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2025 PUBG WEEKLY SERIES: Phase 1|2025 PUBG WEEKLY SERIES: Phase 1]]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60><tablebordercolor=#151042><tablebgcolor=#fff> | 2025 PWS Phase 1 경기 일정 |
WEEKLY STAGE (3/4~3/29) | 1주차 (3/4, 3/6, 3/8) | 2주차 (3/11, 3/13, 3/15) |
3주차 (3/18, 3/20, 3/22) | 4주차 (3/25, 3/27, 3/29) | |
Last Chance (4/1) | 라스트 찬스 | |
Grand Final (4/5~4/6) | 그랜드 파이널 | |
결산 |
1. 개요
2025 PUBG WEEKLY SERIES: Phase 1 대회 종합 결과를 기록한 문서이다.2. 대회 결과
2.1. 위클리 스테이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PUBG WEEKLY SERIES: Phase 1/위클리 스테이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PUBG WEEKLY SERIES: Phase 1/위클리 스테이지#|]][[2025 PUBG WEEKLY SERIES: Phase 1/위클리 스테이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위클리 스테이지 순위표 | ||||||||||||
<rowcolor=white> 순위 | 팀명 | PGC 포인트 | 누적 포인트 | 출전 횟수 (일) | ||||||||
<rowcolor=#fff> 총점 | 1주차 | 2주차 | 3주차 | 4주차 | 총점 | 순위 | 킬 | 치킨 | ||||
1 | | DNF | 158 | 40 | 36 | 37 | 45 | 876 | 336 | 540 | 21 | 12 |
2 | | T1 | 53 | 22 | 17 | 11 | 3 | 509 | 160 | 349 | 4 | 11 |
3 | | DN | 30 | 2 | 15 | 10 | 3 | 418 | 130 | 288 | 5 | 10 |
4 | | DK | 28 | 9 | 6 | 0 | 13 | 410 | 166 | 244 | 8 | 10 |
5 | | FN | 27 | 3 | 12 | 2 | 10 | 388 | 140 | 248 | 3 | 10 |
6 | | PHE | 25 | 13 | 3 | 1 | 8 | 366 | 138 | 218 | 7 | 10 |
7 | | EFM | 19 | 0 | 4 | 9 | 6 | 374 | 148 | 226 | 3 | 11 |
8 | | BGP | 14 | 0 | 0 | 14 | 0 | 159 | 59 | 100 | 3 | 2 |
9 | | AZLA | 12 | 0 | 3 | 4 | 5 | 325 | 108 | 217 | 3 | 10 |
10 | | SPF | 11 | 0 | 2 | 5 | 4 | 286 | 119 | 167 | 2 | 9 |
11 | | EOS | 11 | 4 | 0 | 6 | 1 | 276 | 102 | 174 | 4 | 8 |
12 | | GEN | 10 | 0 | 1 | 7 | 2 | 271 | 86 | 185 | 1 | 9 |
13 | | SGA | 8 | 5 | 0 | 3 | 0 | 250 | 102 | 148 | 2 | 8 |
14 | | SEN | 8 | 4 | 3 | 0 | 1 | 250 | 97 | 153 | 1 | 9 |
15 | | GP | 6 | 6 | 0 | 0 | 0 | 230 | 73 | 157 | 0 | 9 |
16 | | GNL | 6 | 2 | 4 | 0 | 0 | 229 | 67 | 162 | 2 | 8 |
17 | | VX | 6 | 0 | 0 | 0 | 6 | 113 | 37 | 76 | 1 | 3 |
18 | | SS | 5 | 0 | 4 | 1 | 0 | 159 | 45 | 114 | 1 | 5 |
