소)
0 - 시야 초기화
1 - 스펙테이터
2 - Shiny Member일 경우 Shiny Members Menu, 그렇지 않을 경우 힐러
3 - 현재 탱크가 Shiny Members Menu 진화형일 경우 힐러
, - 탱크를 작아지게 한다.
. - 탱크를 커지게 한다.
; - 마우스와 닿아있는 탱크의 지위를 높여준다.[73][74]
' - 마우스와 닿아있는 탱크의 지위를 낮춘다.
/ - 치트 목록
J - 결합.[75]
G - 정보. 마우스와 닿아있는 물체의 종류, 아이디, 점수, 스탯 등의 점수를 알려준다.

채팅창에 $ 뒤에 아래 글씨를 붙인 것을 입력하여 명령어 사용도 가능하다.

AC 이상의 직위를 가지면 아무 때나 O[76]로 자폭할 수 있다.
[명령어 목록 접기 • 펼치기]
||<tablebgcolor=#fff,#2d2f34><rowbgcolor=#00a495><rowcolor=#fff><width=30%> 명령어 ||<width=35%> 기능 ||<width=40%> 비고 ||
샌드박스 명령어
arena size dynamic 이용자 수에 따라 맵 크기를 달리 한다.
arena size (폭) (높이) 맵 크기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최대 크기는 1024×1024, 최소 크기는 2×2, 두 수는 짝수여야 한다.
arena team (0~4 사이의 숫자) 팀의 수.
arena spawnpoint (x좌표) (y좌표) 처음 스폰할 때 스폰 장소를 정한다.
arena close 서버를 강제로 닫는다. 플레이어가 스폰하거나 무적 치트를 쓰거나 스펙테이터를 하는 등 일반적인 방법으로 안 죽는 경우 아레나 클로저가 안 나온다. 아레나 클로저가 나올 수 이런 방법으로 안 죽고 살아남을 수 있다.
Shiny Member이상만 사용 가능
broadcast (내용) 서버 내 모든 사람들에게 메세지를 전송한다.
chaos 모든 사람들에게 운영자 권한을 준다. 'Chaos!'라는 메시지가 뜬다.
order 모든 사람들의 운영자 권한을 박탈한다. 'Order!'라는 메시지가 뜬다.
개발자 전용.
join 또는 j 다른 샌드박스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샌드박스 외의 모드에서도 사용 가능.
id 자신의 아이디를 알려준다.
identity 또는 i 아이디와 권한[77]을 알려준다.
leaderboard 또는 b 리더보드에 무엇을 표시할지 고른다.
[접기 • 펼치기]
Default: 기본 세팅으로, 가장 점수가 높은 10명의 점수를 표시.
Cognizant: Incognito 옵션과 상관없이 가장 점수가 높은 10명의 점수를 표시.
Players: Tag 모드 한정, 각 팀의 플레이어 수 표시.
Totals: Elimination 모드 한정, 각 팀의 플레이어 점수의 총합을 표시.
Goals: 축구 모드 한정, 각 팀의 골 수 표시.
Lives: Grudge Ball 모드 한정, 각 팀의 남은 생명 수 표시.
Motherships: 마더쉽 모드 한정, 각 팀의 마더쉽의 체력 표시.
Bosses: Siege 모드 한정, 보스의 체력 표시.
Global: (포탈을 통해) 연결된 모든 서버에서 가장 점수가 높은 10명의 점수 표시.
toggle 또는 t 채팅 기능 활성화/비활성화
channel (team 또는 global) 또는 c (t 또는 g) 메시지를 보낼 범위를 고른다. 팀원, 모든 사람들
afk 베이스 안에 있을 시 다른 탱크에 의해 밀려나지 않게 한다.
status 또는 s 서버가 얼마 동안이나 열려 있었는지, 언제 닫히는지 알려준다.
report (이유) 지난 10분간의 채팅 메시지 보고. 이유를 잘 쓰지 않으면 대가를 치를 수 있다.

