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1 11:30:59

ADL



1. Anti-Defamation League, 반명예훼손연맹2. Advanced Decline Line, 등락주선

1. Anti-Defamation League, 반명예훼손연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반명예훼손연맹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반명예훼손연맹#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반명예훼손연맹#|]][[반명예훼손연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Advanced Decline Line, 등락주선

騰落株線. 시장의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어느 정도 유입 및 유출되고 있는지를 판단한 지표.

일정 기준일 이후부터 전날의 종가에 비해 상승한 종목수에서 하락한 종목수를 뺀 것을 매일 누계한 뒤 그 수치를 선으로 이어 작성한다.

즉 ADL = 일정 기준일의 ADL + 상승종목수 - 하락종목수

예시로 상승종목 300에 하락종목 200이면 ADL은 100이며, 다음날 상승종목이 400, 하락종목이 300이면 100+400-300 = 200이 ADL이 된다.

상승종목수에서 하락종목수를 빼서 매일 누적할 때 상승종목수가 상대적으로 많으면 시장의 자금유입이 활발한 것이며, 하락종목수가 많으면 자금유출이 있다고 보면서 시장의 내부세력 및 내부 에너지의 추세를 분석해 볼 수 있다.

하지만 보합종목을 고려할 수 없다는 점으로 인해 단독으로 정확한 선행 지표의 역할을 맡을 수 없어 코스피와 같은 주가종합지수와 비교 분석을 해야 한다.
  • 주자종합지수와 ADL이 모두 상승하면 주가 폭등, 둘 다 하락하면 주가 폭락으로 볼 수 있다.
  • 주가종합지수가 상승할 때 ADL이 하락하면 주가 하락 과정, 주가종합지수가 하락할 때 ADL이 상승하면 주가 상승 과정으로 볼 수 있다.
  • 주가종합지수가 이전 최고치에 접근할 때 ADL이 그 이전의 최고치보다 낮으면 주가 약세, 주가종합지수가 이전 바닥권에 접근할 때 ADL이 그 이전 바닥권보다 상당 수준 상회할 때는 주가 강세로 볼 수 있다.

또한 증시 상승세에서 주도주 관련 업종으로 투자의 집중화 현상으로 상승종목수가 적어져 ADL이 낮게 나와도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도 있어 등락주선만으로 주식 매매 여부를 결정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