19 | | MZV | 4 | 0 | 0 | 0 | 4 | 71 | 22 | 49 | 0 | 2 |
20 | 파일:PWS2025 TAG.png | TAG | 1 | 1 | 0 | 0 | 0 | 139 | 41 | 98 | 0 | 4 |
21 | | SC | 1 | 0 | 0 | 1 | 0 | 66 | 10 | 56 | 0 | 2 |
22 | | OH | 1 | 0 | 1 | 0 | 0 | 65 | 24 | 41 | 1 | 2 |
23 | | KX | 0 | 0 | 0 | 0 | 0 | 51 | 20 | 31 | 0 | 5 |
24 | | CPD | 0 | 0 | 0 | 0 | 0 | 34 | 19 | 15 | 0 | 1 |
25 | | MZ | 0 | 0 | 0 | 0 | 0 | 31 | 8 | 23 | 0 | 1 |
26 | | T2E | 0 | 0 | 0 | 0 | 0 | 23 | 8 | 15 | 0 | 1 |
27 | | SSD | 0 | 0 | 0 | 0 | 0 | 28 | 6 | 22 | 0 | 3 |
28 | | CR | 0 | 0 | 0 | 0 | 0 | 21 | 4 | 17 | 0 | 1 |
29 | 파일:PWS2025 ES logo.png | ES | 0 | 0 | 0 | 0 | 0 | 20 | 5 | 15 | 0 | 2 |
30 | | TBL | 0 | 0 | 0 | 0 | 0 | 19 | 3 | 16 | 0 | 1 |
31 | | TS | 0 | 0 | 0 | 0 | 0 | 19 | 1 | 18 | 0 | 1 |
32 | | EDV | 0 | 0 | 0 | 0 | 0 | 17 | 8 | 9 | 0 | 1 |
33 | | SCG | 0 | 0 | 0 | 0 | 0 | 17 | 2 | 15 | 0 | 1 |
34 | | NU | 0 | 0 | 0 | 0 | 0 | 16 | 3 | 13 | 0 | 1 |
35 | | SEE | 0 | 0 | 0 | 0 | 0 | 15 | 6 | 9 | 0 | 1 |
36 | | OM | 0 | 0 | 0 | 0 | 0 | 15 | 1 | 14 | 0 | 1 |
37 | | ILC | 0 | 0 | 0 | 0 | 0 | 8 | 3 | 5 | 0 | 1 |
초록색: 그랜드 파이널 진출 | 노란색: 라스트 찬스 진출 | 빨간색: 탈락 |
2.2. 라스트 찬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PUBG WEEKLY SERIES: Phase 1/라스트 찬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PUBG WEEKLY SERIES: Phase 1/라스트 찬스#|]][[2025 PUBG WEEKLY SERIES: Phase 1/라스트 찬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라스트 찬스 순위표 | ||||||||||||
<rowcolor=white> 순위 | 팀명 | 누적 포인트 | 라스트 찬스[1] | 비고 | ||||||||
<rowcolor=#fff> 총점[2] | 순위 | 킬 | 치킨 | 1경기 | 2경기 | 3경기 | 4경기 | |||||
1 | | SS | 55 | 20 | 35 | 1 | 17 | 4 | 9 | 25 | 그랜드 파이널 진출 | |
2 | | T2E | 50 | 21 | 29 | 1 | 0 | 8 | 25 | 17 | ||
3 | | VX | 43 | 15 | 28 | 1 | 22 | 16 | 5 | 0 | ||
4 | | SSD | 38 | 13 | 25 | 1 | 8 | 23 | 5 | 2 | ||
5 | | CPD | 24 | 6 | 18 | 0 | 7 | 12 | 3 | 2 | ||
6 | | CR | 22 | 7 | 15 | 0 | 1 | 0 | 19 | 2 | ||
7 | | SC | 21 | 3 | 18 | 0 | 7 | 2 | 7 | 5 | ||
8 | | OH | 19 | 8 | 11 | 0 | 2 | 2 | 4 | 11 | ||
9 | | GNL | 16 | 8 | 8 | 0 | 0 | 10 | 0 | 6 | ||
10 | | MZV | 15 | 5 | 10 | 0 | 6 | 4 | 0 | 5 | ||