커맨드 $n으로 샌드박스 넥서스로 이동할 수 있었다. 이곳에서 다른 샌드박스로 이동할 수 있었는데, 현재는 사라졌다.

2.12. 이벤트 모드

몇 달 정도만 하는 것이다. 끝나고 지워진 모드도 있고, siege 나 assault 처럼 정식 모드가 된 것도 있다.

2.12.1. Space (우주)

모든 탱크의 중심에 오토 터렛같은 추진기가 달려 매우 빠르다.

공격을 하지 않거나 가만히 있으면 원 모양으로 빙빙 돈다.

그리고 구석에 아군 또는 적 탱크가 있을때 매우 빠르게 돌진하면 끼인다. 이 상태에선 무적이 된다. 하지만 이동이 불가하다.

맵 꼭짓점에 부딪히면 버그로 죽음과 동시에 Assailer에게 죽었다고 뜬다.

참고로 예전에는 모드 이름이 3 Teams Space였고, 중앙에 거대한 'Moon'이라는 원형 구조물이 있었다.

2.12.2. Blackout (정전)

2023년 10월 24일 할로윈 기념으로 출시한 이벤트 모드이다. 탱크가 보는 방향과 탱크의 총구들 방향으로만 시야가 생기고 시야가 없는 곳은 완전한 검은색[78]으로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

총구가 많을수록 시야가 잘 보여서 사이클론, 옥토 탱크, 스프레드 샷 같은 확산계 및 분산계 탱크가 유리하다.

2.12.3. Retrograde (복고풍)

[플레이 화면]
파일:Retrograde_Battlefield.png

말 그대로, Arras.io 속 고전 탱크들, 폐기된 탱크들과 각종 잡다한 탱크들까지 전부 체험해 볼 수 있는 모드이다. Diep.io같은 다른 탱크 게임에서의 트리도 가능하며, 보스 탱크들도 체험이 가능하다.
예시로 구 커맨더(3방향 총구와 드론 최대 개수 12개), 로켓티어 등을 체험해 볼 수 있다.

Basic에서 Retrograde 탱크로 전직할 시 다음 탱크들을 선택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 테이블]
파일:Retrograde_Upgrade Table.png
  • Diep Tanks: 원작 Diep.io의 탱크들로 전직할 수 있다. Diep.io-2 게임의 탱크들도 고를 수 있다.
  • DigDig: DigDig.io(광질 게임) 내 탱크들 4종로 전직할 수 있다. 엄청 큰 스매셔류 탱크들이다.
  • Celestial Bosses Menu: 셀레스티얼 보스 탱크들로 전직할 수 있다. 이 탱크들을 선택할 시 스탯은 '2200000700'으로 고정된다. 다만 전직 후 10초가 지나면 즉사한다.[79] 사실상 자폭용 탱크.
  • Elite Bosses Menu: 엘리트 크래셔 7종으로 전직할 수 있다. 스탯은 '0959995011'으로 고정된다.
  • Nester Bosses Menu: 네스터 보스 탱크 3종으로 전직할 수 있다. 스탯은 '3927756966'으로 고정된다.
  • Mystical Bosses Menu: 미스티컬 보스탱크(도형 보스) 4종으로 전직할 수 있다. 스탯은 '3539999044'으로 고정된다.
  • Rogue Bosses Menu: 로그 보스 탱크 2종(로그 팰리세이드, 로그 아르마다)으로 전직할 수 있다. 스탯은 '0926662000'으로 고정된다.
  • Nostalgia Menu: 리메이크 이전 초기 형태의 탱크들로 전직할 수 있다 베타버전 탱크들도 포함한다. 예시로 구 커맨더, 구 스프레드샷, Weird Spike 등이 있다.
  • Scrapped Menu: 추가되었다가 폐기된 탱크들로 전직할 수 있다. 예시로 로켓티어, 메가 스포너 등이 있다.
  • Misc Retrograde: 그 외 잡다한 탱크들로 전직할 수 있다.
보스 탱크들이 인기가 많다.
또한, 플레이어 보스 탱크들의 고정된 스탯은 실제 보스 탱크의 것을 반영한 듯 하다.(예: 로그 보스는 체력 Max, 네스터는 이속 Max 스탯이다.)

