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icrochip AVR 마이크로컨트롤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VR MCU#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VR MCU#|]]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 Auto Voltage Regulator
자동전압조정기. AC 전원의 전압을 자동적으로 안정화시켜주는 기계이다. 전원을 안정화 해준다는 부분에선 리제네레이터나 레귤레이터와 유사한 부분이 있긴 하지만 사용 목적이나 동작 방식, 특성 등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세 장치들은 성격이 서로 다른 별개의 장치들이다.자동전압조정기는 내부에 들어있는 대량의 탭을 가진 특수 변압기와 Triac 을 사용해 전압 변동에 따라 입력단 변압기의 탭을 계속 바꾸는 식으로 동작한다. 만약 전압이 220V 에서 215V 로 떨어지면 Triac 에 의해 입력전원이 215V 탭에 연결되어 출력이 220V로 안정화되고, 전압이 165V로 더 떨어지면 160V 탭에 연결되어 223V 출력을 가지게 되는 식으로 안정화한다.
전원 전압이 들쭉날쭉 하는 환경에서 전압 변동에 민감한 기기나 전기로 구동되는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 할 때 주로 이용된다.
2020년 이후 나오는 기종들 중엔 슬라이닥스 식 AVR도 있다.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을 측정하고 사전에 만들어진 2D Map 과 실시간 측정치에 따라 2차 접점 구동부를 서보 모터가 실시간으로 움직여 전압을 맞춰준다.
탭 방식 AVR보다 전압 조정범위가 디테일해서 일부 선호도가 있다. 국내에선 전력 문제로 인해 클럽에도 많이 사용되는데, 비트가 쎈 EDM 이 재생되고 있으면 2차 출력 접점이 음악에 맞춰 덩실덩실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인덕터와 TRIAC 을 조합하여 구동하는 Cycle-Converter 타입의 AVR도 있긴 하지만 구 소련 시절에 유의미하게 사용되었으며 출력 파형에 왜율이 심하다보니 현대의 전자 기기에는 맞지 않아 사용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