11 | | EDV | 15 | 5 | 10 | 0 | 4 | 4 | 5 | 2 | ||
12 | | TBL | 14 | 5 | 9 | 0 | 3 | 1 | 10 | 0 | ||
13 | | KX | 13 | 5 | 8 | 0 | 7 | 1 | 0 | 5 | ||
14 | 파일:PWS2025 TAG.png | TAG | 11 | 1 | 10 | 0 | 2 | 5 | 0 | 4 | ||
15 | | TS | 7 | 2 | 5 | 0 | 1 | 0 | 1 | 5 | ||
16 | 파일:PWS2025 ES logo.png | ES | 5 | 4 | 1 | 0 | 4 | 0 | 0 | 1 | ||
초록색: 그랜드 파이널 진출 | 노란색: 진출 조건 충족 |
2.3. 그랜드 파이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PUBG WEEKLY SERIES: Phase 1/그랜드 파이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PUBG WEEKLY SERIES: Phase 1/그랜드 파이널#|]][[2025 PUBG WEEKLY SERIES: Phase 1/그랜드 파이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그랜드 파이널 순위표 | |||||||||||||||||||||
<rowcolor=white> 순위 | 팀명 | 종합 | 1일차 | 2일차 | PGC 포인트 | 비고 | |||||||||||||||
<rowcolor=#fff> 총점 | 순위 | 킬 | 치킨 | ||||||||||||||||||
1 | | DNF | 168 | 64 | 104 | 4 | 92 | 76 | 100 | ||||||||||||
2 | | T1 | 94 | 48 | 46 | 3 | 42 | 52 | 60 | ||||||||||||
3 | | DN | 91 | 39 | 52 | 2 | 33 | 58 | 50 | ||||||||||||
4 | | GEN | 85 | 30 | 55 | 1 | 52 | 33 | 40 | ||||||||||||
5 | | BGP | 72 | 26 | 46 | 0 | 35 | 37 | 30 | ||||||||||||
6 | | AZLA | 68 | 14 | 54 | 0 | 35 | 33 | 20 | ||||||||||||
7 | | FN | 65 | 23 | 42 | 1 | 37 | 28 | 10 | ||||||||||||
8 | | GP | 59 | 14 | 45 | 0 | 30 | 29 | 10 | ||||||||||||
9 | | EOS | 58 | 25 | 33 | 0 | 27 | 31 | - | ||||||||||||
10 | | SGA | 52 | 15 | 37 | 0 | 29 | 23 | - | ||||||||||||
11 | | SPF | 51 | 21 | 30 | 1 | 14 | 37 | - | ||||||||||||
12 | | PHE | 49 | 19 | 30 | 0 | 18 | 31 | - | ||||||||||||
13 | | SEN | 49 | 15 | 34 | 0 | 26 | 23 | - | ||||||||||||
14 | | DK | 47 | 6 | 41 | 0 | 28 | 19 | - | ||||||||||||
15 | | EFM | 46 | 17 | 29 | 0 | 26 | 20 | - | ||||||||||||
16 | | SS | 37 | 8 | 29 | 0 | 20 | 17 | - | ||||||||||||
대회 결과 |
2.4. 종합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50><table bordercolor=#151042> | 2025 PUBG WEEKLY SERIES: Phase 1 챔피언 |
| ||||||||||
순위표 | ||||||||||
<rowcolor=white> 순위 | 팀명 | PGC 포인트 | 누적 경기 포인트[1] | 상금 | 비고 | |||||
<rowcolor=#fff> 총점 | 위클리 스테이지 (총합) | 그랜드 파이널 | 보너스[2] | 킬[3] | 치킨[4] | |||||