2.12.4. Pumpkin Patch (호박 밭)

2023년 10월 15일 할로윈 기념으로 새 이벤트 모드를 출시했다.

중앙 구역을 제외한 모든 곳에 듬성듬성 호박(바위)들이 심겨 있다.

모든 탱크들은 호박 무늬가 생기며 은신 상태가 된다. 랜드마인처럼 은신하는 탱크는 반대로 보여서(...) 쓸모없다.

2.12.5. March Madness (삼월의 광기)

말 그대로 삼월에만 진행되는 이벤트이다.

일단 기본적으로 도미네이터가 대여섯개 있고, 축구공은 엄청나게 많으며, 각 팀은 베이스와 마더쉽이 하나씩 있다.
탱크들은 원래 기능과 매우 다르게 작동한다. 예를 들면 메가-3는 도미네이터만한 총알을 쏘고, Big Cheese는 원래 자기 드론만한 총알을 쏜다.

2.12.6. Tetromino (테트로미노)

말 그대로 테트리스 맵에서 플레이하는 모드이며, 파랑 팀과 초록 팀이 있다.
맵의 아래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하는데, 이는 탱크 뿐만 아니라 총알에도 작용하여 거의 모든 탱크의 사거리가 반토막이 난다.
이 사거리 감소 문제는 W키를 눌러 점프하면서 쏘면, 탱크가 위로 급가속하여 일시적으로 완화된다.
천장에서는 테트리스 블록이 아래로 계속 떨어지며, 한 줄이 채워지면 그 줄은 사라진다.
블록 옆면은 타고 올라갈 수 있으며, 떨어지는 테트리스 블록에 끼면 압사 당한다. 그러나 떨어지기 직전에 점프를 하면 블록을 관통하고 부스터 단 듯이 위로 급발진 한다.

Smasher류 탱크들은 Engine Acceleration 스탯을 올려 공중에서 낙하하는 속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블록을 타고 올라가거나 뚫고 올라가는 속도가 어마무시하게 빠르다.

2023년 6월 업데이트로 한 줄이 사라질 때마다 1만점 씩 얻는다.

팀이 한 개만 있는 경우 힐러로도 전직이 가능하다.

스매셔 개열 또는 Physican으로 벽을 뚫으면 Anti-Tank Machine Gun이 죽여버린다. 벽에 끼었는데 그때 맨 밑줄에 있었으면 바닥을 뚫고 나가 얘가 또 죽일 수 있다.

2.12.7. Magic Maze (마법의 미로)

[플레이 화면]
파일:Magic Maze_Playing_Wide Shot.png
시야가 대폭 증가하는 특수 벽을 이용해 촬영했다.

일반 미로 모드와 비슷하지만, 벽들이 계속 움직이며 미로의 구조가 지속적으로 바뀌고, 특수한 효과를 가진 벽들이 존재한다.

다음은 특수한 벽들의 특징과 효과이다.
  • 빨간색: 닿으면 체력의 꼭 절반의 데미지를 준다.
  • 검은색: 닿는 모든 것을 튕긴다. 이를 이용하여 반사샷이 가능하다.
  • 흰색: 닿는 모든것을 끌어당긴다. 이속이 느리면 달라붙었을 때 빠져나가기 힘든 함정.
  • 회색(연회색 화살표 마크):화살표 방향 뒷면에 닿은 것을 끌어당겨 앞으로 보낸다.
  • 분홍색: 닿은 것의 크기를 키운다. 총알의 크기, 시야도 같이 증가한다. 단, 체력은 일정하다.
  • 연두색: 닿은 것의 크기를 줄인다. 총알의 크기, 시야도 같이 감소하며, 크기가 2배 이상 작아지기 때문에 맞추기 어렵다.
  • 노랑색(검은 눈동자 마크): 닿은 탱크의 시야를 레인저보다 더 키운다.
  • 반투명한 회색: 다른 물체가 통과할 수 있는, 은신용 벽이다. 다만 집중하면 안이 꽤 잘 보여서 많이 애매하다.


이 모드에서만 철판으로 보강한 듯한 특수 도형이 드물게 스폰한다. 대부분 점수를 높게 주며, 특수 오각형은 300만점(3M)까지도 준다.
[보강된 도형]
파일:Arras.io_Armed Triangle_1m.png 파일:Arras.io_Armed Pentagon_3m.png

2.12.8. Outbreak (아웃브레이크)

기존 FFA와 다를 바는 없어보이지만, 상대를 처치할 시 상대의 탱크는 잠시 회색으로 변하며 정지하고, 얼마 안 가 초록색의 좀비 탱크로 변해버리게 된다. 좀비 탱크는 상대고 나고 가릴 것 없이 죽이러 달려들기에 엄청 성가시다. 이들도 랭킹에 올라갈 수 있다. 상대의 탱크를 좀비로 바꾼다고 뭐가 바뀌진 않고, 그 좀비들을 죽여야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이 모드에서 특히 네크로맨서 탱크[80]를 이용하여 상대 탱크가 좀비화된 상태에서[81] 상대 탱크를 아예 처치해버릴 시 좀비화 대신 자신의 팀으로 끌어올 수 있다! Clan Wars에서는 자신의 클랜이 아닌 사람도 데려올 수 있고, 듀오나 스쿼드에서 다른 탱크들을 많이 데려와 따른 팀보다 더 강력해질 수 있다.

좀비 탱크는 개인전에서 초록색이며, 그냥 봇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래도 사람들이 유리한 게 좀비들은 체력에 신경을 안 쓰고, 돌격계가 아닌 이상 무조건 총알로 공격한다.[82] 또 우클릭을 쓰지 않아 피닉스와 같은 탱크가 좀비가 되었을 때 처치하기 쉽다.

일반 모드에서는 드론 탱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좀비들은 드론을 감지 못하기 때문이다. Arms Race에서는 일반 모드와 같이 드론계 탱크를 사용하거나, 항상 은신하는 탱크[83]를 사용하면 좀비들을 쉽게 죽일 수 있다.

좀비 알고리즘은 비슷해서 비슷하게 행동하다 보니 모여있는 경우가 있다. 이곳에 일반 탱크가 들어오면 대부분 바로 죽지만, 은신하는 탱크를 이용하면 가만히 있는 좀비들을 공격해 점수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팀전에서 이 모드가 봇들로 점령될 수 있다.
서버가 열려 사람들이 들어옴 → 한 팀(예를 들어 파란팀)이 살짝 더 강해 그 팀에 좀비 탱크가 많이 생김 → 그 탱크들의 도움으로 좀비 탱크가 더 많이 생김 → 파란팀이 압도적으로 강해짐 → 원래 사람들이 나가도 좀비들이 많음 → 사실상 파란팀은 무적이 됨

2.12.9. Classic (클래식)

Diep.io와 마찬가지로 1레벨에서 시작하여 45레벨까지 가야 한다. 평소에는 잘 경험해보지 못하는 1,2,3티어 탱크들을 해볼 수 있어 색다르다. 이 모드가 추가되었을 때 '베타 크래셔'들이 함께 추가되었다.

2.12.10. Halloween (할로윈)

Graveyard(Outbreak), Blackout, 그리고 Pumpkin Patch를 합친 모드다.

하단에 펜타곤 네스트가 2곳 있고 상단에 호박이 매우 많으며, 가운데에 미로(Asylum)가 있다.

먼저 펜타곤 네스트는 플레이어들이 스폰하는 곳으로, 각종 도형들이 이곳에 나온다. 보스도 이곳에 스폰한다.