1 | | DNF | 298 | 98 | 100 | 100 | 644 | 25 | ₩56,500,000 | 우승 |
2 | | T1 | 113 | 53 | 60 | 0 | 395 | 7 | ₩11,000,000 | |
3 | | DN | 80 | 30 | 50 | 0 | 340 | 7 | ₩7,500,000 | |
4 | | GEN | 50 | 10 | 40 | 0 | 240 | 2 | ₩1,500,000 | |
5 | | BGP | 44 | 14 | 30 | 0 | 146 | 3 | ₩4,500,000 | |
6 | | FN | 37 | 27 | 10 | 0 | 290 | 4 | ₩5,500,000 | |
7 | | AZLA | 32 | 12 | 20 | 0 | 271 | 3 | ₩1,500,000 | |
8 | | DK | 28 | 28 | 0 | 0 | 285 | 8 | ₩4,000,000 | |
9 | | PHE | 25 | 25 | 0 | 0 | 248 | 7 | ₩3,500,000 | |
10 | | EFM | 19 | 19 | 0 | 0 | 255 | 3 | ₩1,500,000 | |
11 | | GP | 16 | 6 | 10 | 0 | 202 | 0 | ₩500,000 | |
12 | | EOS | 11 | 11 | 0 | 0 | 207 | 4 | ₩2,000,000 | |
13 | | SPF | 11 | 11 | 0 | 0 | 197 | 3 | ₩2,000,000 | |
14 | | SGA | 8 | 8 | 0 | 0 | 185 | 2 | ₩1,000,000 | |
15 | | SEN | 8 | 8 | 0 | 0 | 187 | 1 | ₩500,000 | |
16 | | SS | 5 | 5 | 0 | 0 | 143 | 1 | ₩500,000 | |
금색: 우승 | 파란색: PGS 7, 8 진출 (글로벌 파트너팀) | 초록색: PGS 7, 8 진출 (PGC 포인트 상위 3팀) |
[1] 위클리 스테이지 + 그랜드 파이널 합산[2] 주차 최다킬 팀 (+5), 주차 우승팀 (+10), 대회 최다킬 팀 (+20), 대회 최다 치킨 팀 (+20)[3] 킬 종합 1위는 PGC 포인트 20점 획득[4] 치킨(WWCD) 종합 1위는 PGC 포인트 20점 획득
3. MVP
| |
| |
| |
MOM 포인트 | 190 |
상금 | ₩ 1,000,000 |
4. PGS 7, PGS 8 진출팀
| ||||
| ||||
| ||||
<rowcolor=#fff> 순위 | 팀 | PGC 포인트 | 결과 | |
1위 | | DNF | 298 | PGS 진출 |
2위 | | T1 | 113 | |
3위 | | DN | 80 | |
4위 | | GEN | 50 | |
5위 | | BGP | 44 | |
6위 | | FN | 37 | |
7위 | | AZLA | 32 | |
8위 | | DK | 28 | |
9위 | | PHE | 25 | |
10위 | | EFM | 19 | |
11위 | | GP | 16 | |
12위 | | SPF | 11 | |
13위 | | EOS | 11 | |
14위 | | SGA | 8 | |
15위 | | SEN | 8 | |
16위 | | GNL | 6 | |
17위 | | VX | 6 | |
18위 | | SS | 5 | |
19위 | | MZV | 4 | |
20위 | 파일:PWS2025 TAG.png | TAG | 1 | |
21위 | | SC | 1 | |
22위 | | OH | 1 | |
<rowcolor=#fff> 파란색: 글로벌 파트너 팀 | 초록색: KR PGC 포인트 상위 3팀 |
5. 총평
대회 기간 내내 주간 1위를 놓치지 않고 사실상 조기 우승을 했던 DN 프릭스가 파이널에도 꾸준히 강세를 보였고 최종 1위를 달성은 물론 PGC 포인트 298점이라는 대기록으로 PGC 진출까지 확정시키며 완벽한 우승을 차지했다.5.1. 각 팀별 총평
- DN FREECS
대회기간 내내 위클리 1위를 놓친적이 없었고 파이널 역시 1위를 차지하며 지난 2024년보다 더 압도적인 국내 1황의 모습을 보였다. 팀원 모두 100킬 이상 달성했고 Salute는 200킬을 달성하는 기염을 토했다.