가운데 미로는 배경이 연노란색인데, 각 부분에 대해 포탈이 총 3개 있고, 스위치가 많으며, 양쪽에 버튼이 있다. 이 버튼을 공격해 죽이면 불을 켰다 껐다 할 수 있고, 기본적으로 총구 방향으로 빛이 비춰진다.

호박 밭에 들어가면 즉시 100% 투명해진다. 2분 이상 있으면 저주에 걸렸다는 메시지가 뜨고 주황색으로 변하며, 체력이 있는 물체에 닿으면 즉사한다. 다만 좀비가 되지는 않는다.

Outbreak처럼 죽으면 좀비가 된다. 좀비는 네크로멘서로 자신의 팀으로 만들 수 있다. 그리고 Outbreak과 마찬가지로 서버가 좀비에 점령당할 수 있고, 호박 밭으로 데리고 나만 투명해져 죽일 순 있지만 잘 안 따라온다.

2.13. 삭제된 모드

전에 이벤트 형식으로 진행되었다가 현재는 사라진 모드.

2.13.1. D-day (디데이)

Assault 모드의 전신이다. 빨간 팀 파란 팀이 있으며 파란 팀은 빨간 팀의 도미네이터를 부숴야 되고, 빨간팀은 도미네이터를 지켜야 한다.

2.13.2. Half (절반)

모든것이 반으로 잘린 FFA/팀 모드. 탱크[84]들은 물론 포탄, 드론, 지뢰, 도형, 바위, 심지어 맵까지도 반토막 나 있다.

특이사항으로 옥토 탱크나 헵타트래퍼, 헥사트래퍼 등을 여기서 사용하면 심각한 총구 비대칭으로 인해 열화판 기동계처럼 다닐 수 있었다.

2.13.3. Train Wars (기차 전쟁)

클랜 전쟁의 파생형 모드이다.

기존의 클랜 시스템을 유지하되, 같은 클랜 소속끼리 한 줄로 묶여 기차처럼 붙어다닌다. 이동의 권한은 선두에게만 있으며, 선두가 죽으면 그 기차는 통째로 상대팀에게 흡수당한다.

2.13.4. Worlds Collide (세계 충돌)

원작 Diep.io와 본 게임 Arras.io가 합쳐진 모드이다.

맵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맵의 Diep.io 부분에 스폰하면 Diep.io 탱크들을 사용하게 되고, 밸런스도 그쪽이다. 반면 Arras.io 부분에 스폰하면 Arras.io 탱크들을 사용하게 된다.

포탈로 다른 세계로 이동할 수 있고, 각 세계에는 그쪽의 보스들이 스폰한다.

2.14. 그 외

2.14.1. Unknown

불명. 서버가 업데이트 되거나 비활성화 되어있을 때 주로 이렇게 표시된다.

2.14.2. Tartarus (타르타로스)

개인 서버로 표시된다.

3. 기타

  • Siege, Assault, Manhunt(Growth Manhunt 제외) 중 적어도 한 가지 모드는 항상 활성화되어있다.
  • 이벤트하는 기간에는 사람들이 그 모드로 몰려 일반 모드의 플레이어들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된다.
  • 한 지역의 세 서버는 일반, 두 서버는 Growth, 두 서버는 Arms Race, 두 서버는 Growth Arms Race다.
  • 베타 테스터 모드, 이벤트 모드 등은 모드 이름이 주황색으로 변한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Arras.io/탱크|Arras.io/탱크]]}}}{{{#!if external != "o"
[[Arras.io/탱크]]}}}}}}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Arras.io/탱크?uuid=ebfd2fc2-28cb-4803-a964-e4996c9a806a|r102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Arras.io/탱크?uuid=ebfd2fc2-28cb-4803-a964-e4996c9a806a#s-1.6.5|1.6.5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Arras.io/탱크?from=1020|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Arras.io/탱크|Arras.io/탱크]]}}}{{{#!if external != "o"
[[Arras.io/탱크]]}}}}}}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Arras.io/탱크?uuid=ebfd2fc2-28cb-4803-a964-e4996c9a806a|r102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Arras.io/탱크?uuid=ebfd2fc2-28cb-4803-a964-e4996c9a806a#s-1.6.5|1.6.5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Arras.io/탱크?from=1020|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1] 원래도 확률이 높았는데 개발자가 더 높였다. 원래 드레드노트가 되기 위해 1시간 정도 소요됐다면, 현재는 5분 안에 될 수 있다.[2] 일반 모드에는 알파 도형까지만 나온다.[3] 그러나 메인 화면에서 바로 갈 수 없다.[4] 예전에는 4팀도 있었다.[5] 단, 팀원이 자신 1명 남은 상황에서 컨트롤만 좋다면 충분히 승리할 수 있다.[6] 제거된 팀에게 뜨는 메시지는 You died a stupid death.[7] 이 때문에 매우 많은 사람들이 1등을 노리지만 잡기 매우 쉽지 않다.[8] 도형은 통과하고 총알은 상쇄하지만 피해는 받지 않는다.[9] 표시되는 메시지는 You killed and became (죽인 탱크 닉네임)'s (죽인 탱크 종류).[10] 단, 이 수법을 쓸 때는 최상 티어일 때가 가장 좋다. 저티어면 상대가 진화 탱크 중 가장 나은 것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11] 트래퍼 + 힐러 총구 3개[12] 총구가 없어 공격하지 못한다.[13] 모든 sanctuary도미네이터가 파괴되면 그린팀이 스폰이 불가능해지므로 이기는 거라고 볼 수 있다.[14] 물론 파란팀이 그 사이에 성역들을 모두 자기 편으로 만들면 이긴다.[15] 어차피 못 살아남으니 이속, 가속 0, 체력과 쉴드를 많이 키워 Spike계열을 하는 것이 좋다.[16] 그런데 이 깃발에게 부딪쳐 죽으면 Unknown Entity, 즉 미확인 물체에게 죽었다고 뜬다.[17] 이때 A (팀 색깔) dominator has been compensated!라고 뜬다.[18] 여기선 성역(Sanctuary)이라고 부른다. 후에 서술.[19] 그래서인지 중립 보스를 되찾으면 도미네이터를 죽였다고 뜬다.[20] 탱크를 잘못 골랐을 때 많은 사람들이 사용한다.[21] 이때 스폰장소의 역할도 빼앗기기 때문에, 모든 성역이 파괴되면 죽었을 때 리스폰이 불가능하다.[22] 이때 'Blue Sanctuary'였던 이름이 'Destroyed Sanctuary'로 이름이 바뀐다.