탁월한 교전력도 교전력이지만 상황 판단력과 오더 역시 어느 하나 손색이 없었고, 무엇보다 고점이나 저점의 기복 없이 한결같이 꾸준하고 일관된 경기력을 보여준 것이 가장 인상적인 점이었다.
298점 PGC 포인트 획득으로 일찌감치 PGC 티켓도 확보했고, 앞으로 있을 PGS에서, 더 나아가 12월에 열리는 PGC에서 "좋은 성적"으로 끝나는게 아닌 우승으로 국제대회를 마무리하는것 만이 숙제로 남았다.
- T1
지난 PGC때 보여준 교전 강팀의 모습을 유지하며 확고부동한 2위의 강팀의 면모를 보여주었지만, 3주차부터 슬럼프에 빠져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며 4주차까지 회복하지 못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다행스럽게도 파이널에서는 다시 폼을 회복해 2위로 마치며 최종 2위의 성적을 지켜내었다.
신소닉 감독의 말처럼 높은 고점은 확실히 증명했지만, 저점에서 경기력이 너무나 침몰하는 문제를 극복해야 할 숙제가 남았다.
- Divine
정규 프로팀이 되고 맞이한 첫 대회에서 훌륭한 성적을 기록했다. 대회기간 내내 교전 강팀의 면모를 확실히 보여주며, T1과 같이 교전으로 점수를 확보하는 방향으로 쏠쏠하게 점수를 확보했다.
비슷한 스타일의 T1과 비교하자면 고점은 T1보다 낮지만 저점과의 기복이 더 적은 경향을 보였다.
현재 로스터 중에 Barpo, Hela를 제외하면 국제전 경험이 없는 멤버들이라 PGS에서 얼마나 보여줄 수 있을지가 숙제로 남았다.
- Gen.G
대회 시작부터 구설수와 심각한 경기력으로 인해 몹시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였지만, 감독 부임 이후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기 시작했고, 파이널에서도 상당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실제로 최종 4위를 기록하면서 자력으로 PGS에 진출할만한 팀이라는 것을 증명해냈다.
- BGP
이변을 달성해낸 다크호스. 아마추어 참가팀으로 유일하게 PGS 진출을 달성해냈다.
멤버 교체 이후 물오른 경기력과 밸런스로 프로팀 사이에서도 확실한 경쟁력을 보여주었다. 비록 공익 이슈로 인해서 국제대회 출전이 금지된 피오의 부재가 큰 영향을 끼칠 듯 보이지만, 나머지 멤버들에겐 귀중한 경험이 될 것이라 예상된다. - FN Pocheon
멤버 이름값에 비하면 무척이나 아쉬운 성적표와 경기력이었다.
좋은 모습도 있었고 나쁜 모습도 있었지만, 가장 큰 문제는 교전합이 맞지 않는 부분이 심각하다는 것.
어찌보면 그런 문제에도 불구하고 팀의 저력으로 달성한 성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 AZLA PENTAGRAM
새로 영입된 멤버들 (JangGu, Glaz)와 함께 경쟁력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번 대회 전반적으로 장구, 플레임은 훨씬 강팀에 있어도 손색이 없을 모습을 보여주며 대회 상위권의 스탯을 자랑했다.
23년도부터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만, PGS 진출이라는 한계단 위를 매번 올라서지 못하는게 아쉬운 점.
- Dplus KIA
서울의 겨울이 끝나지 않고 있다.