[23] 모든 성역 파괴 이후에는 보스가 남은 플레이어를 소탕하러 다니므로 재점령이 힘들지만, 일부 조직들이 끝내 성공하여 많은 플레이어들이 한곳으로 몰려 스폰하는 경우도 있다.[24] 예전에는 박치기를 했지만 이제 이터널들을 제외하고는 하지 않는다. 또 엘리트 거너는 도미네이터로 접근하면 빙빙 돌거나 부딪치지 않고 성역 가까이에서 고정된 상태로 공격한다.[25] 가끔 고립된 플레이어들을 소탕하기도 한다. 보스 시야에 성역이 없을 때 발생한다. 만약 플레이어조차도 없거나 아직 남은 플레이어들이 무적상태일 때에는 다른 플레이어가 올 때까지 그 자리에 가만히 있는다.[26] 이 웨이브는 웨이브 3이라 2대가 나왔다.[27] 이 알은 밀어도 움직이지 않는다.[28] 파일:아군 로그 셀레스티얼.png[29] 유저들이 스파이크를 가지고 서로 튕겨서 미로를 뚫어버리고, 메가 스매셔로 무적시간 폭딜로 성역 되찾고, 도형을 다시 되돌려 놓을 때 네크로만 하던 현상이 다시 일어날까봐 없앤 것이다.[30] 여담으로 최초 출시때는 중심에 +마크가 없어서 Sidewinder와 꽤나 혼동됐었다. 그래서 마크가 붙여진 듯 하다.[31] 다른 맵에서는 이터널들이 빨간 부분을 통과하지 못해 Blitz만 있었다.[32] 그래도 메가 스매셔가 무적 상태일 때 성역에 붙이고 성역이 보스에 의해서 파괴될 때 메가 스매셔가 성역을 빠르게 되찾을 수 있었다.[33] 힐러 총구 3개, 트래퍼 총구 8개, 티어 메커니즘 無[34] 여기서 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벽으로 둘러 쌓여 있는 쪽으로 튕겨 나가면 안티-탱크 머신건의 총알이 벽을 관통하지 못하고 흡수된다.(그런데 이 총알은 너무나도 빠르고, 공격력이 강력해서 벽 사이를 관통하는 경우가 있으니 조심하자.)[35] 그런데 2021년 5월 6일에 Engineer(엔지니어)가 스파이크와 함께 맵 밖으로 튕겨 나가는 사태가 발생했다![36] 특히 레저너리 크래셔는 맵 전체를 휩쓸고 다니는 무시무시함을 보여주었다.[37] Warning: the -st wave/ -th wave/ the final boss will spawn in the middle of the map! 이라고 한다.[38] 1, 13, 26, 33웨이브마다 1대씩 소환됨[39] 2대 이상이 나오면 센트리 몇 마리가 스폰된다[40] 이 웨이브가 시작되는 순간 A strange trembling...(이상한 떨림...) 라는 문구가 표시된다.[41] 이 웨이브가 시작되는 순간 The world tremors as the celestials are reborn anew!(천체들이 새롭게 태어나면서 세계가 떨리고 있다!) 라는 문구가 표시된다.[42] 크기를 4배 정도 줄이고, 전체적으로 약하게 만들었다.[Arms_Race] [Arms_Race] [Arms_Race] [Arms_Race] [47] Blitz 모드였다.[Growth] [Arms_Race] [50] gu/s 정도. 대부분의 탱크의 속도는 3 gu/s를 넘는다.[51] 들어가려고 하면 밀려난다.[52] 플레이어가 마더쉽을 하고 있으면 Someone has already taken that tank라는 문구가 뜬다.[53] Overgrowth에서 가능한 최대 크기의 레벨.[54] 원래는 128개였다.[55] 그런데 이 포탈을 둘러싸고 드론을 놓아 트롤링을 하는 드레드노트들이 있다.[56] 드리블이 쉽고, 공이 자신의 팀 바로 앞까지 왔을 때에도 골대 안에서 계속 쏴대면 못 들어간다. 방어막 형성에도 최적인 탱크이다.[57] 재장전이 빠르며 플레이어들을 죽일 수 있고, 축구공 원격 조종(?)이 가능하다. 스포너 계열은 컨트롤이 어렵고, 언더시어 계열은 각 드론 피해량이 적으며, 크루저 계열은 오토 크루저를 제외하곤 너무 드론이 분산된다.[58] 포탑을 조종하며 해야 한다.[59] 옆으로 쏴주면 오토 포탑 때문에 상대 팀이 제대로 공격을 못한다.[60] 되돌아오는 부메랑을 없애야 해 짜증난다.[61] 몰래 상대 팀쪽으로 가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물론 축구공에 맞으면 죽는다.[62] 방어와 공격을 동시에 할 수 있고, 골을 넣기 쉽다.[63] 명령어로 크기를 키울 수 있다.[64] 터렛과 포탑 제외.[65] 그래도 서버 자체적으로도 경계가 있어서 그 너머로는 못 간다.[66] N 치트를 써도 경험치에 상관없이 레벨이 오르는 것은 맞지만 레벨이 오르는 속도는 일정하기에 자릿수가 높을수록 자릿수 하나를 올리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어려워지므로 1000조 점까지가 거의 마지노선이다. 시도해본 결과 14452레벨부터는 일정 레벨마다 도형을 먹지 않으면 N 치트 사용이 불가능하다.(사실 표시만 그렇게 되어 `+G로 실제 점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레벨이 높을수록 심화되기에(도형을 먹어야 할 빈도가 늘어난다.) 만약 계속 올릴거면 사이클론으로 도형을 계속 먹으면서 해야 한다. 하지만 1000조 점 넘게 찍기 위한 진짜 문제는 따로 있다. 10만 레벨 찍어도 경험치는 60조인데 치트를 써도 레벨이 1씩 오른다고 생각해봐라. 15만 레벨을 찍어도 경험치는 200조를 넘지 못한다. 즉 1000조 점을 넘기려면 수십만 레벨이 필요한데 아무리 빨라도 초당 20레벨밖에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3시간 넘게 렙업만 하고 있어야 한다. 1시간동안 10만 레벨도 못 올린다[67] 원래 명칭은 Undercover Cop이며, 이름은 TEAM POLICE였다. 모든 스탯 한도가 15이고 시야가 어쌔씬 정도 되었고, 위에 경찰등이 달린 것 외에는 일반 부스터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68] 본체는 부스터와 동일하지만 훨씬 크다.[69] 심지어 Arras Police 두 대가 겹쳐도 그렇다.[70] 이말은즉슨, 레저너리 크래셔 약 500대 이상을 부딪쳐 죽일 수 있다는 말이다.[71] 이 탱크가 된 다음 다른 탱크로 바꿔도 스탯은 그대로다.[72] 설명으로는 +라고 되어있긴 하지만 모바일에서는 =라고 되어 있다.[73] 샌드박스의 4가지 지위:
Player: 일반 플레이어. 아무 권한도 없음.
Arena Constructer(AC): arena 커맨드 이외의 커맨드에 접근 가능
Arena Supervisor(AS): 자신보다 지위가 낮은 탱크의 지위를 조절/밴 가능
Arena Operater(AO): 모든 기능 사용 가능
[74] 그런데 이러한 작업은 하려면 대상이 가만히 있어야 하기 때문에 Option 아래 Players 창을 열어 하는 게 훨씬 편하다.[75] 총 7가지가 있다.
Fixed: 물체가 대상을 기준으로 이동할 수 없다.
Minimum Distance: 물체가 대상으로 더 가까이 움직일 수 없다.
Maximum Distance: 물체가 대상으로부터 더 멀어질 수 없다.
Fixed Distance: 물체가 대상으로부터 더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없다.
Fixed Angle: 물체가 대상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다.
Fixed Angle, Minimum Distance: 물체가 대상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고 더 가까이 이동할 수 없다.
Fixed Angle, Maximum Distance: 물체가 대상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고 더 멀리 이동할 수 없다.
[76] ` 없이 그냥 O[77] 0~5단계.[78] 뭔가 반투명한 검은 원들이 모인 건데, 앞이 하나도 안 보인다. 그리고 스프라이트가 많아서 그런지 렉이 극심하다..[79] 문구: WARNING! YOU WILL EXPLODE IN 10 SECONDS!(경고! 당신은 10초 후 폭발할 것입니다!)[80] 네크로멘서만 되고, Arms Race에서 네크로멘서의 진화형은 가능하지 않는다. 아마 네크로멘서가 약해 아무도 쓰지 않기 때문에 개발자가 이런 특수 능력을 부여한 것으로 보인다.[81] 회색 상태에선 체력이 말도 안되게 높다.[82] 근딜 부스터가 좀비로 변하면 그 약한 총알로만 공격한다는 뜻.[83] Leader, Limpet, Rogue, Persuer 등.[84] 이름도 바뀐다. Half-Basic, Half-sniper, Halve(Single 반쪽), Mono(Twin 반쪽), Single(Dual 반쪽), Tri-Trapper(헥사 트레퍼 반쪽), Quad Tank(옥토 탱크 반쪽), Twin-and-a-half-Shot(펜타 샷 반쪽)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