위클리 스테이지는 중간에 부침이 있었어도 준수하게 마무리 했지만, 그랜드 파이널에서 심각하게 부진한 모습으로 결국 PGS 진출에 또 실패하였다.
- PHANTOM HEARTS E-SPORTS
1주차때 파격적인 모습으로 3강에 꼽혔지만 지속력을 보이지 못하고 계속된 침체기를 극복하지 못했다.
쌓아놓은 지표가 상당히 준수하기에 더욱 아쉬울 따름.
- e-sports FROM
위클리 스테이지는 1주차 day2에 출전 못한 것을 제외하고 총 11경기에 출장했고, 치킨도 총 3회를 획득했을 만큼 기복없이 꾸준한 모습과 경쟁력을 충분히 갖췄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그랜드파이널에서 큰 두곽을 보이지 못하며 하위권으로 마무리했다.
온라인과 달리 오프라인 경기에서 약한모습을 보인다는 것이 큰 숙제로 남았다.
- IFYOUMINE GAME PT
모든 멤버들이 슈퍼플레이를 보여준 적이 있을 정도로 기량도 있고 경쟁력도 갖췄다.
그러나 그랜드파이널에 진출한 16팀 중 유일하게 치킨을 획득해본 적이 없을 정도로 확실한 승리를 거둔적이 없다는 결정력의 부재가 뼈아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킨을 획득했던 팀들보다 상위의 성적표라는 것은 그만큼 팀의 저력이 있다는 점이기도 하다는 것.
- Eagle Owls
대회에서 총 4치킨을 획득했고, 특히 1매치에서 강한 폭발력을 보이며 지난 시즌보다 훨씬 성장했고 경쟁력이 있음을 증명했다.
하지만 1매치의 폭발력을 지속적으로 유지못하고 매치가 진행될수록 증발해 아쉬움을 남기며, 가능성과 숙제를 동시에 보여주었다.
- SUPERFECT Esports Academy
위클리 스테이지에서 9일을 참가 및 2회 치킨을 획득했고, 그랜드 파이널에서도 1치킨을 획득했을 만큼 충분한 경쟁력을 보여주었다. 팀원 개개인의 슈퍼플레이도 나오며 역량을 보였다.
다만 이런 모습이 기복없이 나와야 더 높은 성적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숙제. - SGA INCHEON
새로 참가한 다섯개의 신생팀 중에서 타팀에 비해 집중도는 적었지만 실속있는 모습을 보이며 기존팀 사이에서도 경쟁력을 증명했다. - Sentinel
기량도 경쟁력도 잠재력도 갖추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랜드파이널 2일차 1매치에서 DNF와의 전면전에서 상대를 탈락시키고 전력도 보존한 것을 보여준 것이 좋은 예.
하지만 역시 그런 모습이 기복없이 꾸준히 보여주어야지만 더 위를 노릴 수 있다. - SooperStar
Loki의 참가로 BGP팀과 함께 가장 뜨거운 감자였던 아마추어 참가팀.
방플 사건 피해등의 어려움을 라스트 찬스에서 극복하며 그랜드파이널에 진출했지만, 프로팀이 즐비한 파이널에서는 라스트찬스 때의 막강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두곽을 보이지 못했다.
하지만 마지막 매치에서 BGP의 경쟁팀을 탈락시켜 BGP의 PGS 진출에 방점을 찍어준 조력자가 되었다.
- GNL ESPORTS
Gyuyeon을 제외한 멤버 전원의 교체가 있어서인지 대회에서 선수 개개인이 보여준 능력에 비해 팀 완성도가 몹시 부족했다.
그랜드파이널 직행 실패 후 라스트 찬스에서 1매치에서 말린 이후 경쟁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파이널에 진출하지 못하는 수모를 당하며 대회를 마쳤다.
- KX Gaming
신생팀의 애환을 가장 크게 보여준 케이스.
어떠한 경쟁력도 보여주지 못하고 너무나 아쉽게 하위권만 전전했다.